•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러시아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러시아"

Copied!
4
0
0

Teks penuh

(1)

주요 단신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34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3-18호 2013.5.10

러시아

□ 러, 우크라이나에 양자 형태의 가스수송시스템 컨소시엄 제안

ㅇ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가스수송시스템(Gas Transport System, GTS) 컨소시엄을 양자 형 태로 설립할 것을 제안하며, 이럴 경우에 우크라이나 가스수송시스템을 통한 자국 가스 수송량을 연 60Bcm 수준으로 유지할 것이라고 4월 29일 밝힘.

- 우크라이나는 유럽을 포함하는 3자 형태의 컨소시엄을 원하고 있는데, 이에 대해 러시 아 측은 유럽이 안정적인 가스 소비를 보장하지 못하고 있어 유럽을 포함한 가스수송시 스템 컨소시엄 설립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음.

- 주우크라이나 러시아 대사는 만약 우크라이나 정부가 3자 형태의 컨소시엄 설립 법안 을 채택하면, Gazprom은 우크라이나 통과 가스 수송량 보장에 대한 그 어떤 합의도 하 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하였음.

- 우크라이나는 Nord Stream, South Stream 등과 같이 자국을 경유하지 않고 유럽시장과 직접 연결하는 Gazprom의 가스수출 수송망에 강한 우려를 보이고 있음.

2012년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가스 도입량은 24.4Bcm으로, 전년 대비 39% 감소하였음(인 사이트 제13-2호(1.11일자) p.25 참조).

ㅇ 우크라이나는 다른 국가의 가스업자에게 자국 가스수송시스템을 임대해 발생하는 수익을 시스템 현대화 사업에 사용할 계획이며, 이와 관련하여 유럽, 러시아를 포함한 컨소시엄 설립계획을 지난 3월 발표함(인사이트 제13-12호(3.29일자) p.31 참조).

- 우크라이나 Viktor Yanukovich 대통령은 자국 가스수송시스템에 러시아의 접근을 허용 하는 대신, 러시아는 가스 수송량을 보장해줘야 한다고 언급한 바 있음. 또한, 우크라이나 는 러시아 측에 가스가격을 1,000m3당 400달러에서 280달러로 인하해줄 것을 요구함.

- 한편, 러시아는 EU의 Third Energy Package가 Gazprom의 유럽 내 활동에 불이익을 줄 수 있다고 언급하며, 우크라이나가 Third Energy Package를 이행할 경우에 가스수 송시스템 컨소시엄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 3월 21일 발표한 바 있음.

EU의 Third Energy Package는 유럽 내 전력 및 가스시장에 대한 종합 에너지정책으로, 2011년 3월부터 EU 국가들에 적용되었음. Third Energy Package에 따르면, 파이프라인 을 포함한 에너지 수송시설을 자체적으로 소유한 에너지 기업은 이를 매각하거나 분리시켜 운영해야 하며, 에너지 수송시설의 사용을 다른 기업이 원할 경우 이를 허용해야 함(인사 이트 제11-12호(2011.5.27일자) p.21 참조).

(Lenta, 2013.4.29)

□ Lukoil, ESPO 송유관을 통한 對 아・태지역 원유수출 가능

ㅇ Lukoil은 Transneft로부터 ESPO 송유관을 통한 원유 수송을 승인받았다고 5월 7일 밝힘.

(2)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주요 단신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3-18호 2013.5.10

35

- 이에 따라, Lukoil은 금년 7월부터 서시베리아 매장지에서 생산되는 원유 10만 톤을 ESPO 송유관을 통해 수송해서 Kozmino항에서 아 태지역으로 수출할 수 있게 됨.

- 이와 관련해서 아직 에너지부의 최종 승인이 남아있는 상태이며, 구체적인 수출 국가 및 기업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음.

ㅇ Lukoil은 지난 2월 말 Transneft에 ESPO 송유관을 통한 원유 공급을 제안한 바 있으나, 당시 Transneft는 ESPO-원유 품질 저하를 이유로 승인하지 않았음.

- 당시 Lukoil은 황 함유량이 높은 우랄 볼가지역 원유를 ESPO 송유관을 통해 수송하려 고 하였음. 반면 동시베리아지역에서 생산되는 원유로 이루어진 ESPO-원유는 저유황 경질류에 속함.

- 이에 따라 Lukoil은 이번에 황 함유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자사 소유의 서시베리아 매장 지 원유를 ESPO 송유관에 공급할 것이라고 Transneft 측에 제안했음.

ㅇ 한편, 2012년 Lukoil은 총 3,470만 톤의 원유를 수출했는데, 그 중 Transneft 수송시스템 을 통한 원유 공급량은 3,050만 톤임. Lukoil이 소유하고 있는 유전들은 대부분은 서시베 리아지역과 우랄・볼가지역에 집중되어 있음.

ㅇ Rosneft는 對중국 원유 수출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Lukoil의 원유를 활용하는 것을 Transneft와 함께 검토 중에 있음.

Rosneft와 중국 CNPC는 선지급-후공급 조건을 포함한 25년간의 원유공급 계약을 3월 체 결하였음. 이에 따라, 러시아는 對중국 수출용 수송시설(ESPO 송유관의 중국 지선, Kozmino항, 카자흐스탄-중국 송유관)을 통해 총 3,100만 톤까지 원유 공급량을 증대시킬 계획임(인사이트 제13-12호(3.29일자) p.28 참조).

(Kommersant, 2013.5.7)

□ Rosneft, 정유시설 현대화 사업에 대규모 투자비 예상

ㅇ Rosneft는 자사의 정유시설 현대화(개보수 및 고도화) 사업 비용으로 총 140억 달러를 예

상한다고 4월 29일 발표함.

- Rosneft의 Igor Sechin 회장은 현재 Rosneft의 정유시설 현대화 프로그램에 따라 이미 16개 정유시설의 건설 수리가 완료되었으며, 90억 달러의 자금을 투자했다고 밝힘. - 정유시설 현대화가 완료되면, Rosneft의 모든 정유시설에서 Euro-5 등급의 석유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됨. 또한, 현대화 이후 Rosneft의 석유제품 총 생산량 중 경유제품 생산 비중은 현재 58%에서 80%까지 증대될 것이며, 정제마진은 현재 배럴당 7.5달러에서 11달러로 늘어날 것으로 기대됨.

- Rosneft는 TNK-BP 지분 매입으로 정유시설 현대화 일정을 일부 수정하였다고 밝히며,

2015년 현대화 작업을 완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ㅇ 2011년 발생한 러시아의 석유제품 부족 사태를 해결하기 위하여, 러시아 정부의 지시

에 따라 자국 수직통합형 석유・가스기업(Rosneft, Gazprom Neft, Gazprom, Tatneft,

(3)

주요 단신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36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3-18호 2013.5.10

Lukoil, Surgutneftegaz, TNK-BP, Bashneft, Zarubezhneft)들은 반독점청, 환경기술원자 력감독청, 기술표준청 등과 정유부분 현대화 및 투자계획 이행에 관한 4자 협정을 체 결함(인사이트 제11-21호(2011.7.29일자) p.15 참조).

- 2011~2015년의 정유부문 현대화 투자 프로그램에 따라, 러시아는 2015년까지 약 1조 루블(약 300억 달러)을 투자할 계획임.

(Oilnews; OilExp, 2013.4.29)

□ 야쿠츠크-이르쿠츠크 지역 간 전력망 연결(‘에너지브릿지’) 사업 착수 예정

ㅇ 국영 전력기업 ‘극동에너지기업(Far East Energy Managing Company, DVEUK)’은 야쿠 츠크(사하 공화국)와 이르쿠츠크州 간 고압송전망을 건설하는 ‘에너지브릿지(Energy Bridge)’ 사업을 2013년 9월 착수할 예정이라고 4월 25일 밝힘.

- 야쿠츠크-이르쿠츠크주 에너지브릿지 사업은 2012년 이르쿠츠크州, 사하 공화국, Polyus Zoloto(금 채굴기업), 극동 및 자바이칼 개발기금, DVEUK, FGC UES(전력망 기업) 등이 체결한 6자 협정에 따라 추진되는 민자사업임.

- 야쿠츠크와 이르쿠츠크를 연결하는 870km의 송전선이 건설되며, 중간에 450MVA의 변압기를 이용해서 Bodabinsk지역, Mamsko-Chuysk지역, 그리고 Sukhoy Log, Chertovo Koryto, Verninskoye 금광으로 전력을 공급함.

- 에너지브릿지 사업을 통해 ESPO 송유관 시스템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Vilyuysky 수력발전소 1, 2호기(총 680MW)와 Svetlinsky 수력발전소(270MW)에서 생 산되는 전력을 이르쿠츠크 북동지역에 공급함.

- 결과적으로 이 사업을 통해 시베리아 전력망과 극동지역 전력망이 연결될 것임.

ㅇ 러시아 전력망은 국영 FGC UES에 의해 소유・운영되고 있음. FGC UES는 7개의 통합 전력망시스템(북서, 중부, 남부, 볼가, 우랄, 시베리아, 극동)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 중 극 동 통합 전력망시스템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음.

- 4월 초 FGC UES는 동 지역의 전력인프라 현대화 사업을 정부에 제안하였으며, 여기에

는 극동 및 시베리아 지역의 통합 전력망시스템을 통합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음.

(Kommersant, 2013.4.25)

□ 극동지역 열병합발전소 가스화 프로그램 시행으로 가스 소비 증가 전망

ㅇ 러시아 Viktor Ishaev 극동개발부 장관은 극동지역 열병합발전소 가스화 프로그램 시행으 로 지역 내 천연가스 소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4월 30일 밝힘.

- 장관에 따르면, 극동지역 열병합발전소의 가스화로 2013년 천연가스 소비는 전년 대비 13% 증가한 5,383MMcm에 이를 것이며, 석유제품과 석탄 소비는 전년 대비 11%, 2%

각각 감소할 것임.

- 향후 2015년에 지역 내 천연가스 소비는 2012년 대비 20% 증가하는 대신에 석탄 소비

(4)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주요 단신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3-18호 2013.5.10

37

는 18%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 2013~2015년 기간의 극동지역 열병합발전소 가스화 프로그램 추진비용은 약 55억 루

블(약 1억7,700만 달러)로 추산되며, 여기에는 연방예산 9,210만 루블(약 296만 달러), 극동지역 예산 45억9,730만 루블(약 1억4800만 달러), 국영 전력기업 FGC UES 자금 8억3,580만 루블(약 2,700만 달러)이 포함됨.

ㅇ 장관에 따르면, 동 프로그램 시행으로 2012년에 17억 루블(약 5,500만 달러)을 절약할 수 있었으며, 2015년까지의 경제적 효과는 56억 루블(약 1억8천만 달러)로 추산됨. 현재 이 와 관련해서 다음과 같은 사업들이 계획・추진되고 있음.

- 2013년에 Vladivostokskaya 열병합발전소 2호기의 가스화 전환사업 3단계가 4월 17일 착수되었으며, 2013년 3분기까지 총 10개의 보일러를 가스화할 계획임.

극동지역 발전기업인 Dalnevostochnaya Generiruyushaya Kampaniya는 2010년부터 Vladivostokskaya 열병합발전소 2호기의 가스화 전환사업을 시행함(인사이트 제13-16호 (4.26일자) p.38 참조).

- 또한, Yuzhno-Sakhalinsk 열병합발전소 1호기의 가스화가 2013년 내로 완료될 계획이 며, 천연가스를 연료로 하는 발전소 1기가 추가로 가동될 예정임.

- 루스키섬 Tsentralnaya 소형 열병합발전소의 시운전이 2013년 내로 완료될 계획임.

(AmurMedia; Zrpress, 2013.4.30)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