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만덕사지 당간지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만덕사지 당간지주"

Copied!
13
0
0

Teks penuh

(1)

만덕사지 당간지주 발굴조사 약식보고서

2014. 06.

(2)

Ⅰ. 머리말

1.

발굴조사 개요

○ 발굴조사명 : 부산 만덕사지 당간지주 정비사업부지 내 유적

○ 허가번호 : 제2014-0503호

○ 발굴대상지역 : 616-110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동 784

○ 발굴허가면적 : 127㎡

○ 조사기간 : 2014. 6. 11. ~ 6. 17 (착수일로부터 5일간)

○ 조사단 구성 : 책임조사원 홍보식(부산광역시립박물관 문화재조사팀장) 조 사 원 박정욱(부산광역시립박물관 문화재조사팀 학예연구사) 준 조 사 원 김유정(부산광역시립박물관 문화재조사팀 학예연구사) 보 조 원 정 철(부산대학교대학원 고고학전공)

○ 학술자문위원회 개최 : 2014. 6. 13.

자문위원 - 양맹준(전 부산광역시립박물관장, 현 부산시문화재위원) 최태선(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부 문화재학 교수)

2.

조사 경위와 목적

조사대상지는 부산광역시 북구청이 시행하는 ‘만덕사지 당간지주 복원 및 주변 정비사업’ 부지이다. 만덕사지 당간지주(부산광역시지정 유형문 화재 제14호)는 북동쪽으로 약 100m 정도 떨어져 위치하는 고려시대 사 찰인 전 만덕사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 당간지주 1기(서쪽)만 존 재한다.

부산광역시 북구청은 2014년 4월 우리 박물관에 매장문화재 입회조사 를 의뢰하였고, 그 결과 당간 및 당간지주를 세우기 위한 하부구조물 일 부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당간지주 복원 및 주변 정비사업 시행 전에 정 밀 발굴조사를 실시하여 원형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조사 내용을 정비 사업에 반영하고자 금번 조사가 실시되었다.

Ⅱ. 유적의 환경

만덕동 일대는 북쪽의 상학산 산지와 남쪽의 쇠미산 부웅령 등의 산지 사이의 말단부에 형성된 구릉이고, 옛부터 기비골(기비고개)로 불리고 있 다. 조사대상인 당간지주의 북동쪽으로 약 100m 정도 떨어진 곳에 전 만 덕사지 금당지와 강당지가 위치해 있다. 당간지주 바로 앞(남쪽)에 만덕1

(3)

동 사기 당산의 당산나무가 있다. 현재 구만덕로가 있어, 만덕사지와 당 간지주는 왕복 4차선 도로를 중심으로 마주하고 있다.

Ⅲ. 조사 범위와 방법

1.

조사 범위

조사 대상지는 부산광역시 북구 만덕동 784번지에 해당한다. 만덕사지 당간지주는 현재 기와담장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당간지주 앞에 당산나 무가 있고, 당간지주 서쪽에는 최근까지도 마을사람들이 제를 지내는 당 집이 있었는데, 조사 착수 당시에는 당집이 철거된 상태였다. 이번 조사 는 주변 건물과 인도를 제외하고, 당간지주를 둘러싸고 있는 기와담장 안쪽 범위로 한정되었다.

2.

조사 방법

조사는 당간지주 북쪽의 최근에 쌓은 석재들과 마사토를 제거하면서, 당간지주와 관련된 부석을 노출시켰다. 당간지주를 중심으로 남-북 방향 의 탐색트렌치를 설정하여 부석과 당간지주와의 관계 및 당간지주 하부 구조를 확인하였다. 당간지주 이후에 퇴적된 흙을 제거하고, 트렌치 조사 를 통해 잔존한 당간지주석의 동쪽에 1기의 당간지주석이 빠진 자리를 확인하였다. 굴러들어온 돌을 제거하고 바닥조사를 하여 깊이 와 너비 등의 규모와 조영방법을 확인하였다. 당간지주 남쪽 부분은 큰 당산나무 가 있고 지면 아래 대부분은 당산나무 뿌리가 깊고 복잡하게 얽혀있어 생토를 확인할 수 없었기 때문에, 남쪽 부분의 굴광선 범위는 확인하지 못하였다.

Ⅳ. 조사 내용

1.

유구

조사대상의 당간지주는 2기 중 서쪽 1기만 남아있었다. 조사대상지에 남-북 방향의 트렌치 조사를 통해 층위를 파악하여 표토를 제거한 결과, 유실된 당간지주가 원래 위치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지점에 큰 석재를 좌우에 세로로 눕혀 배치한 양상이 확인되었다. 이 두 석재 사이 공간은 현재 남아있는 당간지주의 동-서 너비인 75㎝와 일치하여 당간지주석을

(4)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잔존하는 당간지주 동쪽 편에 붙 어서 확인된 석재는 당간 하부를 고정시키기 위해 놓은 간대석(竿臺石) 받침대 역할도 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트렌치 내 표토 아래에서 기 와를 잔편으로 넣은 다짐층이 당간지주 주변에 원형으로 넓게 확인되었 는데 당간지주를 설치하고 하부 주변을 다짐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2001년 조사된 바 있는 고령 지산동 당간지주(경북과학대학 박물관) 발굴 조사에서 받침 석재를 가로로 눕혀 쌓고, 주변 다짐토가 확인되지 않았 던 것과는 다른 양상이다.

당간지주 남쪽은 당간지주가 세워질 당시 지상으로 노출되지 않았던 부분의 50㎝ 정도가 현재 드러나 있었기 때문에 구조물이 유실되었으나, 당간지주 북쪽으로 2.5m 범위에 편평한 돌을 놓았다. 두 개의 당간지주 북쪽 가운데에는 직경 1.2m 정도의 넓고 편평한 면을 가진 큰 돌을 놓았 고 주변에 직경 20~30㎝ 크기의 편평한 돌을 맞추어 놓았다. 부석의 上 面에서 당간지주석이 세워진 바닥까지 깊이는 160㎝정도이다. 동-서방향 의 범위는 조사범위 내에서 확인되지 않았다. 고령 지산동 당간지주의 조사 결과 당간 지주 사방에 부석을 한 점으로 볼 때 전만덕사지 당간지 주에도 사방에 부석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만덕사지 당간지주는 당간지주석을 세우기 위해 깊은 구덩이 를 파고, 구덩이 안에 당간지주를 세운 후 좌우에 큰 돌을 넣어 고정하 고, 주위에 돌을 채운 후 그 위에 기와 파편을 넣은 흙을 다짐하고, 그 위에 부석을 하여 上面을 조성하였다. 당간지주의 북쪽 남-북방향의 탐색 트렌치에서 굴광선이 확인되었는데, 조사 범위가 협소하여 굴광의 평면 적인 양상은 확인할 수 없었다.

당간지주석은 지상에 드러난 부분(높이 3m 정도)을 정교하게 다듬었 다. 南면과 北면은 전체적으로 편평하고 균일하게 다듬었다. 西면은 가운 데에 종방향으로 기준 축을 설정(돌출된 형태로 남아 있음)하고, 그 축을 중심으로 양쪽을 치석하였다. 東면은 양쪽 가장자리에서 10㎝ 정도는 치 밀하게 다듬어졌으나 내측은 거칠게 남아있는데, 거친부분이 당간의 둘 레로 추정된다. 東면 최상단에 둥근 홈이 파여져 있는데, 이는 당간이 걸 쳐지게 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2.

출토 유물

탐색 트렌치 내부 및 부석 사이에서 10세기 후반 고려초로 추정되는 해무리굽 청자 편과 상감청자 편 · 기와 편, 철기 편 등이 출토되었는데,

(5)

잔존상태는 매우 불량하다.

3.

학술자문위원회 개최 결과

조사내용과 향후 복원시 반영해야 할 내용을 자문받기위해 2014년 6 월 13일 학술자문회의를 개최하였다. 학술자문회의에서 당간지주가 발굴 조사된 사례가 적으므로 최대한 기록을 남기도록 하고, 공반유물에 의한 편년과 불교미술적 자문도 함께 보고서에 수록되면 바람직하겠다는 의견 이 제시되었다. 복원 및 정비 방향에 대해서는 발굴조사된 결과를 참고 하여 현재 남아 있는 당간지주와 같은 석재를 사용하고 치석 방법 등에 대한 전문가 고증회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Ⅴ. 맺음말

-조사성과-

1. 금번 조사로 당간지주를 세우기 위한 하부시설이 조사되어 현재의 당 간지주 위치가 처음 설치된 위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만덕사지 당간지주는 당간지주석을 세우기 위해 깊은 구덩이를 파고, 구덩이 안에 당간지주를 세운 후 좌우에 큰 돌을 넣어 고정하고, 주위에 돌을 채운 후 그 위에 기와 파편을 넣은 흙을 다짐하고, 그 위에 부석을 하여 上面을 조성하는 등 당간을 조성한 정보를 확인하였다.

3. 당간 설치 시기는 해무리굽 청자완이 출토되는 것으로 보아 건립시기 가 10세기 후반 고려초로 추정되며, 따라서 전만덕사지 가람 창건시기가 고려초임을 확인하였다.

4. 당간에 대한 조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금번 당간지주 조사 를 통해 당간지주석을 설치하기 위한 하부구조를 확보함으로써 향후 당 간지주 연구에 주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6)

도면 1. 주변유적분포도(S=1/5,000)

(7)

도면 2. 발굴조사 범위 표시도(S=1/200)

(8)

만덕사지 당간지주

발굴조사 약식보고서

- 사진 -

(9)

사진 1. 조사 전 전경

사진 2. 조사 전경

(10)

사진 3. 조사 후 전경

사진 4. 북쪽 노출 부분

(11)

사진 5. 굴광선 확인 부분

석재 1

석재 2

당간지주석 유실부분

사진 11. 당간지주 하부구조 전경

(12)

사진 12. 서쪽 지주석 사진 13. 동쪽 지주석

사진 14. 하부구조 북쪽 사진 15. 하부구조 남쪽

사진 15. 남쪽 토층

사진 16. 북쪽 토층

(13)

사진 6. 당간지주석 北면 사진 7. 당간지주석 西면 사진 8. 당간지주석 東면

사진 9. 당간지주석 東면 최상단 사진10. 정면된 부분 상세

사진 17. 학술자문회의 개최

정면된 부분

Referensi

Dokumen terkait

背景與生活樣貌 市面上出現了許多懷孕的衛教知識網站 ☞衛福部孕產婦關懷網站、媽媽寶寶懷孕生活網... 執行策略 呱呱樂

Core i5-8250U, Ryzen5 3500U メインメモリー 8GB 以上 16GB 以上 内蔵ディスク容量 240GB 以上 SSD 512GB 以上 無線 LAN IEEE 802.11a/b/g/n 対応外付けでも 可 IEEE 802.11a/b/g/n/ac 以上対応内蔵 モニター解像度 1600×900 以上 1920×10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