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리학과 학사 학위 졸업 논문 규정 �
1. 물리학 이학사 졸업 논문은 졸업대상자 논문 지도 교수의 지도하에 자신이 스스로 연구 하고 개발한 내용을 기반으로 본인의 문장으로 작성한 논문을 원칙으로 한다.
2. 다만 학과 내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한 프로젝트나 데모 키트 제작, 창작 활동, 대외 입상 작품 제출 등에 참여하여 결과를 확보한 경우에는, 이에 대해 담당 지도 교수의 지도하 에 자기 스스로 작성한 보고서를 졸업논문 양식과 제출 일정에 맞추어 제출하여 졸업 논 문을 대신할 수 있다.
3. 모든 졸업논문이나 보고서는 중복성 검사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중복성이 10% 이상을 넘을 경우에는 합격될 수 없다.
4. 졸업예정자는 졸업하기 2학기 전 학기의 시작 후 한 달 이내 또는 그 이전에 논문지도
교수와 논문 테마를 정한 후, 논문신청서를 학과 사무실에 제출해야 한다.
※ 2월 졸업예정자는 졸업 1년 전 봄학기의 3월 31일 이전, 8월 졸업예정자는 졸업 1년 전 가을학기의 9월 30일 이전
5. 졸업논문 연구 수행 (또는 대체 활동) 진도 보고로 발전보고서를 매 1~2개월 마다 논
문지도 교수에게 정기적으로 제출하고, 이에 따른 확인 지도 교수의 사인을 받아야 한 다. 정기적인 진도 보고는 총 4회 이상 해야 하고, 이에 따른 지도 교수 사인이 된 발전 보고서를 학과사무실에 제출해야 한다.
6. 학과 차원에서 매 학기 말 무렵에 졸업논문 발표회를 개최하고, 졸업예정자는 본인의 졸업논문 결과(또는 대체 활동 보고 자료)를 이 발표회에서 발표하여야 한다.
7. 졸업논문 심사는 학과에서 정한 “4학년 졸업논문지도 교과” 담당 교수를 포함한 논문심
의위원회에서 중복성 검사를 포함한 논문 수준을 심사하여 합격 여부를 결정한다.
� 물리학과 학사 학위논문 작성 서식 �
1. 학위논문은 한국어로 작성함을 원칙으로 하나 지도교수의 승인에 따라 영어로 작성할 수 있다.
2. 논문양식
- 표지와 관련한 사항은 아래의 규정서식을 따른다.
- 내용 편집과 관련하여 본 안내서에 따른 지침 이외에는 특별한 규정은 없으므로, 본 안내 서에 따라 지도교수의 지도를 받아 작성한다.
3. 최종 제출 형태
학위논문을 작성 완료한 후, 결과보고서를 맨 앞장으로 하여 날크맆 또는 집게 등 으로 편철하여 학 과 사무실로 제출하고 ( 링바인더 , 비닐커버 , 스템플러 절대 사용 금지 ),
논문 원본 워드 파일과 pdf로 변환된 논문 파일도 같이 학과 사무실에 제출한다 (지도교수 사인이 들어간 페이지도 pdf로 포함하면 좋으나, 어려울 경우에는 지도교수 사인이 들어간 페이지만 별도로 스캔 또는 사진 파일로 같이 제출 가능함.).
가. 판종 : A4용지 규격
나. 표지 색깔 및 활자 : 표지는 백색, 활자는 검정색으로 하고 인하로고를 삽입한다.
최종 pdf 논문 파일은 학과 게시판에 공지하여 차후 후배들도 참고할 수 있도록 게시할 예정임.
표 지
속 표 지
다음 2행 이외는 표지와 같음
16 pt
지도교수 ○ ○ ○ (인) 10~15 ㎜
이 논문을 이학학사 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25 ㎜
인 정 서
70 ㎜
이 논문을 ○ ○ ○의 이학학사 학위논문으로 인정함.
15~2 5㎜
년 월 일
논문사정위원장 (인) 논문사정위원 (인) 논문사정위원 (인)
논문사정위원 (인) 30~40㎜
70~80 ㎜
이학학사학위 논문
국문논문제목이 조금 길면 2 줄로 기재가 될 수 있으므로 이 에 따른 예시임
A long English title will be written in two sentences
which may look like this
2019. 4.
홍길동
인하대학교 물리학과
이학학사학위 논문
국문논문제목이 조금 길면 2 줄로 기재가 될 수 있으므로 이 에 따른 예시임
A long English title will be written in two sentences
which may look like this
2019. 4.
홍길동
인하대학교 물리학과
지도교수 : ____________ (인) 논문을 이학학사 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이 논문을 ○ ○ ○의 이학학사 학위논문으로 인정함.
년 월 일
논문사정위원장 (인)
논문사정위원 (인)
논문사정위원 (인)
논문사정위원 (인)
초 록
초록 내용은 바탕체 12로 작성
대체적으로 초록은 100 단어 이내의 분량으로 본 프로젝트에서 수행한 연구 내용과 주된 추진 방법, 확보한 주요 연구 결과 및 중요성 등을 포함하는 핵심 요약 위주로 작성.
목 차
제 1 장 서론 제 2 장
2-1.
2-2.
제 3 장 3-1.
3-2.
제 _ 장 결론
부록 1.
부록 2.
참고문헌
제 1 장 서론
본문은 바탕체 12로 작성
- 추진하려는 연구가 어떤 학구적 또는 기술적인 문제에 대한 답을 제시하려고 하는지?
- 왜 그것이 중요한지?
-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련된 기존의 다른 연구 활동들은 어떤 것들이 있었는지?
기존 다른 연구 결과의 문제점은 무엇인지? 아니면 해결하지 못한 점이 무엇인지? (참 고 논문 제시)
- 추진하려는 연구가 기존 접근 방식과의 차별성이나 우수성은 무엇인지?
- 구체적으로 어떤 차별화된 접근 방식으로 무엇을 규명하거나 개발하려고 하는지를 간단 히 소개
- 본 논문 (또는 보고서)의 다음 절 들에서 어떤 내용으로 작성해 가는지에 대한 소개
•전체적으로는 1~4정도의 문단 (paragraphs) 정도의 분량이 적절함.
제 2 장 이론 (및/혹은 실험)
- 이론적 분석 / 실험 셋업 및 실험 방법, 절차 기술
- 책이나 다른 논문의 이론을 단순히 베껴 쓰는 것이 아니라 실제 계산이나 실험 결과를 분 석하는데 필요한 이론과 서론에서 제시한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필요한 이론으로 작성해 야 한다.
- 실험의 경우에는 실험 방법 및 절차를 기술하는데, 실제 실험 사용된 기기들과 셋팅 상 태, 측정 절차, 데이터 형식 및 분석 방법 등에 대해서 자세히 기술하고, 다른 사람이 똑 같이 이 실험을 재현했을 때 같은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작성해야 함.
2.1 단위 표시
논문 내용에서나 그림, 표 작업 시 단위 표시는 국제단위계(SI)에 따라야 함. 아래 몇 가지 예시를 따라 작성해야 함.
- 단위의 기호 (로마체, 직립체): kg, s, K, Pa, ...
- 양을 나타내는 기호 (이텔릭체, 사체): m(질량), t(시간), ...
- 수치와 단위기호 사이는 한 칸 띄움: 20 mm, 32 °C, ...
[예외] 도(°), 분(‘). 초(“) : 25°23’28”
- 그래프에 축 제목을 표기할 때에는 변수와 단위 사이는 한 칸 띄우고, 단위는 [ ]으로 묶 음: t [s], Temperature [°C]
[arb. units] : (O), [arbitary unit], [a. u.] : (X)
2.2 그림 및 그래프
그림이나 그래프에 표기된 글자의 크기는 충분히 크게 하여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해야 함.
- 한 그림 번호 내에 작은 그림이 2개 이상 포함된 경우, 각 그림에서 사용되는 문자, 숫
자, 기호 등의 축소된 크기는 동일하게 통일하여야 함.
- 그림의 해상도도 충분히 선명하도록 해야 하고, 다른 문서나 자료에서 따온 그림이나 그 래프 인 경우에는 출처를 분명히 밝혀야 함.
- 그림에는 아래에 그림 캡션(설명)이 들어 가야 하고, 표에는 표 제목이 들어 가야 함 - 그래프의 경우에는 각 축이 나타내는 물리량과 단위를 기재하여 함.
- 사용된 그림과 그래프, 표에 대해서는 본문에 설명이 항상 같이 있어야 함. 본문에 설명 이 없는 그림과 그래프, 표가 있어서는 안됨.
- 그래프에 여러 선들이 있는 경우에는 실선, 점선, 대쉬선, 굵은 선, 가는 선, 색깔 선으로 구분하여 그린다. 특히 색깔이 다른 선들은 흑백으로 복사할 경우에 구분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실선, 점선, 대쉬선, 굵은 선, 가는 선으로 구분하여 그리는 것이 바람직 함.
제 _ 장 결과 및 분석
- 이론 계산 및 실험 결과 소개와 분석, 논의 기술
- 그래프 등으로 결과를 설명하고 측정된 데이터의 오차 분석 등을 논의
- 이론 연구의 경우에는 계산 결과를 실험 연구의 경우에는 측정된 실험 결과를 표나 그래 프로 작성이 되어야 한다. 동일 조건에서도 가능한 많은 데이터가 확보되어 평균값과 표 준편차를 구해서 이 표준편차 내에서 항상 재현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 고 확보된 데이터들의 평균값 들을 위주로 그래프를 그리되, 표준편차는 각 평균치에서 의 에러바 (error bar)로 표시하여 그리도록 해야 한다. 그래프를 그릴 때에도 각 x축 과 y축에도 단위를 표시해야 하며, 각 표와 그래프에는 자체적인 제목을 달아야 한다.
한 그래프에 여러 개의 곡선이나 직선이 그려질 때에는 다른 모양의 부호와 실선, 점선, 대쉬선 등으로 구분이 되게 그려야 하며, 점들을 연결하는 곡선이나 직선은 최소제곱법 (Least sqaure curve fitting)을 이용하여 그리도록 한다. 최근에 많은 그래픽 소프 트웨어에서는 데이터를 피팅하는 curve fitting 기능이 자체적으로 내장되어 있는 경 우도 있어 이 피팅 기능을 이용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이론에서 제시하는 곡선의 경 향에 잘 맞는 피팅 함수를 이용하여야 한다.
- 오차 분석 (계산이나 실험에서 얻어지는 결과에 대해서는 항상 오차에 대한 검토가 있어 야 하며, 수치적인 데이터가 얻어질 때에는 “오차 분석” 방법에 따른 오차 검토를 수행 해야 한다.)
제 _ 장 결론
- 본 논문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며, 단순히 본문의 내용을 복사하는 것이 아니라, 서론에
서 언급한 해결하고자 한 문제점에 대해서 수행한 주요 연구 내용 및 방법, 결과 들을 종 합적으로 짧게 요약 정리하여 무엇이 어떤 조건에서 수행되었으며 어떤 중요한 결과가 얻어졌는지? 또 그 중요성은 무엇인지? 성공적인 결과인지 아니면 실패한 결과인지?
그리고 그 원인은 무엇이었는지를 설명하는 내용으로 작성하여 본 결론만으로도 본 실 험의 결과가 충분히 잘 파악이 되도록 정리를 한다.
- 연구 결과의 활용 방안 또는 향후 발전 방향 등에 대한 제시
참고문헌
1. 모든 참고문헌은 한 개의 번호 당 1개의 참고 문헌을 기록한다.
2. 저널: 저자명, 저자명, 저자명, 저널명, 권, 페이지 (년도).
- 학술지 이름은 반도시 통용되는 약자를 사용한다.
3. DOI 번호가 있는 논문은 DOI 번호를 함께 작성한다.
4. 단행본 (책) : 저자명, 저자명, 책이름 (출판사, 도서명, 연도), p. xx.
5. Proceedings, 학술대회 초록집, 보고서, 학위논문 등은 아래 예시를 참고로 하여 작성 한다.
6. 웹사이트를 인용하는 경우에도 아래 예시를 참고로 하여 작성한다.
[1] J. Shin and J. Choi, New Phys.: Sae Mulli 65, 1103 (2015).
http://dx.doi.org/10.3938/NPSM.65.1103
[2] I. H. Lee, Y. H. Kim, Y. J. Chang, J. H. Shin and S. Y. Jang et al., J. Korean Phys. Soc.
66, 61 (2015). http://dx.doi.org/10.3938/JKPS.66.61 [3] H. K. Kim, Sae Mulli 29, 111 (1989).
[4] C.-H. Lee and H.-S. Cho, New Phys.: Sae Mulli 62, 781 (2012).
http://dx.doi.org/10.3938/NPSM.62.781
[5] G. D. Hong, C. S. Kim, D. H. Lee, M. K. Park and M. R. Choi et al., J. Korean Phys. Soc.
29, 111 (1989).
[6] S. J. Putterman, Superuid Hydrodynamics (North-Holland, Amsterdam, 1974), Chap. 1.
[7] D. K. Edwards, in Proceedings of the 1972 Heat Transfer and Fluid Mechanics Institute, edited by R. B. Landis and G. J. Hordemann (Stanford, Calif., 1972), p. 71.
[8] R. T. Swan and C. M. Pitman, Saclay Report No. CEA-R 3147, 1957.
[9] J. B. Danda, Ph.D. thesis, Harvard University, 1965.
[10] New Physics: Sae Mulli homepage, http://www.npsm-kps.org (accessed Jan., 15,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