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미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미주"

Copied!
4
0
0

Teks penuh

(1)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9-3호 2019.1.21

17

미주

▣美 셧다운 장기화, 에너지 부문 정책 및 프로그램 추진에 차질 유발

¡ 美 연방정부의 셧다운(Shut Down, 일시적 업무정지) 장기화로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의 에너지 지배(American Energy Dominance)’ 구상 실현을 위한 에너지 부문 정책과 프로그램 시행에 차질이 발생함.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에너지 지배’라는 슬로건을 내세우고(2017.6월), 미국 내에서 화석 연료를 비롯한 에너지원의 생산을 증대시켜 미국의 경제성장과 고용창출을 도모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음.

‒ 미국의 셧다운 사태는 트럼프 대통령이 요구한 미국・멕시코 국경장벽 예산을 둘러싼 정치권 갈등으로 2019 회계연도 예산의 25%에 해당하는 예산안 처리가 불발됨에 따라, 2018년 12월 22일 시작되어 현재(2019.1.14)까지 지속되고 있음.

‒ 이에 따라, ▲미 해양에너지관리국(BOEM)의 해상광구 분양 계획, ▲에탄올 의무혼합비율 15% 확대(E15) 시행, ▲해상풍력발전단지 건설 프로젝트 추진 등에서 차질이 빚어지고 있음.

¡ (석유・가스 부문) 美 내무부(DOI) 산하 해양에너지관리국이 주관하고 있는 2019~2024년

‘미 외변대륙붕 석유・가스광구 분양 프로그램(National Outer Continental Shelf Oil and Gas Leasing Program)’의 대규모 해상광구 분양(lease sale) 계획 발표에 차질이 발생함.

‒ 당초 2019년 1월 중순 발표 예정이었던 대규모 해상광구 분양 계획은 미 연방정부의 셧다운 사태로 미 내무부를 포함한 9개의 연방정부기관들이 업무를 일시 중단하면서 지연되고 있음.

DOI의 Ryan Zinke 장관이 지난 9일 사임하면서 David Bernhardt 부장관이 장관대행직을 수행하고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아직 후임 장관을 임명하지 않은 상황에서 미국의 대규모 해상광구 분양이 지연될 것으로 우려됨.

‒ BOEM은 DOI의 홈페이지에서 비상대책에 관련된 허가업무, 행정서비스, 긴급대응 등을 관리

하기 위해 총 558명의 직원 중 84명이 지원업무를 지속하고 있다고 전하였음.

・ 신규 탐사・개발계획에 대한 검토 절차는 진행할 수 없으나, 안전환경집행국(Bureau of Safety and Environmental Enforcement)에 의해 수행되는 기존의 허가 관련 검토 및 수정 등의 업무는 동일하게 진행해나갈 것이라고 밝혔음.

‒ 한편, 2017~2022년 ‘미 외변대륙붕 석유・가스광구 분양 프로그램(National Outer Continental Shelf Oil and Gas Leasing Program)’에 근거하여 올해 3월 실시될 제4차 해상광구 분양인

‘미 멕시코 만 252 광구 분양(Gulf of Mexico Region-wide Planning Area Oil and Gas Lease Sale 252)’은 예정대로 추진될 것으로 전해지고 있음.

(2)

18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9-3호 2019.1.21

¡ (해상풍력 부문) 미 해양에너지관리국은 1월 21일 주까지 셧다운 사태가 지속될 경우, 미국의

대규모 해상풍력단지 건설 프로젝트인 Vineyard Wind의 환경영향평가보고서 초안(draft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 DEIS)과 관련된 공청회가 연기될 수 있다고 전함(2019.1.11).

‒ 미국의 Avangrid Renewables社와 덴마크의 Copenhagen Infrastructure Partners(CIP)社는 당초 1월 8~17일 기간 중 5번의 공청회를 실시하여 Vineyard Wind 프로젝트의 환경영향평가 보고서 초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었음.

・ 1월 8일과 9일로 예정되어 있던 공청회는 실시하지 못하였으며, 셧다운 사태가 지속되면서

15일과 16일로 예정된 추가 공청회 일정 또한 연기되었음.

Avangrid Renewables社와 CIP社는 2019년 미 매사추세츠 洲 남부해안의 마사즈비녀드 섬 (Martha’s Vineyard Island) 인근에 800MW 규모의 해상풍력단지인 Vineyard Wind 프로젝트 건설에 착수할 계획임.

‒ BOEM은 온라인에서 Vineyard Wind 프로젝트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는 있으나, 향후 공청회 일정에 대해서는 명확한 의견을 전달하지 않으며, 현재 셧다운 사태가 同 프로젝트의 진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는 불투명한 상황이라고 판단하고 있음.

・ 또한, BOEM은 지난 4월 미 대서양 해역에 해상풍력단지 건설을 위한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으며, 이번 연방정부의 일시적 업무중단이 미래 해상풍력단지 분양 계획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

¡ (바이오연료 부문) 미국 바이오연료 업계는 이번 셧다운으로 미 환경보호청(EPA)이 에탄올

의무혼합비율 15% 확대(E15) 시행을 연기할 수도 있다는 우려를 표명함.

‒ EPA는 2019년 2월까지 E15 규제 개정안을 발표하고 6월 시행할 예정이었으나, 최근 장기화한 셧다운 사태로 일정이 지연될 것으로 전망됨.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재생연료 의무혼합제도(Renewable Fuel Standard, RFS)에 따른 에탄올 의무혼합비율을 기존의 10% 수준에서 최대 15%까지 높이고, 적용기간도 연중 8개월 에서 12개월까지 확대해나가겠다고 밝혔음(2018.4.12).

‒ 미 재생에너지협회(Renewable Fuels Association, RFA)는 E15 규제에 대한 EPA의 재량권은 거의 없다고 판단하며, 셧다운으로 인해 E15 규제 개정에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음.

(Platts, 2019.1.2; OilPrice, 2019.1.3; Reuters, 2019.1.5; GeentechMedia, 2019.1.11)

▣美 EIA, ’19년 재생에너지・천연가스를 중심으로 유틸리티 규모 발전용량 증가 전망

¡ 美 에너지정보청(EIA)이 2019년 미국의 유틸리티 규모 신규 발전설비용량이 풍력, 천연가스 및 태양광을 중심으로 23.7GW 증가할 것으로 전망함에 따라, 미국의 총 발전설비용량은 1,192GW(2018.10월 기준)에서 2019년에는 약 1,215GW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2019.1.10).

‒ EIA는 2019년 미국 내 신규 건설되는 유틸리티 규모의 발전설비용량 중 풍력이 46%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그 뒤를 천연가스가 34%, 태양광이 18%를 차지할 것이라고 전함.

(3)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9-3호 2019.1.21

19

(풍력) 총 10.9GW 규모의 풍력발전설비가 2019년 가동을 목표로 건설되고 있으며, 대부분이

올 연말쯤 가동을 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됨.

・ 2019년 신규로 건설될 계획인 풍력발전설비 중 절반 이상이 텍사스, 아이오와 및 일리노이

州에 위치하고 있음.

(천연가스) 2019년 신규 건설 예정인 가스화력발전 설비용량은 주로 가스복합(6.1GW)과 내연력

(1.4GW) 발전소이며, 대부분 2019년 6월 가동을 개시하여 올해 하절기 전력수요에 대비할

것으로 전망됨.

・ 올해 신규 가스화력발전 설비용량의 60% 이상이 펜실베이니아, 플로리다 및 루이지애나 州에 밀집되어 있음.

(태양광) 유틸리티 규모의 태양광발전 설비용량(4.3GW) 중 절반이 텍사스, 캘리포니아 및 노스캐롤라이나 州에 위치하고 있음.

EIA는 추가로 소규모 태양광발전 설비용량(3.9GW)이 2019년 말 가동 개시할 것으로 전망함.

자료 : EIA’s Today in Energy(2019.1.10)

< 2019년 미국의 전원별 증설・폐지 발전설비용량 전망 >

(단위 : GW)

¡ 한편, EIA는 2019년 석탄, 천연가스, 원자력을 중심으로 8GW 규모의 유틸리티급 발전설비용량이 폐지될 것으로 전망함.

‒ 2019년 폐지될 전망인 총 8GW 규모의 설비용량 중 석탄이 5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천연가스 27%, 원자력 18% 그리고 워싱턴州에 위치한 수력발전소와 소규모 재생에너지 및 유류발전설비가 나머지 2%를 차지할 것이라고 전함.

(석탄) 4.5GW 규모의 석탄화력 설비용량 중 대부분이 2019년 말에 폐지될 것으로 전망됨.

・ 1970년대에 가동 개시한 애리조나州의 나바호 발전소(Navajo Generating Station)의 설비용량은 2.3GW로, 2019년 폐지될 총 석탄화력 설비용량의 절반을 차지함.

(천연가스) 올해 폐지될 전망인 2.2GW 규모의 가스화력 설비용량 중 대부분(2.0GW)이 기력발전소로,

1950~1960년대에 가동을 개시하여 설비 노후화가 심한 상태임.

(4)

20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9-3호 2019.1.21

・ 폐지되는 기력발전 설비용량(2.0GW) 중 1.6GW의 설비용량이 캘리포니아州에 밀집해 있음.

(원자력) 총 1.5GW 규모의 두 개 원자력발전소가 2019년에 폐지될 전망임.

・ 1972년 상업운전을 시작한 매사추세츠州의 Pilgrim 원전(0.7GW)은 2019년 5월 폐지되며, 1978년 상업운전을 개시한 펜실베이니아州의 Three Mile Island 원전(0.8GW)은 2019년 9월 폐지될 예정임.

1979년 3월 28일 Three Mile Island 원전 2호기에서 발생한 노심용융(meltdown) 사고로 2호기는 폐쇄되고 1호기만 1985년 10월 가동이 재개되어 운영되어왔음.

(EIA’s Today in Energy, 2019.1.10)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