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미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미주"

Copied!
4
0
0

Teks penuh

(1)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38호 2017.11.13

33

미주

미 하원, 재생에너지・원자력 발전 부문의 세제 개편안 발의

 미 하원은 11월 2일 풍력산업에 대한 생산세액공제(Production Tax Credit, PTC)의 공제율을 낮추고 전기자동차 구매에 대한 세액공제제도를 폐지하는 반면, 원자력 산업에 대한 세액공제 적용 기한을 연장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세제 개편안을 발의하였음.

(풍력 부문) 기존의 풍력산업의 PTC 규모를 1/3 이상 줄여, 풍력발전설비에 대한 세액공제를

현행 1kWh당 2.3센트에서 1.5센트로 축소하기로 하는 세제 개편안을 발의함.

・ 한편, 미 의회는 풍력산업에 대한 PTC 혜택을 2017년부터 단계적으로 축소하여 2020년에 폐지하는 내용의 법안을 2015년 통과시킨 바 있는데, 2015년~16년 100%에서 2017년 80%, 2018년 60%, 2019년 40%로 점차 축소할 계획이었음(Annual Energy Outlook 2016).

(전기자동차 부분) 미국은 현재 전기자동차 구매 시 연방 정부와 州정부가 각각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는데, 이번에 발의된 세제 개편안은 연방 정부가 제공하는 소득세 감면 혜택을 종 료하겠다는 내용임.

・ 미 연방 정부는 자국 내 전기자동차 판매를 촉진하기 위해, 전기자동차 구매 시 장착된 배 터리 용량에 따라 최소 2,500달러(4kWh)에서 최대 7,500달러(16kWh)의 소득세 감면혜택(구 매 시 1회 한정)을 제공하고 있음.

・ 한편, 미국 주의회의원 전국회의(National Conference of State Legislatures, NCSL)에 따르면, 현재 최소 34개의 州와 워싱턴 D.C.가 Plug-in 하이브리드 자동차(PEVs) 소유자에 대해 인 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음.

(원자력 부분) 미국은 2005년 에너지정책법(Energy Policy Act of 2005)에 따라, 1993년 이후 승인 받은 특정 형태의 신형 원자로(advanced reactor)에서 생산된 전력 1kWh 당 1.8센트를 제공하는 PTC 제도를 2020년까지 시행할 계획이었는데, 적용 기한을 연장하고자 함.

‒ Kevin Brady 미 하원 세입위원회(House Ways and Means Committee) 위원장은, 세제 개편 안을 재검토한 후 11월 6일 위원회에서 표결에 부칠 예정이라고 밝힘.

 그러나 풍력에너지 업계는 풍력발전 부분의 신규투자를 확대하기 위해 2년 전 연장된 세제지 원제도를 축소・폐지하려는 이번 세제 개편안에 대해 크게 반발하고 있음.

‒ 미국 풍력발전협회(AWEA)의 Tom Kiernan 회장은, 이번에 발의된 세제 개편안은 미국 풍력 에너지 산업의 10만여 명의 근로자와 500여개 국내 기업이 더 이상 세제 혜택을 받지 못하게 만들고 민간 투자를 위축시킬 것이라고 지적함.

(Powermag, 2017.11.2; NEI, 2017.11.2)

(2)

34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38호 2017.11.13

미 내무부・환경보호청(EPA), 에너지부문의 규제 부담 완화를 위한 보고서 발표

 미 내무부(DOI)와 환경보호청(EPA)은, 미국 내 에너지 개발에 장애요인으로 작용하는 규제를 재검토하여 개정하도록 지시한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2017.3.28)에 따라, 현재 시행 중인 에너지부문의 규제에 따른 업계의 부담을 경감시켜주기 위해, 각 기관별 에너지 관련 규제 완 화 절차를 담은 보고서를 발표함(10월 25일).

‒ Ryan Zinke 내무부 장관은, 기존의 에너지부문 규제 준수에 따른 과도한 부담과 이에 소요되

는 비용이 국내 에너지 생산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규제 완화를 신속히 추진하기 위 한 위원회를 구성하도록 하는 장관령(secretarial order)에 서명하였다고 밝힘(2017.10.25).

‒ 내무부의 보고서에는 다음과 같은 6개의 에너지 관련 규제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음.

・ DOI의 장관령 3350호(secretarial order 3350)에는 외변대륙붕법 재검토 건이 담겨 있는데, 이는 대서양・태평양・알래스카 외변대륙붕 및 미 멕시코 만 연안에서 2019년~24년 중에 계획된

석유・가스 개발 프로젝트 시행에 필요한 연방 토지 임대를 염두에 둔 것으로 보임.

2016년 12월20일, 전임 오바마 행정부는 1953년 제정된 외변대륙붕법을 적용해 미국 북극해

대부분 지역과 미국 대서양지역의 상당 부분에서 해상시추를 영구적으로 금지하였음(인사이 트 제17-13호(4.17일자) p.41 참조).

・ DOI의 장관령 3349호에는 내무부 산하 토지관리국(Bureau of Land Management, BLM)의 수 압파쇄법 관련 규제 재검토 건이 담겨 있음. 이 규제들은 이미 州와 지역의 규제를 받고 있는 석유・가스 개발자에게 공유지 및 원주민 거주 지역에서의 수압파쇄법 실시에 따른 추 가 비용을 유발하여 자원 개발 투자활동을 저해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음.

BLM은 지난 7월 25일 수압파쇄법 관련 규제 폐지를 위한 제안서를 발표하였으며, 9월 25일

까지 의견 수렴을 거쳐 폐지 여부에 대한 최종결정을 내릴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음.

・ 이외에도 同 보고서에는 ▲장관령 3349호의 천연가스 배출 및 소각규제(Venting and Flaring Rule), ▲파이프라인과 송전선 등의 인프라 개발 프로젝트 관련 국가환경정책법(National Environmental Policy Act), ▲연방 토지 내 석유・가스 및 광물자원 개발에 대한 제도적 지 원, ▲장관령 3353호의 육・해상 프로젝트에 대한 과도한 멸종위기종보호법(Endangered Species Act) 적용 등의 재검토를 통한 규제 부담 완화 방안이 포함되어 있음.

 또한 Scott Pruitt 환경보호청장은, 불필요한 중복 규제를 완화함으로써 환경보호와 일자리 창 출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州 정부와 기업 등 관련 이해 당사자와 협력해 나 갈 것이라고 밝힘.

‒ EPA 보고서에는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에 제시된 에너지부문 규제에 대한 9가지 조치를 검토하고, 대기오염 허용한도치(National Ambient Air Quality Standards, NAAQS) 관련 규제 개정을 비롯한 4개의 계획안이 포함되어 있음.

(OGJ, 2017.10.26)

(3)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38호 2017.11.13

35

미 연방 에너지규제위원회(FERC), 5개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승인

 미 연방 에너지규제위원회(Federal Energy Regulatory Commission, FERC)는 지난 10월 중에

5개의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프로젝트를 승인함.

‒ 이들 5개 신규 프로젝트는 애팔래치아 산맥 북쪽에 위치한 Utica 및 Marcellus 셰일지대에서 생산되는 천연가스의 수송용량을 확대하기 위한 것임.

‒ FERC는 지난 2월 3일 Nornam C. Bay 위원의 사임 이후, 단 2명의 위원(Cheryl A. LaFleur, Colette D. Honorable)만 남게 되어 의사정족수(3명) 미달로 의사결정이 불가능한 ‘의결불능 (No-quorum)’ 상태가 되어, 가스 파이프라인 프로젝트에 대한 심의가 이루어질 수 없었음.

6월 30일에는 Honorable 위원이 임기 만료로 퇴임함에 따라 FERC에는 LaFleur 위원만 남게 되었고, 8월 4일 미 상원이 2명(Neil Chatterjee 와 Robert F. Powelson)의 신임 FERC 위원을 인준함에 따라 의사정족수를 충족시키게 되었음. 11월 2일 미 상원이 2명(Kevin McIntyre와 Richard Glick)의 신임 위원을 인준함으로써, 현재 FERC는 Neil Chatterjee(위원장) 등 5명의 위원으로 구성되어 있음.

프로젝트 수송용량

(Bcf/d) 연결 구간 및 길이

Mountain Valley

Pipeline 2 ·미 동부 웨스트버지니아~버지니아州

·303마일 Equitrans Expansion

Project 0.6 ·미 동부 펜실베이니아~웨스트버지니아州

·약 8마일(확장 프로젝트)

Supply Header Pipeline 1.5 ·미 동부 웨스트버지니아~펜실베이니아州

·33마일

Atlantic Coast Pipeline 1.5 ·웨스트버지니아~남동부 노스캐롤라이나州

·600마일, Eastern Shore 2017

Expansion Project 0.061 ·미 동부 펜실베이니아~델라웨어州

·약 40마일(확장 프로젝트) 자료 : EIA

< 10월 중 승인된 가스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

 한편, FERC에 승인을 요청하여 계류 중에 있는 신규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중 수송용량 기준 상위 8개 프로젝트의 총 수송용량은 약 20Bcf/d임.

FERC는 지난 2월3일부터 10월 24일까지 12개의 파이프라인 프로젝트에 대한 사전신청서 (pre-filing application)를 받았으며, 46개의 파이프라인 신규・확장 프로젝트(수송용량 총 40Bcf/d)가 신청서 제출을 준비 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짐.

‒ 8개의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중 텍사스, 루이지애나, 오클라호마州에 위치한 6개 프로젝트는

LNG 수출 프로젝트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며, 이 중 5개 파이프라인의 건설은 관련 LNG 수출 터미널의 승인과 연계될 것으로 보임.

(4)

36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7-38호 2017.11.13

프로젝트 수송용량

(Bcf/d) 연결 구간 및 길이

Rio Bravo Pipeline 4.5 ·Rio Grande LNG 시설과 연결

·137마일(텍사스州)

Driftwood Pipeline 4 ·Driftwood LNG 시설과 연결

·96 마일(루이지애나州) Port Arthur Pipeline

-Louisiana Connector 2 ·텍사스 주의 Port Arthur LNG 시설과 연결

·135마일(대부분 루이지애나州) Port Arthur Pipeline

-Texas Connector 2 ·텍사스 주의 Port Arthur LNG 시설과 연결

·34마일(대부분 텍사스州) Gator Express Pipeline 1.9

·Plaquemines LNG 시설, Tennessee Gas pipeline Texas Eastern Transmission pipeline과 연결

·27마일(루이지애나州) 자료 : EIA

< LNG 수출 터미널 승인과 연계된 5개 가스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

‒ 그밖에 오클라호마州의 Cheniere Midship Pipeline은 길이 199마일, 수송용량 1.4Bcf/d로,

Cheniere 수출 터미널과 연계되고 걸프 만 연안의 소비자에게 천연가스를 수송하기 위해 사용

될 예정임.

‒ 수송용량이 상대적으로 큰 Mountaineer XPress Pipeline(2.7Bcf/d)과 PennEast Pipeline(1Bcf/d) 은 미 북동부 지역에서 생산되는 천연가스의 수송용량을 확대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보임.

・ Mountaineer XPress Pipeline는 165마일로 웨스트버지니아州에 위치하고, PennEast Pipeline는

120마일로 펜실베이니아와 뉴저지州를 연결함.

(EIA, 2017.10.30; FERC, 2017.8.4)

Referensi

Dokumen terkait

싱가포르의 바이오산업 관련 지식기반 및 제도적 제반 인프라 ○ 바이오산업 특히 바이오메디컬 부문을 지원하기 위해 해외 기업 및 우 수인력을 유치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지식기반 인프라 지원정책 은 정보통신 및 인터넷, DB 차원의 인프라 구축, 기술이전체계 구축, 지적재산권 보호체계 구축 등 종합적인 인프라 패키지 지원

OGJ의 탄화수소 매장량 통계는 전년도 말까지 조사된 세계 각국의 석유 및 가스 매장 량과 생산량에 대한 객관적 자료를 토대로 매년 업데이 트하여 발표되고 있는데, “BP세계에너지통계”등에서 인용되는 등 권위를 인정받고 있다.. 천연가스 매장 량은 지난 10년 동안 완만한 증가추세로 이어져 오고

□ 이란, 3대 가스 프로젝트 '14년 완료 예상 ◦ National Iranian Gas Export CompanyNIGEC는 이란의 3대 가스 프로 젝트Iran LNG, Pars LNG 및 Persian LNG가 '14년까지 완료될 것으로 예상함.. - 세 번째 프로젝트는 Shell, Repsol 및 National

▶ 원유 생산량은 최근 완만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석유 소비량은 상대적 으로 빠른 증가세를 보여 석유 수입량 및 대외의존도가 증가하고 있음.. ▶ 천연가스 생산량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소비량이 이에 비해 더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천연가스 수입량이 급증하고

캐나다 천연가스 개발 및 프로젝트 현황 □ 캐나다 천연가스 개발 현황 ㅇ 캐나다 천연가스 생산량의 약 98%가 Alberta州, British ColumbiaB.C.州 등 서부지역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최근 미국 셰일가스 생산 증가로 가스 가격이 하락함에 따라 캐나다의 수출량과 생산량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 -

또한 지역 내 대학 및 연구소와 협력하여 기술연구 및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도록 해 신기술 기업 유치와 드론 안전사고 방지를 기대 배경 ◦캘거리市는 캐나다 내에서 석유 및 가스 산업이 가장 성장한 곳으로, 세계 유수의 석유 및 가스 관련 회사들의 본사와 지사들이 밀집해 있음 ∙ 이들 기업으로부터 드론을 이용한 연구를 수행하기

긍정적인 측면에서 셰일혁명은 국제 에너지 시장의 가스 및 석유 공급을 증대시킴으로써 동북아 국가들의 수급 차원의 절박성을 상당 부분 해소했으며, 기존 제로섬 게임의 경쟁적 수급 양상을 탈피할 가능성을 높였다.. 그러나 동시에 셰일혁명 이후 가스 및 석유 공급증가와 다변화 로 인해 동북아 국가들간의 에너지 협력의 절실성 역시

자료 : BMI < 파키스탄 천연가스 확인 매장량 및 수급 추이 > 단위 : Bcm ‒ 파키스탄 Shahid Khaqan Abbassi 석유천연자원부 장관은 LNG 수입을 통해 가스 부족 상황 을 신속하게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하며 LNG 수입을 원활히 진행할 수 있도록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함.. 또한 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