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률이나 판례와 같은 문서화된 법언어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17) 법정에서 행위 자들에 의해 말해지는 언어(court-talk)에 대해서는 치밀한 분석과 논의가 별로 없 었다. 더군다나 법정언어는 기록으로 남지 않기 때문에 결국 최종적인 법적 의사결정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Jury Project)에 관여하면서부터 시작된다.20) 가핑클은 동 연구에서 배심원들이 평의.
그러나 그러한 경향이 왜 그러한지에 대해서는 후속연구에서 명확한 결론이 나오지 않고 몇 가지 가설이 대립하고 있다.32). 마찬가지로 콘리와 콘리(Conley & Conley)는 법정에서 현출된 증거들을 배심원 들이 일상생활에서 활용되는 이야기체 서술(narrative)로 환원하여 재구성한다는 사 실을 밝혔다.41) 그들은 공판과정 중, 그리고 평의 중에 배심원들이 법정에서 충돌.
국민참여재판에서의 법정언어 분석
머리를 맞으면서 제가 벽에다 부딪쳤습니다. 국민참여재판에서는 배심원이 피고인 또는 증인에게 신문요청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48) 통상 배심원들이 서면으로 질문목록을 써오면 판사가 이를 대신 질문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일부 사건에서는 배심원들이 직접 증인에게 질문하도록 했었다. 피고인: 아까도 말씀드렸다시피, 휴대전화가 저한텐 없었습니다.= 제가 들고 있을 수가 없었습니다.
심지어 피고인에 대해서도 “∼하셨습니다”식의 존대어를 사용한다. 폴 드류(Paul Drew)는 법정에서 ‘말 순서 취하기(turn-taking)’가 고정되어 있다는 규칙이 강간 재판의 사례에서 피해자와 변호인의 상대방의 진술을 반박하는 방식 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보인 바 있다.51) 증인진술의 성격은 기본적으 로 방어적일 수밖에 없고, 법정에서의 말하기 규칙이 증인에게는 주어진 질문에 대한 수동적 답변만을 요구한다. 상식을 언어적 실천에 의해 어떤 방식으로 구성하고 유도해 나가는가에 따라 배 심원의 평가가 달라질 수 있다.52) 외국의 한 연구에서는 강간사건에서 여성의 설 명이 잘 받아들여지지 않고 종종 피고인이 무죄평결이 나는 이유를 가부장적 이데 올로기가 법정에서의 질문과 대답이라는 실천 속에서 작동하는 차원에서 설명하고 있다.53) 이 연구는 케네디 스미스 강간재판(Kennedy Smith Rape Trial)의 사례를 바탕으로 가부장적이고 남성중심적인 논리가 사건에서 여성의 경험이나 감정을 비 논리적인 것으로 보이게 하여 피고인을 무죄로 만드는 핵심적인 기제가 된다고 보 았다.
어머니도 말리려다가 이마와 목을 맞고 ((울먹거리며)). 밤새 저희 식구들은 잠도 못 자고 그러다가 아침에 조상님께 차례는 지내고 뿔뿔이 흩어졌습니다. 변호인: 피고인이 부모님에게 일 안 한다고 잔소리를 많이 듣고, 부모님은 이혼위 기여서 대구에서 생활하다가 대출 받고 돈도 떨어지고, 그 무렵 알게 된 모 씨와 어울리다가 절도를 하게 되었는데, 망만 보다가 일이 커졌고, 칼로 위협만 했죠.
하지만 설령 배심원 들이 법전문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맥락을 더 중시한다 할지라도 이를 윤리적 상대 주의나 감정적 판단의 근거로 이용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추정해 본다.54) 오히려 맥락을 보는 능력을 통해 배심원들은 일반인들에게 납득할 수 있는 상식상의 진실을 구성하는 것이고, 그 결과 재판의 진실은 보다 사회적 진실에 더 가까워질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우리 법원에서도 구술심리주의를 구현하고 소송관계인의 재판 만족도를 높이며 궁극적으로는 사법부의 신뢰를 증진시키는 데 법정언어와 비언어적 표현이 매우 중요하다는 인식을 하고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55) 재판진행의 공정성과 효율성을 담보하고 동시에 소송관계인의 만족을 이끌어내는 윈윈 전략은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더군다나 그것이 법정용 어의 순화, 판사의 친절한 언행, 이용자 편의의 소송진행 등만으로 달성될 수 있는 것도 아닐 것이다.
이러한 ‘치유적’ 측 면의 정의 개념은 우리의 대중문화에도 극명하게 나타난다.57) 사람들에게 중요한 것은 자신들의 현재 상황을 권위를 가진 자가 이해한다는 것을 보면서 심적인 위 안을 얻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 법정에 서는 변호사들은 자신들의 사건에 법이 어떻게 적용되고 판사가 재판을 통해 어떻게 집행하는지에 더 관심이 있을 것이다.58) 법정을 드나드는 법실무가들과 소송당사자들은 판사들 이 그들을 공정하고 예의바르게 다루는지, 재판진행을 효율적으로 하는지, 소송관 계인들의 말을 잘 들어주고 사안을 예단하지 않는지와 같은 것들이 매우 중요하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