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북미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북미"

Copied!
3
0
0

Teks penuh

(1)

38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1호 2016.1.8

북미

▣미, 원유수출 허가에도 단기적으로 수출 증가 가능성 난망

 2015년 12월에 미 의회에서 원유수출 금지가 해제되었음. 그러나 수입원유 대비 자국産 원유 의 가격경쟁력 부족, 수출 인프라 부족 문제로 단기적으로 수출이 급증하지 않을 전망임.

‒ 미 원유수출 금수가 해제되면서 Brent 가격 대비 자국産 원유 기준가격인 WTI 가격이 상승 함. 이로 인해 이전보다 아시아 및 유럽 정유기업에게 자국産 원유의 가격 경쟁력이 줄어들고 있음.

WTI가 Brent보다 낮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었으나 미 원유수출이 허가되면서 WTI-Brent 가 격이 12월 22일부터 역전되기 시작하였음. 1월 4일 현재 현물가격이 WTI $36.81/bbl, Brent

$36.28/bbl임(EIA).

‒ 현재 대서양 지역의 경질유 공급과잉 상태를 고려할 때 자국産 원유의 수출 여지가 제한적일 것으로 보임. 단기적으로는 캐나다, 멕시코 등에 한해서 수출이 이루어질 것임.

・ 미국은 2015년에 캐나다로 45만b/d의 원유를 수출하였는데 원유수출 허가로 향후 수출량은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멕시코와 원유스왑을 추진하면서 멕시코로의 경질유 수출이 증가할 것임.

‒ 또한, 수출 인프라 부족으로 단기적으로 수출을 증대시키기 어려움. 현 저유가 상황에서 수출 인프라 건설이 지체될 경우, 수출 증가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임.

・ 미국은 지난 40년간 원유수출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수출 인프라 대신 해안에서 내 륙지역으로 수입원유를 수송하기 위한 인프라가 발달하였음.

 한편, 자국産 원유수출이 세계 시장에 원유가격 하락요인으로 작용하여 추가적인 유가 하락을 가져올 수 있음. 이는 미 정유기업의 정제마진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미 정유산업에 단기 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은 적을 것으로 예상됨.

(Wall Street Journal, 2015.12.31)

▣미, 원유수출 허가로 자국産 대비 서아프리카産 경질원유 가격 경쟁력 증가

 미 원유수출 허가로 Brent 가격대비 WTI 가격이 증가하고 있음. 이로 인해 미 정유기업에게 자국産 경질원유 대비 나이지리아, 앙골라 등 서아프리카産 경질원유의 가격 경쟁력이 상대적 으로 증가하고 있음.

‒ 과거 미 동부 및 멕시코만 지역의 정유기업은 WTI-Brent 간 가격차이가 축소되었을 경우, 나 이지리아, 앙골라 등 서아프리카産 원유 수입을 증가시킨 바 있음.

(2)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1호 2016.1.8

39

・ 2015년 11월에 나이지리아 원유 가격이 10년래 최저를 기록하고, WTI-Brent 가격차이가 줄

어들면서 미국은 서아프리카産 원유 수입을 10만b/d 가량 증가시켰음.

‒ 그러나 미국産 원유가 수출되면서 세계 원유시장에서 서아프리카産 원유의 입지가 약화될 것 이라는 견해도 있음.

・ 남미지역에서 미국産 원유와 나이지리아産 원유가 경쟁할 것으로 예상됨. WTI-Brent 가격 중 WTI 가격이 더 하락한다면, 남미지역 국가들은 나이지리아産 원유보다 미국産 원유 수 입을 더 증가시킬 것임.

 원유수출 금수조치가 해제된 이후 2015년 12월 31일에 미국産 원유가 처음으로 수출되었음. 무역회사 Vitol그룹이 ConocoPhillips로부터 사들인 60만 배럴의 원유가 텍사스州 Corpus

Christi에 위치한 수출터미널에서 이태리로 수출되었음.

(Wall Street Journal, 2015.12.31; Bloomberg, 2016.1.1)

▣미 정부, 이란 미사일 발사실험에 대한 對이란 신규 제재 발표 연기

 오바마 정부는 이란의 탄도 미사일 시험 발사에 대해 신규 제재를 시행할 계획이었음. 그러나 이에 대해 이란이 거세게 항의하자 미 국무부(Department of State)를 통해 신규 제재 시행이 무기한 연기되었다고 발표함.

‒ 미국은 이란의 탄도미사일 시험 발사에 대해 미사일 개발 관련 기업과 개인에 대해 사업거래 금지와 자산동결 등의 제재를 준비 중이었음.

・ 2015년 10월 이란의 장거리 유도미사일 '에마드' 발사가 안보리 결의 1929호에 대한 위반으

로 결론 났음에도 불구하고 이란이 2015년 11월 중거리 탄도 미사일 '가드로-110'의 발사 실험을 강행하면서 미국이 신규 제재를 준비하기 시작하였음.

‒ 미국의 신규제재 준비에 대해 Hassan Rouhani 이란 대통령은 ‘핵합의 위반이고, 불법적인 내

정 간섭’이라며 미국을 맹렬히 비난했음.

・ 또한, 이란 대통령은 자국의 국방부 장관에게 미사일 프로그램을 확대할 것을 지시하였고, 이란 혁명수비대(Revolutionary Guards) 2인자인 Hossein Salami는 ‘미국이 이스라엘을 지원 하는 한 이란은 미사일 프로그램을 계속 확장할 것’이라고 주장함.

‒ 미 공화당 및 민주당 의원 모두 미국이 이란의 미사일 프로그램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않는다 면, 이란은 핵협상의 제한사항을 무시하는 것을 당연히 여기게 될 것이라고 경고함.

‒ 오바마 정부는 의회에 이란의 탄도 미사일 실험 발사로 새로운 제재를 준비 중이라고 국가안 보위원회 고위관리를 통해 전달했음(2016년 1월 6일).

・ 그러나 이란의 항의가 거세어지자 이튿날 국무부 정례 브리핑에서 대변인을 통해 타 부서 간 협의를 진행 중이며, 제재를 무기한 연기한다고 발표하였음.

 현재까지 미국, 유럽, UN의 제재가 효력을 유지하고 있고, 이행일(Implementation Day)전까지

(3)

40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6-1호 2016.1.8

몇 가지 무역금수 품목을 제외하고 이란 기업과의 무역이 금지되어 있음.

‒ 이행일이 언제인지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알려진 바가 없음. 미 정부 고위직 관계자는 1월 중 시행될 수 있지만, 이란의 미사일 실험 발사로 인해 예정일이 계속 미뤄지고 있다고 언급함.

(The Hill, 2016.1.1; The Washington Free Beacon, 2016.1.5)

Referensi

Dokumen terkait

¡ UBS의 Giovanni Staunovo도 중국의 이란産 원유 수출이 완전히 중단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으며, 한국과 일본의 제재 준수, 그리고 결국에는 인도의 준수로 이란의 원유수출량이 100만b/d 밑으로 떨어질 것으로 내다보았음.31 ¡ 다른 전문가들은, 미・중 무역분쟁이 중국의 이란 제재 준수 여부를 더욱 복잡하게

‒ 베네수엘라 정부는 60억 달러에 상당하는 총 1억 페트로petro를 발행할 예정이며, 국제석유 시장에서의 자국産 원유 1배럴 가격을 토대로 최초 판매 단가를 1페트로 당 60달러* Orinoco 석유벨트에 있는 특정지역 원유 1배럴의 가치에 상당하는 금액로 책정하고, 사전 판매 기간 동안에는 일정액을 할인해 줄 것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