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불평등 연구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불평등 연구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Copied!
2
0
0

Teks penuh

(1)

직업능력개발과 불평등 연구

김철희·백원영·김문길·황승록·이주희·박라인

목 차

요 약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제2장 직업능력개발과 불평등 개념 및 현황 제1절 직업능력개발과 불평등 개념 및 선행연구 검토 제2절 직업능력개발과 불평등 현황 및 실태 제3절 소결

제3장 직업교육과 불평등 분석 제1절 개요

제2절 교육불평등과 노동시장에 관한 이론적 접근 제3절 직업교육 및 노동시장 이행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 제4절 교육단계 이행 및 노동시장 성과의 불평등 분석 제5절 소결

직업능력개발과 불평등에 대한 정의를 토대로 직업교육, 직업훈련 그리고 사회이동성 관점에서 직업능력개발에서의 불평등에 대한 실증분석을 하였으며, 직업능력개발의 불평등 해소를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가구․부모배경 특성이 전문계고 진학, 고등교육 이행에 영향을 미치며, 노동시장 성과에서는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일자리로의 이행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음을 보았다. 직업훈련 참여가 임금․소득불평등에 정(+)의 효과를 미치며, 소득분위가 낮을수록 직업훈련 참여가 임금․소득에 미치는 효과가 낮아 이들 계층에 대한 지원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직업계 졸업생들의 사회이동성에 대한 불평등 인식이 높아 사회․교육제도의 개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주제어: 직업능력개발, 직업교육, 임금불평등, 소득불평등, 사회이동성

제4장 직업훈련과 불평등 분석

제1절 직업훈련과 불평등 개요 및 선행연구 검토 제2절 직업훈련과 임금 및 소득불평등 분석 제3절 직업훈련 유형별 불평등 분석 제4절 소결

제5장 직업능력개발과 사회이동성 분석 제1절 개요

제2절 이론적 배경 제3절 선행연구 검토 제4절 분석결과 제5절 소결 제6장 결론

제1절 요약 제2절 제언

(2)

Ⅰ. 배경 및 목적

Ⅲ. 결론 및 정책 제언

Ⅱ. 주요 내용 및 결과

□ 디지털화, 자동화 등 급격한 기술변화는 국내외는 물론 경제사회 전 분야에서 큰 영향을 미침 코로나19는 우리 사회를 크게 변화시키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비대면 원격수업으로 인해 교육격차가 심화되고

있고, 가구, 부모 환경에 따른 학력 격차 더욱 확대

□ 불평등의 이론적·논리적 기반을 토대로 직업능력개발과 불평등의 관계를 규명하고, 직업훈련, 직업교육 그리고 사회이동성 관점에서 직업능력개발 불평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불평등 개선을 위한 직업능력개발의 기여, 직업능력개발의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 등 모색

□ 형평성을 고려한 직업능력개발 제도·정책 설계, 보편적 권리·복지로서의 직업능력개발 추진, 파트너십 형성을 통한 불평등 개선, 인재개발 인지 예산 편성 기준 마련 및 불평등 지표 개발

□ 직업교육의 질적 수월성 확보, 평생직업교육훈련 기반 강화, 직업훈련에서의 계층, 산업·직업별 분리 현상 완화, 선택과 집중을 통한 불평등 개선, 기회와 접근성 강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 확대

연관부처: 고용노동부, 교육부, 보건복지부 1. 연구내용

□ 직업교육에서의 불평등 분석

직업교육에서 부모 및 개인의 성장 배경과 관련된 특성들이 교육단계별 이행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고, 궁극적으로 직업교육의 노동시장 성과를 실증분석

□ 직업훈련에서의 불평등 분석

직업훈련 참여가 임금·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임금소득 4분위(국가장학금 소득분위 기준 적용) 미만, 임금소득 5분위 미만, 중위소득 미만 등으로 구분하여 실증분석

2. 연구 결과

□ 가구소득 및 부모의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전문계고에 진학할 확률이 높으며, 고등교육 이행 단계에서도 여전히 영향을 미치면서 대학 진학 확률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남

노동시장 초기 단계에서는 미취업이나 임시·일용직의 비중이 높았으나 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어느 정도 안정적인 일자리로의 이행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

□ 직업훈련 참여가 로그월평균임금 및 로그월평균소득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직업훈련이 임금·소득 불평등 해소에 긍정적 작용을 하고 있음을 확인

소득분위가 낮을수록 직업훈련의 효과가 낮아 직업훈련이 임금·소득불평등 해소를 위해 저임금 계층에 대한 참여와 기회 확대 필요

보고서 상세내용 열람 방법

1. 원문 PDF 무료 다운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홈페이지(www.krivet.re.kr)

· QR 코드 3. 유료 도서회원 가입

· 문 의 : 044-415-5270, [email protected]

2. 원문 책자 열람

· 장 소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도서관(817호)

· 운영시간 : 평일 09:30~11:30, 13:30~17:30

· 문 의 처 : 044-415-5026, [email protected]

Referensi

Dokumen terkait

전반적으로 볼 때, 다음의 각 항목에 어느 정도 동의하시는지 말씀해 주십시오 전혀 그렇지 그렇지 않다 않다.. 보통 약간 이다

B-10 해당 어려움에 대해 아동양육시설, 공동생활가정, 가정위탁시설, 아동자립지원단, 국가 또는 지자체가 운영하는 사회보장복지 지원 및 서비스의 인지, 신청, 이용 경험에 관한 문항입니다.. 해당하는 경험에 표시해주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