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험학습인증 제도 연구:
프랑스 사례를 중심으로
김안국·신선미
목 차
요 약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제2장 직무 중 형성되는 능력에 대한 인증 제1절 일을 함으로써 획득되는 능력 제2절 능력 인증에 대한 개념 및 이론 제3장 프랑스의 경험학습인증
제1절 경험학습인증 도입배경과 발전과정 제2절 경험학습인증 제도의 내용
제3절 경험학습인증 제도의 운영 현황과 정책 효과
본 연구는 일자리 변동성 강화라는 시대적 흐름에 대비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프랑스의 경험학습인증제의 주요한 내용을 검토하고 시사점을 찾기 위해 미래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주요한 기제로서의 경험학습인증 제도에 대한 이론적 배경 및 필요성에 대한 검토, 프랑스 경험학습인증 제도의 연혁과 내용 고찰, 운영의 구체적 방법 및 재정적 지원 등에 대한 소개와 분석, 프랑스 경험학습인증 제도의 성과와 한계를 여타의 프랑스 훈련제도와 연계하여 검토하고 시사점을 모색했다.
제4절 경험학습인증 제도의 구체 사례 제4장 결론
제1절 요약 제2절 정책적 시사점 SUMMARY 참고문헌 부록
Ⅰ. 배경 및 목적
Ⅱ. 주요 내용 및 결과
Ⅲ. 결론 및 정책 제언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개별 노동자의 숙련 정도를 명확하게 나타나는 기제 필요성
- 우리나라에서 비형식과 무형식의 교육 미 학습활동으로 얻어진 능력에 대한 인정을 중심으로 제도가 전개되고 있음. 직장 경험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능력에 대한 인증이 필요하며, 이에 경험학습인증의 제도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 프랑스의 사례를 연구할 필요가 있음
- 경험학습인증 제도의 이론적 배경 및 필요성에 대한 검토, 프랑스의 구체적 사례를 보고자함
1. 연구내용
□ 프랑스의 경험학습인증제도에 대한 본격적인 검토
직업경로를 안정적으로 도모하고 사회적 지위상승을 활발하게 촉진하려는 목적 - 경험학습인증을 신청할 수 있는 기관은 학위나 자격을 수여하는 기관들임
- 2018년 기준으로 연간 참여자 수는 62,000명이며, 심사참여자 수는 38,000명, 학위/자격 취득자수는 24,000명 - 가장 활발한 분야는 보건, 사회복지, 교육 분야
2. 연구 결과
□ 프랑스의 경험학습인증제도의 성과 직업훈련제도와 경험학습인증 제도의 연계
- 경험학습인증 참여로 인해 고용상태 발전에 기여, 후속 교육을 받고자 하는 의욕을 크게 고취시키는 효과가 큼 - 경험학습인증 신청이 많은 학위 수준은 전문학사이며, 석사 학위도 적지 않았음.
- 프랑스 건설산업에서의 경험학습인증의 인원수는 늘고 있지만, 그 상대적 증가세는 여타 업종에 비해 크지 않음
□ 프랑스 경험학습인증제도의 시사점
현장에서 배운 익힌 숙련을 학위나 자격으로 공식 인증을 받아 노동시장과 평생교육 진작에 기여 학교에서 배운 것과 직업활동을 통해 배운 것이 동등한 가치를 지닌다는 철학을 공유 여성이나 저숙련 근로자들에게 필요한 자격 취득의 비중이 높아 현재의 상황에 적합 그러나 우리나라의 현실과 프랑스의 현실이 달라 경험학습인증 제도의 도입에 신중을 기해야 함.
∙ 연관부처: 고용노동부 직업능력정책과, 교육부 직업교육국
보고서 상세내용 열람 방법
1. 원문 PDF 무료 다운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홈페이지(www.krivet.re.kr)
· QR 코드 3. 유료 도서회원 가입
· 문 의 : 044-415-5270, [email protected]
2. 원문 책자 열람
· 장 소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도서관(817호)
· 운영시간 : 평일 09:30~11:30, 13:30~17:30
· 문 의 처 : 044-415-5026,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