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 2014 : 건설 · 플랜트업
CODE BOOK
자료번호 A1-2014-0072
연구책임자 주영수
연구수행기관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직업환경의학과
조사년도 2014년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15년
코드북 제작년도 2015년
료인용표준서식에 준하여 자료의 출처를 반드시 명시하여야 합니다. 자료 출처는 자료명이 최초로 언급되는 부분이나 참고문헌 목록에 명시할 수 있습니다.
자료를 이용, 참고,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주영수 . 2014.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 2014 : 건설 · 플랜트업 . 연구수행 기관 :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직업환경의학과 . 자료서비스기관 : 한국사회과학자료 원 . 자료공개년도 : 2015 년 . 자료번호 : A1-2014-0072.
코드북을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15.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2014 : 건설·플랜트
업 CODE BOOK . pp. 1-43.
이 자료의 코드북에 대한 모든 권한은 KOSSDA에 있으며 KOSSDA의 사
전허가 없이 복제, 송신, 출판, 배포할 수 없습니다.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2014 : 건설·플랜트업
type
플랜트 소속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건설플랜트 49 19.0 19.0
여수플랜트 103 39.9 39.9
충남플랜트 106 41.1 41.1
258 100.0 100.0
a1_1
현재 하는 일1: 제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제관사 1 34 13.2 43.6
제관조공 2 17 6.6 21.8
제관용접 3 27 10.5 34.6
비해당/무응답 0 180 69.8
258 100.0 100.0
a1_2
현재 하는 일2: 배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배관사 1 23 8.9 37.7
배관조공 2 20 7.8 32.8
배관용접 3 18 7.0 29.5
비해당/무응답 0 197 76.4
258 100.0 100.0
a1_3
현재 하는 일3: 비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비계공 1 28 10.9 90.3
비계조공 2 3 1.2 9.7
비해당/무응답 0 227 88.0
258 100.0 100.0 1. 귀하가 하시는 작업은 다음 중 무엇에 해당합니까?
1-1) 제관
1. 귀하가 하시는 작업은 다음 중 무엇에 해당합니까?
1-2) 배관
1. 귀하가 하시는 작업은 다음 중 무엇에 해당합니까?
1-3) 비계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2014 : 건설·플랜트업
a1_4
현재 하는 일4: 토목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비해당/무응답 0 258 100.0 100.0
a1_5
현재 하는 일5: 기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기계공 1 5 1.9 31.3
기계조공 2 11 4.3 68.8
비해당/무응답 0 242 93.8
258 100.0 100.0
a1_6
현재 하는 일6: 보온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보온공 1 9 3.5 100.0
비해당/무응답 0 249 96.5
258 100.0 100.0
a1_7
현재 하는 일7: 전기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기공 1 11 4.3 91.7
전기조공 2 1 .4 8.3
비해당/무응답 0 246 95.3
258 100.0 100.0 1. 귀하가 하시는 작업은 다음 중 무엇에 해당합니까?
1-6) 보온
1. 귀하가 하시는 작업은 다음 중 무엇에 해당합니까?
1-7) 전기
1. 귀하가 하시는 작업은 다음 중 무엇에 해당합니까?
1-4) 토목
1. 귀하가 하시는 작업은 다음 중 무엇에 해당합니까?
1-5) 기계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2014 : 건설·플랜트업
a1_8
현재 하는 일8: 기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조공 2 1 .4 100.0
비해당/무응답 0 257 99.6
258 100.0 100.0
a2_1_y
현 건설업체에서 일한 기간(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 년 0 93 36.0 36.0
1 년 1 18 7.0 7.0
2 년 2 14 5.4 5.4
3 년 3 10 3.9 3.9
4 년 4 5 1.9 1.9
5 년 5 7 2.7 2.7
6 년 6 4 1.6 1.6
7 년 7 3 1.2 1.2
8 년 8 5 1.9 1.9
9 년 9 1 .4 .4
10 년 10 17 6.6 6.6
12 년 12 3 1.2 1.2
15 년 15 4 1.6 1.6
16 년 16 1 .4 .4
17 년 17 1 .4 .4
18 년 18 3 1.2 1.2
19 년 19 1 .4 .4
20 년 20 11 4.3 4.3
21 년 21 1 .4 .4
23 년 23 2 .8 .8
25 년 25 3 1.2 1.2
1. 귀하가 하시는 작업은 다음 중 무엇에 해당합니까?
1-8) 기타
2. 귀하의 경력은 다음 중 무엇에 해당합니까?
2-1. 귀하는 현재 고용 계약된 전문건설업체에서 일한지 얼마나 되셨습니까?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2014 : 건설·플랜트업
30 년 30 2 .8 .8
33 년 33 1 .4 .4
35 년 35 2 .8 .8
무응답 99 46 17.8 17.8
258 100.0 100.0
a2_1_m
현 건설업체에서 일한 기간(개월)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 개월 0 64 24.8 24.8
1 개월 1 28 10.9 10.9
2 개월 2 20 7.8 7.8
3 개월 3 22 8.5 8.5
4 개월 4 15 5.8 5.8
5 개월 5 11 4.3 4.3
6 개월 6 24 9.3 9.3
7 개월 7 9 3.5 3.5
8 개월 8 10 3.9 3.9
9 개월 9 1 .4 .4
10 개월 10 6 2.3 2.3
11 개월 11 2 .8 .8
무응답 99 46 17.8 17.8
258 100.0 100.0
a2_2
현 건설업체 변경 횟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 회 1 2 .8 .8
2 회 2 8 3.1 3.1
3 회 3 8 3.1 3.1
4 회 4 6 2.3 2.3
5 회 5 12 4.7 4.7
6 회 6 6 2.3 2.3
2. 귀하의 경력은 다음 중 무엇에 해당합니까?
2-2. 귀하는 현재까지 전문건설업체를 총 몇 번 바꾸셨습니까?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2014 : 건설·플랜트업
7 회 7 9 3.5 3.5
8 회 8 3 1.2 1.2
9 회 9 1 .4 .4
10 회 10 22 8.5 8.5
12 회 12 1 .4 .4
13 회 13 2 .8 .8
15 회 15 10 3.9 3.9
18 회 18 1 .4 .4
19 회 19 1 .4 .4
20 회 20 30 11.6 11.6
21 회 21 1 .4 .4
24 회 24 1 .4 .4
25 회 25 1 .4 .4
26 회 26 1 .4 .4
29 회 29 1 .4 .4
30 회 30 14 5.4 5.4
31 회 31 1 .4 .4
32 회 32 1 .4 .4
40 회 40 4 1.6 1.6
45 회 45 1 .4 .4
47 회 47 1 .4 .4
50 회 50 9 3.5 3.5
55 회 55 1 .4 .4
60 회 60 2 .8 .8
70 회 70 3 1.2 1.2
75 회 75 1 .4 .4
80 회 80 4 1.6 1.6
90 회 90 1 .4 .4
100 회 100 7 2.7 2.7
120 회 120 1 .4 .4
136 회 136 1 .4 .4
426 회 426 1 .4 .4
무응답 999 78 30.2 30.2
258 100.0 100.0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2014 : 건설·플랜트업
a2_3
현재 일하는 현장명==> 데이터 참조
a2_4_y
현재 일하는 현장에서 일한 기간(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 년 0 170 65.9 65.9
1 년 1 19 7.4 7.4
2 년 2 1 .4 .4
4 년 4 1 .4 .4
5 년 5 2 .8 .8
10 년 10 2 .8 .8
20 년 20 2 .8 .8
무응답 99 61 23.6 23.6
258 100.0 100.0
a2_4_m
현재 일하는 현장에서 일한 기간(개월)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 개월 0 13 5.0 5.0
1 개월 1 45 17.4 17.4
2 개월 2 35 13.6 13.6
3 개월 3 37 14.3 14.3
4 개월 4 20 7.8 7.8
5 개월 5 8 3.1 3.1
6 개월 6 12 4.7 4.7
7 개월 7 10 3.9 3.9
8 개월 8 6 2.3 2.3
9 개월 9 2 .8 .8
10 개월 10 7 2.7 2.7
11 개월 11 2 .8 .8
무응답 99 61 23.6 23.6
258 100.0 100.0 2. 귀하의 경력은 다음 중 무엇에 해당합니까?
2-3. 귀하가 현재 일하는 현장명은 무엇입니까?
2. 귀하의 경력은 다음 중 무엇에 해당합니까?
2-4. 귀하는 현재 일하는 현장에서 일한지 얼마나 되셨습니까?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2014 : 건설·플랜트업
a2_5_y
건설플랜트 분야에서 일한 기간(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 년 0 9 3.5 3.5
1 년 1 23 8.9 8.9
2 년 2 11 4.3 4.3
3 년 3 16 6.2 6.2
4 년 4 10 3.9 3.9
5 년 5 16 6.2 6.2
6 년 6 10 3.9 3.9
7 년 7 7 2.7 2.7
8 년 8 11 4.3 4.3
9 년 9 3 1.2 1.2
10 년 10 32 12.4 12.4
12 년 12 3 1.2 1.2
13 년 13 1 .4 .4
14 년 14 1 .4 .4
15 년 15 9 3.5 3.5
16 년 16 2 .8 .8
17 년 17 3 1.2 1.2
18 년 18 3 1.2 1.2
19 년 19 1 .4 .4
20 년 20 24 9.3 9.3
21 년 21 1 .4 .4
23 년 23 1 .4 .4
24 년 24 5 1.9 1.9
25 년 25 5 1.9 1.9
26 년 26 1 .4 .4
30 년 30 8 3.1 3.1
33 년 33 1 .4 .4
34 년 34 1 .4 .4
35 년 35 5 1.9 1.9
2. 귀하의 경력은 다음 중 무엇에 해당합니까?
2-5. 귀하는 건설플랜트 분야에서 일한지 얼마나 되셨습니까?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2014 : 건설·플랜트업
37 년 37 1 .4 .4
39 년 39 1 .4 .4
무응답 99 33 12.8 12.8
258 100.0 100.0
a2_5_m
건설플랜트 분야에서 일한 기간(개월)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 개월 0 152 58.9 58.9
1 개월 1 4 1.6 1.6
2 개월 2 13 5.0 5.0
3 개월 3 7 2.7 2.7
4 개월 4 6 2.3 2.3
5 개월 5 5 1.9 1.9
6 개월 6 20 7.8 7.8
7 개월 7 1 .4 .4
8 개월 8 10 3.9 3.9
9 개월 9 1 .4 .4
10 개월 10 5 1.9 1.9
11 개월 11 1 .4 .4
무응답 99 33 12.8 12.8
258 100.0 100.0
a3
연평균 지역 이동 횟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 회 1 57 22.1 22.1
2 회 2 64 24.8 24.8
3 회 3 50 19.4 19.4
4 회 4 10 3.9 3.9
5 회 5 8 3.1 3.1
6 회 6 3 1.2 1.2
7 회 7 2 .8 .8
3. 귀하는 1년에 지역(도단위를 넘는)을 몇 차례 이동하십니까?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2014 : 건설·플랜트업
8 회 8 2 .8 .8
10 회 10 6 2.3 2.3
20 회 20 4 1.6 1.6
30 회 30 4 1.6 1.6
무응답 99 48 18.6 18.6
258 100.0 100.0
a4
연평균 일하는 개월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 개월 1 1 .4 .4
2 개월 2 1 .4 .4
3 개월 3 1 .4 .4
4 개월 4 5 1.9 1.9
5 개월 5 4 1.6 1.6
6 개월 6 17 6.6 6.6
7 개월 7 9 3.5 3.5
8 개월 8 41 15.9 15.9
9 개월 9 26 10.1 10.1
10 개월 10 86 33.3 33.3
11 개월 11 37 14.3 14.3
12 개월 12 20 7.8 7.8
무응답 99 10 3.9 3.9
258 100.0 100.0
a5
주평균 일하는 시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4 시간 4 2 .8 .8
5 시간 5 3 1.2 1.2
8 시간 8 32 12.4 12.4
4. 귀하는 1년 중 평균 몇 개월을 일하십니까?
5. 일을 하고 있을 때, 일주일에 평균 몇 시간 일하십니까?(연장근로 포함)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2014 : 건설·플랜트업
9 시간 9 5 1.9 1.9
10 시간 10 4 1.6 1.6
12 시간 12 1 .4 .4
30 시간 30 1 .4 .4
32 시간 32 1 .4 .4
35 시간 35 1 .4 .4
40 시간 40 57 22.1 22.1
42 시간 42 1 .4 .4
44 시간 44 6 2.3 2.3
45 시간 45 9 3.5 3.5
46 시간 46 6 2.3 2.3
48 시간 48 50 19.4 19.4
50 시간 50 31 12.0 12.0
52 시간 52 3 1.2 1.2
54 시간 54 3 1.2 1.2
55 시간 55 3 1.2 1.2
56 시간 56 11 4.3 4.3
58 시간 58 1 .4 .4
60 시간 60 13 5.0 5.0
63 시간 63 1 .4 .4
64 시간 64 2 .8 .8
65 시간 65 1 .4 .4
무응답 99 10 3.9 3.9
258 100.0 100.0
a6
지난해 받은 평균 일당==> 코딩에러, 데이터 참조
6. 2013년 한 해 받은 평균일당은 얼마나 되십니까?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2014 : 건설·플랜트업
b7
현재 일하는 건설업체 유형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발주처나 원청과 무관한 독립회사 1 159 61.6 61.6
발주처 또는 원청에서 자본을 출자한 회사 2 69 26.7 26.7
발주처나 원청의 전직 직원이 대표인 업체 3 7 2.7 2.7
발주처나 원청의 임원 친인척이 설립한 회
사 4 5 1.9 1.9
무응답 9 18 7.0 7.0
258 100.0 100.0
b8
근로계약 체결 방법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문서를 직접 보고 읽으면서 작성했다 1 127 49.2 49.2
회사에서 작성한 문서에 서명만 했다 2 114 44.2 44.2
구두(말)로 통보받았다 3 3 1.2 1.2
구체적인 계약이 없었다 4 3 1.2 1.2
무응답 9 11 4.3 4.3
258 100.0 100.0
b8_1
근로계약 문서 보관 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52 20.2 21.6
아니오 2 184 71.3 76.3
무응답 9 5 1.9 2.1
비해당 0 17 6.6
258 100.0 100.0 8-1. 위 질문에서 ①, ②번에 체크한 분만 응답해주십시오. 귀하는 근로 계약 문서를 보관 하고 있습니까?
7. 귀하가 고용된 전문건설업체는 다음 유형 가운데 어디에 해당합니까?
8. 귀하는 현재(또는 최근) 일하고 있는 전문건설업체와 근로계약을 어떻게 체결했습니까?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2014 : 건설·플랜트업
b9_1
하청업체 자체 운영 여부1: 업체 운영에 필요한 자금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자체확보/운영 1 34 13.2 13.2
원청도움 2 58 22.5 22.5
모르겠다 3 135 52.3 52.3
무응답 9 31 12.0 12.0
258 100.0 100.0
b9_2
하청업체 자체 운영 여부2: 4대보험 가입 및 자체 안전교육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자체확보/운영 1 93 36.0 36.0
원청도움 2 61 23.6 23.6
모르겠다 3 67 26.0 26.0
무응답 9 37 14.3 14.3
258 100.0 100.0
b9_3
하청업체 자체 운영 여부3: 기계, 설비, 기자재 자체적으로 확보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자체확보/운영 1 51 19.8 19.8
원청도움 2 70 27.1 27.1
모르겠다 3 98 38.0 38.0
무응답 9 39 15.1 15.1
258 100.0 100.0 9. 소속 전문건설업체에서는 다음의 사항들을 자체적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9-1) 업체 운영에 필요한 자금
9. 소속 전문건설업체에서는 다음의 사항들을 자체적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9-2) 4대 보험 가입 및 자체 안전교육
9. 소속 전문건설업체에서는 다음의 사항들을 자체적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9-3) 기계, 설비, 기자재 자체적으로 확보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2014 : 건설·플랜트업
b9_4
하청업체 자체 운영 여부4: 전문건설업체의 기술과 노하우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자체확보/운영 1 87 33.7 33.7
원청도움 2 32 12.4 12.4
모르겠다 3 99 38.4 38.4
무응답 9 40 15.5 15.5
258 100.0 100.0
b10
작업량과 작업지시자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발주처의 사용자 또는 그곳의 정규직 사원
이 지시한다 1 16 6.2 6.2
원청업체의 사용자 또는 그곳의 관리직 사
원이 지시한다 2 25 9.7 9.7
고용계약된 전문건설업체 소속 상급자가
지시한다 3 164 63.6 63.6
기타 4 36 14.0 14.0
무응답 9 17 6.6 6.6
258 100.0 100.0
b10_et
작업량과 작업지시자: 기타내용==> 데이터 참조
b11
물량도급 해 본 경험 유무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아니오 1 150 58.1 58.1
예 2 98 38.0 38.0
무응답 9 10 3.9 3.9
258 100.0 100.0 11. 귀하는 물량도급(소위 ‘야리끼리’)을 해본 적이 있습니까?
9. 소속 전문건설업체에서는 다음의 사항들을 자체적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9-4) 전문건설업체의 기술과 노하우
10. 귀하가 일하는 장소에서 작업량, 작업지시 등은 주로 누가 합니까?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2014 : 건설·플랜트업
b11_1
물량도급 해 본 경험 횟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 회 1 8 3.1 7.4
2 회 2 6 2.3 5.6
3 회 3 8 3.1 7.4
5 회 5 10 3.9 9.3
6 회 6 1 .4 .9
7 회 7 1 .4 .9
8 회 8 1 .4 .9
10 회 10 9 3.5 8.3
12 회 12 1 .4 .9
15 회 15 1 .4 .9
20 회 20 4 1.6 3.7
30 회 30 5 1.9 4.6
40 회 40 1 .4 .9
50 회 50 2 .8 1.9
100 회 100 1 .4 .9
120 회 120 1 .4 .9
수회 998 13 5.0 12.0
무응답 999 35 13.6 32.4
비해당 0 150 58.1
258 100.0 100.0
c12
산업안전보건교육 횟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2주에 1회씩 받고 있다 1 21 8.1 8.1
매월 한 번씩 받고 있다 2 175 67.8 67.8
분기별로 받고 있다 3 20 7.8 7.8
반기별로 받고 있다 4 5 1.9 1.9
안 받고 있다 5 24 9.3 9.3
무응답 9 13 5.0 5.0
11. 귀하는 물량도급(소위 ‘야리끼리’)을 해본 적이 있습니까?
② 예(→지금까지 회)
12. 귀하는 현재 산업안전보건교육을 어떻게 받고 있습니까?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2014 : 건설·플랜트업
c13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교육을 받았는지 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126 48.8 48.8
아니오 2 93 36.0 36.0
내 작업공정에는 위험물질이 없다 3 26 10.1 10.1
무응답 9 13 5.0 5.0
258 100.0 100.0
c14
유해화학물질에 위험요인 태그 유무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191 74.0 74.0
아니오 2 39 15.1 15.1
내 작업공정에는 위험물질이 없다 3 17 6.6 6.6
무응답 9 11 4.3 4.3
258 100.0 100.0
c15
'작업환경측정' 경험 유무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59 22.9 22.9
아니오 2 185 71.7 71.7
무응답 9 14 5.4 5.4
258 100.0 100.0 13. 현재 귀하가 일하는 공정의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교육을 받은 적이 있습니까?
14. 현재 귀하가 일하는 공정에서 유해화학물질 등의 위험요인이 있는 곳에 태그(위험경고 표시)가 붙어있는 것을 본 적이 있습니까?
15. 현재 귀하가 일하는 공정에서 ‘작업환경측정’ 결과를 듣거나 서류로 본 적이 있습 니까?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2014 : 건설·플랜트업
c16
위험물질을 제거후 작업을 하는지 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164 63.6 63.6
아니오 2 76 29.5 29.5
무응답 9 18 7.0 7.0
258 100.0 100.0
c17
원청업체와 고용주의 작업장 순회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187 72.5 72.5
아니오 2 61 23.6 23.6
무응답 9 10 3.9 3.9
258 100.0 100.0
c18
'안전보건수칙' 교육 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지급되었고 교육도 받았다 1 141 54.7 54.7
지급되었으나 교육받은 적 없다 2 30 11.6 11.6
지급된 적이 없다 3 67 26.0 26.0
무응답 9 20 7.8 7.8
258 100.0 100.0 16. 현재 자신이 일하는 공정에 위험물질이 있을 때, 충분하게 위험물질을 제거한 후 작업 에 들어갑니까?
17. 귀하가 현재 일하는 공정에 대하여 원청과 고용주가 작업장 순회점검 하는 것을 본 적 이 있습니까?
18. 귀하는 정비작업관련 ‘안전보건수칙’을 지급받거나 관련 교육을 받은 적이 있습니 까?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2014 : 건설·플랜트업
c19
'건강관리수첩' 소유 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19 7.4 7.4
아니오 2 229 88.8 88.8
무응답 9 10 3.9 3.9
258 100.0 100.0
c20
원청업체가 위험장소에 대한 안전조치를 충분히 하는지 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152 58.9 58.9
아니오 2 96 37.2 37.2
무응답 9 10 3.9 3.9
258 100.0 100.0
c21
고용주가 위험장소에 대한 안전조치를 충분히 하는지 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143 55.4 55.4
아니오 2 101 39.1 39.1
무응답 9 14 5.4 5.4
258 100.0 100.0 19. 귀하는 ‘건강관리수첩’을 가지고 있습니까?
20. 귀하가 일하는 작업장에서 ‘붕괴, 화재, 폭발, 추락 또는 낙하 위험이 있는 장소’에 원청은 안전조치를 충분히 하고 있습니까?
21. 귀하가 일하는 작업장에서 ‘붕괴, 화재, 폭발, 추락 또는 낙하 위험이 있는 장소’에 고용주는 안전조치를 충분히 하고 있습니까?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2014 : 건설·플랜트업
c22
현 작업장에서 위생시설 제공 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165 64.0 64.0
아니오 2 83 32.2 32.2
무응답 9 10 3.9 3.9
258 100.0 100.0
c22_1
(위생시설이 제공되는 경우) 만족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51 19.8 29.1
아니오 2 76 29.5 43.4
무응답 9 48 18.6 27.4
비해당 0 83 32.2
258 100.0 100.0
c23_1
보호구 착용여부1: 용접 등을 수행할 때 : 안면보호구, 호흡기 보호구, 용접 재킷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105 40.7 84.7
아니오 2 19 7.4 15.3
비해당/무응답 0 134 51.9
258 100.0 100.0 22. 귀하가 일하는 작업장에는 귀하가 사용할 수 있는 위생시설(화장실, 샤워시설, 휴게공 간 등)이 제공됩니까?
22-1. 위 시설이 제공되는 경우, 만족합니까?
23. 해당하는 분야에서 일하는 노동자만 응답해 주세요. 다음의 보호구가 충분히 지급됩니 까?
23-1) 용접 등을 수행할 때 : 안면보호구, 호흡기 보호구, 용접 재킷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2014 : 건설·플랜트업
c23_2
보호구 착용여부2: 도장 등의 작업을 할 때 : 방독마스크, 작업복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53 20.5 67.1
아니오 2 26 10.1 32.9
비해당/무응답 0 179 69.4
258 100.0 100.0
c23_3
보호구 착용여부3: 전기설비 등의 가설 및 수리 업무를 할 때 : 절연장갑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62 24.0 71.3
아니오 2 25 9.7 28.7
비해당/무응답 0 171 66.3
258 100.0 100.0
c23_4
보호구 착용여부4: 일반작업시 : 안전모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197 76.4 98.0
아니오 2 4 1.6 2.0
비해당/무응답 0 57 22.1
258 100.0 100.0 23. 해당하는 분야에서 일하는 노동자만 응답해 주세요. 다음의 보호구가 충분히 지급됩니 까?
23-2) 도장 등의 작업을 할 때 : 방독마스크, 작업복
23. 해당하는 분야에서 일하는 노동자만 응답해 주세요. 다음의 보호구가 충분히 지급됩니 까?
23-3) 전기설비 등의 가설 및 수리 업무를 할 때 : 절연장갑
23. 해당하는 분야에서 일하는 노동자만 응답해 주세요. 다음의 보호구가 충분히 지급됩니 까?
23-4) 일반작업시 : 안전모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2014 : 건설·플랜트업
c23_5
보호구 착용여부5: 일반작업시 : 귀마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179 69.4 94.2
아니오 2 11 4.3 5.8
비해당/무응답 0 68 26.4
258 100.0 100.0
c23_6
보호구 착용여부6: 고소작업시 : 안전벨트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205 79.5 98.1
아니오 2 4 1.6 1.9
비해당/무응답 0 49 19.0
258 100.0 100.0
c23_7
보호구 착용여부7: 고소작업시 : 추락방지망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157 60.9 84.4
아니오 2 29 11.2 15.6
비해당/무응답 0 72 27.9
258 100.0 100.0 23. 해당하는 분야에서 일하는 노동자만 응답해 주세요. 다음의 보호구가 충분히 지급됩니 까?
23-5) 일반작업시 : 귀마개
23. 해당하는 분야에서 일하는 노동자만 응답해 주세요. 다음의 보호구가 충분히 지급됩니 까?
23-6) 고소작업시 : 안전벨트
23. 해당하는 분야에서 일하는 노동자만 응답해 주세요. 다음의 보호구가 충분히 지급됩니 까?
23-7) 고소작업시 : 추락방지망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2014 : 건설·플랜트업
c24
일하다가 다치거나 질병에 걸렸을 때 비용처리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산재로 처리했다 1 16 6.2 20.3
고용주가 공상으로 처리했다 2 46 17.8 58.2
의료보험으로 처리했다 3 15 5.8 19.0
기타 4 2 .8 2.5
비해당/무응답 0 179 69.4
258 100.0 100.0
c24_et
일하다가 다치거나 질병에 걸렸을 때 비용처리: 기타내용==> 데이터 참조
c25_1
(산재처리로 안한 경우) 이유1: 산재 신청하는 절차 등이 복잡하고 귀찮아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아니다 0 49 19.0 77.8
그렇다 1 14 5.4 22.2
비해당 8 195 75.6
258 100.0 100.0
c25_2
(산재처리로 안한 경우) 이유2: 주변의 눈치가 보였다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아니다 0 48 18.6 76.2
그렇다 1 15 5.8 23.8
비해당 8 195 75.6
258 100.0 100.0 24. 일하다가 다치거나 업무 때문에 질병에 걸린 경험이 있는 분만 응답하세요.(4일 이상 요양 필요진단을 받은 경우) 어떻게 처리하셨습니까?
25. 위 질문에서 산재로 처리하지 않은 분만 응답하세요. 산재처리 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 입니까? 해당하는 내용을 모두 체크해 주세요.
① 산재 신청하는 절차 등이 복잡하고 귀찮아서
25. 위 질문에서 산재로 처리하지 않은 분만 응답하세요. 산재처리 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 입니까? 해당하는 내용을 모두 체크해 주세요.
② 주변의 눈치가 보였다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2014 : 건설·플랜트업
c25_3
(산재처리로 안한 경우) 이유3: 승인이 되지 않을 것 같아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아니다 0 59 22.9 93.7
그렇다 1 4 1.6 6.3
비해당 8 195 75.6
258 100.0 100.0
c25_4
(산재처리로 안한 경우) 이유4: 고용주가 말렸다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아니다 0 54 20.9 85.7
그렇다 1 9 3.5 14.3
비해당 8 195 75.6
258 100.0 100.0
c25_5
(산재처리로 안한 경우) 이유5: 기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아니다 0 55 21.3 87.3
그렇다 1 8 3.1 12.7
비해당 8 195 75.6
258 100.0 100.0
c25_5_et
(산재처리로 안한 경우) 이유5: 기타내용==> 데이터 참조
25. 위 질문에서 산재로 처리하지 않은 분만 응답하세요. 산재처리 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 입니까? 해당하는 내용을 모두 체크해 주세요.
③ 승인이 되지 않을 것 같아서
25. 위 질문에서 산재로 처리하지 않은 분만 응답하세요. 산재처리 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 입니까? 해당하는 내용을 모두 체크해 주세요.
④ 고용주가 말렸다
25. 위 질문에서 산재로 처리하지 않은 분만 응답하세요. 산재처리 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 입니까? 해당하는 내용을 모두 체크해 주세요.
⑤ 기타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2014 : 건설·플랜트업
c25_1a
(산재 처리 한 경우) 직접 신청했는지 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아니오 1 6 2.3 37.5
예 2 6 2.3 37.5
무응답 9 4 1.6 25.0
비해당 0 242 93.8
258 100.0 100.0
c25_2a
(산재 처리 한 경우) 의무기록 제출 요구 유무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아니오 1 11 4.3 68.8
예 2 1 .4 6.3
무응답 9 4 1.6 25.0
비해당 0 242 93.8
258 100.0 100.0
c25_3a
(의무기록 제출한 경우) 산재 신청 거부 경험 유무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2 1 .4 100.0
비해당 0 257 99.6
258 100.0 100.0 25-1. 24번 질문에서 산재로 처리하신 분만 응답하세요. 귀하는 산재처리를 본인이 직접 신청했습니까?
25-2. 귀하가 하청업체에 산재 신청을 요구했을 때 귀하의 의무기록을 제출하였거나 혹은 제출하라는 요구를 받은 적이 있습니까?
25-3. 위 질문에서 ②번으로 체크한 분만 응답하세요. 귀하는 산재신청을 위해 의무기록 을 제출하였을 때 개인의 질병(ex, 골절, 디스크 등)으로 산재 신청을 거부당한 적이 있습 니까?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2014 : 건설·플랜트업
c26_1
노동자로서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가장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점: 1순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고용불안 1 120 46.5 46.5
장시간 근무 2 8 3.1 3.1
과도한 업무량 3 1 .4 .4
1인작업 4 5 1.9 1.9
사고위험 5 20 7.8 7.8
유해물질 노출 6 3 1.2 1.2
저임금 7 38 14.7 14.7
부족한 휴게/휴일 8 5 1.9 1.9
불법하도급 9 24 9.3 9.3
원청 책임회피 10 4 1.6 1.6
부족한 복지혜택 11 3 1.2 1.2
무응답 99 27 10.5 10.5
258 100.0 100.0
c26_2
노동자로서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가장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점: 2순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고용불안 1 35 13.6 13.6
장시간 근무 2 17 6.6 6.6
과도한 업무량 3 9 3.5 3.5
1인작업 4 3 1.2 1.2
사고위험 5 37 14.3 14.3
유해물질 노출 6 6 2.3 2.3
저임금 7 54 20.9 20.9
부족한 휴게/휴일 8 14 5.4 5.4
불법하도급 9 19 7.4 7.4
원청 책임회피 10 20 7.8 7.8
부족한 복지혜택 11 14 5.4 5.4
무응답 99 30 11.6 11.6
26. 귀하는 노동자로서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무엇이 가장 시급히 개선해야 한다고 생각 합니까? 중요한 순서대로 적어 주세요.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2014 : 건설·플랜트업
c26_3
노동자로서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가장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점: 3순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고용불안 1 19 7.4 7.4
장시간 근무 2 11 4.3 4.3
과도한 업무량 3 20 7.8 7.8
1인작업 4 2 .8 .8
사고위험 5 43 16.7 16.7
유해물질 노출 6 13 5.0 5.0
저임금 7 29 11.2 11.2
부족한 휴게/휴일 8 22 8.5 8.5
불법하도급 9 27 10.5 10.5
원청 책임회피 10 14 5.4 5.4
부족한 복지혜택 11 24 9.3 9.3
무응답 99 34 13.2 13.2
258 100.0 100.0
c26_4
노동자로서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가장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점: 4순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고용불안 1 12 4.7 4.7
장시간 근무 2 10 3.9 3.9
과도한 업무량 3 16 6.2 6.2
1인작업 4 6 2.3 2.3
사고위험 5 27 10.5 10.5
유해물질 노출 6 21 8.1 8.1
저임금 7 23 8.9 8.9
부족한 휴게/휴일 8 20 7.8 7.8
불법하도급 9 26 10.1 10.1
원청 책임회피 10 17 6.6 6.6
부족한 복지혜택 11 40 15.5 15.5
무응답 99 40 15.5 15.5
258 100.0 100.0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2014 : 건설·플랜트업
c26_5
노동자로서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가장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점: 5순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고용불안 1 11 4.3 4.3
장시간 근무 2 7 2.7 2.7
과도한 업무량 3 25 9.7 9.7
1인작업 4 8 3.1 3.1
사고위험 5 29 11.2 11.2
유해물질 노출 6 16 6.2 6.2
저임금 7 18 7.0 7.0
부족한 휴게/휴일 8 20 7.8 7.8
불법하도급 9 17 6.6 6.6
원청 책임회피 10 16 6.2 6.2
부족한 복지혜택 11 41 15.9 15.9
무응답 99 50 19.4 19.4
258 100.0 100.0
d27
지난해 안전조치를 하지 않고 일한 경험 유무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70 27.1 27.1
아니오 2 163 63.2 63.2
무응답 9 25 9.7 9.7
258 100.0 100.0 27. 귀하는 지난 2013년 한 해 동안 업무 중 해야 할 안전조치(안전발판, 안전벨트, 안전 망 등)를 하고 일을 하였습니까?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2014 : 건설·플랜트업
d28_1
(아니오라고 응답한 경우) 이유1: 너무 바빠서 조치를 할 겨를이 없었다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그렇다 1 13 5.0 8.0
그렇다 2 16 6.2 9.8
아니다 3 30 11.6 18.4
전혀 아니다 4 15 5.8 9.2
무응답 9 89 34.5 54.6
비해당 0 95 36.8
258 100.0 100.0
d28_2
(아니오라고 응답한 경우) 이유2: 안전조치를 할 도구가 지급되지 않았다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그렇다 1 6 2.3 3.7
그렇다 2 11 4.3 6.7
아니다 3 26 10.1 16.0
전혀 아니다 4 16 6.2 9.8
무응답 9 104 40.3 63.8
비해당 0 95 36.8
258 100.0 100.0
d28_3
(아니오라고 응답한 경우) 이유3: 상급자나 원청의 눈치가 보여서 못했다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그렇다 1 10 3.9 6.1
그렇다 2 10 3.9 6.1
아니다 3 30 11.6 18.4
전혀 아니다 4 15 5.8 9.2
무응답 9 98 38.0 60.1
비해당 0 95 36.8
258 100.0 100.0 28. 위 질문에서 ‘아니오’라고 응답하신 분만 답변하세요. 그 주요 이유는 무엇입니까?
28-1. 너무 바빠서 조치를 할 겨를이 없었다
28. 위 질문에서 ‘아니오’라고 응답하신 분만 답변하세요. 그 주요 이유는 무엇입니까?
28-2. 안전조치를 할 도구가 지급되지 않았다
28. 위 질문에서 ‘아니오’라고 응답하신 분만 답변하세요. 그 주요 이유는 무엇입니까?
28-3. 상급자나 원청의 눈치가 보여서 못했다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2014 : 건설·플랜트업
d29
흡연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흡연한적 없음 1 22 8.5 8.5
과거에 흡연 2 56 21.7 21.7
현재 흡연중 3 158 61.2 61.2
무응답 9 22 8.5 8.5
258 100.0 100.0
d29_1
(흡연중인 경우) 하루 평균 흡연 개피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 개피 1 1 .4 .6
10 개피 10 36 14.0 20.0
12 개피 12 4 1.6 2.2
13 개피 13 2 .8 1.1
15 개피 15 37 14.3 20.6
16 개피 16 1 .4 .6
17 개피 17 2 .8 1.1
18 개피 18 2 .8 1.1
20 개피 20 61 23.6 33.9
25 개피 25 3 1.2 1.7
30 개피 30 6 2.3 3.3
40 개피 40 2 .8 1.1
무응답 99 23 8.9 12.8
비해당 0 78 30.2
258 100.0 100.0 29. 귀하는 담배를 피우십니까?
③ 현재 흡연 중(평균 ______개피/하루, _______년간) 29. 귀하는 담배를 피우십니까?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2014 : 건설·플랜트업
d29_2
(흡연중인 경우) 흡연기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 년 1 1 .4 .6
3 년 3 1 .4 .6
5 년 5 4 1.6 2.2
7 년 7 3 1.2 1.7
8 년 8 1 .4 .6
10 년 10 21 8.1 11.7
12 년 12 1 .4 .6
13 년 13 2 .8 1.1
15 년 15 14 5.4 7.8
18 년 18 3 1.2 1.7
20 년 20 34 13.2 18.9
22 년 22 2 .8 1.1
23 년 23 2 .8 1.1
25 년 25 6 2.3 3.3
30 년 30 7 2.7 3.9
35 년 35 2 .8 1.1
무응답 99 76 29.5 42.2
비해당 0 78 30.2
258 100.0 100.0
d30
음주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아니다 1 53 20.5 20.5
그렇다 2 173 67.1 67.1
무응답 9 32 12.4 12.4
258 100.0 100.0 29. 귀하는 담배를 피우십니까?
③ 현재 흡연 중(평균 ______개피/하루, _______년간)
30. 귀하는 현재 술을 드시고 계십니까?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2014 : 건설·플랜트업
d30_1
(음주하는 경우) 주평균 음주 횟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 회 1 30 11.6 14.6
2 회 2 38 14.7 18.5
3 회 3 27 10.5 13.2
4 회 4 12 4.7 5.9
5 회 5 8 3.1 3.9
6 회 6 3 1.2 1.5
7 회 7 4 1.6 2.0
무응답 9 83 32.2 40.5
비해당 0 53 20.5
258 100.0 100.0
d30_2
(음주하는 경우) 주량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소주 2홉 1병 기준에서 반병 미만 1 29 11.2 14.1
소주 2홉 1병 기준에서 1병 2 78 30.2 38.0
소주 2홉 1병 기준에서 1병 초과 3 33 12.8 16.1
무응답 9 65 25.2 31.7
비해당 0 53 20.5
258 100.0 100.0
d31_1
음주 관련 사항1: 술을 끊어야 한다고 생각한 적이 있습니까?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103 39.9 50.2
아니오 2 62 24.0 30.2
무응답 9 40 15.5 19.5
비해당 0 53 20.5
30. 귀하는 현재 술을 드시고 계십니까?
② 그렇다[ ______ 회]
30. 귀하는 현재 술을 드시고 계십니까?
② 그렇다[매회 소주 2홉 1병 기준 ① 반병미만 ② 1병 ③ 1병 초과]
31. 음주에 관련된 다음 각각의 질문에 대하여 해당되는 사항에 표시해 주세요.
31-1) 술을 끊어야 한다고 생각한 적이 있습니까?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2014 : 건설·플랜트업
d31_2
음주 관련 사항2: 술을 마시는 것 때문에 남들이 비난할 때가 있습니까?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31 12.0 15.1
아니오 2 130 50.4 63.4
무응답 9 44 17.1 21.5
비해당 0 53 20.5
258 100.0 100.0
d31_3
음주 관련 사항3: 술때문에 죄책감을 느끼거나 기분이 나쁠 때가 있습니까?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38 14.7 18.5
아니오 2 122 47.3 59.5
무응답 9 45 17.4 22.0
비해당 0 53 20.5
258 100.0 100.0
d31_4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19 7.4 9.3
아니오 2 141 54.7 68.8
무응답 9 45 17.4 22.0
비해당 0 53 20.5
258 100.0 100.0 31. 음주에 관련된 다음 각각의 질문에 대하여 해당되는 사항에 표시해 주세요.
31-2) 술을 마시는 것 때문에 남들이 비난할 때가 있습니까?
31. 음주에 관련된 다음 각각의 질문에 대하여 해당되는 사항에 표시해 주세요.
31-3) 술때문에 죄책감을 느끼거나 기분이 나쁠 때가 있습니까?
31. 음주에 관련된 다음 각각의 질문에 대하여 해당되는 사항에 표시해 주세요.
31-4) 술 마신 다음날 아침 불쾌감을 없애고 기운을 차리기 위해 해장술을 마실 때가 있 습니까?
음주 관련 사항4: 술 마신 다음날 아침 불쾌감을 없애고 기운을 차리기 위해 해장술을 마실 때가 있습니까?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2014 : 건설·플랜트업
d32
현재 만성폐쇄성 폐질환 앓는지 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없다 1 218 84.5 84.5
있다 2 10 3.9 3.9
무응답 9 30 11.6 11.6
258 100.0 100.0
d33
현재 청력이상 증상이 있는지 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없다 1 195 75.6 75.6
있다 2 37 14.3 14.3
무응답 9 26 10.1 10.1
258 100.0 100.0
d34_1
잠이 오는 상황1: 앉아서 책을 볼 때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졸립지 않다 1 45 17.4 17.4
조금 졸립다 2 135 52.3 52.3
상당히 졸립다 3 29 11.2 11.2
아주 졸립다 4 8 3.1 3.1
무응답 9 41 15.9 15.9
258 100.0 100.0 32. 귀하는 ‘현재’ 만성폐쇄성 폐질환(폐기종, 기관지염 등)이 있으십니까?
33. 귀하는 ‘현재’ 청력이상( 소음성 난청 등)이 있으십니까?
34. 최근에 다음의 상황에서 잠이 얼마나 쏟아지는지 표시해 주세요.
34-1) 앉아서 책을 볼 때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2014 : 건설·플랜트업
d34_2
잠이 오는 상황2: 텔레비전을 볼 때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졸립지 않다 1 68 26.4 26.4
조금 졸립다 2 135 52.3 52.3
상당히 졸립다 3 11 4.3 4.3
아주 졸립다 4 5 1.9 1.9
무응답 9 39 15.1 15.1
258 100.0 100.0
d34_3
잠이 오는 상황3: 공공장소에서 앉아 있을 때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졸립지 않다 1 85 32.9 32.9
조금 졸립다 2 107 41.5 41.5
상당히 졸립다 3 21 8.1 8.1
아주 졸립다 4 2 .8 .8
무응답 9 43 16.7 16.7
258 100.0 100.0
d34_4
잠이 오는 상황4: 지하철이나 버스를 한 시간 정도 타고 갈 때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졸립지 않다 1 55 21.3 21.3
조금 졸립다 2 123 47.7 47.7
상당히 졸립다 3 26 10.1 10.1
아주 졸립다 4 9 3.5 3.5
무응답 9 45 17.4 17.4
258 100.0 100.0 34. 최근에 다음의 상황에서 잠이 얼마나 쏟아지는지 표시해 주세요.
34-2) 텔레비전을 볼 때
34. 최근에 다음의 상황에서 잠이 얼마나 쏟아지는지 표시해 주세요.
34-3) 공공장소에서 앉아 있을 때 (예, 극장, 회의 시에 )
34. 최근에 다음의 상황에서 잠이 얼마나 쏟아지는지 표시해 주세요.
34-4) 지하철이나 버스를 한 시간 정도 타고 갈 때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2014 : 건설·플랜트업
d34_5
잠이 오는 상황5: 오후에 휴식을 취하기 위해 누울 때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졸립지 않다 1 39 15.1 15.1
조금 졸립다 2 127 49.2 49.2
상당히 졸립다 3 33 12.8 12.8
아주 졸립다 4 17 6.6 6.6
무응답 9 42 16.3 16.3
258 100.0 100.0
d34_6
잠이 오는 상황6: 다른 사람과 앉아서 얘기할 때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졸립지 않다 1 159 61.6 61.6
조금 졸립다 2 43 16.7 16.7
상당히 졸립다 3 6 2.3 2.3
아주 졸립다 4 3 1.2 1.2
무응답 9 47 18.2 18.2
258 100.0 100.0
d34_7
잠이 오는 상황7: 점심식사 후에 가만히 앉아 있을 때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졸립지 않다 1 32 12.4 12.4
조금 졸립다 2 136 52.7 52.7
상당히 졸립다 3 37 14.3 14.3
아주 졸립다 4 17 6.6 6.6
무응답 9 36 14.0 14.0
258 100.0 100.0 34. 최근에 다음의 상황에서 잠이 얼마나 쏟아지는지 표시해 주세요.
34-5) 오후에 휴식을 취하기 위해 누울 때
34. 최근에 다음의 상황에서 잠이 얼마나 쏟아지는지 표시해 주세요.
34-6) 다른 사람과 앉아서 얘기할 때
34. 최근에 다음의 상황에서 잠이 얼마나 쏟아지는지 표시해 주세요.
34-7) 점심식사 후에 가만히 앉아 있을 때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2014 : 건설·플랜트업
d34_8
잠이 오는 상황8: 운전 중에 차가 몹시 밀릴 때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졸립지 않다 1 87 33.7 33.7
조금 졸립다 2 106 41.1 41.1
상당히 졸립다 3 21 8.1 8.1
아주 졸립다 4 4 1.6 1.6
무응답 9 40 15.5 15.5
258 100.0 100.0
e35_1_a
지난 1년간 통증정도1: 손/손목/손가락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통증없음 1 160 62.0 62.0
약한통증 2 65 25.2 25.2
중간통증 3 22 8.5 8.5
심한통증 4 10 3.9 3.9
매우 심한통증 5 1 .4 .4
258 100.0 100.0
e35_2_a
지난 1년간 통증빈도2: 손/손목/손가락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6개월에 1번 1 15 5.8 15.3
2-3달에 1번 2 19 7.4 19.4
1달에 1번 3 17 6.6 17.3
34. 최근에 다음의 상황에서 잠이 얼마나 쏟아지는지 표시해 주세요.
34-8) 운전 중에 차가 몹시 밀릴 때
35. 지난 1년 동안 손/손가락/손목, 팔/팔꿈치, 어깨, 허리, 무릎 중 어느 한 부위에서라도 귀하의 직업과 관련하여 통증이나 불편함 (통증, 쑤시는 느낌, 뻣뻣함, 화끈거리는 느낌, 무감각 혹은 찌릿찌릿함 등)에 대해 신체부위별로 체크해주십시오.
손/손목/손가락
35-1) 해당 부위의 아픈 정도는 어느정도 입니까?
35. 지난 1년 동안 손/손가락/손목, 팔/팔꿈치, 어깨, 허리, 무릎 중 어느 한 부위에서라도 귀하의 직업과 관련하여 통증이나 불편함 (통증, 쑤시는 느낌, 뻣뻣함, 화끈거리는 느낌, 무감각 혹은 찌릿찌릿함 등)에 대해 신체부위별로 체크해주십시오.
손/손목/손가락
35-2) 지난 1년 동안 이러한 증상을 얼마나 자주 경험했습니까?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2014 : 건설·플랜트업
1주일에 1번 4 23 8.9 23.5
매일 5 19 7.4 19.4
무응답 9 5 1.9 5.1
비해당 0 160 62.0
258 100.0 100.0
e35_3_a
통증 지속기간3: 손/손목/손가락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일 미만 1 30 11.6 30.6
1일-1주일 2 44 17.1 44.9
1주일-1달 3 9 3.5 9.2
1달-6개월 4 1 .4 1.0
6개월 이상 5 6 2.3 6.1
무응답 9 8 3.1 8.2
비해당 0 160 62.0
258 100.0 100.0
e35_1_b
지난 1년간 통증정도1: 팔/팔꿈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통증없음 1 179 69.4 69.4
약한통증 2 49 19.0 19.0
중간통증 3 22 8.5 8.5
심한통증 4 8 3.1 3.1
258 100.0 100.0 35. 지난 1년 동안 손/손가락/손목, 팔/팔꿈치, 어깨, 허리, 무릎 중 어느 한 부위에서라도 귀하의 직업과 관련하여 통증이나 불편함 (통증, 쑤시는 느낌, 뻣뻣함, 화끈거리는 느낌, 무감각 혹은 찌릿찌릿함 등)에 대해 신체부위별로 체크해주십시오.
팔/팔꿈치
35-1) 해당 부위의 아픈 정도는 어느정도 입니까?
35. 지난 1년 동안 손/손가락/손목, 팔/팔꿈치, 어깨, 허리, 무릎 중 어느 한 부위에서라도 귀하의 직업과 관련하여 통증이나 불편함 (통증, 쑤시는 느낌, 뻣뻣함, 화끈거리는 느낌, 무감각 혹은 찌릿찌릿함 등)에 대해 신체부위별로 체크해주십시오.
손/손목/손가락
35-3) 한번 아프기 시작하면 얼마 동안 통증이 지속됩니까?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2014 : 건설·플랜트업
e35_2_b
지난 1년간 통증빈도2: 팔/팔꿈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6개월에 1번 1 7 2.7 8.9
2-3달에 1번 2 21 8.1 26.6
1달에 1번 3 17 6.6 21.5
1주일에 1번 4 17 6.6 21.5
매일 5 15 5.8 19.0
무응답 9 2 .8 2.5
비해당 0 179 69.4
258 100.0 100.0
e35_3_b
통증 지속기간3: 팔/팔꿈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일 미만 1 27 10.5 34.2
1일-1주일 2 32 12.4 40.5
1주일-1달 3 5 1.9 6.3
1달-6개월 4 1 .4 1.3
6개월 이상 5 10 3.9 12.7
무응답 9 4 1.6 5.1
비해당 0 179 69.4
258 100.0 100.0 35. 지난 1년 동안 손/손가락/손목, 팔/팔꿈치, 어깨, 허리, 무릎 중 어느 한 부위에서라도 귀하의 직업과 관련하여 통증이나 불편함 (통증, 쑤시는 느낌, 뻣뻣함, 화끈거리는 느낌, 무감각 혹은 찌릿찌릿함 등)에 대해 신체부위별로 체크해주십시오.
팔/팔꿈치
35-2) 지난 1년 동안 이러한 증상을 얼마나 자주 경험했습니까?
35. 지난 1년 동안 손/손가락/손목, 팔/팔꿈치, 어깨, 허리, 무릎 중 어느 한 부위에서라도 귀하의 직업과 관련하여 통증이나 불편함 (통증, 쑤시는 느낌, 뻣뻣함, 화끈거리는 느낌, 무감각 혹은 찌릿찌릿함 등)에 대해 신체부위별로 체크해주십시오.
팔/팔꿈치
35-3) 한번 아프기 시작하면 얼마 동안 통증이 지속됩니까?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2014 : 건설·플랜트업
e35_1_c
지난 1년간 통증정도1: 어깨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통증없음 1 152 58.9 58.9
약한통증 2 63 24.4 24.4
중간통증 3 36 14.0 14.0
심한통증 4 7 2.7 2.7
258 100.0 100.0
e35_2_c
지난 1년간 통증빈도2: 어깨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6개월에 1번 1 9 3.5 8.5
2-3달에 1번 2 21 8.1 19.8
1달에 1번 3 26 10.1 24.5
1주일에 1번 4 20 7.8 18.9
매일 5 22 8.5 20.8
무응답 9 8 3.1 7.5
비해당 0 152 58.9
258 100.0 100.0 35. 지난 1년 동안 손/손가락/손목, 팔/팔꿈치, 어깨, 허리, 무릎 중 어느 한 부위에서라도 귀하의 직업과 관련하여 통증이나 불편함 (통증, 쑤시는 느낌, 뻣뻣함, 화끈거리는 느낌, 무감각 혹은 찌릿찌릿함 등)에 대해 신체부위별로 체크해주십시오.
어깨
35-2) 지난 1년 동안 이러한 증상을 얼마나 자주 경험했습니까?
35. 지난 1년 동안 손/손가락/손목, 팔/팔꿈치, 어깨, 허리, 무릎 중 어느 한 부위에서라도 귀하의 직업과 관련하여 통증이나 불편함 (통증, 쑤시는 느낌, 뻣뻣함, 화끈거리는 느낌, 무감각 혹은 찌릿찌릿함 등)에 대해 신체부위별로 체크해주십시오.
어깨
35-1) 해당 부위의 아픈 정도는 어느정도 입니까?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2014 : 건설·플랜트업
e35_3_c
통증 지속기간3: 어깨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일 미만 1 34 13.2 32.1
1일-1주일 2 43 16.7 40.6
1주일-1달 3 9 3.5 8.5
1달-6개월 4 3 1.2 2.8
6개월 이상 5 8 3.1 7.5
무응답 9 9 3.5 8.5
비해당 0 152 58.9
258 100.0 100.0
e35_1_d
지난 1년간 통증정도1: 목부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통증없음 1 163 63.2 63.2
약한통증 2 59 22.9 22.9
중간통증 3 29 11.2 11.2
심한통증 4 7 2.7 2.7
258 100.0 100.0 35. 지난 1년 동안 손/손가락/손목, 팔/팔꿈치, 어깨, 허리, 무릎 중 어느 한 부위에서라도 귀하의 직업과 관련하여 통증이나 불편함 (통증, 쑤시는 느낌, 뻣뻣함, 화끈거리는 느낌, 무감각 혹은 찌릿찌릿함 등)에 대해 신체부위별로 체크해주십시오.
어깨
35-3) 한번 아프기 시작하면 얼마 동안 통증이 지속됩니까?
35. 지난 1년 동안 손/손가락/손목, 팔/팔꿈치, 어깨, 허리, 무릎 중 어느 한 부위에서라도 귀하의 직업과 관련하여 통증이나 불편함 (통증, 쑤시는 느낌, 뻣뻣함, 화끈거리는 느낌, 무감각 혹은 찌릿찌릿함 등)에 대해 신체부위별로 체크해주십시오.
목부위
35-1) 해당 부위의 아픈 정도는 어느정도 입니까?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2014 : 건설·플랜트업
e35_2_d
지난 1년간 통증빈도2: 목부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6개월에 1번 1 7 2.7 7.4
2-3달에 1번 2 18 7.0 18.9
1달에 1번 3 20 7.8 21.1
1주일에 1번 4 21 8.1 22.1
매일 5 20 7.8 21.1
무응답 9 9 3.5 9.5
비해당 0 163 63.2
258 100.0 100.0
e35_3_d
통증 지속기간3: 목부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일 미만 1 33 12.8 34.7
1일-1주일 2 34 13.2 35.8
1주일-1달 3 9 3.5 9.5
1달-6개월 4 3 1.2 3.2
6개월 이상 5 4 1.6 4.2
무응답 9 12 4.7 12.6
비해당 0 163 63.2
258 100.0 100.0 35. 지난 1년 동안 손/손가락/손목, 팔/팔꿈치, 어깨, 허리, 무릎 중 어느 한 부위에서라도 귀하의 직업과 관련하여 통증이나 불편함 (통증, 쑤시는 느낌, 뻣뻣함, 화끈거리는 느낌, 무감각 혹은 찌릿찌릿함 등)에 대해 신체부위별로 체크해주십시오.
목부위
35-2) 지난 1년 동안 이러한 증상을 얼마나 자주 경험했습니까?
35. 지난 1년 동안 손/손가락/손목, 팔/팔꿈치, 어깨, 허리, 무릎 중 어느 한 부위에서라도 귀하의 직업과 관련하여 통증이나 불편함 (통증, 쑤시는 느낌, 뻣뻣함, 화끈거리는 느낌, 무감각 혹은 찌릿찌릿함 등)에 대해 신체부위별로 체크해주십시오.
목부위
35-3) 한번 아프기 시작하면 얼마 동안 통증이 지속됩니까?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2014 : 건설·플랜트업
e35_1_e
지난 1년간 통증정도1: 허리/등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통증없음 1 138 53.5 53.5
약한통증 2 70 27.1 27.1
중간통증 3 36 14.0 14.0
심한통증 4 12 4.7 4.7
매우 심한통증 5 2 .8 .8
258 100.0 100.0
e35_2_e
지난 1년간 통증빈도2: 허리/등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6개월에 1번 1 17 6.6 14.2
2-3달에 1번 2 24 9.3 20.0
1달에 1번 3 22 8.5 18.3
1주일에 1번 4 24 9.3 20.0
매일 5 18 7.0 15.0
무응답 9 15 5.8 12.5
비해당 0 138 53.5
258 100.0 100.0 35. 지난 1년 동안 손/손가락/손목, 팔/팔꿈치, 어깨, 허리, 무릎 중 어느 한 부위에서라도 귀하의 직업과 관련하여 통증이나 불편함 (통증, 쑤시는 느낌, 뻣뻣함, 화끈거리는 느낌, 무감각 혹은 찌릿찌릿함 등)에 대해 신체부위별로 체크해주십시오.
허리/등
35-1) 해당 부위의 아픈 정도는 어느정도 입니까?
35. 지난 1년 동안 손/손가락/손목, 팔/팔꿈치, 어깨, 허리, 무릎 중 어느 한 부위에서라도 귀하의 직업과 관련하여 통증이나 불편함 (통증, 쑤시는 느낌, 뻣뻣함, 화끈거리는 느낌, 무감각 혹은 찌릿찌릿함 등)에 대해 신체부위별로 체크해주십시오.
허리/등
35-2) 지난 1년 동안 이러한 증상을 얼마나 자주 경험했습니까?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2014 : 건설·플랜트업
e35_3_e
통증 지속기간3: 허리/등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일 미만 1 34 13.2 28.3
1일-1주일 2 54 20.9 45.0
1주일-1달 3 10 3.9 8.3
1달-6개월 4 4 1.6 3.3
6개월 이상 5 4 1.6 3.3
무응답 9 14 5.4 11.7
비해당 0 138 53.5
258 100.0 100.0
e35_1_f
지난 1년간 통증정도1: 무릎/다리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통증없음 1 148 57.4 57.4
약한통증 2 74 28.7 28.7
중간통증 3 28 10.9 10.9
심한통증 4 7 2.7 2.7
매우 심한통증 5 1 .4 .4
258 100.0 100.0 35. 지난 1년 동안 손/손가락/손목, 팔/팔꿈치, 어깨, 허리, 무릎 중 어느 한 부위에서라도 귀하의 직업과 관련하여 통증이나 불편함 (통증, 쑤시는 느낌, 뻣뻣함, 화끈거리는 느낌, 무감각 혹은 찌릿찌릿함 등)에 대해 신체부위별로 체크해주십시오.
무릎/다리
35-1) 해당 부위의 아픈 정도는 어느정도 입니까?
35. 지난 1년 동안 손/손가락/손목, 팔/팔꿈치, 어깨, 허리, 무릎 중 어느 한 부위에서라도 귀하의 직업과 관련하여 통증이나 불편함 (통증, 쑤시는 느낌, 뻣뻣함, 화끈거리는 느낌, 무감각 혹은 찌릿찌릿함 등)에 대해 신체부위별로 체크해주십시오.
허리/등
35-3) 한번 아프기 시작하면 얼마 동안 통증이 지속됩니까?
산업재해 위험직종 실태조사, 2014 : 건설·플랜트업
e35_2_f
지난 1년간 통증빈도2: 무릎/다리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6개월에 1번 1 10 3.9 9.1
2-3달에 1번 2 27 10.5 24.5
1달에 1번 3 25 9.7 22.7
1주일에 1번 4 25 9.7 22.7
매일 5 16 6.2 14.5
무응답 9 7 2.7 6.4
비해당 0 148 57.4
258 100.0 100.0
e35_3_f
통증 지속기간3: 무릎/다리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일 미만 1 31 12.0 28.2
1일-1주일 2 48 18.6 43.6
1주일-1달 3 12 4.7 10.9
1달-6개월 4 1 .4 .9
6개월 이상 5 4 1.6 3.6
무응답 9 14 5.4 12.7
비해당 0 148 57.4
258 100.0 100.0 35. 지난 1년 동안 손/손가락/손목, 팔/팔꿈치, 어깨, 허리, 무릎 중 어느 한 부위에서라도 귀하의 직업과 관련하여 통증이나 불편함 (통증, 쑤시는 느낌, 뻣뻣함, 화끈거리는 느낌, 무감각 혹은 찌릿찌릿함 등)에 대해 신체부위별로 체크해주십시오.
무릎/다리
35-2) 지난 1년 동안 이러한 증상을 얼마나 자주 경험했습니까?
35. 지난 1년 동안 손/손가락/손목, 팔/팔꿈치, 어깨, 허리, 무릎 중 어느 한 부위에서라도 귀하의 직업과 관련하여 통증이나 불편함 (통증, 쑤시는 느낌, 뻣뻣함, 화끈거리는 느낌, 무감각 혹은 찌릿찌릿함 등)에 대해 신체부위별로 체크해주십시오.
무릎/다리
35-3) 한번 아프기 시작하면 얼마 동안 통증이 지속됩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