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선박평형수 위해도 평가기술 개발연구: 서해항만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선박평형수 위해도 평가기술 개발연구: 서해항만"

Copied!
213
0
0

Teks penuh

국내 주요 항구에 출현한 우점종으로는 인천의 Parvocalanus crassirostris, 평택의 Acartia hongi, 대산의 A. hudsonica, P. l. 8월 군산과 목포에서 l., 대산항의 Parvocalanus crassirostris 및 군산항의 Acartia hongi. Crassostrea gigas는 다른 종보다 여름에 늦게 뭉쳐 계속 자라다가 이듬해 봄 이전에 탈락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Title

  • Necessities and objectives of the study
  • Contents and scope of the study
  • Results of the Project
  • Application plans of the results of the study

Environmental and biological monitoring in ports and adjacent waters (1) Environmental monitoring in ports and adjacent waters. JUVENTAS was from the genera Chaetoceros and Skeletonema, while an unidentified Cyanophyceae was found in the ballast water for S.

The cells were collected from ship's ballast water (ShuiShan2) impounded at Daesan Port in Korea.

오랫동안 처우의 기준에 대해 많은 논의가 있었지만 결론에 이르지 못하고 최종 절차인 외교회의에서 확정됐다. 서비스 지역의 주요 환경 변화에 내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종을 먼저 고려한 후 환경 조건을 분석하는 것이 좋습니다. 3번째 우점종으로 155 cells mL-1이 St-3 상층에 나타났으며 Microcystis novacekii는 목포항에서 2번째 우점종으로 St-4 상층에 175 cells mL-1이 나타났다. . . 군산항에서는 Trichoidesmium cf.

연구 지역의 풍부한 동물성 플랑크톤을 기반으로 샘플링 사이트의 비계량 다차원 척도(nMDS) 안수 플롯. 다) 대산항. 2011년에는 대산항에 설치된 부착판에 Crassostrea gigas(굴), Sabellidae sp. 등 총 6마리의 무척추동물이 부착되었다. ), 메가발라누스 로사(붉은 화상). 부착판 소실) Phylum Mollusca. 따라서 Mytillus의 새로운 군체는 봄에서 여름 사이에 부착되기 시작하여 계속 성장하여 가을에 최대에 이르고 겨울에 떨어지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기가스(굴)는 여름이 지나면 다른 종보다 늦게 합류하는 듯 하여 꾸준히 자라다가 이듬해 봄이 되기 전에 떨어진다. 굴의 경우 지역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한편, 오름판에서 높은 기회성을 보이는 우점종은 대부분 외래종으로 유입되어 오름 초기에 빈 공간을 기회주의적으로 우점하는 모습을 보이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해당 종에 의한 점유율이 증가한다. 로컬(Gigas 및 Rosa). 3) 항구에 침입한 외래종.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염분차는 가을보다 여름에 낮은 값을 나타내어 여름 강수량 증가에 따른 염도 감소를 설명한다.

주변 해역의 SS 농도는 10월에 조사된 군산항과 대산항이 8월에 조사된 군산항보다 높았고, POC 농도는 대산항이 군산항보다 낮았다. 밸러스트 수의 영양분 농도를 살펴보면 외해에 실린 ASIAN SUN 보트는 다른 두 척의 선박보다 낮은 값을 나타냅니다. 밸러스트수의 인산염 농도는 대기수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질산염은 군산항 STAR JUVENTAS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밸러스트 수의 엽록소-a 농도는 주변 수질보다 낮습니다.

Fig.  1.1.1.  Environmental  Harmful  Materials  due  to  Ship  Operating.
Fig. 1.1.1. Environmental Harmful Materials due to Ship Operating.

Pontentially risky species

본 평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사이의 황해권역에 위치한 중국 5개 항만과 한국 4개 항만을 대상으로 6개 해양환경 항목(해수온도, 염도, DO, pH, DIN, DIP)의 항만환경 유사성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중국이 완성되었습니다. 한국과 중국의 항만환경 유사성 평가를 위한 일련의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포트 간의 환경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환경 유사도를 절대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했습니다.

각 포트에 대한 환경변수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텍스트 파일로 저장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였다. 절대유사성 평가 프로그램을 위한 입력자료를 생성하기 위해 6개의 환경항목을 통계처리하여 한국과 중국의 9개 항만에 대한 box plot을 생성한 결과는 Fig. 항만환경 절대평가법을 이용한 한국항만과 중국항만간 환경평등 예비평가

국내항 입·출항선박 및 선박평형수 DB를 작성하여 위험도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 확보 항만환경 절대평가 알고리즘 및 프로그램의 국내외 검증 항만환경 절대평가법을 이용한 황해에 포함된 한중항만 평등성 평가 확대 적용

Fig.  3.2.9.  Change  in  growth  of  phytoplankton  cultured  in  ballast  water,  shipside  water  and  F/2  medium  at  10,  15  and  20 ˚ C
Fig. 3.2.9. Change in growth of phytoplankton cultured in ballast water, shipside water and F/2 medium at 10, 15 and 20 ˚ C

Vršte fitoplanktona, observne v svečičnih vodah petih št., Incheon, Pyeongtaek, Daesan, Gunsan in Mokpo avgusta 2011 Phylum/ St.IncheonPyeongtaekDaesan GunsanMokpo št. 9 Bacillaria paxillifer + 1 Cerataulina bicornis+++ 3 Cerataulina pelagica + 1 Chaetoceros compressus ++2 Chaetoceros curvisetus ++ 2 Chaetoceros costatus + 1 Chaetoceros danicus + + 2 Chaetoceros debilis Chaetoceros didymus + 1 Chaetoceros lonengianus + 1 Chaetoceros lorenzianus + 1 Chaetoceros wighamii ++ 2 sp. Vršte fitoplanktona, objezne v odno vodi petih porta, Incheon, Pyeongtaek, Daesan, Gunsan in Mokpo avgusta 2011.

Phytoplankton species observed within the surface waters of five ports, Incheon, Pyeongtaek, Daesan, Gunsan and Mokpo in December 2011. Phytoplankton species observed within the bottom waters of five ports, Incheon, Pyeongtaek, Daesan, Gunsan and Mokpo in December, 2011. Cell counts of phytoplankton species observed within the surface waters of five ports, Incheon, Pyeongtaek, Daesan, Gunsan, and Mokpo in August 2011.

Phylum/ St.IncheonPyeongtaekDaesan GunsanMokpo BACILLARIOPHYCEAE Achnanthes brevipes1435 Actinocyclus octonarius 2 Actinoptychus senarius24 3 Amphoraspp.1 4 Asterionellopsis glacialis2 122 Aulacoseira sp. 1 Thalassiosira nitzschioides11 66 6 Thalassionema frauenfeldii 8 Thalassiosira eccentrica Thalassiosira rotula 4 Thalassiosira spp.4 9 74 2 DINOPHYCEAE Akashiwo sanguinea1 Alexandrium sp. Тивление целик врст фитоплактона, перемених v бендних vodah petih продукты, Incheon, Pyeongtaek, Daesan, Gunsan in Mokpo August 2011.

Gambar

Fig.  3.1.1.  Map  showing  the  stations  around  and  inside  the  five  major  ports.
Fig.  3.1.7.  Distribution  of  temperature,  salinity,  and  dissolved  oxygen  at  ports  in    South  Sea  in  August  and  December  2011.
Fig.  3.1.9.  TSS  concentrations  at  each  station  of  the  five  ports  in  August,  2011.
Fig.  3.1.10.    TSS  concentrations  at  each  station  of  the  five  ports  in  November,  2011.
+7

Referensi

Dokumen terkait

"Flow Injection Analysis of Chemical Oxygen Demand (COD) by Using a Boron-Doped Diamond (BDD) Electrode",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