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백산국립공원의 어류군집 특성 및 하천건강성평가
박승철1
⋅
한미숙2⋅
최광식2⋅
최우정3⋅
고명훈2*1국립공원연구원, 2고수생태연구소, 3소백산국립공원
Fish Community Characteristics and River Health Assessment of Sobaeksan National Park
Seung-chul Park
1, Mee-Sook Han
2, Kwang-Seek Choi
2, U-Jeong Choi
3and Myeong-Hun Ko
2*1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Wonju 26442, Repubilc of Korea 2Kosoo Ecology Institute, Seoul 07952, Repubilc of Korea 3Sobaeksan National Park, Yeonngju 36020, Repubilc of Korea
요약: 소백산 국립공원의 어류군집 특성 및 건강성을 밝히기 위해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는 8과 16종 2,507개체였다. 우점종은 참갈겨니(46.2%), 아우점종은 버들치(39.5%), 그 다음으로 금강모치(9.9%), 자가사리(0.7%), 둑중개 (0.6%), 꺽지(0.6%), 미유기(0.6%), 퉁가리(0.4%) 등의 순으로 우세하게 출현하였다. 한국고유종은 쉬리, 금강모치, 참갈겨니, 참종개, 새 코미꾸리, 미유기, 퉁가리, 자가사리, 둑중개, 꺽지, 동사리 11종(68.8%)이었고, 기후변화민감종으로 금강모치와 둑중개 2종, 국내이입종으 로 산천어(송어) 1종이 채집되었다. 군집분석 결과, 우점도(0.77~0.93)와 풍부도(1.52~1.80)는 비교적 높았고 다양도(1.03~1.18)와 균등 도(0.40~0.46)는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하천건강성평가는 매우 좋음(1~2지점), 좋음(3~5지점), 보통(2~3지점)으로 비교적 양호하였다. 끝 으로 소백산국립공원에 서식하는 어류의 보전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주요어: 소백산국립공원, 자원모니터링, 어류군집, 하천건강성평가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fish communities and river health in the Sobaeksan National Park, Korea from 2018 to 2020. The survey collected 30 species belonging to 8 families from 16 survey stations. The dominant and subdominant spe- cies were Zacco koreanus (46.2%) and Rhynchocypris oxycephalus (39.5%), respectively. The next most abundant species were R.
kumgangensis (9.9%), Liobagrus mediadiposalis (0.7%), Cottus koreanus (0.6%), Coreoperca herzi (0.6%), Silurus microdorsalis (0.6%) and L. andersoni (0.4%). Among the fish species collected, 11 (68.8%) species were Korea endomics species: Coreoleuciscus splendidus, R. kumgangensis, Z. koreanus, Iksookimia koreensis, Koreocobitis rotundicaudata, Silurus microdorsalis, L. andersoni, L. mediadiposalis, Cottus koreanus, Coreoperca herzi and Odontobutis platycephala. Climate change sensitive species included R.
kumgangensis and Cottus koreanus, while Oncorhynchus masou masou was introduced in Korea species. The dominance (0.77~0.93) and richness (1.52~1.80) of fish community was relatively high and the diversity (1.03~1.18) and evenness (0.40~0.46) were relatively low. Also, river health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s assessed as very good (1~2 stations), good (3~5 staions) and fair (2~3 staions). Finally, a conservation plan for fish in Sobaeksan National Park was discussed.
Key words Sobaeksan National Park, Resource monitoring, Fish community, River health assessment
서론
우리나라 하천에서 담수어류는 먹이사슬(food chain) 의 상위소비자로써 생물다양성을 대표하고, 과거와 현 재의 지질학적 혹은 생태적 조건 등의 상호작용에 따라
현재의 독특한 분포양상을 보이며, 크게 서한 아지역과 남한 아지역, 동북한 아지역으로 구분된다(Nishimura,
1974; Kim, 1997; Kim
et al., 2005; Yoo et al., 2016).또한 농경사회가 지속되면서 치수관리를 위한 보와 댐, 하구둑이 건설되고, 하천정비와 수해복구 등의 사업이
Received 5 April 2021; Revised 25 May 2021; Accepted 7 June 2021
*Corresponding to 고명훈(Myeong-Hun Ko) E-mail. [email protected]
이루어졌고(Kwater, 2007; MAFRA, 2010), 다양한 외래 종들의 도입으로 인해 많은 교란이 있어 왔으며(Jang et al., 2006; Ko et al., 2008; NFRDI, 2010; KNPS, 2020), 이로 인해 많은 어종이 멸종위기에 처한 것으로 보고되 었다(NIBR, 2011; 2019).
우리나라의 국립공원은 지리산국립공원을 1967년 처 음으로 지정한 이후 지금까지 22개의 공립공원이 지정 되어 관리되고 있으며, 경관이 수려할 뿐만 아니라 멸종 위기종을 비롯한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어 DMZ 및 백두대간 등과 함께 생물의 보고로 여겨지고 있다
(NIER, 2011; NIE, 2015; KNPS, 2020).
국립공원에 서 식하는 생물들의 서식과 변화 양상을 밝히기 위하여 지 속적으로 공원자원조사와 자원모니터링 등이 진행되고 있는데, 자원모니터링은 국립공원별로 주요 지점을 매 년 조사하고 있으며, 공원자원조사는 제1부터 제3기 조
사는 10년 주기로, 제 4기 조사부터는 5년 주기로 조사 를 실시하고 있다(NPRI, 2019; KNPS, 2020). 이러한 조 사를 통해 최근 국립공원에서도 외래종의 유입이 보고 되고 있는데, 특히 생태계 교란어종으로 알려진 배스 Micropterus salmoides와 블루길 Lepomis macrochirus 등 이 유입되어 생태계를 교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 다(NPRI, 2014; 2020).소백산국립공원은
1987년 18번째로 국립공원으로 지
정되었고 충청북도 단양군과 경상북도 영주시에 위치하 며 유역면적322.011 km
2으로 가장 높은 산은 소백산(해 발1,940 m)이며 주요 하천은 한강수계(남한강)의
마포 천, 남천, 하일천, 솔티천, 중령천, 낙동강수계(내성천)의 사천 금계천, 남원천 등이다(Kwater, 2007; KNPS, 2020).자원모니터링은 매년
8개 지점을 선정하여 조사하고 있
는데, 2016~2018년은 주요 하천을 중심으로, 2019~2020 년은 환경부 및 국립공원공단의 측정지점을 기준으로 8 개 지점을 선정하여 조사지점의 변동이 있었으며, 분석방 법에 있어서도 2016~2018년은 군집분석을, 2019~2020년 은 하천건강성평가로 변경되었다. 그 외 소백산국립공 원에 관한 어류상 보고는 공원자원조사1~3기(KNPS, 1998; 2007; 2016)
조사와 외래종 관리방안 연구로 금계 지가 조사된 바 있다(NPRI, 2014; 2020).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백산국립공원의 자원모니터
링 조사를 통해 어류상 및 군집분석, 하천건강성평가를 실시하여 생태특성을 밝히고, 아울러 어류의 보전방안 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1. 조사시기 및 조사지점
조사는
2018년부터 2020년까지 매년
봄(4월)과 여름(7월),
가을(10월)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조사지점은 매년
8개 지점을 조사하였는데, 2018년은 St. 1-1~1-8, 2019년과 2020년은 St. 2-1~2-8로 지점을 지정하여 조사
하였다(Fig. 1).<2018년>
St. 1-1. 경북 영주시 단산면 마락리 마포천
(37° 1'40.40"N, 128°35'50.10")
St. 1-2. 충북 단양군 영춘면 남천리 남천
(37° 2'35.14"N, 128°30'40.97"E)
St. 1-3. 충북 단양군 가곡면 어의곡리 하일천
(36°59'13.84"N, 128°28'18.10"E)
St. 1-4. 충북 단양군 단양읍 천동리 천동분소 솔티천
(36°57'35.03"N, 128°25'42.11"E)
St. 1-5. 경북 영주시 단산면 좌석리 사천
(36°58'59.20"N, 128°35'0.40"E)
St. 1-6. 경북 영주시 순흥면 배점리 죽계천
(36°56'6.80"N, 128°32'26.70"E)
St. 1-7. 경북 영주시 풍기읍 삼가리 삼가교 금계천
(36°56'20.82"N, 128°30'2.63"E)
St. 1-8. 경북 영주시 풍기읍 수철리 남원천
(36°53'49.10"N, 128°27'49.80"E)
<2019~2021년>
St. 2-1. 충북 단양군 영춘면 남천리 남천
(37° 2'35.14"N, 128°30'40.97"E)
St. 2-2. 충북 단양군 가곡면 어의곡리 하일천
(36°59'13.84"N, 128°28'18.10"E)
St. 2-3. 충북 단양군 단양읍 천동리 천동분소 솔티천 (36°57'35.03"N, 128°25'42.11"E)
St. 2-4. 충북 단양군 대강면 용부원리 죽령천
(36°54'27.62"N, 128°24'43.74"E)
St. 2-5. 경북 영주시 단산면 좌석리 사천
(36°59'16.77"N, 128°34'49.97"E)
St. 2-6. 경북 영주시 순흥면 배점리 죽계천
(36°56'6.80"N, 128°32'26.70"E)
St. 2-7. 경북 영주시 풍기읍 삼가리 금계천
(36°54'46.90"N, 128°30'54.60"E)
St. 2-8. 경북 영주시 풍기읍 수철리 희망분소 남원천
(36°54'27.34"N, 128°27'36.03"E)
2. 조사방법
1) 서식지의 환경요인
서식지의 물리적 환경요인은 하폭 및 유폭, 수심, 하 상구조 등을 현장에서 조사하였고, 하폭 및 유폭을 정밀 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거리 측정용 망원경(Yardage pro
Tour XL, BUSHNELL, Japan)을,
수심은 줄자를 이용하 였다. 하천형은 Kani (1944)에 따라, 하상구조는 Cummins(1962)의 방법을 응용하여 현장에서 육안으로 구분하였
으며, 하천차수(stream order)는 축척 1: 120,000 기준으 로 계산하였다.2) 어류의 채집 및 분류
정량조사를 위하여 조사지점 당 200 m 구간에서 하천 규모에 따라 족대(4×4 mm, 30분)와 투망(망목 6×6 mm,
10회)을 이용하여 어류를 채집하였다.
채집된 어류는 현장에서 동정 후 바로 방류하였고, 채집된 어류는 Kim (1997) 과
Kim
et al. (2005), Kim and Park (2007)에 따라 동정 하였으며, 분류체계는Nelson (2006)을 따랐다.
3) 군집분석
군집분석은 각 조사지점에서 출현한 종과 개체수를 기준으로 우점도와 다양도, 균등도, 풍부도를 산출하였다
(Margalef, 1958; McNaughton, 1967; Pielou, 1966; 1975).
4) 하천건강성평가
조사지점들의 건강성은 시기별, 지점별로 채집된 어 류 결과를 우리나라 하천건강성평가를 위해 개발된 모 Fig. 1. Map showing the study stations of the Sobaeksan National Park (gray region), Korea.
델(IBI)을 이용하여 하천차수(stream order)에 따라
8개
의 메트릭(M1: 국내종의 총 종수, M2: 여울성 저서종수,M3:
민감종수, M4: 내성종의 개체수 비율, M5: 잡식종 의 개체수 비율, M6: 국내종의 충식종 개체수 비율, M7:채집된 국내종의 총 개체수, M8: 비정상종의 개체수 비 율) 별로 값을 계산한 후 합산하여 어류생물지수(FAI)를 산출하였다. 연도별(3회)로 산출된 어류생물지수는 평균 값을 계산한 후 매우좋음(A, 80~100), 좋음(B, 60~80), 보통(C, 40~60), 나쁨(D, 20~40), 매우 나쁨(E, 0~20)으 로 등급을 구분하였다(NIER, 2019).
결과
1. 서식지 환경
조사지점들은 하천차수가
1~2인 상류
또는 최상류에 위치하고 있으며 고도는 236~627 m로 비교적 높았다. 하 폭은 10~40 m, 유폭은 3~15 m, 수심은 0.3~1.5 m로 하천 규모는 대체로 작았는데, St. 1-7이 가장 컸고St. 2-5가
가장 작았다. 물은 모두 맑았고, 하천형은 모두 여울과 소 가 짧게 반복되는 계곡형(Aa type)이었으며, 하상은 공통 적으로 큰돌(boulder)의 비율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작은돌(cobble), 자갈(pebble)의 순이었다. 보가 설치된 지 점은 St. 1-5, 2-5 2개 지점이었으며, St. 2-5는 조사 기간 중 하천공사가 일부 진행되어 서식지가 교란되었으나 그 외 지점들은 특별한 교란요인은 없었다(Table 1).
2. 어류상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채집된 어류는 8과 16종
2,507개체였다(Table 2).
연도별로는2018년 9과 13종 1,019개체, 2019년 6과 13종 775개체, 2020년 7과 11종 713개체로 종수는 2018년과 2019년이 가장 많았고 개체
수는
2018년이 가장 많았다.
출현종 중 우점종은 참갈겨니(46.2%), 아우점종 버들치(59.5%), 그 다음으로 금강 모치(9.9%), 자가사리(0.7%), 둑중개(0.6%), 꺽지(0.6%), 미유기(0.6%), 퉁가리(0.4%) 등의 순으로 우세하게 출현 하였다(Fig. 2). 한국고유종은 쉬리, 금강모치, 참갈겨니, 참종개, 새코미꾸리, 미유기, 퉁가리, 자가사리, 둑중개,
꺽지, 동사리
11종(68.8%)으로 높았다.
기후변화민감종(냉수성어종)은
금강모치, 둑중개2종이 서식하고 있었
는데, 금강모치는 St. 1-1~1-3, 2-1~2-2에서만, 둑중개는
St. 1-1, 2-5에서만 서식이 확인되었다.
국내이입종으로산천어(송어) 1종이 채집되었는데, St. 1-4 (2-3)와
St.
1-3 (2-2)에서만 서식이 확인되었다.
Stations River width (m)
Water width (m)
Water depth (m)
Altitude
(m) River
type* Stream order**
Bottom structure (%)***
Etcs#
M S G P C B
1-1 20-22 3-5 0.3-1.0 545 Aa 2 20 30 50
1-2, 2-1 20-25 5-10 0.3-1.5 236 Aa 2 10 20 70
1-3, 2-2 20-25 2-5 0.5-1.2 512 Aa 2 20 80
1-4, 2-3 30-40 5-10 0.5-1.5 453 Aa 2 20 80
1-5 20-25 5-6 0.5-1.2 338 Aa 2 10 30 60 W
1-6, 2-6 18-20 5-8 0.5-1.5 337 Aa 2 20 80
1-7 30-40 10-15 0.5-1.2 329 Aa 2 20 80
1-8 25-30 5-10 0.5-1.2 347 Aa 2 10 20 70
2-4 15-20 5-10 0.3-1.2 425 Aa 2 20 80
2-5 10-15 3-5 0.3-1.2 365 Aa 2 10 20 70 W, RW
2-7 15-20 5-10 0.3-1.2 627 Aa 1 20 80
2-8 10-15 5-10 0.3-1.2 522 Aa 2 10 20 70
*River type: by Kani (1944); **Scale 1: 120,000; ***M: Mud (~0.1 ㎜), S: Sand (0.1~2 ㎜), G: Gravel (2~16 ㎜), P: Pebble (16~64 ㎜), C: Cobble (64~256 ㎜), B: Boulder (256< ㎜) -modified Cummins (1962); #W: weir; RW: river work.
Table 1. Physical characteristics of each stations of the Sobaeksan National Park, Korea from 2018 to 2020.
Scientific names and Korean namesTotalRA*Etcs**2018 1-11-21-31-41-51-61-71-8Total2019 2-12-22-32-42-52-62-72-8Total2020 2-12-22-32-42-52-62-72-8Total Cyprinidae잉어과 1110.04 2220.08E 35232332237120718192211279757840312181375731088238199139.53 14210401928111916156372489.89E, C 134124106821315771324159873199228978261115746.15E
Pungtungia herzi 돌고기 Coreoleuciscus splendidus쉬리 Rhynchocypris oxycephalus 버들치 Rhynchocypris kumgangensis 금강모치 Zacco koreanus참갈겨니 Zacco platypus 피라미5550.20 Balitoridae종개과0.00 1110.04Orthrias nudus 대륙종개 Cobitidae 미꾸리과0.00 Iksookimia koreensis 참종개22111140.16E 11552280.32EKoreocobitis rotundicaudata 새코미꾸리 Siluridae메기과0.00 Silurus microdorsalis 미유기2241273115140.56E Amblycipitidae퉁가리과0.00 Liobagrus andersoni 퉁가리335522100.40E 1271011617180.27ELiobagrus mediadiposalis 자가사리 Salmonidae연어과0.00 Oncorhynchus masou masou 산천어(송어)333360.24L, T Cottidae 둑중개과0.00 552299160.64E, L, CCottus koreanus둑중개 Centropomidae 꺽지과0.00 665555160.64ECoreoperca herzi 꺽지 Odontobutidae동사리과0.00 Odontobutis platycephala동사리9110100.40E 29123334132811242513833243111116Number of species Number of individuals147194402615613910721010191781268241741667578775133192614179152108827132507 *Relative abundance (%), **E: Korean endemic species, L: land-locked species, C: climate-sensitive species, T: introduced species.
Table 2. List of fish species and number of individual fish collected in the Sobaeksan National Park, Korea from 2018 to 2020.
지점별 출현현황을 보면, 2018년의 종수는
1~9종이
출현하였는데, St. 1-2에서9종이 출현하여 가장 종수가
많았으며 St. 1-3은 1종이 출현하여 가장 적었다. 개체수 는 26~210개체로 출현하였는데, St. 1-8이 210개체로 가 장 많았고St. 1-3이 26개체로 가장 적었다. 2019년의 종
수는
1~8종이 출현하였는데, St. 2-1에서 8종이
출현하여 가장 종수가 많았으며, St. 2-7, 2-8은
1종이
출현하여가장 적었다. 개체수는
12~178개체로
출현하였는데, St.2-1이 178개체로 가장
많았고 St. 2-2가 12개체로 가장 적었다. 2020년의 종수는1~8종이 출현하였는데, St. 2-1
에서 8종으로 가장 많았, St. 2-7과 2-8에서 1종으로 가 장 적었다. 개체수는14~179개체가
출현하였는데, St.2-5가 179개체로 가장 많았고, St. 2-4가 14개체로 가장
적었다(Table 2).3. 우점종과 군집분석
2018년 우점종은
참갈겨니, 아우점종은 버들치, 2019년과
2020년은 공통적으로 우점종은
버들치, 아우점종은 참갈겨니였다. 지점별 우점종은
2018년
참갈겨니 5 지점, 금강모치2지점,
버들치1지점이었고, 2019년과
2020년은 동일하게
버들치 4지점, 참갈겨니 3지점, 금강모치
1지점이었다.
연도 및 지점별 군집분석 결과는
Table 3과
같았다.2018년의 우점도는 0.87~1.00으로 모두 높았고,
다양도는 0.15~1.04로 대부분 낮았지만 St. 1-2는 1.04로 비교 적 높았다. 균등도는 0.21~0.58로 모두 낮았고, 풍부도는
0.31~1.52로 대부분
낮았으나St. 1-2가 1.52로 비교적
높았다. 2019년의 우점도는 0.87~1.00으로 모두 높았고, 다양도는0.29~1.02로 대부분
낮았지만St. 2-3, 2-1이 1.01~1.02로 비교적
높았다. 균등도는 0.41~1.00으로 대Years Index Stations
Total
1-1 1-2 1-3 1-4 1-5 1-6 1-7 1-8
2018
Dominance 1.00 0.87 1.00 1.00 0.94 0.99 0.98 0.96 0.77
Diversity 0.15 1.04 - 0.36 0.63 0.58 0.61 0.80 1.18
Evenness 0.21 0.47 - 0.52 0.57 0.53 0.55 0.58 0.46
Richness 0.20 1.52 - 0.31 0.40 0.41 0.43 0.56 1.73
2019
Index 2-1 2-2 2-3 2-4 2-5 2-6 2-7 2-8 Total
Dominance 0.84 1.00 0.88 1.00 0.98 1.00 1.00 1.00 0.93
Diversity 1.01 0.29 1.02 0.29 0.73 0.69 - - 1.03
Evenness 0.48 0.41 0.63 0.41 0.53 1.00 - - 0.40
Richness 1.35 0.40 0.95 0.31 0.58 0.20 - - 1.80
2020
Dominance 0.81 0.95 0.92 1.00 0.92 0.99 1.00 1.00 0.90
Diversity 1.10 0.63 0.79 0.26 0.98 0.73 - - 1.09
Evenness 0.53 0.58 0.72 0.37 0.70 0.66 - - 0.46
Richness 1.43 0.68 0.61 0.38 0.58 0.40 - - 1.52
Table 3. Community indices in the Sobaeksan National Park, Korea from 2018 to 2020.
Fig. 2. Relative abundance of the Sobaeksan National Park, Korea from 2018 to 2020.
부분 낮았으나
St. 2-6은 1.00으로 비교적
높았고, 풍부 도는 0.20~1.35로 대부분 낮았으나St. 2-1이 1.35로 비
교적 높았다. 2020년의 우점도는 0.81~1.00으로 모두 높 았고, 다양도는0.38~1.10으로 대부분 낮았지만 St. 2-1
이 1.10으로 비교적 높았다. 균등도는 0.37~0.72로 대부 분 낮았으나 St 2-3, 2-5는0.70~0.72로 비교적
높았고, 풍부도는0.38~1.43으로 대부분
낮았으나St. 2-1이가
1.43으로 비교적 높았다. 동일한 지점에서 조사된 2019
년과 2020년의 군집분석 결과, 우점도의 경우 약간의 차 이만 있을뿐 거의 동일하였고, 다양도에서는
St. 2-2가 0.29에서 0.63, St. 2-5가 0.73에서 0.98로 상승한
반면St. 2-3은 1.02에서 0.79로 감소하였고,
균등도는 St. 2-2 가0.41에서 0.58, St. 2-3은 0.63에서 0.72, St. 2-5는 0.53에서 0.70으로 상승한
반면 St. 2-6은 1.00에서 0.66 으로 가소하였으며, 풍부도는St. 2-1은 1.35에서 1.43, St. 2-2는 0.40에서 0.68, St. 2-4는 0.31에서 0.38, St. 1-6
은0.20에서 0.40으로 증가한
반면St. 2-3은 0.95에서
0.61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4. 하천건강성평가
어류를 통한 하천건강성평가 결과, 2018년은 매우 좋
음 2지점(St. 1-2, 1-8), 좋음 4지점(St. 1-1, 1-5~1-7), 보 통
2지점(St. 1-3, 1-4), 2019년은 매우
좋음1지점(St.
2-1),
좋음 5지점(St. 2-3~2-7), 보통 2지점(St. 2-2, 2-8),2020년은 매우
좋음2지점(2-1, 2-5),
좋음3지점(2-3, 2-6, 2-7),
보통 3지점(2-2, 2-4, 2-8)으로 평가되었다. 연 도에 따른 지점별 하천건강성평가 결과, St. 2-4는 2019 년 좋음에서2020년 보통으로 하락한
반면St. 2-5는
2019년 좋음에서 2020년 매우
좋음으로 상승한 결과를보였으나 그 외 지점들은 동일하였다(Table 4).
고찰
소백산국립공원의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자원모니
터링으로 서식이 확인된 어류는 8과 16종2,507개체였
으며 매년 11~13종이 채집되었다. 소백산국립공원에 서식 하는 어류는 공원자원조사 1기 조사로 12과35종(KNPS, 1998), 2기 조사로 11과 31종(KNPS, 2007), 3기 조사로 12과 30종(KNPS, 2016)이 보고된 바 있어 본 조사
결과 보다 종수가2배 이상 많았는데, 이러한 원인은 공원자
원조사 범위가 국립공원 및 인근 지역까지로 보다 넓고Year Months Sations
1-1 1-2 1-3 1-4 1-5 1-6 1-7 1-8
2018
April 68.8 93.8 56.3 56.3 56.3 62.5 68.8 81.3
July 75.0 87.5 56.3 56.3 75.0 75.0 62.5 75.0
October 68.8 100.0 56.3 56.3 75.0 68.8 81.3 87.5
Average 70.9 93.8 56.3 56.3 68.8 68.8 70.9 81.3
Grade B A C C B B B A
Years Months 2-1 2-2 2-3 2-4 2-5 2-6 2-7 2-8
2019
April 100.0 56.3 56.3 56.3 75.0 62.5 56.3 56.3
July 100.0 62.5 81.3 62.5 62.5 62.5 56.3 56.3
October 93.8 56.3 56.3 62.5 87.5 68.8 68.8 62.5
Average 97.9 58.4 64.6 60.4 75.0 64.6 60.5 58.4
Grade A C B B B B B C
2020
April 87.5 62.5 56.3 56.3 81.3 56.3 68.8 56.3
July 87.5 56.3 62.5 56.3 87.5 81.3 68.8 56.3
October 87.5 56.3 68.8 62.5 87.5 81.3 68.8 62.5
Average 87.5 58.4 62.5 58.4 85.4 73.0 68.8 58.4
Grade A C B C A B B C
Table 4. biological integrity (IBI) in the Sobaeksan National Park, Korea from 2018 to 2020.
Scientific names and Korean names
Resource Monitoring Park Resource Survey Geumgyeji
Yoon et al. Present study KNPS NPRI
2016 2017 2018 2019 2020 1998 2007 2016 2014 2020
Petromyzonidae 칠성장어과
Lethenteron reissneri 다묵장어 2
Cyprinidae 잉어과
Cyprinus carpio 잉어 ○ 4 2
Carassius auratus 붕어 ○ 10 1
Acheilognathus signifer 묵납자루 ○ 15 124
Acheilognathus yamatsutae 줄납자루 4
Pseudorasbora parva 참붕어 ○ 11
Pungtungia herzi 돌고기 1 ○ 68 122
Pseudopungtungia tenuicorpa 가는돌고기 ○ 1 2
Coreoleuciscus splendidus 쉬리 2 ○ 31 15
Squalidus gracilis majimae 긴몰개 ○ 87 68
Hemibarbus labeo 누치 3
Hemibarbus longirostris 참마자 ○ 1
Hemibarbus mylodon 어름치 ○ 1 5
Abbottina rivularis 버들매치 13
Pseudogobio esocinus 모래무지 ○ 18 5
Microphysogobio longidorsalis 배가사리 ○ 43
Microphysogobio yaluensis 돌마자 ○ 39 35
Microphysogobio jeoni 됭경모치 ○
Gobiobotia brevibarba 상어 ○ 1
Rhynchocypris oxycephalus 버들치 248 144 207 403 381 ○ 769 1183 3
Rhynchocypris kumgangensis 금강모치 159 79 192 19 37 ○ 750 255
Zacco koreanus 참갈겨니 262 308 577 319 261 ○ 1121 1233 271 3
Zacco platypus 피라미 5 ○ 96 2
Balitoridae 종개과
Orthrias toni 종개 4 1
Orthrias nudus 대륙종개 1 ○ 35 35
Cobitidae 미꾸리과
Misgurnus anguillicaudatus 미꾸리 ○ 8 11 1
Misgurnus mizolepis 미꾸라지 ○
Iksookimia koreensis 참종개 8 3 2 1 1 ○ 18 32
Cobitis hankugensis 기름종개 22 32
Koreocobitis rotundicaudata 새코미꾸리 1 1 5 2 ○ 9 5
Siluridae 메기과
Silurus asotus 메기 26 1
Silurus microdorsalis 미유기 15 9 2 7 5 ○ 4 8
Bagridae 동자개과
Pseudobagrus koreanus 눈동자개 1
Amblycipitidae 퉁가리과
Liobagrus andersoni 퉁가리 3 5 2 ○ 3
Liobagrus mediadiposalis 자가사리 8 6 10 1 7 ○ 23 11 1
Osmeridae 바다빙어과
Hypomesus nipponensis 빙어 ○ 2
Plecoglossus altivelis 은어 ○ 2
Table 5. Historical record of ichthyofauna in the in the Sobaeksan National Park, Korea.
조사지점도 46~54개로 많았기 때문이다. 한편 소백산국 립공원에 위치한 금계저수지는 생태계교란종의 관리방 안으로 조사되었는데, 2014년
5과 7종, 2020년 7과 10종
이 서식하며, 생태계교란종인 배스가 우점하며 블루길도 함께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주목되었다(Table 5, NPRI,2014; 2020).
자원모니터링 조사지점은 2019년을 기점으로 일부 조 사지점(4개)이 변경되었는데, 1개 지점은 마포천에서 죽 령천으로, 나머지
3개 지점은 상류에서 최상류 지점으로
옮겨졌다. 이러한 원인으로 인해 2019-2020년은2018년
에 비해 일부 종수 및 개체수가 감소하게 되었으며, 군집 분석 결과에서도 우점도와 풍부도는 증가하고 다양도와 균등도는 감소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었다(Fig. 3).2018년과 동일한 지점을 조사한 2016~2017년 조사결
과에서는 10종의 종수가 출현하는 것으로 보고되여(Yoon et al., 2016; 2017) 본 조사(2018년)에서
3종이 증가하였
는데, 이중 둑중개는 본 조사로 St. 1-1에서 처음으로 서 식이 확인되었으며, St. 1-2의 남천(한강수계)에서 퉁가 리가 추가로 확인되었다. 이중 남천의 경우2016~2017
년 자원모니터링에 자가사리가 서식한다고 기록하였으 나(Yoon et al., 2016; 2017) 본 조사에서 채집된 개체는 외부 형태로 퉁가리로 동정되었으며, 퉁가리는 한강수 계에, 자가사리는 낙동강 수계에 서식하기 때문에(Kim,
1997; Kim
et al., 2005; Kim and Park, 2007) 기존 조사 에서 오동정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Yoon
et al. (2016;2017)은 같은 지점에 출현한 종개과 어류를 종개 Orthrias
Scientific names and Korean names
Resource Monitoring Park Resource Survey Geumgyeji
Yoon et al. Present study KNPS NPRI
2016 2017 2018 2019 2020 1998 2007 2016 2014 2020
Salmonidae 연어과
Oncorhynchus masou masou 산천어(송어) 13 4 3 3 ○ 6 3
Cottidae 둑중개과
Cottus koreanus 둑중개 5 2 9 ○ 17
Centropomidae 꺽지과
Coreoperca herzi 꺽지 7 8 6 5 5 ○ 23 47
Siniperca scherzeri 쏘가리 2
Odontobutidae 동사리과
Odontobutis platycephala 동사리 1 10 ○ 22 91 3
Odontobutis interrupta 얼록동사리 1
Centrarchidae 검정우럭과
Micropterus salmoides 배스 8 3894 1176
Lepomis macrochirus 블루길 4
Gobiidae 망둑어과
Rhinogobius brunneus 밀어 ○ 16 55 4
Channidae 가물치과
Channa argus 가물치 ○
Number of species 10 10 13 13 11 35 31 30 7 10
Number of individuals 725 563 1019 775 713 - 3265 3417 4198 1199
Table 5. Continued
Fig. 3. Community indices of the Sobaeksan National Park, Korea from 2016 to 2020.
toni로 동정하였으나 종개는 한강수계에 서식하지 않고 동해안 일부 지역에만 서식하고 한강수계에 서식하는 종은 대륙종개 Orthrias nudus로 보고된 바 있어(Kim et al., 2005; Kim and Park, 2007) 대륙종개로 동정⋅정리 하였다.
기후변화민감종(냉수성 어류)으로 금강모치와 둑중개 가 서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금강모치는 남한강 지류
St. 1-1~1-4 (2-1~2-3)에 서식이 확인되어 소백산국립공
원 한강수계 상류수역에 폭넓게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둑중개는 St. 1-1 (마포천)과St. 2-5 (사천)에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둑중개는 과거(2005~2012 년)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된 바 있는 종으로 한강과 임진 강, 일부 동해안 독립하천 상류부에 넓게 서식하고 낙동 강 상류에는 매우 희귀하게 서식하며 만경강과 금강, 섬 진강 집단은 절멸된 것으로 보고되었다(NIBR, 2011;2019).
둑중개가 출현 지점 중 낙동강 수계St. 2-5는 매
우 희귀한 둑중개 서식지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심과 보호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산천어(송어)는 국내이입종으로
St. 1-3 (2-2), 1-4
(2-3)에서 서식이 확인되었다.
본 종은 우리나라 동해안에만 자연 서식하는 어류로 바다를 회유하는 집단을 ‘송 어’로 바다로 나가지 않고 담수에 적응한 집단을
‘산천
어’로 부른다(Kim, 1997; Kim et al., 2005; Kim and Park,2007).
최근 강원도 화천의 산천어 축제를 비롯한 겨울축제에 본 종이 이용되고 자원조성용으로 전국에 방류 되면서 전국적으로 이입되었으며, 이후 방류지에 정착 하면서 서식하게 되었다(NIBR, 2019). 따라서 소백산국 립공원에 출현한 산천어(송어)는 인위적으로 방류된 국 내이입종으로 판단되며, St. 1-4 (2-3)은 2012년 이후 지 속적으로 채집되었으나(Yoon et al., 2016; 2017) 2019년 부터 서식이 확인되지 않으며, St. 1-3 (2-2)는 2016년에 서식이 확인되었으나(Yoon et al., 2016)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서식이 보고되지 않았으나 2020년에 다시
서식이 확인되었다. 전체적으로 출현기록을 볼 때 소백 산국립공원에서 산천어(송어)는 방류이후 지속적으로 세대유지는 되고 있으나 개체수는 많지 않을 것으로 추 정된다. 그러나 산천어는 수서곤충과 어류를 주로 섭식 하는 상위포식자이기 때문에(Yoon et al., 2013) 급격한
개체수 증가는 생태계 교란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추후 서식양상에 대한 정밀조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인위적인 방류는 반드시 지양해야 할 것이다.
국립공원 자원모니터링 분석방법은 2018년까지 군집 분석을 2019년 이후부터는 하천건강성평가를 사용하고 있다. 군집분석에 비해 하천건강성평가는 우리나라 하 천의 건강성을 평가하기 위해
2007년에 개발된 후 현재
까지 하천의 건강성을 평가하고 있고, 8개의 메트릭(국 내종의 총 종수, 여울성 저서종서, 민감종수, 내성종의 개체수 비율, 잡식종의 개체수 비율, 국내종의 충식종 개 체수 비율, 채집된 국내종의 총 개체수, 비정상종의 개체 수 비율)으로 구성되있으며, 하천차수에 따라 차등 적용 되며, 100점 만점으로 평가되어 쉽게 건강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NIER, 2016; 2019). 하지만 하천건 강성평가는 우리나라 전체의 하천을 평가하기 위해 제 작된 평가기법으로 주로 산지에 위치한 국립공원의 건 강성을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는데, 고도가 높은 지역 의 경우 하천차수가1~3차일 수 있지만
높은 고도 및 단순한 하천 환경으로 인해 매우 적은 종수만이 서식할 수 있어 하천건강성이 낮게 평가될 수 있다. 따라서 추후 국립공원의 하천건강성을 평가할 수 있는 별도의 평가 기법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자원모니터링을 통한 소백산국립공원은 서식지가 잘 보존되고 있어 안정적으로 어류가 서식하고 있었으며 하천건강성평가도 대체적으로 보통에서 아주 좋음으로 비교적 양호하게 평가되었다. 다만 한 지점에서 하천공 사가 진행되어 서식지가 교란되었고 국내이입종인 산천 어가 두 지점에서 이입되어 서식하는 것이 관찰되어, 추 후 안정정인 어류 서식을 위해서는 무분별한 하천공사 를 지양하고 국내이입종 등의 방류를 금지하여야 할 것 이다. 또한 본 조사에서는 출현하지 않았지만 소백산국 립공원 내에 위치한 금계지에는 외래종인 배스와 블루 길이 도입되어 서식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NPRI,
2014; 2020).
이 두 종은 모두 1998년에 환경부에서 생 태계 교란 야생생물로 지정된 종으로 포식성이 강해 우 리나라 고유종과 토착종을 섭식하여 종의 감소를 초래 하기 때문에(Ko et al., 2008; 2017; Lee et al., 2009;MAFRA, 2010; Park
et al., 2018) 소백산국립공원내 하천 및 다른 저수지로의 이동을 방지하여야 하고 지속적 인 관심 및 관리방안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참고문헌
Cummins KW. 1962. An evolution of some techniques for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benthic samples with spe- cial emphasis on lotic waters. Amer. Midl. Nat'l. 67:
477-504.
Jang MH, GJ Joo, MC Lucas. 2006. Diet of introduced large- mouth bass in Korean rivers and potential interactions with native fishes. Ecol. Freshwater Fish. 15: 315-320.
Kani T. 1944. Ecology of torrent-inhabiting insects. Pp.
171-317, In Insect I (Furukawa J, ed.). Kenkyu-sha, Tokyo.
(in Japanese)
Kim IS. 1997.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37, Freshwater fishes. p. 518. Ministry of Education, Yeongi. (in Korean)
Kim IS, JY Park. 2007. Freshwater fishes of Korea. p. 467.
Kyohak Publishing, Seoul. (in Korean)
Kim IS, Y Choi, CL Lee, YJ Lee, BJ Kim, JH Kim. 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p. 615. Kyohak pub- lishing, Seoul. (in Korean)
KNPS (Korea National Park Service). 1998. Natural resource survey of Sobaeksan National Park. Pp. 151-183.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Namwon. (in Korean) KNPS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07. Natural resource
survey of Sobaeksan National Park. p. 713.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Namwon. (in Korean) KNPS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6. Natural resource
survey of Sobaeksan National Park. p. 788.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Wonju. (in Korean) KNPS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20. 2020 National
Park basic statistics. p. 225. Korea National Park Service, Wonju. (in Korean)
Ko MH, JY Park, YJ Lee. 2008. Feeding habitats of an introduced large 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Perciformes; Centrachidae), and its influence on ich- thyofauna in the Lake Okjeong, Korea. Korean J. Ichthyol.
20: 36-44. (in Korean)
Ko MH, YS Kwan, WK Lee, YJ Won. 2017. Impact of human activities on changes of ichthyofauna in Dongjin river of Korea in the past 30 years. Animal Cell. Syst. 21:
207-216. (in Korean)
Kwater. 2007. A guidebook of rivers in South Korea. p. 582.
Kwater, Daejeon. (in Korean)
Lee WO, H Yang, SW Yoon, JY Park. 2009. Study on the feeding of Micropterus salmoides in lake Okjeong and lake Yongdam, Korea. Korean J. Ichthyol. 21: 200-207.
(in Korean)
MAFRA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0. The national survey of low head dams and devel- opment of database in Korea.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ejong. p. 275. (in Korean)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eral
Systems. 3: 36-71.
McNaughton SJ. 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 ties of California Grassland. Nature. 216: 144-168.
Nelson JS. 2006. Fishes of the World. p. 601. John Wiley
& Sons, Inc., Alberta.
NFRDI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2010. A study on the distribution, utilization and man- agement of foreign fish species. p. 130.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Gapyeong. (in Korean) NIBR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1. Red
data book of endangered fishes in Korea. p. 202. Ministry of Environment,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in Korean)
NIBR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9. Red data book of Republic of Korea, Volume 3. Freshwater fishes. p. 250. Ministry of Environment,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in Korean) NI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5. Biodiversity com-
prehensive report of DMZ protected areas. p. 375.
Ministry of Environment,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in Korean)
NI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1.
Biodiversity comprehensive report of Baekdudaegan pro- tected areas. p. 196. Ministry of Environment,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in Korean)
NI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6.
Survey and evaluation method for river and stream eco- system health assessment. p. 313.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in Korean)
NI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9.
Survey and evaluation method for river and stream eco- system health assessment. p. 131.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 Korean)
Nishimura S. 1974. History of Japan sea: approach from biogeography. p. 274. Tsukiji-Shokan, Tokyo. (in Japanese) NPRI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14. 2014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specific foreign species. p. 140.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Wonju. (in Korean) NPRI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19. 2019 National
Park resource survey. Freshwater fishes. p. 97.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Wonju. (in Korean)
NPRI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20.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specific foreign species. p. 161.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Wonju.(in Korean) Park JS, SH Kim, HT Kim, JG Kim, JY Park, HS Kim. 2018.
Study on feeding habits of Micropterus salmoides in hab- itat types from Korea. Korean J. Ichthyol. 1: 39-53. (in Korean)
Pielou EC. 1966. Shannon's formula as a measure of diversity.
American Natural. 100: 463-465.
Pielou EC. 1975. Ecological diversity. p. 165. John Wiley, New York.
Yoo DG, GS Lee, GY Kim, NK Kang, BY Yi, YJ Kim, JH Chun, GS Kong. 2016. Seismic stratigraphy and deposi- tional history of late Quaternary deposits in a tide-domi-
nated setting: An example from the eastern Yellow Sea.
Mar. Petrol. Geol. 73: 212-227.
Yoon CH, GS Kang, SG Park. 2016. 2016 Resource monitor- ing of the Sobaeksan National Park, Korea. Sobaeksan National Park.
Yoon CH, GS Kang, SG Park. 2017. 2017 Resource monitor- ing of the Sobaeksan National Park, Korea. Sobaeksan National Park.
Yoon HN, DK Ki, YL Jeon, JH Lee, YJ Park. 2013. Stomach contents of the manchurian trout (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 and river salmon (Oncor-hynchus masou masou) in the Odae Mountain, Gangwondo. Korean J.
Ichthyol. 25: 90-105. (in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