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신임 소장 인터뷰 - S-Space - 서울대학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신임 소장 인터뷰 - S-Space - 서울대학교"

Copied!
4
0
0

Teks penuh

(1)

먼저 취임소감을 여쭙겠습니다. 센터에 취임하시기 전에 가지셨던 생각과 취임 후에 어떻게 생각이 바뀌셨는지 궁금합니다.

양호환 소장(이하 소장): 제 자신도 CTL 혹은 이전의 IMC가 대학과 어 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피부로 느끼지 못했던 거 같아요. ‘아. 여러 가지 서비스를 했구나’, ‘여러 가지 활동에 관한 홍보를 하니까 일이 굉장히 많아졌구나’이런 생각을 했고, 특히 옛날에 IMC 시절에는 지원시설 특 히 하드웨어적인 지원시설로 있었고 활용도도 높지 않았는데 아마 강명 구 소장님 취임하시고부터 이게 CTL로 바뀌고 글쓰기교실이라고 하는 기능이 추가되고 하면서 CTL이 규모와 활동이 커졌거든요.

그런데 저는 직접 참여한 적이 없는 그런 상황이었죠. 그러다가 교무 처에서 일을 하게 되면서 소관부서로서 CTL과 여러 가지 업무협의를 하 게 되었고, 그 가운데 CTL이 점점 대학교육에 중심으로 역할 재정립이 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어요. 한편으로는 제가 이전에 IMC, 혹은 매 체개발 이런 쪽에 문외한이기 때문에 일을 맡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또 한편으로는 나와 같이 잘 모르기 때문에 시설을 잘 이용하지 못했던 사람 입장에서 보면 더 많은 사람에게 접근할 수 있는 통로를 개발해 내는 데는 도움이 될 수 있겠다, 교무처가 특히 강의와 관련된 부분에 있어서는 더욱 더 직접적이고 내실있는 서비스를 할 수 있는 방안 등을 마련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취임 후 첫 소감은 조직이 우선 굉장히 역동적이라는 것이었습니다.

구성원이 다양하다는 것이 특징이고, 서울대학 내에서 드물게 보는 연

6

신임 소장 인터뷰

교수학습개발센터

특집

양 호 환

서울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소장

(2)

구 인력, 그리고 시스템 운영 인력, 이런 다양한 인력들이 있어서 잠재 력이 굉장히 큰 기관이구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교무처같은 데는 관공 서 같은 느낌이 강한데 여기는 연구소와 같은 느낌이 훨씬 강하거든요.

그리고 그게 장점인 거 같아요. 관공서 같은 엄격함이나 이런 것보다는 훨씬 유연하게 문제에 접근하고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라고 생 각합니다.

CTL의 문제점이라고 느끼신 점은 무엇입니까?

소장: 제가 이미 말씀을 드렸지만 활동이 다양하다 보니까, CTL이 통 합적으로 어떤 서비스를 하는가 하는 게 희석된 면도 있죠. 서비스 영역 을 넓혀가다 보니까 실제로 방만해진 것도 있고요. 외부에서‘무엇 하나 제대로 하는 게 뭐냐’, ‘가장 특징적으로 잘 하는 게 뭐냐’하는 것을 물 을 때, 우리가 내세울 수 있는 게 있어야 할 거 같습니다.

특성화 사업이 하나의 계기가 됐죠. 새로운 사업을 시작할 수 있었고, 그 결과 e-TL도 탄생했고 그밖에도 새로운 사업들을 시작을 했는데, 홍 보가 안되는 게 활용이 안되는 진짜 이유인지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는 게 아닌지 그런 부분이 사실 걱정입니다.

평교수 시절에 CTL에 대해 혹은 CTL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셨나요?

소장: 사실은 저는 강의를 잘한다고 생각했어요. 강의를 잘 한다는 게 어떤 의미냐 하면 내가 굉장히 열심히 가르치고, 학생들의 반응도 그렇 게 나쁘지 않았거든요. 그랬기 때문에 제가 다른 매체 지원이 필요할 것 이라는 생각을 잘 못했어요. 저는 전공특성이나 강의유형면에서 본다면 특별한 지원의 필요를 못 느끼고 있었던 거죠. 저와 같은 전공의 저와 같은 강의유형의 강의를 하시는 분들, 옛날 방식으로 별다른 매체가 필 요없는 강의를 하시는 분들도 적지 않을 것입니다. 그런 분들에게도 CTL이 어떤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걸 그분들이 피부로 느끼시지 못하는

7 특집 교수학습개발센터 신임 소장 인터뷰

(3)

것 같습니다.

우리 CTL에서 제공하는 지원이 단지 첨단적이고 선진적이고 기술적 인 부분뿐만 아니라, 전통적으로 강의를 해오신 분들에게도 상당한 도 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홍보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이런 점에서 교 육의 실제 주관기관인 단과대학, 학과와 함께 협조를 원활히 하는 게 좋 을 거 같습니다.

교무부처장님으로서 겸직하시게 된 배경에 대해서 말씀해주십 시오.

소장: 업무가 늘어난다는 것은 상당한 부담이었습니다. 그런데 단적 으로 얘기하면, 앞으로는 우리 대학뿐만 아니라 교무처의 업무가 이런 식으로 확장되거나 변화되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을 해요. 교무처가 교 원인사, 학사관리 이런 것을 주로 했는데 앞으로는 실질적으로 교수학 습개발을 주도하고, 그런 것들을 연구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것 을 시행하는 것은 행정라인에서 맡는 것이고요. 그래서 이게 아마 대학 행정에서 교무처가 하는 역할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이 될 수 있겠다 하 는 생각이 듭니다.

예전에는 교무처가 행정적으로라도 그런 일들을 했는데, 지금은 교수 학습개발을 담당하는 기관이 별도 조직으로 나와 있고, 별도 기관장이 오시면서 그러면서도 벌어진 문제는 협조가 긴밀하지 못하다는 거죠.

그래서 직접 책임을 맡게 되면 교무처의 기능이라는 것도 행정적인 기 능에서 연구기능, 기획으로 바뀔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센터소장이 되셨으니, 센터소장의 입장에서 교무처와 어떻게 협력 해 나가야 한다고 생각하시는지요.

소장: 센터 소장에서 일이 돌아가는 것을 짧은 시간이나마 보니까, 학 생들이나 교수님이 자발적으로 참여해주는 것만으로 기다리는 것에는 한계가 있는 거 같아요. 이 문제를 홍보로 해결할 수는 없을 것 같습니

8

특집 교수학습개발센터 신임 소장 인터뷰

(4)

다. 결국은 CTL에서 하는 서비스가 학교의 교육, 교수 학생의 강의에 있 어서 실제적인 input이 되기 위해서는 교무처가 다리가 되어야 한다, 교 무처가 다리가 되는 방식은 교육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기획을 공동으 로 협의하고, 그런 것들이 실행되었을 때, 어떤 결과가 나오는가 하는 것을 검토하고, 또 그 가운데서 자료를 제공하고, 보관하고, 분석하고 그것을 수업이든 교수 승진 업적 평가든 각종 교무 행정에 활용하는 그 런 시스템이 마련되었으면 좋겠다 하는 생각을 합니다. 그래도 여전히 숙제로 남아 있는 건 여기는 연구소와 같은 풍토를 가지고 있고, 교무처 는 행정라인 풍토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다는 점이죠.

마지막으로, 향후 계획을 말씀해주십시오.

소장 : 우리가 우선 제공하고 있는 각종의 지원업무를 체계화해야겠 다, 그리고 거기에 맞춰서 인력배치도 조정을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 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제일 중요한 과제는 여러 번 말씀드렸지만, 막 대한 인력이랑 예산을 들여서 지원업무를 하고 있는데, 나 같은 사람, 즉 이런 서비스가 있어도 피부로 느끼지 못하는 학내구성원들에게 다가 갈 수 있고, 필요한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입니다. 왜냐 하면, 우리가 해드리고 있는 서비스의 본질은 교육의 질을 향상하는 데 의미가 있는 거잖아요. 그게 제대로 시행되고 있지 않다면, 교무부처장 이 CTL 소장을 겸임한다 해도 의미가 사라지는 것이고, 결국 체계적인 지원방안을 어떻게 내실화하느냐, 그 부분에 집중해서 일을 해봤으면 좋겠습니다.

바쁘신 중에 인터뷰에 응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9 특집 교수학습개발센터 신임 소장 인터뷰

Referensi

Dokumen terkait

초임계 아세틸레이션은 비록 미세하게 한지의 색깔 변화를 일으켰지만 기존의 아세틸레이션 방법에 비해 한지의 인장 지수를 향상 시켰고 적은 양의 무수아세트산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한지에 보다 균일한 내수성을 부여하여 젖지 않는 한지를 만들 수 있게 했다.. 초임계 아세틸레이션의 최적조건을 찾기 위해 온도와 몰분율을

첫 번째로 ‘완물상지’에 대한 문제는 조선의 완물 문화를 이야기하기 위한 출 발점임에도 불구하고, 그간에 이를 중점화하여 총괄적으로 다룬 연구는 미진한 채로 완물을 즐기는 현상에 보다 많은 관심이 집중되어 왔다.21 그런데 『서 경』의 ‘완물상지’의 쟁점을 분석하면 완물이 ‘상지’가 되는 전제 조건을 파악할 수 있어서 사대부

우리 대학에서는 이공계 대학원생 및 연구원을 대상 으로 환경안전교육을 받지 않으면 실험실을 출입할 수 없도록 하였다.. 또한 일부 단과대학에 한하여 논문 자격시험제한, 방사성동위원소 구매금지, 연구원생증 발급중지, 출입하는 건물의 지문인식 등록 삭제 등 일 본의 대학에 비하여 강력한 제재조치가 시행되고 있 는

정보화사업 효과성 측면별 평가기준 한국전산원, 1999 3.3.1 정보화사업의 효과성 평가계획 수립 효과성 평가는 정보화사업이 당초 계획수립시 의도한 효과를 가져왔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사업의 목표달성 여 부를 평가하는 것으로, 사전에 정의된 정보화 효과가 실 제로 구현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추가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효과에

당시 같은 병으로 고투苦鬪하시던 몇 분의 동료는 병원의 처방으로 어느 정도 호전되는 듯 했으나, 결국은 저 승으로 가신걸 보면 차라리 나름대로의 처방이 더 낫지 않았나, 그리고 이 모든 것이 아들 덕 분일지도 모른다는 우연偶然과 필연必然의 묘한 연緣으로 떠오르기도 했다.. 아들의 건강 때문에 항상 노심초사勞心焦思하시던 어머님이

삼은 ‘고전’이라는 개념조차도 인간의 가치를 드높이 시 위하여 설정된 개념힐 것이므로, 한 인간의 성장과 가치 있는 삶 쪽이l 시선판 두떤 좀더 의 u] 있는 독서 범주가 구상될 수 있지 않을 까 심습니다 비꼭 도단점에 이른 후의 결파는 마찬가지가 될지라도 ‘무엇을 독서할 것인가’의 답또 한 인간의 삶에 맞추어 추구하는 것이

기초교육원에서 문과와 이과에 다른 교양학점 이수규정을 두지 않고 일괄된 기준을 적용한다면, 문과 학생과 이과 학생은 보다 폭넓은 교양을 쌓을 수 있게 될 것입니다.. 학생들이 그 동안 자신의 전공과 전혀 관련이 없다고 여겨 등한시했던 분야를 공부하게 된다면, 앞으로 그들이 연구자가 되어 새로운 연구 분야를 개척할 때 긍정적인

함경 방언의 단순 모음의 수 필자는 함경 방언의 모음 연구를 위하여 평양 방언을 연구할 때와 마찬가 지로 여닮 개의 단순 모음을 실험 분석하였다... 실험에 참가한 함경 화자들이 귀순한 지 1 년 안팎인데 다가 형사를 대통하고 녹음실에 와서 마이크 앞에서 대본을 보고 철자 그대 로를 발음해야 하는 경직된 분위기에서는 이들에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