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서울 속 여섯 번째 도시 디자인 요소의 출현. 강남복합환승센터를 통한 케빈 린치의 다섯 가지 도시 디자인 요소 논의의 확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장 진 욱.
17 최지희 조 복합환승센터사업..동대구가 남긴 숙제는 건설경제. 김경희 게슈탈트 심리학 서울 학지사 김종헌 역사의 역사 대전 배제대학교출판부 서정일 소통의 도시 서울 시공문화사. 에드워드 렐프 장소와 장소상실 김덕현, 김현.
할 박스 건축가처럼 생각하기 허지은 옮김 서울. 김성홍 년 이후 도시건축의 대형화와 건축사사무소의 변화 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 권. 김지하 김승회 도시의 흐름과 건축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용 산 민자역사의 분석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계획 계.
김현식 프레드릭 제임슨의 포스트모던론 연구 사회과 교육 제 권. 이은영, 유진형, 임민택 경험 지향적 매개공간으로서의 지하상 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을지로 지하상가를 중심으로. 이훈 을 이용한 도시환경(都市環境)의 이미지 인지 (認知)에 관한 연구(硏究): 청주시를 중심으로 건설기술논문집.
사회·문화적 배경이 청량리 역사(驛舍)의 건축적 변화 에 미치는 영향; 역사를 넘어서,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서울특별시 년대를 향한 서울시 도시기본 계획.
국문초록
공통점과 차이점을 서술하여, 의심없이 흡수되었던 서구의 담론들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모든 도시는 교통수단의 발달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 히 자동차의 출현으로 인하여, 과밀한 도심지는 교외지로 확장될 수 있는 가능성을 얻게되었고, 이러한 상황에서 건축가 또는 계획가들은 다양한 유 토피아적 도시의 모델을 제안했다.
하지만 근대 건축가들이 제안한 도시는 도시를 살아가는 사람들로 하여금 실존적 의미를 전달하기보다는 설계자 개인의 욕망을 표출하는 도구로서 역할을 하였다. 유럽과 미국의 경우, 케 빈 린치와 같은 후속 연구자들의 등장으로, 도시를 다양하게 인지하는 방 법론과 도시 설계에 대한 논의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 반면, 한국의 경 우는 근대화 과정에 있어, 일본과 미국의 지대한 영향을 받았고, 그 결과 자주적인 도시 담론 형성에 한계를 가지게 되었다. 서울을 이해하기위한 고유의 방법론은 아직까지 제안되지 않고 있다.
연구 대상인 영동대로 복합환승센터는 현대 서울 도시건축의 성향을 대표한다. 현대 서울을 이해함에 있어, 서구의 담론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도출하기 위해 다섯가지 도시 디자인 요소 path, edge, node, district, landmark를 연구 대상에 연역적으로 대입하였다. 그 결과, 영동대로 복합 환승센터는 다섯가지 도시 디자인 요소가 모두 적용되며, 한가지의 디자인 요소로 분류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기존 다섯가지 도시 디자인 요소의 한계를 밝혔으며, 새로운 여섯번째 도시 디자인 요소의 타 당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여섯번째 도시 디자인 요소는 지하 체널 (Underground channel)이다. 지하 체널은 지하에 위치하였기 때문에, 그 물리적인 모습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