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 - S-Space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 - S-Space"

Copied!
116
0
0

Teks penuh

(1)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복합 상업시설의 리모델링 전·후 공간구조분석과 길찾기에 관한 연구

- 코엑스 몰 리모델링에 있어

방문객의 접근성 및 공간 인지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patial Analyses and Wayfinding

Before and After the Remodeling of a Mixed-Use Commercial Complex

-With a Focus on the Access and Spatial Cognition of Visitors After the Remodeling of the COEX Mall-

2019년 2월

서울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배 효 경

(3)
(4)

복합 상업시설의 리모델링 전·후 공간구조분석과 길찾기에 관한 연구

지도교수 최 재 필 서울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배 효 경

최근 복합 상업시설들은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시설을 갖춰 점차 발전하고 있다.

그 수가 급증하면서 기존 복합 상업시설들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노후화된 곳을 보수하고 각양각색의 프로그램을 확보하기 위해 리모델링을 하기 시작했다. 그 중 우리나라 대표적인 복합 상업시설인 코엑스 몰(Coex Mall)이 2013년에 리모델링을 시행했다. 리모델링 직후 더 좋은 평을 받아야하는데 오히려 언론 반응은 차갑기만 했다. 여러 문제점을 제기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 큰 문제점으로 꼽는 것은 방문객 들이 코엑스 몰 내 길찾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코엑스 몰은 리모델링 으로 모든 것이 개선되어 제공하고 있는데 방문객들이 이용에 불편함을 겪는 이유 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코엑스 몰을 대상으로 리모델링 전·후 공간구조를 비교함으로써 어떤 요소가 방문객들의 공간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심층 인터뷰 조사를 통한 방문객들이 길찾기에 어려움을 느끼는 요소들을 도출하고 공간구조에서 확인하고자 축선도 분석(Axial Map)과 가 시성 그래프 분석(VGA)와 같은 공간분석도구를 사용하여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연 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흐름은 크게 세 가지로, 첫째로 방문객들이 길찾기에 어려움을 느끼는 이 유를 구체적으로 도출하기 위해 코엑스 몰 내 심층 인터뷰 조사를 진행하였다. 코

(5)

제점, 방문객들이 제안하는 개선방향에 대한 의견을 들을 수 있었다. 방문객들이 제 기하는 문제점은 통로들이 비슷하게 생겨 사람들이 길을 헤맨다는 점이다. 즉, 주 통로의 부재로 인해 방향성 상실과 통로에 위치한 기둥들이 주변의 시야를 가려 길 찾기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이다.

둘째, 축선도 분석을 활용하여 코엑스 몰 리모델링 전·후의 공간구조를 비교분석 한 결과 리모델링 이전에 비해 이후의 통합도가 전반적으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 다. 이는 공간의 접근성이 더 좋아져 사람들이 다니기 쉬워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 다. 각 분석 범위의 평균 통합도 분석 값을 통해서 리모델링 이전에는 광장이 중심 공간이었다면 리모델링 이후에는 통로가 중심공간임을 예측할 수 있었다. 즉, 리모 델링 이후 주 통로의 부재로 인해 방향성을 잃어 길찾기가 어렵다는 것은 아닌 것 을 의미한다. 명료도가 높아진 것을 보아 리모델링 이전에 비해서 공간 인지가 좋 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언론에서는 문제를 야기하지만 축선도 분석 결과, 지표상 으로는 큰 차이가 없었고 오히려 리모델링 이후가 전반적으로 나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축선도 분석은 기둥을 제외한 시야의 축을 분석하기 때문에 기둥의 존재를 고려할 수 있고 좀 더 자세히 분석이 가능한 가시성 그래프 분석(VGA)를 시행하였다.

셋째, 가시성 그래프 분석은 크게 두 가지로 리모델링 이전과 이후의 공간구조와 리모델링 이후 기둥의 존재를 고려한 공간구조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축선도 분석과는 다르게 리모델링 이전과 이후의 통합도 차이가 컸는데, 리모델링 이전에 는 전반적으로 통합도가 균등하게 높고 특히 랜드 마크가 있는 지점의 통합도가 높 지만 리모델링 이후에는 통로에 교차점만 상대적으로 다른 공간에 비해서 높고 나 머지는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기둥의 존재를 고려한 공간구조 비교분석 결과 로는 기둥을 고려한 공간에 비해 기둥을 고려하지 않았을 때 공간의 통합도가 높았 다. 통로의 교차점 전체공간의 통합도가 전반적으로 높았지만 기둥을 고려한 공간 에서는 통합도의 등락이 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통로에 존재한 기둥의 주변공간 에 통합도 편차가 심한 것으로 나타나 공간의 접근성 및 시야가 제한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료도 분석을 통해 리모델링 이전과 리모델링 이후 기둥을 고려하 지 않았을 때 비슷한 값을 보였으나 기둥을 고려한 공간에서는 명료도가 크게 떨어

(6)

즉, 리모델링을 하면서 통로의 위치 및 변화로 인해 기존에 존재했던 기둥들이 노출되어 통로에 그대로 남게 되었다. 이 기둥들이 방문객들의 공간 인지를 떨어트 리는 요소로 길찾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을 공간구조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 다. 복합 상업시설의 목적은 사람들의 동선을 유도하여 체류시간을 증가시키고자 한다. 이를 통해 사람들에게 경제적 효과를 누리고자 하는 의도로 동선을 복잡하게 했다면 그 의도에 맞게 설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사람들이 길찾기에 불편 함을 겪어 재방문의 의사가 떨어진다면 이용객들의 편의를 먼저 생각하는 설계가 필요할 것 이다. 결국 지하 복합 상업시설은 리모델링 계획 시 기둥의 위치는 바꿀 수 없기 때문에 기둥을 고려한 설계가 필요할 것이다.

주요어: 리모델링, 복합 상업시설, 공간구문론, 축선도 분석, 가시성 그래프 분석, 통합도, 명료도

학 번: 2016-21073

(7)

제 1 장 서 론 ···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2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5

1.2.1. 연구의 범위 ···5

1.2.2. 연구의 방법 ···6

1.3. 연구흐름도 ··· 8

제 2 장 이론적 고찰 ··· 9

2.1. 길찾기에 관한 이론적 고찰 ··· 10

2.1.1. 길찾기의 기본배경 ···10

2.1.2. 길찾기의 기본 개념 및 정의 ···13

2.1.3. 길찾기의 중요성 ···16

2.2. 복합 상업시설에 관한 이론적 고찰 ··· 18

2.2.1. 복합 상업시설의 개념 및 역사 ···18

2.2.2. 복합 상업시설의 특성 ···24

2.2.3. 복합 상업시설과 동선체계 ···27

2.3. 공간구문론에 관한 이론적 고찰 ···30

2.3.1. 공간구문론의 이론적 배경 ···30

2.3.2.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 ···31

2.3.3. 분석 지표 ···34

2.4. 선행연구 고찰 ···36

2.4.1. 복합 상업시설에서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연구 ···37

2.4.2. 공간구문론과 길찾기에 관한 연구 ···39

제 3 장 심층 인터뷰를 통한 코엑스 몰 리모델링 이후의

문제점 분석 ···41

(8)

3.2.1. 코엑스 몰 방문했을 때 이용의 불편한 점 분석 ···42

3.2.2. 이용의 불편한 점 중 보행 문제점 분석 ···45

3.2.3. 방문객들이 제안하는 코엑스 몰의 문제점 개선 방향 ···46

3.3. 심층 인터뷰를 통한 코엑스 몰 리모델링 이후의 문제점 도출 결과 ···48

제 4 장 코엑스 몰 리모델링 전·후의 공간구조 분석결과 51

4.1. 축선도 분석(Axial Map)을 통한 공간구조 분석 ···52

4.1.1. 분석 범위 ···52

4.1.2. 코엑스 몰 리모델링 전·후의 통합도 분석결과 ···54

4.1.3. 소결 ···68

4.2. VGA 분석을 통한 공간구조 분석 ···69

4.2.1. 코엑스 몰 리모델링 전·후의 공간구조 분석결과 ···69

4.2.2. 리모델링 이후 기둥의 존재유무에 따른 공간구조 분석결과 ···74

4.2.3. 코엑스 몰 리모델링 전·후의 명료도 분석결과 ···81

4.2.4. 소결 ···82

제 5 장 결론 ···85

5.1. 연구의 종합 ···86

5.2. 연구의 의의 및 한계 ···89

참고문헌 ···90

부록 ···93

(9)

[표 1-1] 2014년 코엑스 몰 리모델링 이후에 관한 기사 ···3

[표 1-2] 2014년 코엑스 몰 리모델링 이후에 관한 블로그 ···4

[표 2-1] 지각의 구분과 반응 ···11

[표 2-2] Lynch의 도시공간의 이미지 5가지 요소 ···14

[표 2-3] Weisman 4가지 길찾기 요인 ···16

[표 2-4] 유통산업발전법에 의한 업태구분 ···18

[표 2-5] U.E.C의 3대 소비모드 특성 ···20

[표 2-6] 미국 쇼핑몰의 역사 ···21

[표 2-7] 국내 쇼핑몰의 역사 ···23

[표 2-8] 복합 상업시설 형태 분류 ···25

[표 2-9] 복합 상업시설에서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선행연구고찰 ···37

[표 2-10] 공간구문론과 길찾기 관련 선행연구고찰 ···39

[표 3-1] 리모델링 이전과 이후의 인터뷰 비교 ···49

[표 4-1] 각 분석 범위의 평균 통합도 ···55

[표 4-2] 출입구 A-A' 통합도 분석 값 ···57

[표 4-3] 출입구 E-E' 통합도 분석 값 ···58

[표 4-4] 광장 C-C' 통합도 분석 값 ···61

[표 4-5] 통로 B-B' 통합도 분석 값 ···62

[표 4-6] 통로 D-D' 통합도 분석 값 ···64

[표 4-7] 코엑스 몰 리모델링 전·후 통합도 분석 값 ···66

[표 4-8] 코엑스 몰 리모델링 전·후의 VGA 분석 값 ···81

(10)

[그림 1-1] 연구 흐름도 ···8

[그림 2-1] 인간행태와 환경 ···10

[그림 2-2] 길찾기의 과정 ···12

[그림 2-3] Weisman이 제시한 경로탐색에 긍정적인 평면형태 ···14

[그림 2-4] 복합 상업시설의 개념도 ···19

[그림 2-5] Horton Plaza 공간구성 ···27

[그림 2-6] 축선도 분석방법 ···31

[그림 2-7] 가시영역이론에 의한 가시권분석의 예 ···32

[그림 2-8] VGA 분석방법에 의한 노드와 링크 ···33

[그림 4-1] 코엑스 몰 리모델링 이전 분석범위 ···52

[그림 4-2] 코엑스 몰 리모델링 이후 분석범위 ···53

[그림 4-3] 축선도 그래프의 통합도 색 수치 ···54

[그림 4-4] 코엑스 몰 리모델링 이전의 통합도 분석 ···54

[그림 4-5] 코엑스 몰 리모델링 이후의 통합도 분석 ···55

[그림 4-6] 코엑스 몰 리모델링 이전 출입구 A ···57

[그림 4-7] 코엑스 몰 리모델링 이후 출입구 A' ···57

[그림 4-8] 코엑스 몰 리모델링 이전 출입구 E ···58

[그림 4-9] 코엑스 몰 리모델링 이후 출입구 E' ···58

[그림 4-10] 코엑스 몰 리모델링 이전 광장 C ···60

[그림 4-11] 코엑스 몰 리모델링 이후 광장 C' ···60

[그림 4-12] 코엑스 몰 리모델링 이전 통로 B ···62

[그림 4-13] 코엑스 몰 리모델링 이후 통로 B' ···62

[그림 4-14] 코엑스 몰 리모델링 이전 통로 D ···63

[그림 4-15] 코엑스 몰 리모델링 이후 통로 D' ···63

[그림 4-16] 리모델링 이전 명료도 분석 그래프 ···65

[그림 4-17] 리모델링 이후 명료도 분석 그래프 ···65

[그림 4-18] 리모델링 이전 VGA 분석-Interval Scale ···69

[그림 4-19] 리모델링 이후 VGA 분석-Interval Scale ···70

[그림 4-20] 리모델링 이전 VGA 분석-Ordinal Scale ···72

[그림 4-21] 리모델링 이후 VGA 분석-Ordinal Scale ···72

[그림 4-22] VGA분석 (기둥을 고려하지 않았을 때)-Interval Scale ···74

[그림 4-23] VGA분석 (기둥을 고려했을 때)-Interval Scale ···75

(11)

[그림 4-26] 기둥을 고려하지 않았을 때 공간구조분석-통로 D'(Interval) ···76

[그림 4-27] 기둥을 고려했을 때 공간구조분석-통로 D'(Interval) ···76

[그림 4-28] 기둥을 고려했을 때의 통합도(Interval) ···76

[그림 4-29] VGA분석 (기둥을 고려하지 않았을 때)-Ordinal Scale ···77

[그림 4-30] VGA분석 (기둥을 고려했을 때)-Ordinal Scale ···78

[그림 4-31] 기둥을 고려하지 않았을 때 공간구조분석-통로 D'(Ordinal) ···78

[그림 4-32] 기둥을 고려했을 때 공간구조분석-통로 D'(Ordinal) ···78

[그림 4-33] 기둥을 고려했을 때의 통합도-광장(Ordinal) ···79

[그림 4-34] 기둥을 고려했을 때의 통합도-통로(Ordinal) ···79

[그림 4-35] 코엑스 몰 리모델링 이전의 명료도 ···81

[그림 4-36] 코엑스 몰 리모델링 이후 기둥을 고려하지 않았을 때의 명료도 ···· 81

[그림 4-37] 코엑스 몰 리모델링 이후 기둥을 고려했을 때의 명료도 ···81

(12)

제 1 장 서 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 범위 및 방법 1.2.1 연구의 범위 1.2.2 연구의 방법

1.3 연구 흐름도

(13)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996년 1월 우리나라의 유통시장이 전면적으로 개방되면서 대형할인점이 새로운 업태로 진출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상업시설은 의식 주와 같은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는 과소비 형태에서 가치 지향적 소비 문화로 변화하였다. 이 시기의 상업시설은 단순 판매와 구매 행위를 위한 공 간으로 백화점, 대형 할인점 등 대규모 상업공간의 형태를 취하였다. 1990년 대 이후에는 시대 변화에 따라 집단적이고 복합적인 형태가 나타나기 시작 하였다. 또한 인터넷의 발달로 소비자들은 다양한 경로에서 손쉽게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과정은 다양한 트렌드가 빠르게 전파되는 동시에 소비자들의 구매 정보력이 향상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와 같이 소비자가 물질적인 소비를 목적으로 쇼핑센터를 방문했던 과거 와는 달리, 여가와 문화를 누리고 즐기고자 하는 욕구 증가로 인해 소비 공 간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그 결과 공공 생활공간과 함께 복합 상업시설이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복합 상업시설은 도심의 근본적인 문 제인 교외화 현상과 도시 산업구조의 쇠락을 방지하여 도심기능을 회복시키 는 개발전략으로 주목을 받았다. 현재 복합 상업시설은 단순히 쇼핑하는 곳 이 아니라 문화·여가활동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추가하여 다양한 경험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다시 말해 사람들이 쇼핑을 편안하게 즐길 수 있는 공간인 동시에 일종의 문화적 체험이 가능한 장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1)

최근에는 새로운 복합 상업시설들이 등장하기보다 기존의 복합 상업시설 들이 리모델링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복합 상업시설들의 수가 많아지고 엔터테인먼트 기능이 다양화되면서, 경쟁력 확보를 위해 기존 시설의 노후화 된 곳을 보수하여 더 많은 엔터테인먼트 시설을 확보하려는 노력의 일환이 다.2)

그 중 시설의 노후화 보수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2013년 코엑스 몰은 리

1) 림철, 현대 복합상업시설 내부가로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 복합상업시설을 중심으로, 건국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14, p.7

2) 김민수, 상업시설의 재실리모델링에서 공간구조가 이용자의 통행량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 교 건축학과 석사학위논문, 2015, p.1

(14)

모델링을 했다. 전체적으로 흰색 톤의 인테리어로 바뀌었고 주요 엔터테인먼 트 시설인 영화관과 아쿠아리움은 그대로 두고 주변에 다양한 기능을 가진 5 개의 광장이 설계되면서 많은 것이 변했다. 매출 및 방문량이 늘 것이라는 예측과는 달리 리모델링 이후 코엑스 몰 내는 한산하기만 했다. 아래 [표 1-1]은 2014년 코엑스 몰 리모델링 이후에 관한 기사의 일부이다.

위의 언론 기사에 나타난 코엑스 몰 리모델링 이후에 관련 기사의 내용을 읽어보면 리모델링 이후 방문량이 늘 것이라는 예측과는 달리 오히려 더 감 소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리모델링 이후 찾은 방문객들은 이용에 불편함 을 겪고 있었는데 위치나 주변 파악이 힘들다는 것이 이유이다.

리모델링 마친 코엑스몰 가보니…썰렁한 이유 있었네

확실히 넓어진 통로와 희고 밝은 분위기는 좋으나 내부로 진입하면 할수록 끝없는 길과 넓은 통로, 통로가 여러 갈래여서 한번 길을 잘못 들면 찾을 수 없는 구조이다. 대체 가능한 특징 없는 복합쇼핑몰로 주변 복합 상업시설과 다를 바 없다.

[한국경제] 2015.11.03

리뉴얼 실패 논란에 시끄러운 코엑스몰…매출 반토막 vs 점진적 회복 리모델링 이후 코엑스 몰의 유동인구가 평일 기준 13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 산한 예측과 달리 실제 코엑스 몰 평일 유동인구는 6여만 명(5월 기준)에 불 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리뉴얼 이후 장사가 더 잘될 것이라는 무역협회의 말 과는 달리 상인들은 상권이 더 가라앉았다고 말한다. 이는 벽면과 바닥이 온 통 흰색이고 디자인도 비슷해 방문객들이 길을 헤매는 경우가 잦으며 동선도 엉망이여서 그만큼 찾아오기 힘들다고 토로하고 있다.

[매일경제] 2015.08.17

우여곡절 코엑스몰 리뉴얼 오픈 1주년, 지금은?

리모델링 이후 방문객들은 예전보다 못하다는 인식을 많이 가졌다. 전반적으 로 흰색 인테리어가 내부 디자인을 단조롭고 정이 덜 간다는 것이다. 또 동선 이 더 복잡해진 느낌이라 한번 길을 잘 못 들면 다시 되돌아 와야 하는 길이 길다는 불만이 많다.

[미디어펜] 2015.11.30.

[표 1-1] 2014년 코엑스 몰 리모델링 이후에 관한 기사

(15)

언론 기사뿐만 아니라 블로그나 SNS를 통해서 코엑스 몰을 방문한 후기 를 쓴 사람들이 많았다. 이전에 비해서 좋아졌다고 말하는 글보다 코엑스 몰 을 방문 했을 때 불편한 점을 토로하거나 문제점을 짚은 글들이 많았다. 아 래의 [표 1-2]는 코엑스 몰 리모델링 이후 방문 후기에 관련한 블로그 글 중 일부이다.

블로그 및 SNS에 나타난 리모델링 이후의 반응에 관한 글을 읽어보면 사람들이 이용에 불편함을 겪는 것은 언론 기사와 마찬가지로 길을 찾기 어

코엑스 몰 리모델링은 왜 실패하였을까-한무쇼핑과 현대백화점, 그리고 스 타필드 코엑스 몰

매장 전체 기둥 및 화단으로 통행 방해하는 요소가 된다. 흰색 톤 인테리어로 공간이 다 비슷비슷해서 헷갈릴뿐더러 층고가 낮아져 되려 답답하게 느껴진 다. 또한 7개 통로가 모이는 구조로 메인 통로도 없고 방향도 헷갈려서 방문 객들의 입장에서는 미로나 다름없는 구조로 느껴진다. 난잡한 동선 및 인테리 어 요소가 사람들에게 불편함을 느끼게 하는 것 같다.

2017.01.09

복합 쇼핑몰 1호 코엑스가 썰렁하다? 리모델링 후 방문객 감소

코엑스 몰 리모델링 이후 눈에 띄게 한산한 모습이다. 2011년 피크 때에 비하 면 평균 20% 이상 줄어들면서 매출도 절반 이상 줄었다고 한다. 전문가들과 상인들은 리모델링을 거치면서 MD 구성과 컨셉을 잘 못 잡았다고 설명하지 만, 리모델링을 하면서 사선 위주의 매장 구성으로 바뀌었다. 직선형 동선 때 는 보이지 않았던 기둥들이 드러나 시야를 가리고 사선 위주의 동선이 문제 인 것 같다.

2015.08.11

언제가도 길 헤매는 코엑스 몰

리모델링 한 이후로는 몰 안으로 들어오면 여기가 어딘지 어디로 가야하는지 너무 헷갈려요. 분명 영화관 표지판을 보고 따라갔는데 가다가 길을 헤매곤 해요.

2016.03.28.

[표 1-2] 2014년 코엑스 몰 리모델링 이후에 관한 블로그

(16)

렵다는 점이다. 불필요한 기둥의 수가 늘은 동시에 이런 기둥들에 의해 가려 진 점포들, 이동을 막는 화단 등 여러 가지 인테리어 요소가 사람들의 인지 에 방해가 된다는 것을 문제 삼고 있다.

이렇게 공간을 인지하고 길찾기에 어려움을 겪는 다는 것은 큰 문제이다.

최윤경(2003)에 의하면 길찾기의 문제는 특정 건물 이용객의 입장에서 스트 레스 및 심리적 불안감을 유발 할 수 있다. 또한 재해나 비상시 위급 상황에 대한 대피를 고려한다면 길찾기는 건물뿐만 아니라 건축 더 나아가 도시에 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3) 특히나 이런 지하 복합 상업시설의 경우 지하공 간에 위치해 외부조망이 어려워 전체적인 공간구성에 대한 인식이 지상공간 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다. 또한 복합 상업시설의 특성 상 코엑스 몰의 건축계획측면에서 공간 인지와 길찾기에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알 아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코엑스 몰을 대상으로 리모델링 전·후의 공간구조를 비교함으로써, 어떤 요소가 방문객들의 동선과 공간인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2.1. 연구의 범위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복합 상업시설들 중 리모델링을 한 코엑스 몰을 대상으로 하였다. 리모델링 이전에 비해 이후 방문객들이 이용에 불편 함을 겪는 이유를 알아보기 위해서 리모델링 이전과 이후를 비교분석하였다.

세부적인 연구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례 대상지는 2000년 개장한 코엑스 몰로 2013년에 노후화 보수 및 대대적인 개편을 위해 리모델링을 진행하였다. 리모델링을 마치고 개장한 이 후 사람들이 오히려 더 공간 인지 및 길찾기에 불편함을 겪고 있어 코엑스 몰 리모델링 이전과 비교하여 공간에 어떠한 요소가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

3) 최윤경, 사회와 건축공간, 시공문화사, 2003, p.272

(17)

해서 알아보고자한다.

둘째, 공간적 범위는 코엑스 몰 내 주요 상업 공간이 위치한 지하 1층에 초 점을 맞췄다. 그 중 관리자가 이용하는 공간을 제외한 방문객이 다닐 수 있 는 공간을 분석하는 것으로 연구의 범위를 한정한다.

셋째, 내용적 범위는 심층 인터뷰를 통해 코엑스 몰 리모델링 이전과 이후 모두 방문한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여 리모델링 이후의 불편함 과 문제점을 파악하고자한다.

1.2.2. 연구의 방법

본 연구는 코엑스 몰 리모델링 이후 방문객들이 길찾기에 어려움을 느끼 는 요소를 알아보고자 심층적 분석과 공간구조 분석을 하여 도출하고자 한 다. 이에 본 연구의 방법으로 크게 이론적 고찰, 심층 인터뷰, 도면 분석 및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공간분석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2장에서는 길찾기 및 복합 상업시설과 공간구문론에 대해 기존 문헌을 바 탕으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길찾기의 개념 및 이론을 통해서 복합 상업시 설 내 길찾기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복합 상업시설의 개념과 특성을 통 해 대상지를 이해하고 공간구문론에 관한 이론을 통해 분석 방법을 이해한 다. 선행 연구를 통해 공간구조를 분석하는데 공간구문론 분석방법이 효율적 인 이유를 제시함과 동시에 길찾기와 공간구조와의 관계에 대해서 분석하고 자 한다.

3장에서는 코엑스 몰에 현장 방문하여 지도를 사용하는 방문객들 중 리모 델링 이전, 이후 방문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한다. 인터뷰 심층적 분 석을 하여 방문객들이 코엑스 몰 내 이용에 불편함과 문제점 겪는 요소를 도 출하고자 한다. 특히 길찾기에 어려움을 느끼는 요소들을 구체적으로 도출하 기 위해 분석한다.

4장에서는 3장에서 도출한 방문객들이 길찾기에 어려움을 겪는 요인을 바 탕으로 공간구조 분석을 해 확인하고자 한다. 정량적으로 분석이 가능한 공 간구문론을 통해 대상지의 리모델링 전·후를 비교분석하여 공간구조 상 길찾

(18)

기가 어려운 원인을 알아내고자 한다.

(19)

1.3. 연구흐름도

[그림 1-1] 연구 흐름도

(20)

제 2 장 이론적 고찰

2.1 길찾기에 관한 이론적 고찰 2.1.1 길찾기의 기본배경

2.1.2 길찾기의 기본 개념 및 정의 2.1.3 길찾기의 중요성

2.2 복합 상업시설에 관한 이론적 고찰 2.2.1 복합 상업시설의 개념 및 역사 2.2.2 복합 상업시설의 특성

2.2.3 복합 상업시설의 동선체계

2.3 공간구문론에 관한 이론적 고찰 2.3.1 공간구문론의 이론적 배경 2.3.2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 2.3.3 분석지표

2.4 선행연구

2.4.1 복합 상업시설에서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연구

2.4.2 공간구문론과 길찾기에 관한 연구

(21)

2.1. 길찾기에 관한 이론적 고찰

2.1.1. 길찾기의 기본배경 (1) 환경지각과 환경인지

길찾기의 기본배경은 인간을 둘러싼 환경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환경은 인간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인간은 이런 정보들을 습득하고자 한다. 인간은 인체의 감각기관을 통해 환경정보를 습득하여 다양한 경험을 하게 된다. 이 런 인간과 환경의 상호 작용은 대상을 이해하기 위한 과정으로 대상의 물리 적 형태부터 개개의 요소 등을 감각기관을 통해 받아들여 대상을 어떻게 지 각하고 인지하는지, 그 대상에 대한 평가나 반응의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다.4)

지각(Perception)은 감각 기관을 통하여 외부의 사물을 인식하는 작용 및 그 작용에 의하여 얻어지는 표상(表象)으로 자극의존적(Stimulus Depen-

4) Prteous, J.D., 환경과 행태, 명보문화사, 1987, p. 7

[그림 2-1] 인간행태와 환경

(22)

dancy)을 얘기한다. 즉, 감각기관의 생리적 자극을 통하여 외부 환경을 받아 들이는 과정 혹은 그 행위를 말하는 것이다. 환경의 지각은 개인의 경험 및 사고와 이미지가 혼재되어 나타나는 과정으로 넓은 의미에서 인지의 한 과 정으로 생각 할 수 있다. 아래의 [표 2-1]은 지각의 유형과 반응특성을 정리 한 것으로 모든 절차가 지각에서의 인지과정과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5)

인지(Cognition)은 생활체(生活體)가 대상에 대하여 지식을 얻는 일 또는, 외계(外界)의 정보를 능동적으로 수집하여 처리하는 과정이다. 라틴어에서 유래한 말로 Getting to Know 로 알게 되다. 라는 의미로 아는 것

5) 김지은, 공간 구문과 이용자 움직임을 고려한 지하 복합 상업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2003, p.17, 표3 인용

구분 지각 반응

형태

감각 기관을 통한 자극 수용 근육의 움직임, 생리적 작용, 감정의 변화,

생각의 수정 등의 형태로 반응

공간

깊이, 거리에 기초

영향- 중복배치 / 명료성, 빛 / 그림자, 높이, 선형투시 / 질감의 변화

움직임에 따른 변위, 친근감 / 상대적 크기와 같은 요소에 의하여 영향

시간

환경적 자극/인체의 생리적 순환에 기초

구체적인 물체가 아닌 하나의 개념으로 시간 흐름을 감지

의미

환경이 지닌 의미는 기능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기능의 내용을 포함

기능적인 측면-표면적 / 잠재적 기능, 의미의 측면-지각적 의미, 연상적 의미 [표 2-1] 지각의 구분과 반응 (김지은, 2003)

(23)

(Knowing), 이해(Understanding), 산물(Product)의 과정을 지칭한다.6) Moore & Golledge(1976)은 인지에 대해서 ‘과거 및 현재의 외부적 환경과 현재 및 미래의 인간행태를 연결 지어 주는 앎 혹은 지식을 얻는 다양한 수 단’ 사고의 과정을 얘기한다. 환경인지는 사람들이 환경에 대하여 지니고 있 는 앎, 인상, 정보, 이미지, 믿음 등에 관련된다. 공간적 측면에서는 국가, 지 역, 도시 등과 같이 주로 대규모의 환경에 관련되지만, 건물 내부 혹은 건물 사이의 공간 등과 같은 소규모의 환경 역시도 환경인지와 관계가 있으며, 자 연 및 인공 환경은 물론, 물리적,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경제적 측면의 인간 환경에 모두 관계된다. 즉, 지각과 인지는 별개의 과정이 아닌, 상호 연결된 하나의 과정으로 이해되어야 하는 것이다.

(2) 인지지도와 길찾기

6) Rapoport, A., Human Aspect of Urban Form, Pergamon Press, 1977, p.109

[그림 2-2] 길찾기의 과정

(24)

행동주의 심리학의 주요인물인 Edward Tolman에 의하여 인지적 행동주 의(Cognitive behaviourism) 이론이 개발되었다. Tolman은 쥐의 미로실험을 통해서 미로 속 쥐들이 주변 환경을 학습하고 그 이후 판단에 도움이 된다는 실험을 한 결과 쥐에게 ‘머릿속 지도’를 만들었다고 결론을 내렸다. 이는 사 람 또한 환경의 인지 지도(Cognitive map)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가설을 냈 다.7) 인지 지도는 사람이 환경에서 어떤 요소들을 강하게 인지하고, 그 요소 들 간의 공간적 관련성을 어떤 식으로 인지하는가에 관한 공간 인지의 문제 를 연구하기 위해 제안된 방법이다. 인지도란 사람들이 환경에 대해 가지고 있는 공간적 이미지를 재현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8) 이렇게 제기된 인지지 도는 Lynch(1960)에 의해서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Lynch는 도시이미지의 구 성 요소와 관련하여 주민들에게 주관적인 도시이미지를 조사한 결과 5가지 요소를 추출해냈는데 통로(path), 랜드 마크(landmark), 가장자리(edge), 결 절점(node), 구역(district)로 나타났다. 이 5가지요소는 사람들이 도시를 이 해하고 공간구조를 인식하는데 도움을 준다.

2.1.2. 길찾기의 기본 개념 및 정의 (1) 길찾기의 기본 개념

길찾기(Wayfinding)의 사전적 의미는 사람이나 동물들이 물리적인 공간에 서 스스로의 위치를 찾고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모든 방법을 의 미한다. Romedi Passini(1984)는 길찾기를 특정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는 능 력을 의미하며 이는 지속적인 계획을 통해 필요한 상황에 의사 결정을 하는 과정으로 정의한다.9) 다른 말로 말하면, 길찾기는 사람이 목적지까지 주변 환경요소를 통한 정보 습득을 통해 판단과 결정을 통한 종합적인 과정을 얘 기한다. 길찾기의 과정은 아래 [그림2-2]와 같이 크게 3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7) Weeks, M., Psychology in minutes: 200 key concepts explained in an instant. London: Quercus, 2015

8) Passinim, R,, Wayfinding in Architecture, New York, 1984, pp.36-38 9) Passinim, R., 전게서, 1984, p.1

(25)

(2) 길찾기의 요인

Tolman의 인지지도(Cognitive map)는 Lynch(1960)에 의해서 중요성이 부 각되었다. 명료한 이미지가 사람들의 길찾기에 도움을 준다고 주장하면서 통 로(path), 랜드 마크(landmark), 가장자리(edge), 결절점(node), 구역(district) 다섯 가지는 도시공간의 이미지를 명확하게 하는 요소로 나누었다.

이런 다섯 가지 요소가 인간이 만들어낸 환경에서 사람들의 길찾기에 도 움이 될 요소로 꼽아 얘기한다.

종류 건축적 요소

통로(Path) 복도, 보행로, 계단, 에스컬레이터 등 랜드 마크(Landmark) 특성 있는 가게, 영화관, 안내판, 조각물, 경관 등

가장자리(Edge) 건축적 의미로 벽

결절점(Node) 동선의 교차점, 홀, 내부광장 구역(District) 지역을 구분하기 위해 나눈 명칭

[표 2-2] Lynch의 도시공간의 이미지 5가지 요소

[그림 2-3] Weisman이 제시한 경로탐색에 긍정적인 평면형태

(26)

이 뿐만 아니라 아직도 많은 연구자들에게 인용되어지는 Weisman의 4가 지 길찾기 요인으로는 평면의 구성(Plan Configuration), 시지각적 접근성 (Perceptual Access), 건축적 이질화(Architectural Differentiation), 안내 표 시 체계(Sign and Number)로 아래의 [표 2-3]과 같이 나뉜다.

이 중 평면의 구성이 길찾기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라고 Weisman 은 얘기하는데 평면이 단순할수록 경로탐색에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이 는 이용자에게 단순한 정보를 전달하여 전체 평면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킬 수 있는 평면은, 공간의 상대적 크기나 규모의 존절뿐만 아니라 중심성 (Centrality), 축(Axiality), 기하학적인 대립(Geometric Opposition) 등의 관 계에 따라 그 위치와 형태가 달라진다. 그 대표적인 예가 좌우대칭형 평면 이다. 또한 사람들에게 익숙한 문자형으로 공간을 구성하는 것도 공간에 대 한 이해도를 높여준다. 이런 문자형들은 대칭적 요소, 평태의 중심성 등을 내 포하고 있는데 위의 [그림 2-3]은 Weisman이 제시한 평면 형태들이다. 이런 형태들은 사람들에게 익숙한 형태이기 때문이다.10) O'Neil(1984)는 성공적인 길찾기를 위한 요소로 장소들 간의 연결 관계가 중요하다고 얘기한다.

Weisman과 마찬가지로 이런 연결 관계가 명확하고 단순한 평면일수록 길찾 기가 용이하다고 말한다. 즉, 사람들의 길찾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공간구조임을 알 수 있다.

10) Weisman, G. D., Wayfinding in the Built Environment: A Study in Architectural Legibility, The University of Michgan, PH.D.,1979

(27)

길찾기 요인 정의

평면의 구성 (Plan Configuration)

평면의 형태가 단순하고 명확할수록 환경해석능력이 높 아져 단시간에 올바른 경로를 탐색하고 목적지에 도달 할 수 있다. 단순한 정보를 전달할수록 전체 평면에 대 한 이해를 향상시킬 수 있다. 중심성이나 대칭적 평면 또는 사람들이 익숙한 형태의 평면일수록 길찾기가 쉬 워진다.

시지각적 접근성 (Perceptual Access)

사람들이 목적지를 찾기 쉽도록 효율적인 배치를 의미 하는데 전체 공간 내에서 위치를 쉽게 인지할 수 있는 배치를 해야 한다.

건축적 이질화 (Architectural Differentiation)

랜드 마크와 같은 주변과 다른 이질적인 요소나 독특한 이미지를 부여하는 요소를 통해 사람들이 인식하기 쉬 워 길찾기에 용이하다. 이 요소를 통해 사람들이 위치 를 인식하거나 방향을 인식하기 좋기에 길찾기에 도움 을 준다.

안내 표시 체계 (Sign and Number)

목적지까지 이끌어 갈 수 있는 감각정보인 안내표시체 계는 찾기 쉬운 공간을 더욱 정확하게 확인이 가능한 보조수단이다. 출발지점에서 목적지까지 가기위해서 중 간 중간 연결지점 또는 방향전환 부분에서 안내표시체 계는 길찾기를 수월하게 하는 요소이다.

[표 2-3] Weisman 4가지 길찾기 요인

2.1.3. 길찾기의 중요성

도시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상업시설들이 점점 거대해지고 복잡해지고 있는 현실이다. 대중교통과 연결되는 지하공간에서는 특히 공간을 파악하기 어려워 길찾기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공간 인지에 문제 가 된다는 점으로 여러 다양한 연구들이 행해져오고 있는데 그 중 길찾기에 실패했을 때 사람들이 느끼는 심리적 불안감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길찾 기에 어려움을 겪을 때 시간과 노력의 불필요한 소모가 이루어져 이용자에 게 불편함과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또한, 길찾기는 긴급 상황 시의 대피와 관

(28)

련해서 중요한 문제로 화두 되고 있다.

보스톤 시청사에 대한 Berkeley(1973)의 연구에 따르면, 시청사 내부의 공 간이 방향성의 혼란을 느끼게 해 시민들이 혼란을 느끼면서 정부에 반감으 로 변한다는 것을 보고하고 있다. Izumi(1970)의 연구에서는 공간 속에서 방 향감을 상실한다는 것은 곧 신변의 안전에 대해서 심리적으로 불안하게 느 낀다는 것을 밝혀냈다. Passini(1984)는 Les Terrasses 복합 쇼핑센터에서 한 방문객이 길을 잃을 것을 염려하여 쇼핑을 거절하는 경우가 있었다고 한다.

미국의 한 공항에서 길을 잃고 헤매다가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이기지 못하 고 정신착란에 빠지거나 네덜란드의 한 쇼핑몰에서 사흘 동안 길을 찾아 헤 매다가 구출된 사례들이 있다. 이강주(2003)은 병원이나 기타 공공시설에서 사람들이 길을 묻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 시간 낭비를 하는 것으로 근무자들 의 3분의 1이 매일 길을 알려주는데 시간을 할애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와 같이 수많은 예시들은 길찾기가 사람들에게 무수히 많은 영향을 미친다 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같은 경우들로 사람들이 길찾기에 어려움을 느끼면 심리적으로 불안감 을 겪고 스트레스를 받는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용자뿐만 아니라 공간 에 근무자 또한 스트레스를 받아 길찾기가 사람에게 심리적으로 영향을 미 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는 도시 전반적으로 길 찾기는 사람들의 심리적 불안감과 스트레스뿐만 아니라 안전, 대피의 문제로 길찾기는 중요한 문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시설의 이용률 저하와 관련된 경제적 측면도 무시하지 못한다.

(29)

2.2. 복합 상업시설에 관한 이론적 고찰

2.2.1. 복합 상업시설의 개념 및 역사

(1) 복합 상업시설의 개념

국내에서는 복합 상업시설의 공식적인 용어는 ‘복합쇼핑몰’로 되어있다. 유 통산업발전법에서 매장면적 3,000 이상의 대규모 점포로 쇼핑, 오락 및 업 무기능 등이 한 곳에 집적되고, 문화·관광시설로서의 역할을 포함한 점포를

‘쇼핑센터’로 정의하고 있다.11)

미국 국토협회(ULI: Urban Land Institute)에서 U.E.C(Urban Entertainment Center)의 명칭으로 기존 쇼핑센터와 달리 엔터테인먼트, 상

11) 유통산업발전법 시행령 2012.05.01. 별표 1 대규모점포의 종류(제3조 제1항 관련)

종류 정의

대형마트

용역의 제공 장소를 제외한 매장면적의 합계가 3,000 이상인 점포의 집단으로 식품·가전 및 생활 용품을 중심으로 점원의 도 움 없이 소비자에게 소매하는 점포의 집단

전문점

용역의 제공 장소를 제외한 매장면적의 합계가 3,000 이상인 점포의 집단으로서 의류·가전 또는 가정용품 등 특정 품목에 특 화한 점포의 집단

백화점

용역의 제공 장소를 제외한 매장면적의 합계가 3,000 이상인 점포의 집단으로서 다양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현대적 판매 시설과 소비자 편익시설이 설치된 점포로서 직영의 비율이 30%

이상인 점포의 집단

쇼핑센터

용역의 제공 장소를 제외한 매장면적의 합계가 3,000 이상인 점포의 집단으로서의 다수의 대규모 점포 또는 소매점포와 각종 편의시설이 일체적으로 설치된 점포로서 직영 또는 임대의 형태 로 운영되는 점포의 집단

[표 2-4] 유통산업발전법에 의한 업태구분

(30)

업시설, 식음시설이라는 세 가지 기본요소들을 쇼핑센터에 적용하여 현재 우 리가 알고 있는 복합 상업시설이라고 정의한다.12)

위와 같이 [그림 2-4]는 복합 상업시설의 개념도로 3가지 소비모드 특성을 보여준다.13) 소비자의 편리성과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상업시설들 을 한데 모아둔 형태의 유통업체로 최근 들어서는 영화관, 음식점, 게임장, 의류매장, 테마공원, 이벤트 몰, 스포츠 시설 등 여러 가지 시설들을 포함함 으로써 이용자들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12) Beyard Michael D. et. al. Developing Urban Entertainment Centers, Urban Land Institute, 1998, p.2

13) 민선영, 복합 상업시설의 테넌트유형에 따른 공간구조와 이용행태의 상호관련성에 관한 연구, 세종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p.6. 그림 2-1 인용.

[그림 2-4] 복합 상업시설의 개념도(민선영, 2012)

(31)

단순히 소비를 목적으로 하는 기존의 상업시설과 달리, 최근에 등장하는 복합 상업시설들은 소비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복합적인 시설과 함 께 문화 체험 및 엔터테인먼트 시설을 하나의 장소에 집적시키는 경향이 있 다. 다양한 흥미꺼리를 제공해 방문객들을 해당 시설로 유도하여 장시간 쇼 핑행위를 유지함으로써 경제성의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다.14)

(2) 복합 상업시설의 역사

아래의 [표 2-6]은 미국 쇼핑몰의 역사를 표로 작성한 것이다.15) 1920년대 에 처음으로 쇼핑센터라는 개념이 도입되었고 1930-40년에 대도시에서 떨어 진 도시 외곽에 대형 쇼핑몰들이 등장하면서 현대적 개념의 쇼핑몰이 나타 났다. 1950년대에 도심의 발달로 도시의 슬럼화와 고속도로의 보급으로 인해 교외로 대거 주거이동을 하게 되었다. 그러면서 교외에 대규모 상업시설이 등장했는데 이는 백화점과 일반점포가 합쳐진 쇼핑몰이다. 1970년대에 엔터

14) 김윤희, 이상호, 엔터테인먼트형 복합상업시설의 3가지 소비모드 수용 특성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 집 계획계, 23(8), 2007.08, pp66.

15) 정연승, 서용구, 엔터테인먼트 쇼핑몰의 등장과 전망, 삼성경제연구소, 2001.05 pp.9-12

구분 상업시설 식음시설 엔터테인먼트 시설

기능 소비활동 유발 소비활동연장 소비활동유도

소비

특성 물건습득 소비 생리적 소비 경험적인 소비

소비 대상

구매행위와 구매대상은 재화

그 자리에서 소비되는 음식 혹은 음료

극히 순간적이지만 즐거울 수 있는 경험

기능

소비자대응의 지리학적 상권범위 확장을 가능케 함.

쇼핑나들이를 유발.

체제시간을 연장함.

브랜드 있는 식사시설 은 재방문율을 높임.

주간 저녁 나들이 장소이용을 가능케 함.

지리학적 상권범위를 확장시킴.

시설이용자의 연령 계층범위와 지리적 영역을 확장시킴.

[표 2-5] U.E.C의 3대 소비모드 특성

(32)

테인먼트 요소가 쇼핑몰에 들어오면서 새로운 유형의 쇼핑몰이 개발되었다.

우리가 현재 알고 있는 유형인 복합 상업시설의 등장으로 엔터테인먼트 시 설뿐만 아니라 오락시설, 호텔, 사무실 등 쇼핑몰에 포함되었다. 1980년대에 초대형 복합 상업시설로 점차적으로 커지면서 서비스 지향형 점포들이 확장 되기 시작하면서 현재까지 형태와 기능의 진화가 이루어지고 있다.16)

국내 복합 상업시설의 발달과정을 살펴보면, 1968년 우리나라 최초의 주상 복합건물인 세운상가가 등장하였고 1980년부터는 중소 규모의 백화점이 상 업시설의 기능을 대행해왔다. 1988년 올림픽을 앞둔 시점에서 이루어진 도심 정비계획에 따라, 초기의 복합 상업시설은 넓은 면적 확보가 유리하고 입지 선정이 편리한 교외에 주로 세워졌다. 이후 국민의 소득 수준이 높아지면서 복합 상업시설은 여가와 문화를 누리고 즐기려는 이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 키는 방향으로 성장해왔다. 한편 2000년 초에는 복합 상업시설로 코엑스 몰 과 센트럴 시티가 등장하였다. 그 이후 부산 해운대 센텀시티, 영등포 타임스 퀘어 등 다양한 복합 상업시설들이 세워졌다.

16) 강정구, 우리나라 도심 엔터테인먼트 상업시설(U.E.C)의 건축 계획에 관한 연구: 엔터테인먼트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p.40

시기 발전 형태 사례

1920년대 쇼핑몰 개념이 처음 도입 Country Club Plaza

1930-40년대 현대적 개념의 쇼핑몰 등장, 도 심외곽에 대형쇼핑몰 건립

High Park Shopping Village, Town & Country Center

1950-60년대 백화점과 일반점포가 합쳐진 쇼 핑몰 등장

Northland Center Southdale Center

1970년대

새로운 유형의 쇼핑몰 등장(오락 시설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시설, 호텔, 사무실 등)

Franeuil Hall Market Place Water Power Place 1980년대

이후

초대형 복합 상업시설 등장 (서비스 지향형 점포 확대)

Mall of America Horton Plaza [표 2-6] 미국 쇼핑몰의 역사

(33)

2000년대에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시설을 갖춘 복합 상업 시설들이 발달하고 있다. 특히 여가생활을 누릴 수 있는 공간을 점점 넓혀 사람들이 쇼핑몰 내에서 쇼핑, 식사, 여가생활을 한 번에 누릴 수 있는 개념 인 ‘몰링(Malling)’이 등장했다. 사람들이 누리고 싶어 하는 문화적 욕구가 늘 면서 라이프스타일의 변화가 생긴 것으로 방문객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 키는 엔터테인먼트 요소를 추가하면서 더욱 ‘복합화’ 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17) 이러한 과정에서 발전한 국내 쇼핑몰의 역사를 살펴보면 아래 [표 2-7]와 같다.18)

17) 김하나, 복합 상업시설의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가든 파이브와 타임스퀘어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02, pp.16-17

18) 김연선, 복합쇼핑몰 이용객 유형분석과 복합쇼핑몰 관계자와 이용객의 몰링 인식유형과 상호지향성 연구:Q 방법론을 활용하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12, p.5

(34)

시기 발전 형태 사례

1920년대 재래시장

1930-40년대

1950-60년대 우리나라 최초의 주상 복합건물인

세운상가가 등장 세운상가

1970년대 물가상승으로 인한 유통업의 성장 이 가속화되면서 슈퍼마켓등장

1980년대 이후

중소규모의 백화점, 교외에 아울렛 형태의 쇼핑센터, 국내 복합쇼핑몰 의 태동

잠실 롯데월드(1988)

1990년대

제1세대 몰 탄생

동대문 패션타운 중심 등 분양수익 목적 쇼핑몰 개발

동대문 밀리오레(1998) 동대문 두타(1999)

2000~2005년 제2세대 몰 탄생 쇼핑에 문화 기능 강화

코엑스 몰(2000) 센트럴시티(2000) 일산 라페스타(2003)

2006~2008년 임대형 쇼핑몰로 바뀜 몰링(malling) 개념 도입

용산 아이파크몰(2006) 왕십리 비트플렉스(2008) 명동 엠플라자(2008)

2009~현재

제3세대 몰 탄생 쇼핑·교통·여가·숙박 등 기능결합 몰링 정착화

부산 센텀시티(2009) 영등포 타임스퀘어(2009) 롯데 청량리 역사몰(2010) 김포공항 롯데몰(2011) 여의도 IFC몰(2012) 합정 메세나폴리스(2012) 제2롯데월드몰(2014) [표 2-7] 국내 쇼핑몰의 역사

(35)

2.2.2. 복합 상업시설의 특성

복합 상업시설의 특성으로는 단순 소비를 위한 공간이 아닌 소비자들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상업, 문화, 오락 등 여러 가지 시설을 한 장소에 포 함해 복합화, 집객성, 여가 공간화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는 판매보다 집객 을 중시하는 요소로 과거와 달리 판매를 목적하지 않고 사람들에게 휴식공 간을 제공하고 고객들의 다양한 니즈에 맞게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즉, 여 러 가지 기능을 가진 시설을 한데 모아 사람들을 머무르게 함과 동시에 상업 시설 뿐만 아닌 사람들이 휴식할 수 있는 공간가지 고려한 것이다.

(1) 복합화

복합화란 상업, 문화, 오락 등 3가지 이상의 용도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 한 용도의 시설들이 서로 상호적인 관계를 연결하고자 한다. 판매를 목적으 로 하는 상업시설과 달리 복합 상업시설은 판매촉진을 위한 효과적인 3가지 시설(판매, 식음, 엔터테인먼트 시설)의 복합이 상승작용을 일으키는 시너지 효과를 일으킨다. 즉, 각 기능 및 시설의 복합을 어떻게 구성하는 계획 단계 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고 이는 복합 상업시설의 개발단계에서 개발의 성패를 좌우되는 요소가 된다.

[표 2-8]19)와 같이 복합 상업시설은 여러 용도시설들의 통로이자 입구의 역할로 이동 장소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이다. 복합 상업시설은 내부의 판매 시설들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기능이 복합되기 때문에 그에 따 른 시너지 효과와 파급효과가 상당히 큰 특성이 있다.

19) 이용선, 복합상업시설의 활성화를 위한 건축 계획적 특성 도출 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02, pp.9 <표 2> 인용

(36)

(2) 집객성

집객성이란 복합 상업시설의 이용객들을 시설 내부의 적재적소로 유도하 고 체류 시간을 연장하는 등의 방식으로 시설 전체의 활성화를 유발하는 것 을 말한다. 이러한 집객성의 극대화는 시설 내부 용도들의 구성 방식이 중요 한 요인으로 작용되어 상업시설의 시너지 효과와 즉결된다는 특성을 갖는다.

일반적인 복합 상업시설의 내부 동선 배치 계획에서 이용객들이 방향감각을 잃는 문제가 제기되기도 하고, 복합 상업시설의 복잡한 동선 계획의 특성에 따라 이용객들이 자신이 현재 위치를 인지하지 못해 정신적 스트레스를 유 발하기도 하여 구매 활동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이는 복합 상업시설에서 집객성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동선체계 구축이 시설의 활성화에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할 수 있다. 이는 재방문 가능성과도 직결되는 것으로 시설의 수익성에 결정적 역할을 하여 이용자 집객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구분 단일건물형 컴플렉스형 블럭형

형태

특징

하나의 건물 내에 상 이한 기능을 수용하고 있으며 상업 시설에서 는 각 기능의 영역성 을 유지하면서 연계시 키기 위하여 수직 동 선에 유념

상이한 건물을 가진 다수의 건물을 배치하 고, 이를 상업 용도의 저층 기단부로 묶어 그 하부에 공공지원시 설, 주차시설 등을 구

중·저층 건축물로 한 개 층 시설을 중심으 로 연결 배치하고, 기 능의 배치는 층별로 중첩시키거나 인접도 로의 성격에 따라 분 산 배치

[표 2-8] 복합 상업시설 형태 분류 (이용선, 2013)

(37)

(3) 여가 공간화

여가 공간화는 현대의 복합 상업시설 개발의 중요 특성으로 소비대상이 물질적인 것에서 정신적, 문화적인 것으로 확대된 것이다. 국민의 소득이 증 가하고 생활에 안정을 갖게 되자 사람들이 문화를 누리고자 하는 욕구가 생 기면서 이런 특성이 쇼핑몰에 추가된 것이다. 이는 복합 상업시설의 궁극적 목표에 있어 특정 물건을 사기 위해 찾아다니는 것에서 다양한 체험과 문화 를 누리고자하는 것으로 소비의 트렌드가 변화했다는 것이다. 그래서 복합 상업시설 내 몰링(malling)이 중요 역할을 하게 되는데 몰링이란, 복합 상업 시설에서 쇼핑 활동뿐만 아니라 여가 활동을 즐기는 소비 형태를 지칭하는 용어로 복합 상업시설은 단순한 소비뿐만 아니라 여가 및 문화체험을 즐기 는 소비를 제공하고 있다.

(38)

2.2.3. 복합 상업시설과 동선체계

The Jerde Partnership은 여러 상업시설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건축설계회 사로 상업공간을 배치하고 구성할 때 Armature Diagram을 활용하는데 이는 단순한 동선도(Circulation Diagram)과 다르게 입구와 동선을 포함한 일련의 공간 구성을 보여주는 기본 도식이다.20) 아래 [그림 2-5]는 평면과 평면에서 분석한 Armature Diagram의 예이다.21)

Armature Diagram의 주요 구성요소로 도시의 연장(Extension of City), 중심 공간 만들기(Heart Making), 경험의 연속성(Sequence)를 얘기한다. 도 시의 연장은 도시 주요 가로와 지하철역에서의 진입동선, 중심공간 만들기는 비일상적 공간인 Heart 는 실제 동선 결절점(Node)이며, 많은 사람들이 모이 도록 계획된 공간이다. 경험의 연속성은 공간을 연결하는 기법으로 사람들이 움직이는 동선의 연속성으로 각각의 동선 결절점을 원활하게 연결하는 것을 의미한다.22)

20) The Jerde Partnership with Vilma Barr, Retail and Building Type Basics for Mixed-Use Facilities, John Wiley & SOns, Inc., 2004, p.146

21) 김형중, 쇼핑센터에서 Armature 분석을 통한 상업적 전략에 관한 연구: 저드파트너십의 쇼핑센터를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1(1), 2012, 02., p.188

22) 김찬주 외 4인, 사용자 동선분석을 통한 복합상업시설 활성화 전략 연구: 저드 파트너쉽의 작품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2(2), 2012, 10., pp. 93-94

[그림 2-5] Horton Plaza 공간구성

(좌: 평면 / 우: Armature Diagram) 김형중(2012)

(39)

Jerde Partnership(2002)는 상업시설의 주요요소로 동선의 심리학 (Psychology of Movement and Circulation)과 상품의 최대노출(Maximum Expose to Merchandise)를 제시한다. 즉, 상업시설에서 동선은 매출과 직결 되는 문제라는 것이다. 상업시설, 백화점의 경우 매출을 위하여 엘리베이터 를 사람들이 찾기 어려운 곳에 배치하여 방문객들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기 위해 찾는 동안 매장을 둘러보게 된다. 엘리베이터의 규모가 작고 기다리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이용하기 불편하다. 그래서 대부분 방문객들은 에스컬레 이터를 이용할 수밖에 없는데 에스컬레이터는 매장 한 가운데에 위치하여 손쉽게 찾을 수 있고 매장 곳곳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사람들의 동선은 매장을 다 한눈에 알아볼 수 있게끔 하도록 유도한다.

이는 곧 사람들의 동선을 어떻게 유도하는가에 따라서 사람들에게 상품을 한번이라도 더 노출하고 한번이라도 더 보게 되는 구조로 매출이 오르고 낮 아지는데 큰 영향을 미친다.

복합 상업시설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복합 상업시설의 규모가 상당하기 때문에 방문객들이 매장 구석구석을 한번이라도 더 보게 하기 위해서는 사 람들에게 인지도 있는 브랜드 매장, 엔터테인먼트 시설을 적재적소에 배치하 여 사람들의 동선을 유도하는 방법이다. 특히 지하 공간의 상업시설의 경우 층 이동이 없기 때문에 사람들을 시설 안 쪽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방법이다.

최근 복합 상업시설에서 큰 관심거리는 휴게 공간이다. 도서관, 놀이터, 광장 등 사람들이 머무는 휴게 공간의 경우, 주변에 식음료 매장, 시선을 끌 요소 들을 배치한다면 사람들이 휴게 공간을 찾으려고 가는 길에 매장을 한 번 더 보게 되고 시선을 끌어 매출을 올리는 방법이 된다. 즉, 대규모 복합 상업시 설의 경우, 사람들의 동선을 유도하기 위해 영화관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시 설을 상업시설 안쪽으로 배치한다면, 영화관을 목적으로 한 방문객들은 수많 은 매장을 지나가게 되는 동선체계로 이 시설을 이용하기 위해서 안쪽으로 들어갈 수밖에 없어 방문객들은 수많은 매장들을 볼 수밖에 없다.

또한 동선은 길찾기의 중요성과 연관되는데, 매출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심 리적 스트레스, 대피 및 위험 상황에 따른 안전문제이다. 특히 지하공간인 복 합 상업시설의 경우, 동선이 복잡하기 때문에 화재나 재난 등의 대피상황에 염두에 두어 출입구를 여러 곳에 배치한다. 또한 상업시설의 이용객들 수를

(40)

감안해서 여러 곳에 출입구 및 탈출 경로를 확보해야하는 어려움도 따른다.

또한 복합 상업시설의 복합화로 인해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진 시설들이 한데 결합하다보니 공간이 한 층 더 복잡해질 수밖에 없다. 그로 인해 동선 또한 점점 복잡해져 사람들이 길찾기에 어려움을 느낄 수 있는 문제가 따른다.

Gambar

[그림  1-1]  연구  흐름도
[표  2-2]  Lynch의  도시공간의  이미지  5가지  요소
[그림  2-4]  복합  상업시설의  개념도(민선영,  2012)
[표  2-8]  복합  상업시설  형태  분류  (이용선,  2013)
+7

Referensi

Dokumen terkait

Ⅴ.결론 이번 연구에서 감초추출물질들 간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이용하면 glycyrrhizin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으리라는 것을 c㏒ P값 계산을 통해 알 수 있었다.또한 추출에 사용한 식용 기름의 종류에 따라 감초추출물 질들 중 S.mutans균 억제 물질의 추출 정도가 다름을 알 수 있었고,포 도씨유를 사용해 추출했을 때의

특히 오피스 공간의 변화 중 주목할 만한 것은 오피스 내 상업시설의 변 화이다.오피스 공간 이용의 복합 형태 중 오피스 이용자를 위한 서비스 시설로 한정되어 제공되던 상업시설이 최근 대형의 임대 오피스 빌딩 공 급시장의 변화와 함께 빠르게 확장되고 있는 추세로 나타나고 있다.또 한 오피스 재건축 시 대형 오피스 저층부의 활성화

네트워크 서버는 트래픽 로드에 기반하여 단말 노드들에게 확산인자를 할당함으로써 전송 패킷 간 충돌 확률을 줄 일 뿐 아니라 가능한 높은 트래픽 로드를 갖는 단말 노드에게 낮은 확산 인자, 즉 높은 전송 속도를 할당함으로써 단말 노드의 소모 전력을 줄이 고자 했다.. 또한, 네트워크 서버는 서로 다른 확산 인자를 사용하는 단 말

그림14:담점분석기모델검증결과 4.1.2 전기화학 분석기 운전변수데이터중 Random Forest, mRMR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공정 분 석기의측정값과 상관관계가 높은 변수 19개를선정하고, Random Forest, OLS, SVR, LASSO, MARSearth 등5개머신러닝알고리즘을활용하여소프트센서

한편, 사회비교 를 많이 하는 사람들은 타인을 경쟁적인 비교대상으로 설정하는 경향이 있는 데White, Langer, Yariv, & Welch, 2006, 자기자비가 높은 사람들은 인간의 취약함에 대한 연민을 품기 때문에 자존감이 높은 개인에 비해 사회비교 경 향성이 적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넷째, 자기자비는 자기애,

이 정책 대화에는 호주, 싱가포르, 태국, 브루나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베트남과 더불어 대표적인 친중 국가 인 라오스와 캄보디아가 참석하여 인도-태평양 지역 사이버 공간의 규 범 확산과 신뢰 구축을 위한 다자협력에 힘을 더할 것을 약속하였다.181 무엇보다 호주가 시드니 선언을 통해 얻은 가장 큰 성과는 인도- 태평양

결과적으로, 창신숭인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지역에서는 지역 주민 모두가 누릴 수 있는 지역환경개선과 같은 개방적 결과와 더불어, 협력 적 거버넌스의 전 과정을 마무리할 수 있었던 뉴타운 반대 가옥주들을 중심으로 내적, 대인적, 사회정치적 역량 또한 강화되는 제한적 결과의 모습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정책적 함의 도시재생사업의

LIST OF ABBREVIATIONS ACH adjuvant chemotherapy C cisplatin CAP cisplatin, doxorubicin and cyclophosphamide CI confidence interval CM cisplatin and methotrexate CMV cisplat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