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 연구의 종합
최근 들어 다양한 기능을 갖춘 복합 상업시설들이 새롭게 등장함에 따라, 경쟁력 확보를 위해 노후화된 곳을 보수하고 리모델링을 하는 복합 상업시 설들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그 중 우리나라 대표적인 복합 상업시설인 코엑 스 몰이 리모델링을 시행한 후 언론뿐만 아니라 방문객들이 부정적인 반응 을 보였다. 그 원인은 길찾기가 어렵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코 엑스 몰의 리모델링 이후 방문객들이 이용에 불편함을 겪는 원인을 알아보 기 위해, 심층 인터뷰를 통해 구체적으로 방문객들이 코엑스 몰 이용에 불편 함을 겪은 요인은 주 통로의 부재와 기둥의 존재여부로 도출하였다. 이는 축 선도 분석과 VGA 분석을 통해 리모델링 전·후의 공간구조를 분석하여 공간 구조상에서 문제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코엑스 몰을 출입구, 통로, 광장으로 나누어서 축선도 분석한 결과, 리모델 링 이전에는 광장이 높은 통합도를 보여 중심공간의 역할을 했음을 예측할 수 있었다. 리모델링 이후에는 통로의 통합도가 가장 높은 것을 보아 광장보 다는 통로가 중심공간 역할을 하고 있음을 예측 할 수 있었다. 즉, 도면상으 로는 리모델링 이전에 비해 리모델링 이후의 통로가 방사형 구조라 주 통로 를 알아보기 힘들지만, 공간구조상으로는 주 통로의 역할을 하는 곳이 통합 도가 높은 공간임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는 주 통로의 부재로 인한 길찾기 가 어렵다는 점을 아니었다.
리모델링 이전보다 이후의 전체 평균 통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전반 적으로 공간구조상 공간의 접근성이 좋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반적으로 리모델링 이후의 접근성이 좋아졌다는 것은 명료도로도 확인이 가능했는데 명료도 분석 결과 리모델링 이전은 0.4702, 리모델링 이후는 0.5674로 명료도 가 더 높아졌다. 이는 리모델링 이후 공간인지도가 더 좋아졌다는 것을 의미 한다. 하지만 명료도 분석을 통해서 리모델링 이전에 비해 이후의 공간인지 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지만 축선도 분석을 통해서 기둥을 제외한 시야를 분석하는 방법이기에 기둥요소가 공간구조에 영향을 미치는지는 축선도 분 석을 통해서 확인이 불가능하다. 기둥의 존재여부를 시각적으로 좀 더 구체 적으로 알 수 있는 VGA 분석을 시행하였다.
VGA 분석을 리모델링 전·후의 공간구조분석과 리모델링 이후의 기둥의 유무에 따른 공간구조 분석, 이 두 가지로 비교분석하였다. VGA 분석 내에 서 Interval Scale과 Ordinal Scale 두 가지로 나누어 분석 값을 절대적과 상 대적인 지표로 나누어 상대적으로 중요한 공간을 자세히 볼 수 있다는 점이 다. Interval 분석으로는 리모델링 이전의 통합도가 훨씬 높은 것을 알 수 있 었고 리모델링 이후는 통로 D'의 통합도가 상대적으로 다른 공간에 비해 높 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Ordinal 분석으로는 리모델링 이전은 광장 부분 의 통합도가 높은 반면 리모델링 이후는 통로보다는 광장과 그 주변의 통합 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기둥의 존재여부를 분석해보았을 때, Interval 분석과 Ordinal 분석 둘 다 기둥이 존재할 때 통합도가 더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분석그래프에서 기둥 주변을 확대해 보면 기둥을 중심으로 한쪽의 통합도는 높고 반대편 통합도는 낮은 것을 볼 수 있었다. 기둥을 고 려했을 때 기둥 주변 공간의 통합도 값이 크게 차이 나는 것을 보아 기둥으 로 인한 시야가 많이 제한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명료도 분석을 통해 리모델링 이전(0.6502)과 리모델링 이후 기둥이 없을 때(0.6474)의 값이 비슷한 것으로 보아 공간 인지도가 크게 차이 나지 않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하지만 기둥을 고려했을 때(0.2801)의 명료도 가 크게 떨어진 것으로 보아 기둥의 요소가 공간 인지를 떨어뜨리는 요소임 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코엑스 몰 리모델링 이후 방문객들이 길찾기에 어려움을 겪는 요소는 기둥이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축선도 분석과 VGA 분석을 통해 리모델링 이후 전체 통합도가 높아졌다는 것은 공간의 접근성이 좋아졌다는 것으로 더 나아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이 것은 기둥이 없었을 때를 의 미한다. 즉, 기둥의 요소가 공간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리모델링 계획 시 기둥의 존재를 무시하고 설계한 것은 치명적인 실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기둥의 존재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공간 인지 및 길찾기에 문제를 야기 했다는 것으로 보아 리모델링에서는 기둥 요소가 가장 중요한 것을 알 수 있 었다.
복합 상업시설의 목적은 사람들의 동선을 유도하여 체류시간을 증가시키
고자 한다. 이를 통해 사람들에게 경제적 효과를 누리고자 하는 의도로 동선 을 복잡하게 했다면 그 의도에 맞게 설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인터 뷰에서 방문객들이 리모델링 이전에 비해 길찾기 및 이용에 지속적인 불편 함을 느낀다면 재방문의 의사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매출을 위한 목적 으로 동선을 복잡하게 했지만, 방문객들이 불편함을 느껴 찾아오지 않게 된 다면 방문객들의 편의를 먼저 생각하는 설계가 필요할 것 이다. 향후 지하 복합 상업시설의 리모델링에서는 기존의 기둥 요소를 고려한 설계가 필요할 것이다.
5.2. 연구의 의의 및 한계
본 연구는 복합 상업시설 중 코엑스 몰을 대상으로 리모델링 이후 사람들 이 느끼는 불편함을 알아보기 위해 공간구문론을 활용하여 길찾기의 문제점 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방문객들이 코엑스 몰 리모델링 이후에 느끼는 문제점을 공간구조 로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기 때문에 이를 일반화시키기 위해서는 공간구 조 외, 보다 다양한 요소인 환경요소 등을 포함한 연구가 필요하다.
참 고 문 헌
단행본 및 보고서
정연승, 서용구, “엔터테인먼트 쇼핑몰의 등장과 전망”, 삼성경제연구 소, 2001
최윤경, “7개의 키워드로 읽는 사회와 건축공간”, 시공문화사, 2003
Amos Rapoport, “Human Aspect of Urban Form”, Pergamon Press, 1977
Beyard Michael D. et. al., “Developing Urban Entertainment Centers”, Urban Land Institute,1998
J.Douglas Prteous, “환경과 행태”, 명보문화사, 1987
Passinim, “Wayfinding in Architecture”, New York., 1984
Rapoport, A., “Human Aspect of Urban Form”, Pergamon Press, 1977
Rodrigue, J., Comtois, C., & Slack, B., “The geography of transport systems”, New York: Routledge, 2017
The Jerde Partnership with Vilma Barr, “Retail and Building Type Basics for Mixed-Use Facilities”, John Wiley & SOns, Inc., 2004
Weeks, M. “Psychology in minutes: 200 key concepts explained in an instant”. London: Quercus, 2015
학위논문
림철, 현대 복합상업시설 내부가로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 복합 상업시설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김민수, 상업시설의 재실리모델링에서 공간구조가 이용자의 통행량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민선영, 복합 상업시설의 테넌트유형에 따른 공간구조와 이용행태의 상 호관련성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2
강정구, 우리나라 도심 엔터테인먼트 상업시설(U.E.C)의 건축 계획에 관한 연구: 엔터테인먼트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06
김하나, 복합 상업시설의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가든 파이브와 타임스 퀘어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김연선, 복합쇼핑몰 이용객 유형분석과 복합쇼핑몰 관계자와 이용객의 몰링 인식유형과 상호지향성 연구:Q 방법론을 활용하여, 숙명여자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12
이용선, 복합상업시설의 활성화를 위한 건축계획적 특성 도출 연구, 세 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김수영, 복합 상업시설의 내부가로 속성에 관한 연구: 신세계 백화점과 디큐브 시티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김민석, 공간의 가시설에 기반한 ERAM 모델; 초대형 복합공간의 공간 이용행태 예측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김소연, 복합상업시설 내부에서의 공간구조분석과 길찾기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한학규, 부천시 도시공간구조의 변화와 특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윤태준, 복합상업시설의 공간 활성화와 영향을 미치는 동선계획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김지은, 공간 구문과 이용자 움직임을 고려한 지하 복합 상업공간 계획 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Weisman, G. D., Wayfinding in the Built Environment: A Study in Architectural Legibility, The University of Michgan, PH.D.,1979
학회논문 및 정기간행물
김윤희 외 1인, 엔터테인먼트형 복합상업시설의 3가지 소비모드 수용 특성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 23권, 제 8호, 2007
김영욱 외 1인,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활용한 도시 공간구조 분
석-강릉시, 나주시, 분당시, 일산시를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계획계/구조계, 제 21권, 제 1호, 2001
최재필 외 3인, 공간의 가시성을 고려한 초대형 복합공간의 공간분석,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제 21권, 제 11호, 2005. 11
Turner, A., Doxa, M.m O'sullivan, D., & Penn, A. From isovists to vilibility graphs: a methodology for the analysis f architectural space.
Environ Plann B, 28(1), 2001
김형중, 쇼핑센터에서 Armature 분석을 통한 상업적 전략에 관한 연구:
저드파트너십의 쇼핑센터를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제 21권, 제 1호, 2012
김찬주 외 4인, 사용자 동선분석을 통한 복합상업시설 활성화 전략 연 구: 저드 파트너쉽의 작품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 문집, 제 32권, 제 2호, 2012
인터넷기사
최자영. (2015.11.03.). “리모델링 마친 코엑스몰 가보니...썰렁한 이유 있었네”, 한국경제일보, Retrieved from
http://snacker.hankyung.com/article/42760
노승욱. (2015.08.17.). “리뉴얼 실패 논란에 시끄러운 코엑스몰…매출 반토막 vs 점진적 회복”, 매일경제일보, Retrieved from
http://news.mk.co.kr/newsRead.php?no=787273&year=2015
신진주. (2015.11.30.). “‘우여곡절’ 코엑스몰 리뉴얼 오픈 1주년, 지금은?”, 미디어펜, Retrieved from
http://www.mediapen.com/news/view/1058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