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 VGA 분석을 통한 공간구조 분석
4.2.4. 소결
4.1. 축선도 분석(Axial Map)을 통한 공간구조 분석
4.1.1. 분석 범위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의 내부평면 특성을 고려하여 대상지의 공간구조 분 석 범위를 설정하였다. 코엑스 몰의 내부 분석 범위는 대상지 내 시설물과 상점을 제외하고 사람들의 통행이 가능한 모든 공용 공간으로 지정하였다.
특히 이용자들의 공간 이용측면을 최대한 반영하고자 내·외부 현장조사를 근 거로 하여 접근범위를 설정하여 출입구와 광장, 광장을 잇는 통로 등 3가지 로 나누어 아래의 [그림 4-1], [그림 4-2]과 같이 범위를 설정하여 분석하였 다.
위의 [그림 4-1]은 코엑스 몰의 리모델링 전 평면도이다. 여기서는 주요 앵 커시설인 푸드 코트와 영화관이 주 통로와 광장에 연결되어 있다. 분석의 정 확성을 위해 출입구, 광장, 통로를 5가지로 나누어 비교해보았다. 사람들이 코엑스 몰로 접근할 수 있는 출입구들 중에 많이 사용하는 곳은 A와 E 두 곳이다. A는 지하철과 연결된 주 출입구를, E는 코엑스 아셈플라자와 외부로 연결된 출입구를 나타낸다. B는 중앙광장을, C는 A주 출입구와 중앙광장을 잇는 통로를 그리고 D는 중앙광장과 E 출입구를 잇는 통로를 나타낸다.
[그림 4-1] 코엑스 몰 리모델링 이전 분석범위
[그림 4-2]는 코엑스 몰의 리모델링 후 평면도이다. 코엑스 몰의 광장은 여 러 개로 구성되어 있고, 주요 앵커시설이 광장에 연결되어 있기보다는 통로 가 광장을 연결하는 형태이다. A'는 지하철과 연결된 주 출입구를, E'는 지 하철이 새로 추가로 생기면서 연결된 출입구를 나타낸다. B'는 리모델링 이 전과 같이 중앙광장의 위치이자 코엑스 몰의 중심지역 역할을 한다. C'는 A' 출입구와 중심지역인 B'를 연결하는 통로를, D'는 E' 출입구와 중심지역 B' 를 연결하는 통로를 나타낸다.
[그림 4-2] 코엑스 몰 리모델링 이후 분석범위
4.1.2. 코엑스 몰 리모델링 전·후의 통합도 분석결과
분석프로그램은 공간구문론 분석 프로그램 중 하나인 S3 Axial Analyzer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공간구조분석결과는 아래의 [그림 4-4]과 [그림 4-5]와 같이 나타났는데 각 공간의 중요도에 따라 [그림 4-3]에 나타난 색 으로 구별하여 나타난다.
축선도 분석에서 색의 구분은 붉은색에 가까울수록 수치가 높고 결과 값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푸른색에 가까울수록 수치가 낮고 결과 값이 낮은 것 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도를 중점적으로 살 펴볼 것으로 붉은색에 가까울수록 통합도의 결과 값 이 높은 것으로 공간의 접근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 다.
[그림 4-4] 코엑스 몰 리모델링 이전의 통합도 분석 [그림 4-3]
축선도 그래프의 통합도 색 수치
(1) 전체 공간구조 분석
아래의 [표 4-1]는 축선도 분석 결과 각 분석 범위의 평균 통합도를 비교 한 표이다. 리모델링 이전의 전체 평균 통합도인 0.972107보다 리모델링 이 후의 전체 평균 통합도 1.104771가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리모델링 이 전에 비해 공간구조상으로 접근성이 좋은 공간으로 해석할 수 있다. 각 분석 범위의 평균 통합도는 통로 B를 제외하고 리모델링 이후의 평균 통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리모델링 이후의 공간구조가 전반적으로 공간의 접근성 이 좋아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4-5] 코엑스 몰 리모델링 이후의 통합도 분석
리모델링 이전 리모델링 이후
평균 통합도 평균 통합도
출입구 A 0.942182667 출입구 A' 0.962461667 출입구 E 0.5712803 출입구 E' 1.002089
통로 B 1.30064 통로 B' 1.22385
통로 D 1.243275 통로 D' 1.511605
광장 C 1.33478 광장 C' 1.44271
전체 통합도 0.972107 전체 통합도 1.104771 [표 4-1] 각 분석 범위의 평균 통합도
또한 광장부분의 공간의 접근성이 높고 지하공간 내부 외곽으로 갈수록 접근성이 낮은 것을 볼 수 있다. 리모델링 이전은 중심공간과 그 주변의 통 합도가 다른 공간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리모델링 이전과 다르게 리 모델링 이후는 출입구과 중심공간을 연결하는 통로 D'와 중심공간의 통합도 가 높은 것으로 보여 전체 공간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중심공간이 다른 것 을 알 수 있다. 즉, 리모델링 이전에는 광장부분을 중심으로 공간의 접근성이 높았다면 리모델링 이후에는 광장이 중심이 되기보다는 통로부분의 공간의 접근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출입구 A-A' 와 출입구 E-E' 비교분석
전체 평균 통합도의 비교로는 리모델링 이후가 이전의 평균 통합도 값보다 높게 나타났다. 좀 더 세부적으로 분석해서 리모델링 이전의 출입구 A와 리모델링 이후의 출입구 A'의 비교분석 결과이다.
리모델링 이전의 출입구 A의 평균 통합도는 0.9421이고 리모델링 이후의 출입구 A'의 평균 통합도는 0.9624로 비슷한 것으로 보아 리모델링으로 인한 공간의 접근성이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4-7] 리모델링 이후 출입구 A‘
리모델링 이전 리모델링 이후
ID integration ID integration
1 0.845664 1 0.860845
2 1.03446 2 1.01074
5 0.946424 5 1.0158
평균 통합도 값 0.942182667 평균 통합도 값 0.962461667 [표 4-2] 출입구 A-A' 통합도 분석 값
[그림 4-6] 리모델링 이전 출입구 A
리모델링 이전 리모델링 이후
ID integration ID integration
50 0.565928 53 0.967426
51 0.661933 54 1.14779
52 0.489889 55 0.891051
53 0.567371
평균 통합도 값 0.5712803 평균 통합도 값 1.002089 [표 4-3] 출입구 E-E' 통합도 분석 값
[그림 4-9] 리모델링 이후 출입구 E‘
[그림 4-8] 리모델링 이전 출입구 E
반면, 출입구 E의 평균 통합도는 0.5712, 출입구 E'의 평균 통합도는 1.002 로 리모델링 이후 더 높게 나왔다. 이는 리모델링으로 인해 출입구 E'의 공 간 접근성이 높아졌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출입구 E와 E'의 다른 점 은 리모델링 이후에 9호선 신설로 인해 리모델링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예 측할 수 있다.
리모델링 이전에는 출입구 A가 출입구 E에 비해 높은 평균 통합도를 보여 출입구 A가 주 출입구의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고 반면 리모델링 이후 에는 출입구 A'와 출입구 E'의 평균 통합도가 비슷한 것으로 보여 주 출입 구보다는 양쪽 출입구 모두 접근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3) 광장 C-C' 비교분석
리모델링 이전 광장 C의 평균 통합도는 1.33478로 리모델링 이전에 다른 분석범위보다 가장 높은 평균 통합도를 보여준다. 리모델링 이후의 광장 C' 의 평균 통합도는 1.44271로 다른 공간에 비해 평균 통합도가 높은 편이지만 통로 D'가 가장 높은 평균 통합도를 보이고 있다. 리모델링 이전에는 광장이 공간의 접근성이 가장 좋은 반면 리모델링 이후에는 광장C'의 공간보다 통 로 D'의 공간의 접근성이 가장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리모델링 이전에는
[그림 4-10] 리모델링 이전 광장 C
[그림 4-11] 리모델링 이후 광장 C'
중심공간이자 이용이 가장 높을 것으로 예측되는 곳이 광장이고 리모델링 이후에는 중심공간이 공간에서 통로 D'가 공간의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 측된다.
전체적인 통합도 중 가장 높은 값이 광장 공간에 있는데 리모델링 이전에 는 1.55531(ID: 21)과 리모델링 이후에는 1.79789(ID:29)가 가장 좋은데 이는 광장과 통로를 연결하는 공간의 통합도 값으로 이 공간이 코엑스 몰 내 가장 공간의 접근성이 용이하며 활용도가 가장 높은 공간임을 예측 할 수 있다.
리모델링 이전 리모델링 이후
ID integration ID integration
11 1.13474 13 1.6517
14 1.48273 18 1.53909
15 1.45366 22 1.1887
20 1.32387 23 1.28582
21 1.55531 25 1.32784
22 1.32387 26 1.44085
64 1.06928 27 1.06366
28 1.49382
29 1.79789
37 1.63838
평균 통합도 값 1.33478 평균 통합도 값 1.44271 [표 4-4] 광장 C-C' 통합도 분석 값
(4) 통로 B-B' 와 통로 D-D' 비교분석
리모델링 이전 리모델링 이후
ID integration ID integration
3 1.30064 3 1.22385
평균 통합도 값 1.30064 평균 통합도 값 1.22385 [표 4-5] 통로 B-B' 통합도 분석 값
[그림 4-12] 리모델링 이전 통로 B
[그림 4-13] 리모델링 이후 통로 B‘
리모델링 이전의 평균 통합도는 1.30064로 리모델링 이후의 평균 통합도인 1.22385보다 조금 높다. 이는 출입구와 연결해서 본다면 리모델링 이전은 방 문객들이 주 출입구의 역할인 A를 통해 광장으로 가는 통로로 가는 것으로 예측되어 리모델링 이후보다 접근성이 좀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리 모델링 이후에는 출입구 A'에서 광장으로 가는 통로의 수가 늘어 방문객들 의 수가 분산됐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어 공간의 접근성이 리모델링 이전에 비해서 낮아진 것을 의미한다.
[그림 4-14] 리모델링 이전 통로 D
[그림 4-15] 리모델링 이후 통로 D‘
리모델링 이전 리모델링 이후
ID integration ID integration
60 1.21535 30 1.61238
61 1.40766 34 1.41083
62 1.21535
63 1.13474
평균 통합도 값 1.243275 평균 통합도 값 1.511605 [표 4-6] 통로 D-D' 통합도 분석 값
리모델링 이전 통로 D의 평균 통합도는 1.243275로 리모델링 이후 통로 D'의 평균 통합도는 1.511605이다. 리모델링 이전보다 이후의 통로 D‘가 높 은 이유는 출입구와 연관 지어서 생각 할 수 있다. 리모델링 이전에는 출입 구 E보다 출입구 A의 공간 접근성이 높아 출입구 A가 주 출입구 역할을 하 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통로 B가 통로 D보다 접근성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리모델링 이후에는 출입구 A'와 출입구 E'의 평균 통합 도가 비슷하다. 그런데 통로 B’보다 통로 D'의 평균 통합도가 높은 것을 보 아 공간의 접근성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어 사람들이 이용이 더 많을 것으 로 예측된다.
또한 리모델링 이전에는 광장 C의 평균 통합도(1.33478)가 가장 높아 광장 이 중심공간으로 볼 수 있지만, 리모델링 이후에는 통로 D‘의 평균 통합도가 가장 높은 것을 보아 리모델링 이후에는 통로 D'가 중심공간으로 볼 수 있 다.
(5) 코엑스 몰 리모델링 전·후의 명료도 비교분석
명료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그림 4-16]는 코엑스 몰의 리모델 링 전 공간 구조모델을 구축하여 축선도 분석을 통해 명료도를 분석한 결과 이다. 그리고 [그림 4-17]은 리모델링 후 공간 구조모델을 구축하여 축선도 분석을 통해 명료도를 분석한 결과이다.
[그림 4-16]와 [그림 4-17]을 비교해보면 코엑스 몰 리모델링 전의 값은 R²= 0.4702, 리모델링 후의 값은 R²= 0.5674로 나타났다. 리모델링 이전에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