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 - S-Space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 - S-Space"

Copied!
73
0
0

Teks penuh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치의과학석사 학위논문

다문화 이민자의 구강진료서비스 이용 시 소통 어려움 문제

2016년 8월

서울대학교 대학원

치의과학과 예방치과학전공

박 해 영

(3)

다문화이민자의 구강진료서비스 이용 시 소통 어려움 문제

지도교수 진 보 형

이 논문을 치의과학석사 학위논문으로 제출함

2016년 4월

서울대학교 대학원

치의과학과 예방치과학전공

박 해 영

박해영의 치의과학석사 학위논문을 인준함

2016년 6월

위 원 장 ( 인)

부위원장 ( 인)

위 원 ( 인)

(4)

국문초록

다문화 이민자의 구강진료서비스 이용 시 소통 어려움 문제

서울대학교 대학원 치의과학과 예방치과학 전공 ( 지도교수 :진 보 형)

우리나라에서 다문화 이민자는 여러 가지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급증 하고 있으며,이들이 전체 국민 건강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커져가고 있다.하 지만 다문화 이민자들의 상당수가 아직 의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불편함을 겪고 있고,특히 언어 문제로 인한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그 중 가장 큰 비중 을 차지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에 가장 많이 거주하는 중국,베트남,필리핀계 이민자를 중심으로 질적 연구를 통해 문제점을 진단하고,이 과정에서 수집된 언어 표 현을 다수를 대상으로 검토해 보는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2016년 4월부터 5월까지 서울특별시 강동구와 광진구 다문화가족 지원센터 의 협조를 받아 모집한 베트남,중국,필리핀 출신 다문화 이민자를 대상으로 치과에서 경험한 소통 어려움의 사례를 조사했으며,연구자가 제시하는 질환 별 한국어 임상표현에 대응하는 해당 다문화 언어의 표현을 수집하였다.이 결과를 토대로 베트남어 사용자 92명과 중국어 사용자 108명에게 별도로 설문

(5)

조사를 실시하였다.

심층면접 결과,다문화 이민자들은 치과 이용 시 진단 과정뿐만 아니라 접 수,치료 방법 설명,치료 과정에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에서 소통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이로 인해 진단의 어려움,치료 과정에서의 불안감과 민감성 유 발,환자의 알권리와 선택권 박탈,병력 조사 소홀로 인한 의료 잠재적 위험, 치료에 대한 만족도 저하,동반자에 대한 불신 등의 문제가 야기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출신 국적별로 중국 출신 이민자들은 다른 국적 출신의 다문화 이민자들 에 비해 한국어 실력이 뛰어나고 치과에서의 어려움도 덜한 것으로 나타났 다.필리핀 출신 이민자들은 제한적으로나마 영어 소통의 도움을 받는 것으 로 보였다.

심층 면접을 통해 수집된 다문화 언어 표현 검증 결과,중국어권,베트남 어권 다문화 이민자들은 치아우식과 치주병 관련 언어표현에서 현증을 표 현하는 ‘썩었어요’,‘잇몸 부었어요’,‘잇몸에서 피나요’,등 사실에 대한 표현 묘사는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나,‘욱신거리다’,‘시리다’,‘쑤시다’등 통증 양 상에 대한 표현은 다양하게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부정교합과 사랑니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고 표현도 잘 사용하지 않았다.

주요어:구강진료,다문화이민자,소통 어려움 학번 :2014-25087

(6)

제 1장 서론 1

제 1절 연구 배경 1

제 2절 연구 필요성 4

제 3절 연구 목적 8

제 2장 연구 방법 및 결과 9

제 1절 연구 방법 9

제 2절 연구 결과 18

1.심층 면접 18

2.다수 대상 설문조사 38

제 3장 고안 46

제 4장 결론 50

참 고 문 헌 53

별 첨 57

Abstract 62

목 차

(7)

[Table1]Typeofdifficultiesmulticulturalimmigrants

experiencein medicalcircumstances... 4 [Table2]Korean languageability ofmulticulturalimmigrants.... 5 [Table3]DemographicsofVietnameseinterviewees... 18 [Table4]Vietnameseexpressionscollectedduring focused

interviews... 28 [Table5]DemographicsofChineseinterviewees... 29 [Table6]Chineseexpressionscollectedduring focused

interviews... 35 [Table7]DemographicsofFilipinointerviewees... 36 [Table8]Rateofpopularity andconcordancein Vietnamese

expressions... 41 [Table9]Rateofpopularity andconcordancein Chinese

expressions... 45

Tabl eI ndex

(8)

[Figure1]Population estimation ofmarriageimmigrants... 1

[Figure2]Comparisonsofsubjectivehealthstatus... 2

[Figure3]A framework forstudy toaccesshealth care... 7

[Figure4]Study flow (proceduresandmethod)... 11

[Figure5]Focusedinterview... 13

[Figure6]Flow offocusedinterview... 15

[Figure7]DemographicsofVietnameserespondents... 38

[Figure8]DemographicsofChineserespondents... 42

Fi gur eI ndex

(9)

167,090 183,934 200,753 212,550

234,318 251,062 267,775 284,460

304,112 317,730 350,462

0 50,000 100,000 150,000 200,000 250,000 300,000 350,000 400,000

2009 2010 2011 2012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persons)

(year)

Figure 1. Population estimation of marriage immigrants, 2009-20202)

제 1장 서 론

제 1절 연구 배경

한국 내 다문화 이민자들의 수는 남녀의 성비 불균형,도농간 인구 불균형, 저출산 고령화,산업 노동력 부족 등으로 인해 급증하고 있고,이들의 건강상 태가 국민 건강에서 차지하는 비중 역시 커지고 있다.2012년 다문화 가족 실 태 조사에 따르면,다문화 결혼 이민자의 수는 283,224명에 이르고 있으며1), 2020년에는 351,000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2)(Figure1).다문화 가구 는 2012년 기준 평균 0.9명의 자녀를 두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향후 증가 추세를 감안한다면 다문화 가족 구성원의 수는 더욱 늘어날 것이다3).

(10)

5

Figure 2. Comparisons of subjective health status4)

하지만 이들 중 상당 부분은 여전히 가구 소득이 낮고,제도적 수혜도 받을 수 없는 의료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취약 계층이다.다문화 이민자의 14.2%가 건강보험이나 의료 급여와 같은 의료보장 혜택을 전혀 받지 못하고 있으며, 체류 기간이 짧은 결혼 이민자나 가구 소득이 낮은 경우에 건강 보험의 가입 률은 더 낮아지는 것으로 보고되었다4).다문화 가족의 월평균 가구 소득은 100-200만원 미만이 38.4%이고,100만원 이하의 저소득층이 19.9%에 달한다1) 는 점을 감안하면,이들이 제도적 보호 하에 의료 기관을 이용하는 비중은 더 낮아질 것으로 사료되었다.

조사 결과 다문화 이민자들은 자신의 건강을 비교적 양호하게 평가하는 것 으로 보였다.총 5점(매우 나쁘다 1점 - 매우 좋다 5점)중 여성 3.88점,남성 3.90점,평균 3.89점으로 일반 국민의 전반적인 주관적 건강상태 3.55점과 비교 했을 때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4).

(11)

하지만 실제 다문화 이민자들의 객관적 건강 상태를 낙관적으로 보기는 어 렵다고 생각되었다.다문화 결혼 이민자들 중 의사로부터 진단 받은 질병을 가지고 있는 비율은 23.0%로 다문화 가족의 ⅕이 전문적인 의료서비스를 제 공받아야 하는 취약계층이며 이들 중 85%만이 치료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4).Kim5)의 연구에 따르면 여성 결혼이민자의 55.3%는 질병 치료를 중단 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2009년 다문화가족 조사에서는 지난 1년간 다문화 가족의 미충족 의료 경험이 10.6%로 나타났다.일반 성인의 미충족 의 료 수준은 3-10%정도 이므로,다문화 가족의 미충족 의료수준이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6).다문화 이민자의 출신 국가별 사회경제 수준과 문화에 따라 의 료 필요에 대한 인식이 다를 수 있고,이들의 상당수가 건강수준이 높은 젊은 연령층이므로 의료서비스에 대한 필요도가 아직 낮음을 감안했을 때,이 차이 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증가할 것이라 예상 되었다.

(12)

제 2절 연구 필요성

다문화 이민자들은 주로 병의원(82.0%),한의원(2.6%),보건소(1.2%),약국 (5.9%)등의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의료 기관 이용 시 어 려웠던 점에 대해 60.1%는 ‘어려움이 없었다’고 응답했으며,18.6%는 언어 소 통의 어려움,14.2%는 경제적 어려움을 호소했다4)(Table 1).이는 ‘어려움이 있었다’고 응답한 사람들 중에서는 각각 52%와 35.4%에 달하는 수치이다.

Communi cation

Complexity of

procedures Cost Transpor

tation Others No

difficulties Total 18.6 3.8 14.2 2.9 0.5 60.1 100.0 Table1.Typeofdifficultiesmulticulturalimmigrantsexperiencein medicalcircumstances4)

Unit:%

출신 국적 별로,캄보디아(44.7%),베트남(41.4%)등의 동남아시아 국가 출 신들이 언어 소통의 어려움을 높게 호소했으며,중국,중국(한국계),대만,홍 콩 등의 중화권 국가 출신들은 비용 문제를 가장 높게 지적했다4).실제로 다 문화 이민자들의 한국어 실력을 조사한 결과,중국계 출신 이민자들은 한국어 실력 면에서 ‘매우 잘한다’,‘잘한다’는 응답이 높은 반면,베트남,필리핀,캄보 디아 등의 동남 아시아권 국가 출신 이민자의 경우 ‘못한다’,‘보통이다’의 답 변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1)(Table2).

(13)

Unit:%

Classification Very

poor Poor Average Good Very

good Total Chinese 3.7 10.5 24.1 17.6 43.9 100.0 Chinese

(Korean) 0.3 2.0 13.6 17.9 66.2 100.0 Taiwan,

Hongkong 1.7 5.2 9.7 9.4 74.0 100.0 Japan 8.5 11.6 32.7 21.8 25.4 100.0 Mongolia 1.9 10.0 33.7 30.8 23.6 100.0 Vietnam 7.1 24.5 48.0 15.8 4.7 100.0 Philippine 5.9 21.9 47.1 17.8 7.2 100.0 Thailand 4.9 23.5 46.8 16.8 8.0 100.0 Cambodia 5.3 25.3 45.7 18.4 5.2 100.0 Table 2. Koreanlanguageabilityofmulticulturalimmigrants1)

이 외에도 결혼 이민자들은 이용 절차의 복잡성,교통 불편6),문화적 차이에 서 기인한 건강과 질병에 대한 다른 견해,의료진의 차별적 태도3,8),질병 예방 과 관련된 건강 서비스에 대한 지식 부족 등으로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이 저조 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Aday와 Anderson은 보건의료 이용모형을 통해 환자들이 다섯 가지 요인의 영향을 받아 보건의료 이용을 결정한다고 설명하였다.즉,보건 정책의 광범위 한 영향을 받아 보건의료 체계와 인구집단의 특성이 결정되고,이들은 다시 환자들의 의료 이용과 그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며,의료 이용과 만족도는 상호 영향을 주며 상승 또는 길항작용을 한다고 하였다

9,10)(Figure3).

(14)

다문화 이민자들의 의료 이용 저조를 이 모형을 통해 설명해 보면,미비한 보건 정책으로 인한 보건 의료 체계의 문제점(이용 절차의 복잡성,낮은 접근 성)과,인구 집단의 특성(의료보장 수혜 결여,낮은 가구당 소득,보건의료에 대한 지식 부재)이 결국 의료 이용을 저해하고 만족도를 떨어뜨리는 것으로 분석되었다.의료 이용 시 겪게 되는 의료진의 차별적 태도와 높은 비용,질병 에 대한 지식 부족에 따른 낮은 정보 이해도 등도 역시 다문화 이용자의 만족 도를 떨어뜨리고 의료 이용을 가로 막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즉,새로운 보건 정책의 제시를 통한 의료 체계의 변화와 다문화 이민자들 을 위한 지원책 마련이 이용자 만족도 제고와 원활한 의료 이용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다문화인들을 위한 정책 보완의 타당성을 제공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가장 큰 어려움으로 지적되는 언어 소통의 문제는 다문화 이민자 집 단만이 가지는 특성으로,일반 성인의 의료 이용을 나타내는 모형으로 명쾌하 게 설명하기는 어렵다.언어 문제는 다문화 이민자가 보건 정책과 보건의료 체계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고,합당한 의료 기관을 찾아가는 과정,주변인들에 게 본인의 증상과 의료 필요에 대해 호소하는 과정,실제 의료 기관에서 치료 를 받고 건강관리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는 과정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특히 이용자 만족도의 경우 일반 국민과 다문화 이민자 공히 이용자 개인의 특성,개별 의료 기관의 역량,치료의 종류와 비용 등과 깊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지만,다문화 이민자의 경우 언어 소통의 어려움으 로 인해 일반 국민보다 이용자 만족도가 낮고 의료 이용에 부정적 영향을 받 을 가능성이 높다.

보건복지부는 언어 문제 해결에 대한 필요를 느끼고 2007년부터 결혼이민여 성이 다수 거주하는 지역의 보건소를 선정,통역 요원을 배치하고 통역서비스 지원사업을 실시하고 있다.하지만 2011년 기준 전국 25개 보건소,약 50명의

(15)

통역 요원이 배치되어 있을 뿐이며,이는 결혼 이민자 수의 증가에 비해 턱없 이 부족한 실정이다5).

Health Policy Financing Education Manpower Organization

Characteristicsof Health Delivery

System

Resources(Volume, Distribution) Orginazation(Entry,

Structure)

Utilization of Health Services

Type Site Purpose Time interval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at Risk Predisposing (Mutable,

Immutable) Enabling (Mutable,

Immutable) Need (Perceived,

Evaluated)

Consumer Satisfaction Convenience

Costs Coordination

Courtesy Information

Quality

Figure3..Framework forthestudy ofaccess

(16)

제 3절 연구 목적

이번 연구는 다문화 이민자들이 치과 이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소통 어려움 에 대해 보다 깊이 이해하고,이를 해결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다음 과 같은 구체적인 목적을 이루고자 하였다.

첫째,다문화 이민자들이 치과 이용 시 겪는 소통 어려움의 현황을 파악한다.

둘째,다문화 언어와 한국어 증상 표현의 차이를 파악한다.

셋째,사용 빈도 높은 한국어 증상 표현의 다문화 대응 표현을 수집하고,검증 한다.

넷째,문진 과정에서의 정확성과 효율성 제고를 위한 방안 모색의 기초 자료 를 수집한다.

이를 통해 다문화 이민자들의 국내 정착을 돕고 구강 건강 향상을 도모하는 적절한 구강보건정책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17)

제 2장 연구 방법 및 결과

제 1 절 연구 방법

1.기존 자료 조사 및 사전 준비

사전 조사 결과,다문화 이민자들 중 상당수가 치과 이용 시,증상을 설명하 면서 ‘아프다’라는 표현만 사용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한국 환자들은 다 양한 표현을 사용하여 증상을 호소하고,치과의사는 환자의 자세한 설명을 바 탕으로 감별 진단 후 임상 검사를 시행하여 최종 진단을 내리는데 반해,다문 화 이민자들의 ‘아프다’라는 설명은 매우 모호하고 다양한 질환의 가능성을 내 포하여 의사의 감별을 어렵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장 자료 수집과 문헌 조사를 병행하여 언어표현에 대한 기초 자료 조사를 수행하였다.

1)현장 자료 수집

사용 빈도 높은 한국어 증상 표현을 수집하기 위해,일반 진료 시에 환자들 이 구강 상병에 대해 표현하는 실제 언어 표현을 수집하였다.

2015년 12월 1일부터 2016년 1월 30일까지 인천 OO치과를 처음으로 방문한 200명 환자의 주소를 중심으로 자료 수집이 이루어 졌다.

2)문헌 조사

치과에서의 의사소통 및 진단에 관한 책자들을 통해 환자들이 빈도 높게 사 용하는 주소를 수집하기 위해 치아우식,치주 질환,부정 교합,근관치료 등의

(18)

치료를 위한 진단 책자들이 사용되었다11-15).

3)최종 평가 항목 선정

연구진과 전문가 의견 조회를 통해 다문화 이민자들을 대상으로 알맞은 모 국어 표현을 수집하기 위해 평가해야 할 항목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항목은 다음과 같았다.

Ÿ 제시된 한국어 표현에 대한 다문화 대응 표현의 유무

Ÿ 다문화 대응 표현

Ÿ 응답한 대응 표현의 대중성 여부

4)심층 면접용 구조화된 조사지 작성

실제 심층면접에서 사용할 한국어 표현을 선정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유병율이 높은 치아우식과 치주질환을 중심으로 빈도 높은 표현을 선정하였으 며,그 외에도 치아마모,사랑니,부정교합,보철물 상태에 관한 표현을 선정하 였다.치아우식에 관한 표현으로는 ‘썩었어요’,‘아파요’,‘까매요’,‘구멍났어요’,

‘음식물 끼어요’,‘깨졌어요’를 선정했다.치주질환에 대한 표현으로는 ‘아파요’,

‘욱신거려요’i.,‘쑤셔요’ii.,‘우리해요iii.’,‘시려요’iv.,‘시큰해요’,‘잇몸이 부었어요’,

‘잇몸에서 피가 나요’를 선정했다.그 외에 사랑니가 ‘묻혀있어요’.‘누워있어 요’,‘덧니’v.,‘뻐드렁니’vi.,‘주걱턱’,‘돌출’,‘삐뚤어요’,보철물이 ‘높아요’,‘거칠 어요’,‘받혀요’등이 선정되었다(별첨 1).

i. 머리나 상처 따위가 자꾸 쑤시는 듯이 아프다 (출처: 금성 뉴에이스 국어사전) ii. 바늘로 찌르듯이 아프다

iii. 몹시 아리거나 또는 욱신욱신하다, 경상도 방언 iv. 찬 기운으로 인하여 춥다

v. 배냇니 곁에 포개어 난 이 vi. 밖으로 뻗은 앞니

(19)

Figure 4. Study Flow (Procedures and method)

6)조사 대상국 및 대상자 선정

조사기준은 한국내 거주하는 결혼이민자의 수가 가장 많은 순서로 정하되, 각자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국가로 했다.순서대로 중국,베트남,필리핀이 선 정되었다.만 19-50세의 성인으로 자국어 의사소통에 문제가 없는 사람들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사람으로 정하였다.

(20)

2.연구 윤리 위원회 심의

모든 조사는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연구윤리위원회의 사전 승인(IRB no.

S-D20160010)을 얻은 후에 진행하였다.

3.심층면접

1)대상자 모집

한국 내 거주하는 다문화 이민자 수를 기준으로,거주자가 가장 많고 각기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중국,베트남,필리핀 출신의 다문화 대상자를 중심으로 심층 면접을 계획하였다.심층 면접 대상자는 강동구와 광진구 다문화가족 지 원센터의 도움을 받아 모집했다.선정 기준은 다문화 가족 구성원,임상 표현 수집연구 참여에 동의한 사람,만 19-50세의 성인,자국어 의사소통에 문제가 없는 사람으로 했다.그 결과 중국 4명,베트남 5명,필리핀 3명의 대상자가 모집되었고,2016년 4월 19일부터 26일 까지 강동구 다문화가족 지원센터 소 교육실에서 두 차례에 걸쳐 심층 면접을 시행하였다.면접은 각 대상자당 30 분에서 1시간 정도가 소요되었으며,연구자와 대상자의 의사소통이 어려운 경 우 전문통역요원의 도움을 받아 진행하였다.모든 면접 과정은 자료의 기록을 위해 대상자의 동의를 얻어 녹취되었다.

2)심층면접의 과정과 조사 내용(Figure6)

① 연구 설명 및 연구에 대한 참여 동의

대상자에게 연구의 취지와 목적,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동의를 얻었다.연구 가 가지는 위험성과 불이익,이익에 대해 충분히 설명했으며,대상자가 원할

(21)

시 연구 참여를 중단할 수 있음도 고지 한 후 자발적으로 동의서에 서명하도 록 하였다.

② 인구 사회학적 특성 조사

미리 준비된 설문지를 통해 대상자의 성별,연령,결혼여부,자녀 유무,한국 거주 기간,한국어 실력,교육 정도,현재 직업,과거 모국에서의 직업,건강보 험 수혜 여부,과거 병력(Pastmedicalhistory,PMH;Pastdentalhistory, PDH)를 조사하였다.

③ 치과 방문 시 경험한 어려움 조사

PDH 조사 시 최근 치과에 방문한 경험이 있는 대상자들에게 치과 방문했 을 때의 경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였다.처음 의사를 만나 증상을 설명했을 때의 어려움,진단과 치료 방법에 대해 설명을 들을 때의 어려움,치료 과정 중 겪은 어려움으로 나눠서 질문하고 그에 대해 답변하도록 하였다.

④ 대응 표현의 수집

연구진이 사전 준비 과정에서 가장 빈도 높은 치과 질환을 중심으로 수집, Figure5.Focusedinterview

(22)

선정한 한국어 증상 표현을 제시하고 제시된 표현에 대응하는 모국어 표현이 있는지 기입하도록 하였다.대응 표현이 있다고 응답한 경우에만 대응하는 모 국어 표현을 기입했으며,제시된 한국어 표현의 이해가 어려울 경우 연구자가 의미를 설명하거나 사진을 제시하여 이해를 도왔다.

⑤ 구강 검사

구강검사를 실시하여 대상자의 우식경험영구치지수(DMFT index)와 치주상 태(CPITN,탐침시 출혈),보철물 상태를 기록하였다.

4.설문 조사

1)조사 방법

관악구 건강가정지원센터,광진구 한글 세종학교,강동구와 광진구 다문화가 족 지원센터,광주광역시 북구 다문화가족지원센터,건대입구 일대에서 베트남 어와 중국어 사용자 각 92명,108명을 대상으로,심층 면접 과정에서 수집된 중국어,베트남어 표현의 대중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설문 조사를 실시 하였다.2016년 5월 3일부터 6월 13일까지 진행하였으며,중국어와 베트남어로 번역된 동의서와 설문지를 이용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로 시행하였다(별첨 2).

2)조사 내용

① 연구 설명 및 참여 동의

심층 면접 시와 동일한 방법으로 연구 취지와 방법 등에 대해 충분히 설명 하고 참여자의 자발적 동의와 서명을 얻었다.

(23)

Figure6.Flow ofFocusedInterview

② 인구사회학적 특성 조사

성별,한국 거주기간,학력,주관적 한국어 능력을 조사하였다.주관적 한국 어 능력의 경우 읽기,쓰기,듣기,말하기를 각각 상,중,하로 표시하도록 하 여 심층 면접 시보다 더 세분화하였다.

③ 수집된 중국어와 베트남어 표현의 대중성 검증

심층 면접을 통해 수집된 각 표현에 대해 ‘이 표현을 들어보거나 사용해 보 신 적이 있습니까?’의 질문에 ‘예’또는 ‘아니오’로 응답하도록 하여 수집된 다 문화 표현의 대중성을 검증하였다.

(24)

④ 수집된 중국어와 베트남어 표현의 타당성 검증

수집된 표현을 들어보거나 사용해 본적이 있는 경우 이에 가장 알맞은 한국 어 표현을 연결하도록 하였다.이 때 들어보거나 사용해 본적이 없는 경우,한 국어 표현을 모르는 경우는 응답하지 않고 비워두도록 하여 임의로 답하는 것 을 방지하고자 했다.

⑤ 각 표현별 대중성,무응답률,한국어 표현과의 연결 정답률

Ÿ 각 표현별 대중성:전체 응답자 중 해당 표현을 들어보거나 사용해 본 적이 있는 사람들의 백분위율

Ÿ 각 표현별 무응답률:전체 응답자 중 해당 표현을 들어본 적이 없거나 한국어 표현을 몰라서 답을 하지 않은 응답자 수의 백분위율

Ÿ 각 표현별 한국어 표현과의 연결 정답률:한국어 표현과 다국어 표현을 연결한 응답자 중 연구자의 답과 일치하게 답한 응답자 수의 백분위율

들어보거나 사용해 본 적이 있는 사람의 수

전체 응답자 수 * 100

한국어 표현에 연결하지 않은 응답자 수

전체 응답자 수 * 100 연구자의 답과 일치한 응답자 수

전체 응답자 수 – 무응답자 수 * 100

(25)

5.결과 분석

심층 면접 조사는 녹취 후 이를 전사하여 암묵적인 의미에 대한 해석을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전체 수집된 데이터 중 인구사회학적 특성만 응답하거나,2 장의 설문지 중 한 장만 응답하는 등의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시킨 후,기 술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모든 데이터는 전산 입력 후 PASW 통계패 키지 Version 21.0(SPSS Inc.Chicago,IL,USA)을 이용하여 각 표현에 대한 대중성,응답자간의 일치율,무응답률을 분석하였다.

(26)

제 2절 연구 결과

1.심층면접

1)베트남어권

① 인구 사회학적 특성

베트남 출신 심층면접 대상자는 총 5명으로,모두 여성,기혼,건강보험 적 용 대상자였고 나이는 27세에서 40세 까지 다양했다.한국 거주 기간은 가장 짧은 대상자가 4개월,가장 긴 대상자는 9년이었으며,학력은 고졸 2명,대졸 1명,중졸 1명,중학교 중퇴 1명 이었다.한 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무직상태였

Name(sex) JTT(F) YJY(F) CMH(F) JTH(F) LSY(F)

Age 40 31 30 29 27

Residenceperiod 10months 9years 5years 4months 8years Maritalstatus

(No.ofchildren) Married(0) Married(1) Married(2) Married(0) Married(1) Education College High

school

Middle school

Middle school (drop-out)

High school Occupation Housewife Housewife Housewife Housewife Office

worker Medicalinsurance o o o o o PDH N/S Implant Crown Extraction Scaling Oralhealthstatus DMFT:18

CPITN:3

DMFT:7 CPITN:2

DMFT:5 CPITN:

DMFT:2 CPITN:2

DMFT:11 CPITN:1 PDH,Pastdentalhistory;CPITN,Communityperiodontaltreatmentneedindex.

Table3.DemographicsofVietnameseinterviewees

(27)

고 다양한 수준의 구강건강상태를 나타냈다.대상자 JTT를 제외하고는 모두 한국에서 치과를 방문한 경험이 있었으며,치과 방문 시 스켈링,발치,크라운, 임플란트 등의 치료를 받았다고 응답했다(Table5).

② 최근 치과 방문 시 겪었던 어려움

면접 대상자 중 세 명은 최근 치과 방문 시 어려움이 없었다고 응답했다.

세 명 모두 한국에서 5년 이상 거주하였으며 한국어 의사소통에 전혀 어려움 이 없다고 하였지만,이들도 한국 거주 초기에는 치과 방문 시 본인의 증상을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고 진술했다.

한국 거주 기간이 1년 이내인 JTT와 JTH는 아직 한국어 소통이 어려우므 로 전문 통역 요원과 함께 심층 면접을 진행하였다.JTT의 경우 한국에서 아 직 치과 방문 경험이 없어서 치과 이용 시의 어려움을 나열하지 못하였지만, JTH는 약 한달 전 치과 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어서 그 때 겪은 어려움을 비 교적 상세히 기억하고 있었다.다음은 대상자 JTH의 사례 조사결과이다.

2016년 4월,JTH는 하악 좌측 구치부에 동통을 느끼고 치과를 방문하였다.

처음 남편에게 해당 부위의 통증을 말하였지만,남편은 별다른 행동을 취하지 않았고,며칠이 지난 후 통증이 너무 심해져서 다시 한 번 남편에게 이야기하 여 치과에 방문하게 되었다.처음 치과에 방문하여 의사에게 증상을 설명하는 단계부터 소통의 어려움은 시작되었다.

남편이 치과의사에게 증상을 설명할 때도 ‘아프다’라는 표현 밖에 할 수 없 었고,임상 검사 후 진단과 치료 방법도 남편이 설명을 들었지만 이것 역시 환자 본인에게 설명해줄 수 없었다.일상 생활에서 가장 쉽게 쓸 수 있는 증 상에 대한 표현조차 어려운 상황에서 진단 설명을 통해 들은 치과 용어를 본

(28)

인에게 설명하기는 쉽지 않았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대상자의 진술에 따르면,사실 처음에는 치과에 가서 발치를 해야 한다는 말을 듣고 그냥 집으로 돌아왔다고 한다.발치는 절대 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 했기 때문에 집에 돌아왔지만 이후 통증이 매우 심해져서 다시 치과를 찾았고

(29)

어쩔 수 없이 발치를 했다.아픈 치아가 어떤 상태인지 그리고 왜 발치를 해 야 하는지 설명을 듣지 못한 상태에서 발치를 결정해야 한다면 당연히 치료에 대한 거부감이 생길 것이다.뿐만 아니라,베트남 출신 이민자들을 면접한 결 과,베트남에서는 발치 후 눈이 멀거나 말이 어눌해 지는 등의 후유증을 겪는 사람들이 종종 있어서 발치는 절대 해서는 안 되는 치료로 인식되고 있다고 했다.소통 어려움으로 인해 질병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취득할 수 없는 상태 의 다문화 이민자들은 자신의 기존 정보에 기준하여 판단할 수밖에 없으므로 더더욱 치료에 대한 막연한 불신과 불안감에 시달리기 쉬운 것으로 보였다.

치료 과정에서도 대상자는 말 못할 어려움을 겪었다고 토로했다.의료진의 친절과 배려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상태를 설명할 수 없으므로 치료 도중의 통 증,입안의 물고임,마취상태의 확인 등에 대해 정확히 알릴 수 없었다.실제 로,마취 후 마취 싸인의 확인,치료 도중 통증에 대한 확인은 의료진 입장에 서 매우 일상적인 행동이지만 환자와의 의사소통이 단절되는 순간 이는 매우 특별한 절차가 되어 빠트리는 경우가 많은 것이 사실이다.

뿐만 아니라 치료 후 나타날 수 있는 증상들에 대해서도 충분한 고지를 받 기 어려운 상황으로,의료진이 여러 방법으로 설명했지만 일부만 알아들을 수

(30)

있었다고 진술했다.매 치료마다 남편이 동행하지는 못해서 의료진과 직접 의 사소통을 하는 바람에 더욱 그랬겠지만,다른 과정을 생각해 보건데,남편이 동행했다 하더라도 상황이 크게 다르지는 않았을 것으로 보였다.

대상자 JTH의 경우 한국에 오기 전 베트남에서 코 성형 수술을 했다고 한 다.장시간의 치과 치료 후 집에 돌아갔더니 코 위 미간이 파랗게 멍들고 부 었으며,약간의 통증도 있어서 남편이 치과에 전화를 했더니 코 성형을 했다

(31)

면 아마 그게 좀 올라가서 그럴 수 있다는 설명을 들었다고 했다.이삼일 후 통증과 부종이 모두 가라앉고 예전 모습을 되찾아서 환자 본인은 대수롭지 않 게 여기는 모습이었지만 만일 코 성형이 아니라 감염성 질환,출혈성 질환 등 의 경우라면 병력 조사를 정확히 할 수 없는 경우 매우 심각한 상황이 벌어질 수 도 있었을 것이다.

(32)

대상자 JTH는 치과에서 아픈 치아 외에 다른 치아도 충치가 심해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는 설명을 들었다.여러 개의 치아에 대해 신경치료 등의 충치 치 료를 받아야 한다고 했는데 처음 한 개의 치아 치료 후 너무 아파서 6월로 치 료를 미룬 상태라고 했다.그런데 처음 한 개의 치료를 마친 후 구강 내를 살 펴보니 금니가 있었고,본인은 치아 색의 보철물을 하고 싶었지만 말하지 못 했다며 아쉬움을 토로하였다.아마 남편이 금니로 결정했을 거라 생각하고 있 었다.일반 성인의 경우 치과에서 보철치료를 하게 되면 치료 계획 단계에서 여러 종류 보철물의 장단점에 대해 설명을 들은 후 종류를 결정하게 된다.하 지만 JTH의 경우 환자 자신은 선택 상황에서 배제된 채 남편이 보철물의 종 류를 결정했으며,그 결과 치료가 잘 마무리 된 상태에서도 환자 자신의 만족 도는 매우 저하된 것으로 분석되었다.Aday와 Anderson의 의료이용모형에서 이용자의 만족도 저하가 의료 이용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고 설명된 것처럼, 이 경우에도 치료 과정에서의 통증과 보철물에 대한 불만으로 인한 만족도 저 하가 의료 이용을 지연시킨 것으로 보인다.의사소통 부재는 환자에게 막연한 불안감을 일으켜 통증에 대한 민감도를 높이며,치료에 대한 알권리와 선택권 을 박탈함으로써 치료 자체의 성과와는 관계없이 이용자의 만족도를 저하시켜 의료 이용을 저해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33)

치과에서 겪은 어려움을 기술한 후 JTH에 대한 구강 검진을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면접 과정에서 신경치료를 받고 있다고 여러 차례 언급하였으며,사 랑니가 아니라 사랑니 옆 치아를 발치했다고 진술했으나,놀랍게도 사랑니 발 치 후 인접치아의 골드 인레이를 시술받은 것으로 나타났다.치료가 완료되었 음에도 불구하고 환자 자신이 어떤 치료를 받았는지 모르고 있는 상황으로, 의사소통의 어려움은 연구진의 예상보다도 훨씬 근본적이고 심각한 문제를 일 으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4)

③ 한국어 증상 표현에 대응하는 베트남어 표현 수집

치과 이용 시 어려움이 없었다고 응답한 면접 대상자들은 한국어 능력이 뛰 어났으며 제시된 한국어 표현에 대응하는 베트남어 표현도 비교적 수월하게 기입하였다.한국 거주 기간이 긴 대상자의 경우 오히려 모국어를 잊어버린 경우가 있었다.하지만 ‘욱신거리다’,‘쑤시다’,‘우리하다’등의 한국어 표현은 이들도 정확히 알지 못하여 연구자의 설명이 필요했다.최근에는 베트남에서 도 스켈링이나 교정치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며 관련 표현을 알려주는 대 상자도 있었다.

한국어 능력이 낮은 JTT,JTH는 제시된 한국어 표현을 알지 못하므로 이 에 대응하는 모국어 표현도 기입하지 못했다.치과에서의 소통 어려움을 경험 했던 JTH는 이 설문지를 본인이 사전을 이용하여 작성한 후 치과에 다시 가 서 사용하고 싶다며 여분의 설문지를 부탁하기도 했다.답을 기입하지 못한 대상자의 답안을 제외한 나머지 설문 답안은 거의 유사했다.

대응 표현을 기입하며 나눈 대화에 따르면,사회적 분위기나 문화의 차이에 따라 언어 표현에도 차이가 있었다.사랑니에 대한 표현의 경우,베트남에서는 사랑니에 대해 이야기 할 정도로 구강질환에 대한 관심 자체가 별로 없어서,

(35)

관련 표현을 듣거나 사용해 본적이 없다고 했다.신경 치료의 경우 베트남에 서는 ‘혈관을 빼내다’,‘혈관을 제거하다’정도로 표현한다고 한다.베트남에서

‘덧니’는 귀여운 덧니와 그렇지 않은 흉한 덧니로 구분되는데,따라서 한 가지 표현으로 말하기 애매한 면이 있다고 진술했다.‘욱신거리다’는 한국어에서는 통증의 양상을 나타내지만 베트남어에서는 ‘매우 아프다’의 의미로 통증의 강 도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고 했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수집된 한국어 표현과 그에 대응하는 베트남어 표 현은 다음과 같다(Table4).

(36)

Korean Expressions VietnameseExpressions 썩었어요 Bịhỏng,thối

까매요 Răngbịđen

아파요 Đaurăng

깨졌어요 Răngbịgãy,bịvỡ 구멍 났어요 Răngbịlụnglổ 음식물이 끼어요 Bịthứcăndínhvàokẽrăng

시려요 Ê răng

시큰해요 Bịnhói,bịthốn

욱신거려요 Nhứcrăng

쑤셔요 Bịchâmchít 우리해요 CógìđóKhóchịu

간질거려요 Nhột

신경쓰여요 Đểtâm đến

고름나와요 Chảymủ

잇몸이 부었어요 Lợibịsưng 잇몸에서 피가나요 Chảymáuchânrăng

주걱턱 Hàmếch

덧니 Răngkhểnh

뻐드렁니 Răngvẩu(rănghàm châu)

돌출 Rănghô

삐뚤어요 RăngKhôngđiều(lọtxọt) 거칠어요 Thô,ráp,nhám

높아요 Cao

받쳐요 Bịcắn,bịcọvào Table4.Vietnameseexpressionscollectedduring focused interviews

(37)

2)중국어권

①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국어권 다문화 이민자는 4명을 선정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20-50대 여성으로 이 중 3명은 한국 거주 기간이 10년 이상이며,나머지 한 명은 4년 이었다.네 명 모두 기혼으로 1-2명의 자녀를 두고 있으며,중졸 또는 고졸, 사무직 또는 자영업 종사자였다.모두 건강보험 혜택을 받고 있었으며,두 명 은 충치 치료,한 명은 충치치료,발치,임플란트의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LHB는 유닛 체어에 대한 공포로 구강 검진을 거부했다(Table5).

Name(Sex) KHS(F) LHB(F) KSH(F) HJY(F)

Age 50 44 39 27

ResidencePeriod 10years 13years 17years 4years MaritalStatus

(No.ofChildren) Married(1) Married(1) Married(2) Married(1) Education Highschool Highschool Highschool Middleschool Occupation Office

worker

Office worker

Office worker

Business owner MedicalInsurance o o o o PDH Cariesfilling Cariesfilling Cariesfilling Implant OralHealthStatus DMFT:9

CPITN:1 Refused DMFT:12 CPITN:3

DMFT:9 CPITN:1 PDH,Pastdentalhistory;CPITN,Communityperiodontaltreatmentneedindex.

Table5.DemographicsofChineseinterviewees

(38)

② 최근 치과 진료 시 겪은 소통 어려움

중국 출신 심층면접 대상자 중 LHB,KSH,KHS 3명은 모두 한국에서 거주 한지 10년 이상 되었으며 한국어에 매우 능숙해서 치과 진료 시 의사소통으로 인한 어려움이 없었다고 응답했다.이는 중국 출신 다문화 이민자의 의료 기 관 이용 시 나타나는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다른 국가 출신에 비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난 선행 연구들의 결과와도 일치한다4).반면,대상자 HYJ는 한국 에 거주한지 4년이 넘었지만 중국 출신 가족 3대가 함께 생활하고,가족끼리 운영하는 자영업에 종사하고 있어서 한국어를 거의 구사하지 못했다.남편이 한국어 말하기,듣기에 능숙해서 심층 면접 시 남편의 통역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지만 남편 역시 한국어 읽기와 쓰기는 거의 불가능한 상태로 중국어 동의서를 이용하여 연구 참여 동의서를 받았으며,인구 사회학적 특성을 기입 할 때도 연구자가 한글 설문을 읽어주고 이에 답하는 형식을 취했다.최근 심 한 충치로 신경치료,발치,임플란트의 치료를 진행 중이며,남편이 항상 HYJ 의 치과 진료 시 동행한다고 했다.다음은 HJY의 사례연구 결과이다.

대상자 HYJ는 2015년 8월 하악 우측 구치부에 심한 통증을 느껴 치과를 방 문했다.앞서 말한 것처럼 남편과의 의사소통에는 전혀 문제가 없었으며 처음 치과 방문부터 남편과 동행했다.남편이 다니던 치과였고 남편이 한국어에 능 숙하므로 별 문제가 없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어려움이 없지는 않았다.

HJY의 남편은 한국어 쓰기,읽기가 거의 불가능하므로 처음 내원 시 개인 정보,병력 조사 등의 문진표 작성에 불편을 겪은 것으로 보인다.대부분의 다 문화 이민자들의 읽기(3.69점/5점),쓰기(3.46점/5점) 실력이 말하기(3.78점/5 점),듣기(3.86점/5점)3)실력보다 저조함을 볼 때,대화 시 보인 한국어 능력이 뛰어나다고 해서 그들과 의사소통 문제를 간과해서는 안 됨을 알 수 있었다.

(39)

주소는 하악 우구치부의 통증이었으나,진단 결과 해당 부위 외에도 심한 우식치의 치료 및 임플란트 식립이 필요한 상황이었다.면접 결과,진단 설명 당시 환자 본인은 어디를 어떻게 치료 받아야 하는지 완전히 알지는 못했다고 한다.이환 부위가 많고 치료 방법도 다양해서 의료진과 남편 사이의 대화가 길었기 때문에 대화 도중 남편이 일일이 설명해 주기는 어려웠기 때문이다.

(40)

한국어 능력이 낮은 다른 다문화 이민자들의 경우 치료 과정에 많은 불편함 이 있었다고 말했던 것과는 달리 HJY의 경우 치료 과정에 남편이 계속 옆에 있으면서 의료진의 모든 말을 통역 해 주어서 큰 불편함은 없었다고 했다.하 지만 소리가 안 들리는 경우,그리고 임플란트의 경우 별도의 방에서 시술을 하면서 남편이 들어와 있을 수 없었기 때문에 무서웠다고 진술했다.

(41)

환자와 친숙한 사람이 옆에서 계속 통역을 해주었으므로,보통의 다문화 이민자들보다 훨씬 수월했으나 핸드피스나 석션의 작동소리 때문에 이야기가 들리지 않는 경우,더욱 더 막연한 불안감과 공포를 느낄 수밖에 없었으리라 생각된다.소공포를 얼굴에 덮는 행위는 일반 성인의 경우 환자와 의료진 모 두의 편리를 위해 일상적으로 행해지지만,언어적 의사소통이 불가능한 이민 자들의 경우 주변 상황의 인지가 불가능하므로 오히려 불편을 초래하는 결과 를 낳고 있었다.의사소통의 문제는 단지 말할 때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매 우 사소한 과정에서도 느껴질 수 있는 광범위한 장애임을 알 수 있었다.

③ 한국어 표현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 수집

한국어 소통이 불가능한 HJY의 경우를 제외한 나머지 중국 출신 면접 대상 자들은 비교적 수월하게 한국어 표현을 기입했다.다만 중국어 글자를 잊은 경우가 많아 다른 국가 출신의 다문화 이민자들에 비해 특징적으로 사전을 많 이 참고하였다.

한국어 표현을 기입한 3명의 대상자는 모두 한국어 능력이 뛰어났으나 ‘욱 신하다’,‘쑤시다’,‘우리하다’등의 표현은 잘 이해하지 못하여 연구자가 별도 의 설명을 하였으며,주걱턱,덧니,뻐드렁니는 사진을 제공하여 이해를 도왔 다.수집된 설문지의 표현들은 3명이 거의 유사하나 별도의 설명이 필요했던

‘쑤시다’,‘시큰거리다’,‘시큰거리다’의 표현은 중국어 표현이 일치하지 않는 결 과를 나타냈다.

중국어에는 한국어에 존재하는 표현의 대부분이 존재하나 실제로 많이 사용 되지는 않는 것으로 진술되었다.사랑니에 대한 관심 역시 매우 낮아서 관련 표현은 잘 사용하지 않는다고 하였다.‘우리하다’는 표현의 경우 세 명의 응답 자가 공통적으로 대응표현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진술했다.

(42)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수집된 한국어 표현 대응 중국어 표현은 다음과 같다.

(43)

Korean Expressions ChineseExpressions

썩었어요 有虫 牙

까매요 黑了

아파요 疼

깨졌어요 烈了

구멍 났어요 龋 洞

음식물이 끼어요 塞牙

시려요 酸疼

시큰해요 酸疼, 刺激神经

욱신거려요 刺激神经

쑤셔요 刺痛

간질거려요 发 痒

신경쓰여요 伤脑 筋

고름나와요 出脓

잇몸이 부었어요 牙龈肿 了

잇몸에서 피가나요 牙龈 出血

주걱턱 兜兜齿

덧니 虎牙

뻐드렁니 突牙

돌출 突出

삐뚤어요 歪了

거칠어요 不光滑

높아요 高

받쳐요 托着

Table 6.Chineseexpressionscollectedduring focused interviews

(44)

Name(sex) JNF(F) LJD(F) HRP(F)

Age 37 31 28

ResidencePeriod 6years 6years 1year9months MaritalStatus

(No.ofChildren) Married(1) Married(2) Married(1) Education Highschool Highschool Highschool Occupation Officeworker Officeworker Housewife MedicalInsurance o o o PDH Scaling Endodontic

treatment Extraction OralHealthStatus DMFT:5

CPITN:2

DMFT:2 CPITN:3

DMFT:8 CPITN:2 PDH,Pastdentalhistory;CPITN,Communityperiodontaltreatmentneedindex.

Table7.DemographicsofFilipinointerviewees 3)영어권(필리핀)

① 인구사회학적 특성

강동구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통해 모집한 필리핀 출신 심층면접 대상자는 총 3명으로,20-30대 고졸 기혼자로 구성되었다.한국 거주 기간은 가장 짧은 대상자가 1년 9개월이었으며,나머지 두 명은 6년이었다.모두 건강보험 수혜 자였으며 사무직 종사자와 주부였다.스켈링,근관치료,발치 등의 다양한 치 과 치료를 경험하였으며,구강건강상태는 DMFT 2-8,CPITN 2-3의 수준을 보였다(Table7).

(45)

② 치과치료 시 겪은 어려움

필리핀 출신 대상자들의 경우 한국 거주 기간이 짧고 한국어에 능숙하지 못 한 사람이라도 치과에서 의사소통으로 인해 겪는 어려움은 다른 국가 출신들 에 비해 덜한 것으로 나타났다.제한적으로나마 영어로 의사소통이 가능하기 때문에 의료진의 설명을 듣는 것이 상대적으로 수월한 탓으로 보인다.

하지만 증상을 표현할 때는 여전히 어렵다는 답이 많았다.영어를 사용하기 는 하나 그들이 주로 사용하는 언어는 각자의 지방 언어이므로 표현이 자유롭 지는 않기 때문이다.대부분의 증상을 ‘painful’이라는 말로 나타낸다고 했는데 이는 비단 한국에서만 그런 것이 아니라 필리핀에서도 그렇게 한다고 하였다.

(46)

Figure7.DemographicsofVietnameserespondents

필리핀에는 타갈로그어 외에도 많은 지방 언어들이 존재한다고 한다.따라 서 필리핀 출신의 다문화 이민자들은 그들끼리도 의사소통이 안 되는 경우가 많았고,영어로 간단한 안부 정도만 묻는 모습을 보였다.따라서 필리핀 출신 이민자들에게서 단일 언어로 한국어 표현에 대응하는 표현을 수집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2.다수 대상의 설문조사 1)베트남어

①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47)

응답자의 성별은 여성이 압도적으로 많았다.중국 출신 다문화 이민자들에 비해 여성 결혼 이민자들이 비율이 높은 것으로 생각되었다.한국 거주 기간 의 경우 1-4년 거주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 5년 이상인 경우도 상당 수 분포 했다.교육 정도는 고등 졸업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중등 졸업,대학 졸업의 순으로 분포했다.

한국어 능력의 경우 40-70%정도 소통되는 수준인 ‘중’이라고 대답한 응답자 가 가장 많았다.본인의 한국어 능력이 ‘하’라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은 말하기 와 쓰기가 비슷한 수준이었으며,읽기 능력의 경우 ‘상’이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거의 완벽한 수준으로 소통함’을 나타내는 ‘상’수준의 경우 말하기, 듣기 와 쓰기,읽기 사이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선행 연구들의 조사를 고려 할 때 ‘읽기’항목은 ‘읽고 이해하는 능력’이 아니라 ‘음(音)가대로 읽는 능력’

으로 이해한 응답자가 많은 것으로 생각되었다.

② 표현에 대한 설문조사

조사 결과,베트남 출신의 다문화 이민자들은 충치와 치주질환에 관한 일부 표현에서 부정교합,보철물 상태 보다 높은 대중성과 일치율을 나타냈다.사랑 니에 대한 표현들은 대중성은 매우 낮으나 일단 표현을 알고 있는 응답자의 경우 높은 정답률을 보였다.이는 아직은 부정교합,사랑니,보철물에 대한 관 심이 낮다는 사실을 반증하는 것으로 보인다.

충치와 치주 질환 관련 표현들을 살펴보면,사실에 대한 묘사,즉 ‘썩었어 요’,‘까매요’,‘깨졌어요’,‘음식물이 끼어요’,‘잇몸이 부었어요’,‘잇몸에서 피가 나요’,‘고름 나와요’등의 표현에서 각각,92.5%,100%,91.8%,100%,93.0%, 100%,92% 의 높은 일치율을 보였고,대중성도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통증에 대한 표현에서는 ‘아파요’가 높은 일치율(98.8%)을 보였고,‘시려요’(70.7%),‘간 질거려요’(81.0%),‘신경쓰여요’(81.6%)는 대중성은 각 55.4%,27.2%,30.4%로

(48)

낮았으나 일치율은 높은 편이었다.그 외의 표현 ‘욱신거려요’,‘우리해요’,‘시 큰해요’는 각 27.3%,35.0%,12.1%로 낮은 일치율을 보였고,대중성 역시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한국어에는 통증에 대한 묘사가 다양하고 실제로 사용 빈도 도 높지만 베트남어는 표현은 존재하지만 익숙하게 사용되지는 않는 모습이었 다.

‘덧니’,‘뻐드렁니’,‘돌출’,‘주걱턱’,‘삐뚤어요’등 부정교합 표현,‘묻혀있어 요’,‘누워있어요’등 사랑니에 대한 표현들은 대중성과 일치율이 큰 의미가 없 어 보일 정도로 무응답률이 높았다.해당 표현들을 들어보거나 사용해 본 적 이 없을 때 한국어에 연결하지 않도록 했음을 생각해 볼 때 이러한 표현들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고 해도 무방할 듯하다.하지만 보철물 상태에 대한 표 현은 대중성은 낮은 반면 정답률은 높고 무응답률도 치주질환 관련 표현들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Table8은 각 표현별 대중성과 정답률(응답자간 일치율),무응답률을 나타 내었다.

(49)

Vietnamese Popularity Korean Consistency No response Bịhỏng,thối  66.3 썩었어요 92.5 27.2 Răngbịđen  63.0 까매요 100.0 22.8 Đaurăng  69.6 아파요 98.8 9.8 Răngbịgãy,bịvỡ  63.0 깨졌어요 91.8 20.7 Răngbịlụnglổ  58.7 구멍났어요 92.4 28.3 Bịthứcăndínhvào

kẽrăng

 71.7 음식물이

끼어요 100.0 10.9 Ê răng  55.4 시려요 70.7 37.0 Bịnhói,bịthốn  29.3 시큰해요 12.1 64.1 Nhứcrăng  42.4 욱신거려요 27.3 52.2 Bịchâm chít  19.6 쑤셔요 47.8 75.0 CógìđóKhóchịu 16.3 우리해요 35.0 78.3 Nhột  27.2 간질거려요 81.0 54.3 Đểtâm đến  30.4 신경쓰여요 81.6 58.7 Chảymủ  40.2 고름나와요 92.0 45.7 Lợibịsưng  38.0 잇몸이

부었어요 93.0 38.0 Chảymáuchânrăng  63.0 잇몸에서

피나요 100.0 14.1 Hàm ếch  22.8 주걱턱 63.6 76.1 Răngkhểnh  39.1 덧니 85.3 63.0 Răngvẩu  16.3 뻐드렁니 64.0 72.8 Rănghô  28.3 돌출 64.0 72.8 RăngKhôngđiều  17.4 삐뚤어요 50.0 71.7 Bịchônvùi,

bịchedấu

 26.1 묻혀있어요 87.0 41.3 Nằm  28.3 누워있어요 90.9 40.2

Cao  41.3 높아요 97.1 23.9

Bịcắn,bịcọvào  27.2 받쳐요 84.1 52.2 Thô,ráp,nhám  25.0 거칠어요 85.1 48.9 Table8.Rateofpopularity andconcordancein Vietnamese expressions Unit:%

(50)

2)중국어

① 인구 사회학적 특성

Figure8.DemographiscofChineserespondents

설문에 응답한 중국 출신 다문화 이민자들의 성별은 여성이 79%로 남성보 다 훨씬 많았으며,한국 거주 기간은 1년 미만,1-4년 사이,5년 이상의 순서 를 보였다.교육 정도는 고등 졸업이 가장 많았고 대학 졸업자도 27%로 높았 다.응답자가 생각한 본인의 주관적 한국어 실력은 다문화 이민자들의 주관적

(51)

한국어 실력에 대한 선행 연구 결과와 비교할 때 하의 분포가 눈에 띄게 높았 다.이는 응답자의 일부가 한국어 실력이 ‘하’에 속하는 한글학교 학생들이었 기 때문일 것으로 분석된다.교육 정도는 다른 항복에 비해 높은 무응답률 (5%)을 보였다.

➁ 표현에 대한 설문 조사

중국어 표현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충치에 대한 표현과 치주질환 중 사실 에 대한 묘사 표현이 높은 대중성과 일치율을 나타냈다.반면,‘욱신거려요’,

‘시려요’,‘시큰해요’등의 통증 양상 묘사 표현이나 부정교합,사랑니 관련 표 현은 낮은 대중성을 보였지만 일단 응답한 사람들 사이의 일치율은 높게 나타 났다.

충치에 대한 표현으로는 ‘썩었어요’(81.4%),‘까매요’(95.7%),‘아파요’(100%),

‘깨졌어요(88.1%)’,‘음식물이 끼어요(89.6%)’등이 높은 일치율을 나타냈으며, 치주 질환에 대한 표현 중 ‘고름 나와요’(100%),‘잇몸이 부었어요’(96.9%),‘잇 몸에서 피가 나요’(100%)의 표현이 일치율이 높았다.통증 표현인 ‘아파요’는 모든 표현들 중 가장 높은 일치율(100%)과 대중성(50%), 낮은 무응답률 (35.2%)을 기록했다.베트남어와 마찬가지로,중국 출신 이민자들도 사실에 대 한 묘사는 일상적으로 사용하지만,통증의 양상에 대해서는 한국인과 같이 다 양하고 자세한 표현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보철물의 상태는 ‘높아요’,‘거칠어요’.‘받혀요’의 표현을 검증하였는데,무응 답률은 충치 관련 표현들과 비슷하지만,일치율은 각 30.7%,34.6%,36.5%로 약간 낮은 수준이었다.다른 통증 양상 표현들보다는 훨씬 높은 정답률을 보 였다.부정교합,사랑니 관련 표현들은 통증의 양상 표현과 비슷한 대중성과 무응답률을 보였고,정답률은 더 높게 나타났다.

(52)

중국출신 다문화 이민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는 베트남의 경우와 비교 했을 때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무응답률과 낮은 대중성을 보였다.심층 면접 을 통해서 자주 사용하며 매우 대중적이라는 확신이 들었던 표현들에서부터 그렇지 않은 표현들까지 비슷한 무응답률과 낮은 대중성을 보였다.대중성 조 사의 경우 실제 설문지에서 해당 표현을 ‘안다’,‘모른다’에 대한 대답 뿐 만 아니라 응답을 하지 않은 경우가 상당 부분 존재했고,그로 인해 대중성이 낮 은 수치로 나타난 것이 아닌가 추측되었다.따라서 중국인 대상 설문조사의 경우 대중성보다는 무응답자를 제외한 백분율을 나타낸 정답률이 더 의미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Table9는 각 중국어 표현별 대중성,응답자간 일치율,무응답률을 나타내었 다.

(53)

Chinese Popularity Korean Consistency no response 有虫牙  55.8 썩었어요 81.4 60.2

黑了  47.0 까매요 95.7 56.5 疼  50.6 아파요 100.0 35.2 烈了  30.6 깨졌어요 88.1 61.1 龋洞  37.6 구멍났어요 78.0 62.0 塞牙  48.8 음식물이

끼어요 89.6 55.6 酸疼  35.4 시려요 34.3 66.7 又酸又疼  25.6 시큰해요 28.1 70.4 刺激神经  32.5 욱신거려요 34.2 64.8 刺痛  26.6 쑤셔요 43.8 70.4 发痒  23.1 간질거려요 93.5 71.3 伤脑筋  24.4 신경쓰여요 72.7 69.4 出脓  28.2 고름나와요 94.1 68.5 牙龈肿了  35.1 잇몸이

부었어요 92.7 62.0 牙龈出血  44.9 잇몸에서

피나요 93.8 55.6 兜兜齿  17.7 주걱턱 70.6 68.5

虎牙  34.2 덧니 71.4 67.6

突牙  21.8 뻐드렁니 44.1 68.5

突出  20.3 돌출 86.0 60.2

歪了  39.5 삐뚤어요 63.6 69.4 埋没(智牙)  35.1 묻혀있어요 75.6 58.3 歪(智牙)  32.9 누워있어요 73.3 58.3 高  38.2 높아요 87.5 55.6 托着  20.3 받쳐요 87.5 48.7 不光滑  30.7 거칠어요 90.1 48.1 Table9.Rateofpopularity andconcordancein Chinese expressions Unit:%

(54)

제 3장 고 안

다문화 이민자들이 구강 진료 이용 시 발생 할 수 있는 소통 어려움의 현황 을 알아보기 위해,이민자 수 기준 다수 3개 국가 출신의 대상자들을 심층 면 접하여 그들이 경험한 사례를 조사하였다.그 결과,다문화 이민자들이 의료 기관 이용 시 언어 소통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사실에는 이견이 없었으나, 구체적으로 어느 단계에서 어떤 어려움을 겪는지,이런 어려움이 발생시키는 문제는 무엇인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중국,베트남,필리핀 출신 이민자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시행한 결과,의사소통의 어려움은 의 료 기관으로의 접근 단계에서부터,진단,치료 방법 설명,치료 과정,예후와 관리 등 모든 단계에서 의료 필요 호소의 묵살,관련 의료 정보 습득의 실패, 모호한 증상표현으로 인한 진단의 어려움,치료 과정에서의 불안함과 민감성 유발,그로 인한 치료중단,환자의 알권리와 선택권 박탈,병력 조사 소홀로 인한 의료진과 환자 모두에게 잠재적 위험 야기,치료에 대한 만족도 저하,동 반자에 대한 의심과 막연한 불신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었 다.개인이 자신의 신체에 대한 정보를 습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건강과 관련 된 적절한 결정을 내리는 능력을 health literacy라 한다.언어 소통의 어려움 을 겪는 다문화 이민자들은 낮은 수준의 healthliteracy를 가질 확률이 높으므 로 이 같은 결과들은 필연적 일 수밖에 없다고 하겠다17).

Aday와 Anderson의 의료 이용 모형에 따르면 환자가 의료 이용을 결정하 는 데는 보건정책,보건 의료 체계,인구 집단의 특성,의료 이용,이용자 만족 도 5가지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9,10).하지만 다문화 이민자들의 사례 연구 결과 소통 어려움은 이처럼 항목화된 하나의 요인이 아니라 모든 요인을 아우르는 기저 요인인 것으로 생각되었다.이용자 만족도 저하뿐만 아니라 보건 의료 체계에 대한 정보 습득과 의료 필요에의 호소,이용 절차 습득 등 다문화 환

(55)

자가 의료 기관에 도달하기까지의 과정에서도 소통 어려움은 다양한 단계에서 장애로 작용하기 때문이다.따라서 보건 정책의 입안은 의료 기관 내에서 일 어나는 단편적인 불만 해결 차원이 아니라 소통 어려움의 범위에 대한 다각적 이고 근본적인 통찰을 바탕으로 이루어 질 때 한정된 자원 내에서 효율적으로 소통 어려움 문제를 감소시키고 다문화 이민자들의 건강 수준을 높이는데 기 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 소통 능력이 낮은 히스패닉 이민자들의 health literacy 수준을 연구한 Becerra등18)의 연구 결과와 같이,지역사회 보건의료 인력을 이용하여 다문화 이민자들이 문화적,언어적으로 능숙한 수준의 healthliteracy에 도달할 수 있 도록 교육을 실시하고,이를 통해 이민자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의 습득을 가 능하도록 하는 것은 다문화 이민자의 구강 건강을 증진하는 효율적인 방법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되었다.

심층 면접 과정에서는 빈도 높은 구강 상병에 관련된 한국어 증상 표현을 제시하고 이에 대응하는 다문화 언어의 표현도 수집하였다.연구 계획 단계에 서,다문화 이민자의 의료 서비스 이용 시 가장 소통이 어려운 단계는 진단 단계이고,이것은 각 언어의 표현 차이에서 기인할 것이라고 예상되었다.따라 서 한국어 증상표현과 다문화 표현을 대응시키는 도구를 개발한다면,다문화 이민자들이 자신의 증상을 다양하게 설명할 수 있고 이를 의사가 쉽게 이해함 으로써 진단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먼저 적절 한 한국어 표현 목록을 작성하기 위해,일반 환자들이 치과에 내원하여 진단 받는 과정을 주소별로 도표화 하여 의료진이 실제 진단 할 때 가장 필요로 하 는 정보가 무엇인지 분석했으며,한국어에서 많이 사용되는 증상 표현을 실제 치과의원 방문환자들의 차트와 진단 관련 책자를 통해 수집하였다.한국인들 이 사용하는 증상 표현에는 사실에 대한 묘사 표현뿐만 아니라 통증의 양상에 대한 다양한 표현들이 존재하였으며,이 중 빈도 높은 표현들을 선택하여 연

(56)

구 대상자들에게 제시하였다.이 표현들에 대한 자국어의 대응 표현이 있는지, 있다면 흔히 사용되는 표현인지 조사하였고,한국어 표현을 이해 못할 경우 통역 요원을 통해 설명하거나,사진 자료를 제시하였다.

한국어 대응 표현을 조사하는 과정에서,제시된 표현에 대한 심층 면접 대 상자들의 반응이 서로 다른 경우가 발생했다.‘이런 표현은 없다’는 대상자가 있는 반면,‘있기는 한데 많이 쓰지 않는다’,혹은 ‘지방마다 다르다’는 식의 반 응 차이가 있었고,대응 표현 역시 엇갈리기도 했다.심층 면접을 통해 수집된 다문화 표현에 대한 별도의 검증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었고,별도의 다수 대상 자들에게 설문 조사를 통해 이 표현의 타당도를 확인하기로 했다.설문 조사 결과,심층 면접 과정에서 수집된 표현 중 치아 우식과 치주병에 대한 사실 묘사 표현들을 위주로 높은 타당도를 얻을 수 있었다.

이번 연구는 다문화 이민자들의 구강 진료 서비스 이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소통 어려움의 현황을 분석하고,그들 언어의 증상 표현을 한국어와 대응 시 켜,실제 치과 진료 시 의료진과 다문화 이민자들이 모두 타당하게 사용할 수 있는 표현을 수집하고자 하였다.하지만 앞서 제시한 연구의 목적을 모두 달 성하기에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가지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첫째,심층면접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다양성 확충이 필요하다.광진구와 강동구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도움을 받아 대상자를 모집하는 과정에서 만날 수 있었던 다문화 이민자들은 주로 여성 결혼 이민자였으며,인근에 거주하는 사람들이므로 성별,경제 수준별 다양성이 부족했던 것으로 보인다.실제 모든 면접 대상자가 여성,건강보험 수혜자였으며,환자들의 진술에 따르자면 경제 적 이유로 치과 치료를 받지 못하는 사람은 없었다.따라서 성별,경제 수준 별,지역별 다양성을 확보하여 보다 다각적인 수준에서의 소통 어려움 문제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

둘째,치과 진료 시 소통의 어려움을 겪었다고 응답한 대상자들의 치과적

(57)

지식과 관심 수준을 고려하여 소통 어려움의 정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한 국인 일반 성인도 관련 지식 부족으로 인해 진단 및 치료 방법 설명 시 이해 도가 떨어지고 의사소통이 완벽하지 않은 경우가 종종 있다.다문화 이민자들 의 치과 관련 지식 수준은 한국인 일반 성인에 비해 낮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소통 어려움의 모든 원인을 언어 문제만으로 가정할 수는 없다.

셋째,심층 면접을 전문 통역 요원의 도움을 받아 진행한 경우 대상자와 연 구자간의 소통이 정확하지 않았을 수 있다.대상자의 진술을 옮기면서 통역요 원의 치과 지식 수준이나,해석이 들어갈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따라서 연구진의 다문화 언어 능력의 부족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완 해줄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할 필요가 있다.뿐만 아니라 연구자가 원하는 수준 까지 깊고,정확하게 질문하고 답변을 듣는 것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넷째,진단 과정에 필요한 증상 표현뿐만 아니라 병력조사,치료 과정,치료 방법 등에 대한 표현의 수집도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이번 연구는 다문화 이민자들이 구강 진료 서비스 이용 시 겪을 수 있는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진 단 과정에서 쓰이는 증상 표현 때문일 것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했지만,실제 심층 면접의 결과 의사소통의 문제는 진단 과정뿐만 아니라 병력조사,치료 과정,치료 방법 설명 과정 등에서도 크게 나타났다.따라서 각 단계 별로 필 요한 언어 표현을 수집하여 효과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기구를 개발하는 노력 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되었다.

Gambar

Tabl e3.Demogr aphi csofVi et namesei nt er vi ewees
Tabl e5.Demogr aphi csofChi nesei nt er vi ewees
Table 6.Chi neseexpr essi onscol l ect eddur i ng f ocused i nt er vi ews
Tabl e7.Demogr aphi csofFi l i pi noi nt er vi ewees3)영어권(필리핀)

Referensi

Dokumen terkait

둘째, 본 연구는 기업교육에서 창의적 사고 기법을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학습을 효 과적으로 설계하기 위한 안내적 역할로서 기업교육 현장에서의 교육 프로그램 설계자 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리더십과 같이 기업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을 학습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창의적 사고 기법을 활용하고, 실시간

본 연구는 스마트폰용 모바일 앱 구매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로 선행연구를 통하여 유료 앱 구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특성 요인을 발굴하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들의 특정 요인들이 유료앱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를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전략안을 제시할 것이며, 기존 연구에서 한걸음 더 나아간

마케팅 분야에서 많이 쓰이는 방법의 하나인 MostPopular는 1월부터 8월까지의 과거 구매 이력을 이용하여 평균적으로 많이 선호하는 상품을 모든 구매자에게 동 일하게 추천하는 방법이다.복잡한 분석 없이 빠르게 사용자들에게 상품을 추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개인화된 추천을 할 수 없으므로 차별성이 떨어진다.반 면 Zou와

하지만 여전히 치과진료를 위해서 가장 보편적으로 촬영되고 있는 영상은 파노라마방사선영상이기 때문에 편도결석이 편도의 어느 위치에 있을 때 파노라마방사선영상에서 잘 보이며 방사선학적 특징은 무엇인지, 파노라마방사선영상의 편도결석 진단능이 어느 정도인지를 구체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증상이 없는 편도결석 진단 시 의미가 있다고 할

치아 미 백은 환자가 직접 치과에 방문하여 치과의사로부터 치료를 받는 전문가 치아 미백술In-office bleaching, 전문가의 지도 후 환자 본인의 집에서 시행하는 자가 미백술Home bleaching, 그리고 치과의사의 지도 없이 시 중에서 판매하는 제품을 구매하여 스스로 진행하는 의약외품 미백술

전반적으로 통합도가 비슷했던 Interval Scale과 달리 Ordinal Scale 분석으로는 뚜렷하게 광장공간과 그 주변 공간의 통합도 가 상대적으로 다른 공간에 비해 크게 높은 것을 알 수 있어 리모델링 이전 에서 공간의 접근성이 가장 높은 중심공간이 광장임을 예측 할 수 있다.. 리 모델링 이후는 Interval

이에 따라 무역회사는 생산 정상화 에 필요한 원자재를 수입하거나 각급 관할 단위 주민들의 식량을 조달한 다는 명목으로만 무역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국내 시장에서의 판매를 위한 수입 활동도 합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는 무역회사들이 대외무역과 국내 상업을 연계한 시스템을 구축하여 수익성 을 재고하고 경영을

이것은 홀든의 어머니가 홀든의 문제 점을 포용할 수 있는 인물이 될 수 없음을 뜻하고, 옷장 속에서 이 대화를 엿듣고 있는 홀든은 옷장 밖으로 나가 어머니에게 자신의 고통을 토로하지 못한다.. 뿐만 아니라 동생 앨리가 죽었다는 사실은 홀든에게 큰 심리적 상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