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월 28일 공보 2021-01-23호
이 자료는 배포 시부터 취급하여 주십시오.
제 목 : 2021년 「한국의 국립공원」 기념주화 발행
□ 한국은행은 우리나라 자연환경의 아름다움과 생태 보전의 중요 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 「한국의 국립공원
*」 기념주화 4종
(소백산, 태백산, 다도해해상, 주왕산)을 발행할 예정임
* 한국은행은 지난 2017년부터 우리나라 모든 국립공원을 소재로 하여 「한국의 국 립공원」 기념주화를 시리즈로 매년 발행해오고 있음(2017년 : 지리산, 북한산, 2018년 : 덕유산, 무등산, 한려해상, 2019년 : 속리산, 내장산, 경주, 2020년 : 월악산, 계룡산, 한라산, 태안해안)
ㅇ 금년 「 한국의 국립공원 」 기념주화는 2 월 2 일
(화)부터 2 월 23 일
(화)까지 국민들로부터 구매예약을 받아 5 월 17 일
(월)부터 교부할 예정임 ㅇ 금번 기념주화 재질은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현용주화 재질로 널리
사용되어 온 백동과 황동을 채택하여 보다 많은 국민들이 구매할 수 있도록 배려
― 특히 , 금번 기념주화는 백동 및 황동 재질로 발행된 기념주화 중 최초의 채색주화로서 우리나라 조폐기술 70 년을 기념하는 의미도 담겨 있음
※ 자세한 내용은 <붙임> 참조
문의처 : 발권국 발권정책팀 팀장 김충화, 과장 정희숙
Tel : (02)560-1601, 1606 Fax : 560-1099 E-mail : [email protected] 공보관 : Tel : 759-4016, 4028
“한국은행 보도자료는 인터넷(http://www.bok.or.kr)에도 수록되어 있습니다.”
<붙 임>
2021년 「한국의 국립공원」 기념주화 발행
1 주화의 명칭 : 「한국의 국립공원」
□ 금년에 발행할 도안 소재는 우리나라 국립공원
(총 22개)중 ‘ 소백산 ’,
‘ 태백산 ’, ‘ 다도해해상 ’ 및 ‘ 주왕산 ’ 임
2 발행 화종 : 백동화·황동화 20,000원화 각 2종씩 총 4종
3 화종별 규격
화종별 액면 및 규격
화종 액면 모양 재질(%) 지름(㎜) 중량(g) 테두리 품질수준 백동화Ⅰ
(소백산) 20,000원 원형 Cu 75,
Ni 25 40.0 26.0 톱니모양 프루프1) 황동화Ⅰ
(태백산) 20,000원 ″ Cu 65,
Zn 35 ″ ″ ″ ″
백동화Ⅱ
(다도해해상) 20,000원 ″ Cu 75,
Ni 25 ″ ″ ″ ″
황동화Ⅱ
(주왕산) 20,000원 ″ Cu 65,
Zn 35 ″ ″ ″ ″
주 : 1) 특수한 가공처리와 엄격한 품질검사를 거쳐 생산되는 고품질의 무결점 주화
4 도 안
** 디자인의 완성도를 높이는 과정에서 미세 조정이 있을 수 있음
□ 앞면은 각 국립공원의 핵심 특성을 잘 나타내는 경관을 담되 사계 절의 장면을 고르게 안배하고 , 뒷면은 해당 국립공원을 대표하는 동 · 식물
(깃대종* ; flagship species)의 모습을 담음
* 생태학적 중요성과 보호 필요성이 인정되어 국립공원별로 지정된 동·식물
(백동화Ⅰ : 소백산)
【 앞면 】 봄철 능선과 철쭉
*의 모습을 표현
* 소백산의 연화봉에서 비로봉까지 이어지는 4km 구간은 철쭉 개체 수가 많아 아름다운 봄의 경관으로 대표적
【 뒷면 】 깃대종인 여우
*와 모데미풀
**의 모습을 묘사
* 산지의 숲, 초원 등에 있는 바위틈이나 흙으로 된 굴에서 생활하며 머리와 몸통의 길이는 60~80cm, 꼬리 길이는 40~50cm임
** 고산성의 여러해살이풀로 우리나라에서만 자생하며 소백산에 최대 군락지가 있음
크 기 앞 면 뒷 면
1.5배 확대
(황동화Ⅰ : 태백산)
【 앞면 】 겨울 천제단
*의 모습을 표현
* 상고시대부터 국가차원에서 하늘에 제사를 지내며 국가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던 곳으로 태백산국립공원의 상징(국가민속문화재 제228호)임
【 뒷면 】 깃대종인 열목어
*와 주목
**의 모습을 묘사
* 냉수성 담수어로 육식성 물고기이며 태백산국립공원내 세계 최남단 열목어 서식지가 있음(천연기념물 제74호)
** 상록침엽교목으로 높이가 10~20m에 이르며 해발 700m 이상의 고산 지대에 주로 분포
크 기 앞 면 뒷 면
1.5배 확대
(백동화Ⅱ : 다도해해상)
【 앞면 】 여름철 홍도 남문바위
*의 모습을 표현
* 전체적으로 붉은 색조를 띠며 해질녘에 바위섬의 구멍 사이로 보이 는 석양이 일품으로 홍도의 남쪽에 있다고 하여 남문바위라 불림(천 연기념물 제170호)
【 뒷면 】 깃대종인 상괭이
*와 풍란
**의 모습을 묘사
* 몸길이가 1m 이내인 우리나라 토종 돌고래로 등지느러미가 없고, 수심이 얕은 바다에 주로 2~3마리씩 가족단위로 무리지어 서식(국 제적 멸종위기종Ⅰ급)
** 늘푸른 여러해살이풀로 홍도, 백도 등 남부지방의 바위나 나무에 붙어 자라며 최근 개체수가 급감하고 있어 보호가 시급한 종(멸종 위기 야생생물Ⅰ급, 국제적 멸종위기종Ⅱ급)
크 기 앞 면 뒷 면
1.5배 확대
(황동화Ⅱ : 주왕산)
【 앞면 】 가을철 기암단애
*의 모습을 표현
* 화산폭발로 인해 쌓인 화산재가 빠르게 식으면서 부피가 줄어 세로 방향으로 틈(절리)이 형성되고, 이 틈을 따라 오랜 시간 침식이 일어 나면서 형성된 봉우리
【 뒷면 】 깃대종인 솔부엉이
*와 둥근잎꿩의비름
**의 모습을 묘사
* 몸길이 약 29cm로 전체적으로 진한 밤색이고 가슴에 뚜렷한 세로줄 무늬가 있으며, 밤에 주로 활동(천연기념물 324호)
** 주왕산국립공원에서만 자생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비가 많이 왔을 때 두툼한 잎과 줄기에 물을 저장해 두었다가 사용
크 기 앞 면 뒷 면
1.5배 확대
5 교부개시일
(예정): 2021. 5. 17(월)
6 발행량 및 발행 방법
□ 발행량
(판매량): 화종별 7,000 장씩 총 28,000 장
** 2종 세트(소백산+태백산) 4,000장(각 화종당 2,000장), 2종 세트(다도해해상+주왕산) 4,000장(각 화종당 2,000장),
4종 세트(소백산+태백산+다도해해상+주왕산) 20,000장(각 화종당 5,000장)
□ 발행
(구매)방법
ㅇ 단품으로는 판매하지 않으며 2 종 세트
*또는 4 종 세트
**로만 구매 가능
* 소백산+태백산(A타입), 다도해해상+주왕산(B타입) ** 소백산+태백산+다도해해상+주왕산
ㅇ 발행량 범위에서 국내분
(90%)은 한국조폐공사가 금융기관
(우리ž농협 은행)및 자사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예약을 받으며 , 세트별 예약 접수량이 국내분을 초과할 경우 무작위 추첨
*을 통해 당첨자를 결정
* 세트별 예약접수량이 발행량에 미달할 경우 예약접수분은 신청자에게 그대로 판 매되고 나머지 미달분은 한국조폐공사가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상시 판매 예정
ㅇ 국외분
(10%)은 한국조폐공사가 해외 판매망 등을 통해 예약을 접수 하되 미달 시 잔량은 국내분에 포함
ㅇ 판매가격 : 액면금액에 판매부대비용
(케이스, 포장비, 위탁판매수수료 등)을 부가한 가격
― 2 종 세트 : 각 65,000 원
(액면가 40,000원 + 케이스 등 부대비용 25,000원)― 4 종 세트 : 115,000 원
(액면가 80,000원 + 케이스 등 부대비용 35,000원)□ 예약접수 및 배부일정 등
ㅇ 접수 기관 : 우리은행, 농협은행, 한국조폐공사 ㅇ 신청 기간 : 2021년 2월 2일(화) ~ 2월 23일(화) ㅇ 예약 방법 : 창구 및 인터넷 접수
- 창구 접수 : 신분증을 지참하고 우리·농협은행 영업점을 방문하여 신청 - 인터넷 접수
① 우리·농협은행의 계좌를 보유한 고객은 예약접수 개시일 09시부터 마감일 23시까지 해당 은행 홈페이지에서 신청 가능
② 한국조폐공사 온라인 쇼핑몰 홈페이지에서는 가상계좌 방식으로 예약 접수 개시일 09시부터 마감일 23시까지 신청 가능
ㅇ 신청 수량 : 2종 세트와 4종 세트로 구분되며, 각 세트에 중복 신청 가능 - 2종 세트 : 타입별 1인당 최대 3세트
- 4종 세트 : 1인당 최대 3세트
ㅇ 배부 시기 : 2021년 5월 17일(월)부터 예약자가 신청한 방법(은행 영업점 수령 또는 우편 배송)으로 한국조폐공사가 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