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18년도 업무계획
자 원 보 전 처
Ⅰ . '17년도 성과와 반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1. 주요성과
2. 보완 발전방향
Ⅱ . '18년도 업무계획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1. 추진여건
2. 주요업무 추진계획
가 . 공원자원 조사 · 연구 · 평가 나 . 생태계 복원
다 . 서식지 안정성 강화
라 . 기후변화 적응대책 강화 마 . 해상 · 해안공원 보전 · 관리 3. 중점추진 업무
가 . 특별보호구역 관리효과성 (MEE) 평가
나 . 도심권 국립공원 멧돼지 피해방지대책 확대 추진
다 . 해양국립공원 서식지 지형 · 기질조사 및 가시화
Ⅰ '17년도 성과 와 반 성 '17년도 성과 와 반 성
1 주요성과
멸종위기 야생생물 증식
·
복원❍
멸종위기동물 복원-
반달가슴곰(지리산, 48마리),
산양(월악산, 89마리), 여우(소백산, 19마리) 복원-
반달가슴곰과 공존방안 모색을 위한 워크숍 시행(3회)-
남생이 증식·
복원 기반 구축(월출산), 구렁이 증식·
복원(치악산)❍
멸종위기식물 복원-
세존도(한려해상) 등 자생지 복원(석곡 등 3종 3,000개체, 4개소)-
증식기술 개발(끈끈이귀개 등 2종, 누적 20종)-
자생지 환경요인(기온, 강수량 등) 분석을 통한 분포지역 예측(콩짜개란 등 4종, 누적 10종)
자생지 복원(석곡) 증식기술개발(끈끈이귀개) 분포지역 예측
서식지 보전을 통한 생태계 안정성 강화
❍
유형별 훼손지 복원 추진-
독립훼손지,
샛길,
폐도 등79,306㎡,
연안생태축5
개소 복원-「
국립공원 훼손지 복원 중장기계획」
(‘17∼’26) 수립❍
외래생물 관리 강화-
생태계교란생물 제거(동물: 23,093마리, 식물: 672,167㎡)❍
특별보호구역 지정 확대-
특별보호구역12
개소(21.9㎢) 추가 지정* ‘16년 189개소(294.2㎢) → ’17년 201개소(316.1㎢) / ‘17년 목표 303㎢
❍
핵심보전지역 사유지 매수-
주요 생물 서식지 등 핵심보전지역 사유지5.0㎢
매수* ‘06∼’17년 총 22.4㎢ 매수 / 총 예산 495억원 국립공원관리공단 기후변화 적응대책 시행
m
기후변화 재난재해 리스크 대응,
생태계 관리 역량강화,
국민 인식 제고 등3
개 전략, 21
개 이행과제 선정* 기후변화 적응대책 우수기관 선정(환경부장관상) 생태계조사단(석·박사급 48명) 구성
·
운영❍
공단 내부전문가 도립/
군립공원 자연자원조사-
직원 역량개발 및 보호지역 조사·
관리 노하우 공유 생태계정보 활용기반 구축m
자원통합관리시스템 고도화 사업 추진(1차년도)-
조사연구DB
운영 여건 진단 및 재설계를 통한 고도화 기틀 마련m
다양한 생물정보 활용 방안 마련-
공간정보(GIS)
기반 생물서식지 정보 서비스 시범 콘텐츠 제작-
조사연구 결과의 효율적인 대국민 서비스 제공 방안 도출 역사문화 경관자원 보전❍
역사문화 환경개선 및 비지정문화자원 가치 발굴-
사적 제311
호 경주 남산 일원 묘지이장사업(‘17년 113기)* ‘11년∼‘16년 총 442기 이장 및 자생식물 식재를 통한 복원 추진 중
❍
문화자원 콘텐츠 개발 및 활용-
주제별(국립공원의 문학) 공원별(지리, 속리, 덕유) 문화자원 콘텐츠 자료집 제작해양자원 보전
·
관리기반 강화❍
공원관리선 추가 배치-
신규 공원관리선 건조(2척) 및 관리전환(1척)을 통해 해양공원 사무소별1
척 배치 완료-
선박 추가확보에 따른 신규 인력 증원(8명)* 총 7척의 선박 보유·운영(공원관리선 6척, 연구선 1척)
❍
해양국립공원 관리 정책 개발-
해양공원 보전지역 설정 기준과 지표 개발,
시범적용 등 추진 해양생물 핵심서식지 보전 강화❍
무인도서 정밀조사를 통한 국가보호종,
미기록종 서식지 발굴-
무인도서 정밀조사96
개소(국가보호종 2종, 미기록종 8종)❍
연안습지 및 해안사구에 대한 과학적인 공간정보 산출-
해안측량선,
수치해도 등을 통해 현황파악 및 지도화(1,866개소, 97㎢)❍
해양생물종 및 서식지 보호·
복원,
해양생태계 교란요인 관리-
해양생물 서식지 복원(4개소) 및 해양생물종 이식 및 복원(7개소)-
인공구조물(4개소, 835톤) 및 폐어업시설(6개소, 43톤) 철거,
폐납제거 등해마 인공증식 뜸부기 이식 인공옹벽 철거 폐납제거
생태계서비스 가치평가 기반 구축
❍
시범평가(북한산, 한려해상)를 통한 평가항목 및 방법 정립❍
생태계서비스 콜로키움을 통해 국내·
외 전문가 의견 수렴다도해서부 국립공원 302호(52톤)
2 보완·발전방향
조사
·
연구·
평가시스템 개선 필요m
자연자원조사 고도화(종→서식지, 점단위→면단위 조사 및 관리)m
자원통합관리시스템 활용성 강화(각종 분석·평가 및 대국민 서비스 활용)m
생태계 건강성 평가 고도화(정부경영평가 실적 개선 한계 봉착)서식지 안정성 강화를 통한 생태계 건강성 증진
❍
지리산 반달가슴곰 야생 개체수 증가 및 활동영역 확대에 따른 안전사고 예방,
서식지 관리대책 보완 필요❍
탐방객 답압 등으로 훼손된 지역의 단계적 복원으로 야생생물 서식환경 개선❍
외래생물,
산림병해충 등 생태계 교란요인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관리 필요❍
보호가치가 높은 무인도 등 해양 특별보호구역 확대 지정을 통한 해양생태계 보호 노력 경주기후변화에 따른 국립공원 적응 대책 이행 강화
❍
정부 국정과제(신기후체제 이행체계 구축)에 대한 전사적 대응 필요❍
국립공원 기후변화 대응100
년 프로젝트 이행 강화 해양국립공원의 자원관리 한계 극복❍
원거리 및 파편화된 공원구역 등 해양공원의 관리여건 개선을 위한 정책개발,
인프라(인력, 장비 등) 강화 등 노력 필요❍
유·
무인도서,
연안습지 등 중요 서식지 및 현황파악을 통해 체계적인 관리체계 구축 필요Ⅱ '18년도 업무계획 '18년도 업무계획
1 추진여건
외부 환경
ABS
의정서 발효에 따라 고유 생물자원 발굴과 유전 자원 확보가 국가 경쟁력인 시대 도래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는 기후변화 적응,
해양자원 보전,
육상생태계 보호·
복원을 위해 국가적 노력 요구❍
Goal 13.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대응❍
Goal 14.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해양자원 보전❍
Goal 15. 육상생태계 보호·복원 및 지속가능한 이용 도모 정부 국정과제 이행❍
59번 ‘지속가능한 국토환경 조성‘을 위해 보전과 이용이 조화되고 사람과 동물이 공생하는 국토환경 조성❍
61번 ‘신기후체제에 대한 견실한 이행체계 구축‘을 통한 기후변화 리스크를 예측·관리하고 피해를 최소화❍
84번 ‘깨끗한 바다, 풍요로운 어장‘을 통한 해양공간 통합관리 및 해양환경에 대한 관리체계 강화내부 환경
중장기 경영목표에 따라 생물다양성 증진
,
서식지 안정성 강화,
지속가능한 보전 등 전략과제 이행 필요국립공원연구원
,
종복원기술원 등 전문기구 보유❍
국립공원관리공단법 시행에 따라 공원자원 및 기후변화 영향 조사·연구, 생태복원 업무 등 명문화❍
멸종위기종 복원, 기후변화 영향 분석 등 조사연구 필요성 확대 육상-
연안-
해양으로 이어지는 다양한 생태계를 관리 하는 유일한 기관❍
공원 면적의 40% 이상인 해양에 대한 체계적 보전 필요❍
해양공원사무소별 선박 보유(총 7척) 등 인프라 구축2 주요업무 추진계획
가. 공원자원 조사·연구·평가
❚ 추진배경
❍
조사·
모니터링을 통해 자연생태 변화에 대한 원인을 찾고 관리에 적용할 수 있는 과학적인 평가 체계 필요m
데이터와 정보 중심의 공원관리 의사결정 기반 마련m
국립공원 내 문화자원의 조사 및 가치 발굴❚ 주요내용
❍
국립공원 생태계 건강성 평가(’13년 도입)[정부경영평가 계량지표]
- 5
개 지표(종다양도, 멸종위기종, 생태계교란종, 수질, 서식지파편화)를 종합 평가* 평가결과(5점만점): ’13년 3.660 → ’14년 3.730 → ’15년 3.807 → ’16년 3.900
-
정부경영평가 등에 대비한 생태계 건강성 평가 고도화❍
국립공원 생태계서비스 가치평가-
지리산,
경주,
다도해해상 평가를 통한 평가체계 확립* 2017년 가치평가 변수 선정 및 시험평가(한려, 북한산) 진행
❍
공원자원 조사·
연구·
모니터링-
다도,
변산,
월출산 자연자원조사(식물, 해양어류 등 24개 분야)-
국립공원 자원모니터링(20개 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및 자원모니터링 체계 개편 연구(‘17~’18)-
조류이동경로 조사 및 서식지 모니터링(다도해 흑산도, 태안 등)-
로드킬(41개 구간),
생태통로(12개소) 모니터링-
계곡 수질 모니터링(21개 공원, 계곡수·해수 등 488개소)-
자원통합관리시스템 고도화 사업(2차년도)·
조사·
모니터링 자료의 정보화를 통해DB
운영 여건 개선m
역사·
문화자원 가치 증진-
국립공원 문화자원 관리역량 강화·
국립공원 내 유인도서 향토문화자원(생활유산, 전통지식 등) 조사·
역사문화 조사직 직무교육(3월 초) 및 역사문화자원 조사단 운영을 통한 인문자원 조사·
발굴-
국립공원 문화자원 콘텐츠 개발 및 홍보·
문화자원 주제별 특화자료집 발간(국립공원의 종교유적-사찰) 및’19
년도 자료집 제작을 위한 사전조사·
태백산국립공원 대표경관 선정 및 국립공원100
경 홍보< 공원 자원조사 평가 및 활용 체계도 >
❚ 추진일정
❍
생태계 건강성 평가 고도화(’18.6.) 및 평가(’18.12.)❍
생태계 서비스 가치평가(’18.12.)❍
조사·
모니터링 사업추진(연중)❍
자연자원조사 및 자원모니터링 체계 개편(’18.12.)❍
역사문화자원 관리 대상지 선정 및 사업 추진(연중)나. 생태계 복원
❚ 추진배경
❍
멸종위기 야생생물 증식·
복원을 통한 생물종 다양성 증진 및 생태계 건강성 회복❍
훼손지 복원,
단절 생태축 연결을 통한 야생생물 서식공간 확보-
탐방객 이용과다 등 자연 인위적으로 발생된 훼손지 복원❚ 주요내용
❍
반달가슴곰 복원사업(’18년 야생활동 목표 48마리)-
반달가슴곰 도입(6마리) ·방사(’18.10.)를 통한 유전적 다양성 확보-
서식권역 확대에 따른 서식환경조사 및 복원방향 설정(’18.11.)❍
산양 생태축 복원 사업(’18년 야생활동 목표 82마리)-
오대산,
속리산 산양 방사(각 공원별 2마리) 및 모니터링-
태백산,
소백산 등 백두대간 내 서식현황 조사(계속)❍
여우 복원 사업(’18년 야생활동 목표 37마리)-
여우 도입(20마리)·
방사(10마리 이상) 및 모니터링- ‘
여사모’
등 주민협력을 통한 서식지 안정화 추진(계속)❍
멸종위기식물 보전·
복원 사업-
자생지 복원(황근 등 2종),
분포예측모델링 연구(개병풍 등 3종)-
증식기술 개발(매화마름 등 2종), 신규자생지 발굴,
유전자원 확보❍
국립공원 멸종위기야생생물 중장기 로드맵 수정·
보완-
멸종위기종목록 개정(’17.12.) 및 환경부 멸종위기종 복원계획(’18~’22)을 반영한 공단 중장기 복원계획 수정(’18.10.)
❍
훼손지 유형별 체계적 복원(49개소, 62,085㎡)- (
독립훼손지)
지리산남부 표고막터,
덕유산 동엽령 등3
개소- (
비정규탐방로)
계룡산 도덕봉,
설악산 학사평저수지 등23
개소- (
계곡 훼손지)
소백산 희방계곡,
북한산 송추계곡 등2
개소- (
도서 훼손지)
다도해서부 백야도,
매물도 등2
개소- (
연안지역 단절 생태축)
한려해상,
태안해안 등 항포구14
개소- (
해안 훼손지)
한려동부 물개해변,
한개해변 등4
개소- (
폐도 훼손지)
월악산 충주시 쓰레기매립장 일원1
개소❍
설악산 미시령 정상부 생태축 복원(20,047㎡)-
한반도 핵심생태축 연결·
복원 역점사업으로 추진* 강원도에서 공단으로 관련업무 위탁(국고보조금 지원사업) 형태로 진행
❚ 추진일정
❍
생물종 복원 및 서식지 보전사업 추진(연중)❍
자생지 발굴 조사 및 보전사업 추진(연중)❍
훼손지 복원사업 추진(연중)< 업무 추진 체계도 >
다. 서식지 안정성 강화
❚ 추진배경
❍
외래종 유입 증가,
산림병해충 확산,
기후변화 등 생물다양성 위협요인에 대한 대응방안 추진-
지속적인 외래종 제거·
관리로 고유생태계 회복 유도* 외래종 지정종수 : (‘11년) 1,109종 → (’14년) 2,167종
❍
공원자원 보전을 위한 인위적 간섭을 차단하고,
서식지 안정화를 위한 노력 필요-
특별보호구역 지정·
관리 확대,
사유지 국유화를 통한 인위적 간섭 차단 및 서식지 안정화 유도❚ 주요내용
❍
침입 외래생물 관리 강화-
생태계교란생물 등 주요 외래생물 서식실태 조사-
종별 생태적 특성(산란기, 개화기) 고려한 반복 제거활동 전개* ‘18년 목표 : 교란식물 600,000㎡, 교란동물 12,000마리
-
제거지역 내 외래식물 재발생 차단을 위한 자생식물 식재-
국민참여형‘
외래생물 퇴치 운동’
및 홍보물 제작·
배포* 공원별 특성을 고려한 제거, 캠페인 등 다양한 활동 실시
❍
산림병해충 관리 강화-
공원 내 예방 및 친환경 방제 사업 확대 등 산림청 등 유관 기관 협력 및 공동 방제 추진 강화* 한국임업진흥원(소나무재선충병센터)과 공동예찰, 교육, 방제 등에 대한 협의체 구성 및 협력사업 추진 등(‘18년 상반기)
-
예찰 활동 강화를 통한 공원 내 유입 차단 주력-
산림병해충 확산 예측분포 지도 제작·
활용❍
일본잎갈나무림(인공조림지) 관리 중장기(’18~’22) 로드맵 수립-
우선관리 대상지 선정,
연차별 관리계획,
시범사업(태백산) 추진 등* ’17년「일본잎갈나무림 분포현황 및 관리방안」용역결과 반영
❍
특별보호구역 확대 및 보전 강화-
무인도 등 해양생물 주요 서식지 및 기후변화 민감지역 등 특별보호구역6㎢
지정 확대(‘17년 316㎢ → ’18년 322㎢)* 목표: 2020년까지 334㎢지정(공원면적의 4.5%)
❍
국립공원 보전을 위한 사유지 국유화 확대-
국립공원특별보호구역,
습지,
멸종위기종 서식지,
경관지 등 보호할 가치가 높은 사유지 매수- ‘18
년3.5㎢
이상 국유화* 목표: ‘13~‘22년까지 개인사유지의 3%(31.5㎢) 국유화 추진
❚ 추진일정
❍
외래생물(생태계교란 생물 등) 서식 실태조사 및 제거(연중)❍
산림병해충 관리 강화(연중)❍
국립공원 내 일본잎갈나무림 관리 중장기 로드맵 수립(’18.8.)❍
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역 지정 및 공고(‘18.12.)❍
국립공원 보전을 위한 사유지 국유화 확대(연중)라. 기후변화 적응대책 강화
❚ 추진배경
❍
기후변화 등 생태계 변화에 대한 과학적이고 구체적인 자료 획득을 통한 국립공원 생태가치 증진을 위한 자연자원 관리 실현❍
공공기관의 기후변화 리스크를 예측·
관리하고 피해를 최소화 하는 안전사회 구현을 위해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
이행* 문재인 정부 국정과제 61번(신기후체제에 대한 견실한 이행체계 구축)
❚ 주요내용
❍
국립공원 기후변화 적응대책 이행(’16.12. 수립)-
기후변화 적응 역량 평가·
점검 체계 구축-
공단 기후변화 적응대책 이행현황 점검 및 점검결과 반영·
이행* 기후변화 재난재해 리스크 대응 강화 등 3개 추진전략 6개 전략과제 수립(’16.12.)
❍
기후변화 대응100
년 프로젝트(지속추진)-
식생변화 및 생물종 변화 연구(침엽수, 철새, 산호충류 북상속도 연구 등)-
해양 기후변화 지표종 선정 및 매뉴얼 구축-
아고산대 침엽수(구상나무, 분비나무, 주목, 눈잣나무 등)림 보전* 침엽수 증식·복원 기술 개발, 분포지도 작성 보완 등
-
기후변화에 따른 병해충 관리방안 마련 등❍
국민참여형 기후변화 적응대책 추진-
국립공원 기후변화 적응 대책 공감대 형성을 위한 국민모니터링 확대(시민단체 등 참여)❚ 추진일정
❍
기후변화 대응100
년 프로젝트 추진(’18.2.~12.)❍
기후변화 적응대책 이행점검(’18.2.) 및 이행(’18.3.~)❍
국민참여형 기후변화 적응대책 시행(’18.2.~12.)마. 해상·해안공원 보전·관리
❚ 추진배경
❍
육상 공원관리 대비 미흡했던 해양공원 보전·
관리 강화와 인프라 확충을 통한 미래 해양시대의 신성장 동력 창출 필요❍
과학적 조사·
연구 및 결과분석을 통해 해양공원 보전·
관리 선제적 대응❚ 주요내용
❍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보전 중장기 계획 수립(2018~2027)
-
중장기 해양 분야 조직 재설계 전략 등을 반영한 구체적이고 실행력 있는 해양 분야 발전 방향 설정* 해양부문 보전·관리 체계 및 인프라 구축 등에 관한 사항
* 해상·해안공원별 추진성과를 분석하여 수정 및 보완(필요시)
❍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조사 연구-
국립공원 해양생태축 기본조사(81개 정점, 해양환경 생물 11개 분야)및 국립공원 내 주요 섬 수중생태계 정밀조사(5개 도서) 수행
-
유 무인도서 및 특정도서(4개 공원, 67개소) 해양생물 서식현황 모니터링-
연안습지 및 해안사구 생태계,
지형 등 변화 모니터링(4개 공원, 19개소)* 연안습지 기질 분포 조사(‘18년: 태안, 변산, ‘19년: 한려, 다도)
-
멸종위기 해양생물 현황조사 및 분포지도 작성(갑각류)❍
중요 해양생물종 증식·
복원-
해양생물의 생육장 및 은신처 역할을 하는 해조(
해초)
류,
산호충류,
어류 등 해양생물종 증식·
복원 기술 확보-
해양생물종 복원 중·
장기종합계획 수립❍
해양생태계 교란,
훼손 등 위협요인 관리강화-
해양생태계 교란생물에 대한 현황조사 및 관리방안 도출-
인공구조물 및 폐어업시설(가두리, 어업용 뗏목 등) 철거-
그물,
통발,
낚시 부산물 등 수거-
핵심서식지 내 해중쓰레기 및 위해생물 제거-
기타 해양생태계 교란요인 차단 및 사후관리❍
국립공원 해양자원 대국민 관찰기회 확대-
해양생태계 수중VR
서비스 확대·
운영(여서도 등 추가 제작)-
해양생태지도 추가 제작(2개 도서)-
국립공원관리공단 생물종 정보서비스(인터넷 포탈)에 해양생물종(저서생물 및 해조류) 탑재
❍
해외 선진사례 발굴 및 공단 우수사례 공유·
홍보-
제5
차 국제해양보전총회(6
월,
말레이시아)
참석·
국제교류 및 관련 기관 동향파악·
공단 우수사례 홍보 등❚ 추진일정
❍
해양생태계 보전 중장기 계획 수립(‘18.6.)❍
국립공원 해양생태계 조사·
연구(연중)❍
중요 해양생물종 증식·
복원(연중)❍
해양생태계 교란요인 관리(연중)❍
해양자원 관찰기회 확대(‘18.12.)❍
해외 선진사례 발굴 및 공단 우수사례 공유·
홍보(연중)3 중점추진 업무
가. 특별보호구역 관리효과성(MEE) 평가
❚ 추진배경
❍ ‘
자연휴식년제’
시행 이래,
현재‘
특별보호구역’
으로 이어진 국립공원 핵심보호지역 관리 제도의 효과성 평가 필요- 1991
자연휴식년제 도입(14개 공원 30개소)- 1991~2006
자연휴식년제 운영(제1기~제6기)- 2007 ‘
국립공원 특별보호구’
로 변경시행- 2011
자연공원법에‘
특별보호구역’
제도적 기반 마련❍
보호지역 관리효과성 평가(MEE, Management Effectiveness evaluation)는 보호 지역의 관리효과성을 평가하여 관리·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도구* 생물다양성협약(CBD)에서는 보호지역 관리효과성 평가를 권고
❚ 주요내용
❍
특별보호구역 관리 효과성 평가-
관리현황 평가(지정절차 및 선정기준, 예산, 계획, 모니터링 등)-
생태계 변화 평가(관리효과 등)-
사회적 영향 평가(인식변화 등)❍
향후 특별보호구역 제도의 발전방향 제시❚ 추진일정
❍
특별보호구역 관리효과성 평가(’18.4.~11.)❚ 기대효과
❍
특별보호구역에 대한 효과성 평가 및 발전방안 도출나. 도심권 국립공원 멧돼지 피해방지대책 확대 추진
❚ 추진배경
❍
야생 멧돼지 도심 출몰로 인명·
재산 피해 및 국민 불안 증가에 따라 실효성 있는 피해방지책 마련-
지역사회(지자체 등)는 지속적으로 공원 내 멧돼지 포획 요구❍
북한산 멧돼지 관리 시범사업 결과를 바탕으로 도심권 공원 확대 시행❚ 주요내용
❍
멧돼지 서식현황 조사 확대-
대상공원:
북한산(‘17)→
북한산,
경주,
계룡산,
무등산(’18)-
조사방법:
고정 조사구100
개소 설치(공원별 20~40개소 예정)-
조사내용:
개체수,
서식 행동권(이동경로),
주요 출몰지 등-
사업체계:
본부(사업총괄), 연구원(현장조사), 사무소(조사지원)❍
멧돼지 출몰 상황 대처를 위한「
현장대응 가이드라인」
마련-
초등대응,
신고체계,
사고예방,
상황별 대응 요령 등❚ 추진일정
❍
멧돼지 현장대응 가이드라인 마련(‘18.3.)❍
도심권 국립공원 멧돼지 현장조사 및 분석(‘18.3.~11.)❚ 기대효과
❍
도심권 국립공원 멧돼지의 체계적 관리 및 안전사고 예방북한산 시범사업 결과분석
√도심 출몰 및 북한산 인근지역 집중포획으로 개체수 조절 효과
※ 북한산국립공원 멧돼지 서식밀도 ’15년 2.1/㎢(120) → ’17년 1.9/㎢(107) 감소
√ 집중 출몰지역 차단펜스 설치 후 출현 감소(64%↓) 효과 확인
√ 출몰현황(6~9월, 일몰직후 및 일출직전), 출몰지역 등을 파악하여 멧돼지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확보
다. 해양국립공원 서식지 지형·기질조사 및 가시화
❚ 추진배경
❍ 2
차원(해면) 해양국립공원 관리체계를 해중을 포함한3
차원(공간) 관리체계로 전환 필요❍
서식지에 기반 한 해양자원의 체계적·
과학적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 확보❚ 주요내용
❍
해양국립공원 서식지 지형·
기질조사-
수치해도 분석 및 현장측정을 통한 지형·
기질 자료 조사❍
조사 자료를 활용한 가시화(매핑)-
해저 지형도 매핑을 통한 저서 및 유영생물 서식지 파악-
해류,
조류 변동 및 해양생물 이동양상 파악-
해저 퇴적물 변동 모니터링을 위한 기초자료 활용-
산호충류,
해조류 등 해양생물 서식지도,
퇴적상 지도 등 제작을 통해 공원관리 활용❚ 추진일정
❍
서식지 지형·
기질조사(1차년도) 수행(‘18.2.~12.)* 연차별 사업 추진(1차: 태안, 2차: 변산, 3차: 한려, 4-5차: 다도)
❍
조사 자료를 활용한 가시화 추진(‘18.이후)❚ 기대효과
❍
공원구역 조정,
인·
허가,
해양생태계 조사·
연구 등 공원관리에 활용* 타부처(해양수산부 등)의 공원구역 해제 요구에 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