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18년도 업무계획
기 획 재 정 처
Ⅰ . '17년도 성과와 반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1.
주요성과
2.
보완 발전방향
Ⅱ . '18년도 업무계획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1. 추진여건
··· 32. 주요업무 추진계획
··· 4가. 중장기 조직설계
(안)실행방안 마련
나. 2019년도 예산 확보 및 집행관리 강화
다. 보호지역 관리 리더십 제고를 위한 법
・제도 개선라. 한반도 보호지역 관리 리더십 구축
3. 중점추진 업무
··· 8가.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국립공원 좋은 일자리 창출
나. 세입․세출예산 관리강화를 통한 재정건전성 확보
Ⅰ '17년도 성과 와 반 성 '17년도 성과 와 반 성
1 주요성과
국립공원제도 50주년을 맞아 공원관리 패러다임 전환 모색 ❍ 공단법 등 미래 환경변화 대응을 위한 제도적 기반 구축
좋은 일자리 창출을 통한 사회적 가치 실현
❍ 현장관리직원 42명 증원, 비정규직 775명 정규직化 확정 재정 확충 (’18년도 3,156억원)
❍ 퇴충금 예산 Base 조정, 시설사용료 현실화(연간 5억원 수입증대 예상)
2 보완․발전방향
미래 지향적 공원관리 체계 마련
❍ 사회적가치 실현을 위한 효율적인 조직체계 구축 핵심사업 예산의 안정적 확보
❍ 신규사업 발굴, 수입증대, 지출 효율화로 재정건전성 강화 공공기관으로서 사회적 가치 실현·창출 강화
Ⅱ '18년도 업무계획 '18년도 업무계획
1 추진여건
외부 환경
정부의 국정운영 패러다임 전환
❍ 사회적 가치를 적극 실현하도록 공공기관 운영 국민의 국정 참여 확대 및 삶의 질 향상 요구
❍ 환경복지 및 지역사회 상생협력에 대한 요구 증대 보호지역의 가치 증대에 따른 관리문제가 이슈로 대두
❍ 도립·군립공원 등 보호지역 관리 안정성 증진에 기여
내부 환경
국립공원 제도 50년을 거울삼아 새로운 50년으로 도약
❍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효율적인 조직체계 구축 추진 보호지역 선도기관으로서의 공단의 위상 정립
❍ 국민공감 공공서비스 발굴을 통해 공공기관 혁신 선도 공원관리 예산의 안정적 확보 필요
❍ 핵심사업 강화, 일자리 창출, 새로운 수입원 발굴 등 공원관리 예산의 안정적인 확보
2 주요업무 추진계획
가. 중장기 조직설계(안) 실행방안 마련
❚ 추진배경
❍ 조직 재설계 연구용역을 통한 중장기 조직 설계(안) 마련 - 현장 적용을 위한 조직 적합성 검토(시뮬레이션 등)
❍ 중장기 조직설계(안) 실행을 위한 현실적인 준비 필요
- 공단법 개정 및 공원본부 위치 선정, 사무공간 확보 등
❚ 주요내용
❍ 단기(2018년) 조직 설계(안)
- (본사) 본사 기획기능 강화(보전기획, 탐방기획 신설)
사업 지원기능 강화(사업지원본부 신설)
- (현장) 1공원 多사무소(지리산) 통합관리체계 구축(지리산공원본부 신설)
❍ 중장기(2020년) 조직 설계(안)
- (본사) 자연공원 지원 및 사회공헌 등 협력 강화(‘사업지원이사’ 신설)
- (현장) 공원사무소 통합관리체계 확대(공원특성별 또는 권역별 검토)
- (기타) 연구원, 기술원, 사무국 등의 융합연구 강화(R&D융합본부)
권역별 조사·모니터링 강화(조사모니터링센터), 국립공원 형상체계(디자인센터), 안전교육(산악안전교육센터) 신설 등
❚ 추진일정
❍ ’18. 2월 : 지리산공원본부 준비 추진단(TF팀) 운영
❍ ’18. 7월 : 단기 조직설계(안) 실행
❍ ’18. 8월 : 관계부처(공원본부제, 인력증원 등) 협의
나. 2019년도 예산확보 및 집행관리 강화
❚ 추진배경
❍ 보호지역 관리 강화 등 환경이슈와 국민 여가활동 수요에 대응하도록 공원관리 예산의 안정적 확보
- 핵심사업 예산확보, 효율적 집행관리로 재정건전성 강화
❚ 주요내용
❍ “자연자원보전 중심” 예산 확보 총력
- 기후변화연구, 훼손생태계 복원 및 사유지매수, 해상·해안국립공원 관리 강화(선박건조 등) ❍ 탐방체험 서비스 및 안전 관리 강화
- 탐방콘텐츠 발굴, 저지대 체류형 탐방인프라 확보(국립공원생태문화원 등), 태백산 민박촌(숙박시설) 매입 등
- 헬기 추가확보,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 확대 등 안전‧방재 예산 ❍ (직원 처우개선) 직급구조 개선, 신규수당 발굴, 교육훈련 강화 등 ❍ 예산의 집행관리 강화
- 시스템에 의한 예산통제, 월별‧분기별 실적관리 등
※ 국립공원사업 집행률 개선(‘17년 70% → ’18년 80% 목표)
❚ 추진일정
❍ ’18. 1~3월 : 핵심 및 신규사업 과제 발굴
❍ ’18. 4~12월 : 대정부‧국회 협의
다. 보호지역 관리 리더십 제고를 위한 법・제도 개선
❚ 추진배경
❍ 국립공원에 관한 지속적인 개발압력 증가 및 탐방수요 급증, 지역 협력 및 국민참여 요구 등에 대응하는 공원관리제도 개선 시급
❚ 제도개선 방안
❍ 자연공원법 전부개정 추진
- 공원 보전 강화를 위한 제도 개선
공원관리원칙 명확화, 공원시설 유형 재정의, 공원특별보존지구 공원보호구역, 공원보호부담금1) 신설 등
- 지역협력 및 국민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주민지원사업 대상 확대, 공원보호협약 및 자원봉사제도 활성화 ❍ 국립공원관리공단법 개정 추진
- 적극적이고 유연한 국립공원 보호지역 관리를 위한 제도 개선 공단 명칭 중 ‘관리’ 삭제 및 공단 사업 범위 확대
(신설) 13. 제1호부터 제12호까지의 사업에 딸린 업무 및 공단의 설립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업무로서 정관으로 정하는 사업
❍ 보호지역 관리위탁 활성화를 위한 타법 개정 추진
- 공단 사업을(위탁사업) 조세특례제한법령상 부가세 면세사업으로 추가
❚ 추진일정
❍ ’18. 4월 : 자연공원법・공단법 개정안 마련 ❍ ’18. 6월 : 조세특례제한법령 개정 협의 ❍ ’18. 10월 : 자연공원법・공단법 개정안 제출
라. 한반도 보호지역 관리 리더십 구축
❚ 추진배경
❍ 한반도 주요 보호지역 관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실효성 있는 보호지역 협력체계 구축 필요
❚ 주요내용
❍ (통일대비) 남북한 생태네트워크 구축 방안 마련
- 보호지역 DB구축 : IUCN(세계자연보전연맹), MAB(생물권보호지역네트워크) 협력 - 북한 보호지역의 자연자원 조사, 관리시스템 구축(역량강화) 등
지원방안 마련
❍ (공존) 도·군립공원 관리 수준 향상 유도
- 우선 관리지역의 선정 및 수탁확대를 통한 보호지역 관리 강화
※ 도․군립공원 관계자 설문조사 결과, 86%가 위수탁 희망
❍ (지속가능) 제주국립공원 확대지정 지원
- 제주국립공원 타당성조사,“제주국립공원 지원단(가칭)” 운영
※ 환경부 ’22년까지 1,340억원 제주국립공원 지원예정, 공원면적 확대(153㎢→673㎢)
❚ 추진일정
❍ ’18. 3월 : 한반도 보호지역 현황 분석 및 로드맵 구축
❍ ’18. 6월 : 보호지역 수탁사업 대상선정 및 시행
❍ ’18. 9월 : 제주국립공원 지원단 구성
3 중점추진 업무
가.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국립공원 좋은 일자리 창출
❚ 추진배경
❍ 국립공원의 사회적 가치실현 및 대국민 서비스 향상을 위한 국립공원 좋은 일자리 창출 필요
❚ 주요내용
❍ 직접고용 확대
- (정규직) 국립공원 외 서식지 확대 및 안전관리 강화 등 인력 증원
∙ 30명 전원 5급 이상 확보로 처우개선 효과
- (정규직화)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 63명의 정원 확보 노력(해설사 22, 구조대 8, 청사 20, 식당 4, 둘레길 9)
❍ 간접일자리 창출
- (사회서비스형) 인생 3모작을 위한 ‘은퇴세대 보람형 일자리’ 창출
∙ 전직 경험과 능력 활용으로 보람과 건강을 동시에 제공
∙ 잡 쉐어링으로 연간 1,000명의 일자리 창출
- (민간일자리) 국립공원 브랜드와 연계한 ‘상생협력’ 모델 발굴
∙ 안전산행 가이드, 국립공원 장터, 기념품 샵, 탐방객 차량 이동주차 서비스 등 (500명)
❚ 추진일정
내용 1/4분기 2/4분기 3/4분기 4/4분기 직접
고용
∙정규직 증원 정부부처 협의 정원 반영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실태조사 정원 반영 요청 정원 확정 간접 ∙사회서비스형 일자리 정부부처 협의 정원 및 예산 확보
나.「세입․세출예산」관리강화를 통한 재정건전성 확보
❚ 추진배경
❍ 낮은 퇴직급여충당금 적립율, 차입 등 재정건전성 악화 심화
※ ’17년 국회 예산정책처 자본잠식기관으로 지적
❍ 정부정책으로 인한 사용료 인상 억제, 고정지출비용 상승
❚ 주요내용
❍ (수입증대) 사용료 인상 및 수입원 다각화
- 풀옵션 캠핑서비스 사용료 인상(기획재정부․환경부) 추진
- 주차장 ․ 매점 등 유휴시설(遊休施設) 활용도 모색(시설처 협업)
- '17년 수익구조개선 용역결과를 반영한 수입 콘텐츠 다양화
∙ 캐릭터 및 디자인 상품 조정, 신규 수탁사업 등
❍ (지출효율화) 지출 구조조정을 통한 경비 등 예산 절감
- 수익시설(주차장, 샤워장 등) 무인화를 통한 인건비․운영경비 등 절감 - 세출예산 지속관리를 통한 불요불급한 예산 불용
☞ 결산잉여금 발생을 통한 차입금 조기 상환 및 퇴직급여충당금 추가 적립
❚ 추진일정
❍ ’18. 1~3월 : 본부/사무소 개선가능 사항 협의(예산지출 구조조정)
❍ ’18. 4~12월 : 세입/세출실적 관리(8월 이후 월별 보고)
❍ ’18. 12월 : 부채 감소 및 자체수입목표 초과달성(차회연도 2월 결산
잉여금 처리시 차입금 상환 및 퇴직급여충당금 적립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