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주요 단신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5-22호 2015.6.12
35
중국
□ 중국, 세계적인 영국 조력발전소 사업에 해상 건설부문 우선협상자로 선정
ㅇ 중국항만공정유한책임공사(China Harbour Engineering Company, CHEC)가 투자규모 10 억 파운드에 달하는 영국 스완지만(灣) 조력발전소 건설 프로젝트(Swansea Bay Tidal
Project)의 해상건설부문 우선협상자로 선정되었음.
- CHEC는 동 프로젝트에 총 3억 파운드를 투자하고, 스완지만에 6마일의 인공 석호 (lagoon)를 건설하는 사업에 참여하게 될 것임.
・ 영국 스완지만(灣)는 전세계에서 조수 간만의 차이가 가장 큰 곳(7~12m)으로 스완지 만 조력발전소의 설비용량은 320MW, 발전량은 500GWh이며 이는 세계 최대 규모 임. 동 발전소는 밀물과 썰물 모두를 이용해서 전력을 생산하게 됨.
※ 한국 시화호 조력발전소의 설비용량은 254MW, 프랑스 랑스 조력발전소의 설비용량은 240MW임.
・ 2016년 상반기에 착공하여 2018년에 상업적 운영에 들어가며, 여기서 생산된 전력은 영국 National Grid Company을 통해 15.5만 가정(약 70만 명)에 공급될 것임.
- 중국의 CHEC(해상 건설작업 우선협상자) 이외에 Atkins(엔니지어 담당), General Electric과 Andritz Hydro(터비 공급 우선협상자), Laing O’Rourke(터비 설치 우선협상 자), Alun Griffiths Ltd.(Public Realm Ancillary 작업 우선협상자), Prudential과 InfraRed Capital(금융투자자) 등도 동 사업 추진을 위한 협력사로 선정되어 있음.
ㅇ CHEC는 스완지만(灣) 조력발전소 건설 프로젝트의 운영사인 Tidal Lagoon Power Ltd.와 영국과 아시아 지역에서 협력을 확대하기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할 계획임.
※ CHEC는 Fortune의 글로벌 500대 기업에 포함되는 China Communication Construction Company Ltd.의 자회사이며, 세계적인 해양 플랜트・건설 및 투자 기업임.
- Tidal Lagoon Power Ltd.는 중국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아시아 조력발전 시장 진출을 기 대하고 있으며, 중국 CHEC는 영국 정부에 의해 추진되고 있는 대형 인프라 건설 프로그 램에 참여하려고 함.
・ 영국은 2010년부터 재정지출 삭감으로 대형 프로젝트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중국 기업들이 ‘High Speed Two(HS2)’ 고속철도 건설사업과 Hinkley Point C 원전 사업에 투자하고 있음.
- CHEC는 이번 사업 참여를 영국의 발전부문 플랜트 건설 시장뿐만 아니라 유럽시장까지
진출을 확대하는 초석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음.
・ CHEC는 이미 영국에 자회사를 설립하였으며, 이를 통해 향후 10년간 인프라시설 부 문에 투자를 진행할 계획임.
(FT 中文網; 新華網; 觀察者網, 2015.6.4)
주요 단신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36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5-22호 2015.6.12□ 중국 석유기업, 자국내 원유 저장시설 부족으로 말라카 해협에 ULCC 이용해 원유 저장
ㅇ 중국 국영 석유기업들은 국제유가가 하락하고 있는 상황을 기회로 삼아 원유를 대량 수입 하려고 하지만, 원유수입량이 자국 내 저장능력을 넘어서게 됨에 따라 말라카 해협에 적 재량이 약 320만 배럴에 달하는 TI Europe호 ULCC(초대형 원유운반선)을 정박시켜 원 유를 저장하고 있음.
- 중국 국영 석유기업들은 매일 약 4만 달러의 비용을 지불하면서 선박을 이용해서 원유 를 저장하고 있음.
- 원유 가격이 향후 지금보다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여 저유가 상황에서 가능한 한 많은 물량을 구입하려고 하며, 이 과정에서 원유저장 방법의 하나로 ULCC를 이용하고 있음.
- 중국 기업들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육상 원유비축시설 임대를 검토했지만, 중국과 사우 디아라비아의 중간에 위치해 있어 지리적인 장점을 가진 말라카 해협 내 ULCC를 이용 하는 방안을 최종 선택했음.
・ 남아프리카공화국 설다나베이(Saldanha Bay)는 외국의 주요 석유기업들이 원유 비 축 장소로 이용하는 곳으로 약 4,500만 배럴의 원유가 비축되어 있음.
・ 원유 저장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ULCC의 수는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음.
ㅇ Sinopec는 중국의 상용 및 전략 비축유 저장시설은 이미 포화상태에 달해 원유수입량을 크게 증대시킬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올해 석유수입량은 전년과 같은 수준이거나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Swansea Bay Tidal Lagoon 홈페이지; 中國經濟網, 2015.6.8)
□ 중국 대형 석탄기업, 석탄산업 불황에도 불구하고 경영난 해소 위해 석탄가격 인상
ㅇ 중국의 선화(新華), 중메이(中煤), 이타이(伊泰), 퉁메이(同煤) 등 4대 석탄기업들은 자국 내 석탄산업 불황에도 불구하고 6월 석탄가격을 인상하였음.
- 최근 몇 년간 석탄 수입량 증대, 신에너지 보급으로 중국산 석탄 수요가 감소하고, 중국 내 석탄가격이 계속 하락하여 중국 석탄기업들은 심한 경영난을 겪고 있었음.
・ 중국 최대 국영석탄기업인 선화집단(神華集團)은 올해 상반기 석탄가격이 연초에 비해 약 22% 하락하여 손실이 크게 발생하자 임금을 10% 삭감했음.
- 2015년 1~4월 동안 중국 전체 석탄 생산량은 11.2억 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6.4% 감소
하였음.
- 석탄기업들은 하절기 전력수요 증가로 석탄 수요가 증대되고, 또한 석탄생산 능력 감소 로 자국 내 수급 상황이 상대적으로 안정을 되찾을 것으로 예상하여 이번에 석탄가격 인상을 단행하게 되었음.
- 또한, 석탄 채굴비용 증가도 주요한 가격 인상 요인 중에 하나로 지적되고 있음.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주요 단신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5-22호 2015.6.12
37
- 4대 기업들의 석탄가격 인상 폭은 선화(神華) 평균 5위안/톤, 중메이(中煤) 3.7위안/톤, 이타이(伊泰) 7위안/톤, 퉁메이(同煤) 5위안/톤 임. 이들 대형 석탄기업들의 가격 인상 발표 이후에 다른 석탄기업들도 연이어 석탄 가격을 인상하였음.
자료 : 生意社
< 2015년 3.12~6.10 중국 석탄가격 변화 추이 >
(단위 : 위안/톤)
ㅇ 중국 석탄 전문가들은 신에너지 개발과 정부의 환경정책 추진으로 석탄수요는 점차 감소 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향후 석탄가격 상승 폭은 크지 않고, 가격 인상 조치도 오래 유지될 수 없을 것으로 분석함.
(證券時報網; 北京商報, 2015.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