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중국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중국"

Copied!
3
0
0

Teks penuh

(1)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주요 단신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4-29호 2014.8.22

31

중국

□ 중국, 2020년 셰일가스 생산량 목표치 30Bcm으로 하향조정

ㅇ 중국 국가에너지국 우신슝(吳新雄) 국장은 2016년부터 시작되는 ’13.5계획 에너지부문 업무회의에서 2020년 셰일가스 생산량을 30Bcm으로 하향조정함.

- 국가에너지국은 2012년 ’12.5계획’에서 2020년 셰일가스 생산량 목표치를 60~80Bcm 으로 설정했으나 2년 만에 목표치를 절반 규모로 하향조정함.

- 중국 셰일가스 생산량은 2012년 25MMcm, 2013년 0.2Bcm이며, 2014년 추정치는

1.5Bcm임. 이러한 추세로 간다면 2020년 목표치인 60Bcm에 도달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됨.

ㅇ 중국은 세계 최대 셰일가스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으나 복잡한 지질구조로 인해서 높은 개 발 비용을 필요로 함.

- 2014년 4월 말까지 투자된 중국 셰일가스 개발비용은 150억 위안임. 국토자원부 석유

가스 전략연구센터는 셰일가스 100Bcm 생산 시 투자액을 총 4,000억~6,000억 위안으 로 추산함.

- 이에 전문가들은 중국 셰일가스의 대규모 생산은 단기간 내 이루어지기 힘들고, 천연가 스 대비 가격 경쟁력도 떨어져 셰일가스 생산량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기는 어렵다고 분 석함.

(新民網; 第一經濟日報, 2014.8.11)

□ 중국 NDRC, 비가정용 가스가격 인상

ㅇ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는 ‘비가정용 천연가스 전년 실적물량 기준 가격조정에 관한 통지’를 발표하고, 9월 1일부터 조정안을 전국적으로 적용하기로 함.

NDRC는 2013년 6월 새로운 가스가격 조정 방안을 도입하여 천연가스를 전년 실적물량(전년 도 소비량) 기준과 전년 대비 증가물량(전년도 소비량을 상회하는 증가분) 기준으로 구분하 여 도매가격(city-gate price)을 책정하였음(인사이트 제13-25호(2013.7.5일자) p.29 참조).

ㅇ 비가정용 가스 전년 실적물량 기준 도매가격을 최대 0.4위안/㎥ 인상함. 화학비료용 가스 의 경우 시장침체를 고려하여 가격조정을 잠시 보류함. 이에 따라 비가정용 가스의 전년 실적물량 기준 전국 평균 도매가격은 2013년 1.96위안에서 2.35위안으로 상승하게 됨.

- 2013년에 가격조정 방안과 달리 이번에는 전년 실적물량만 대상으로 인상된 도매가격

을 적용하고, 전년 대비 증가물량 기준으로 적용되는 도매가격은 변동되지 않았음.

ㅇ 해당 통지에서 가정용 가스 도매가격은 조정되지 않았음. 천연가스의 경우, 가격 인상 후 에도 석유에 비해 자국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을 가지기 때문에 이번 천연가스 가격 인상

(2)

주요 단신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32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4-29호 2014.8.22

방안으로 인한 직접적인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됨.

- 현재 천연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도시가스 화력발전과 가스난방의 경우 지방정부의 보조금 혜택을 받고 있음.

ㅇ 중국 정부는 천연가스 가격을 3단계에 걸쳐 조정함. 2013년 비가정용 가스 도매가격을 평균 15% 인상하는 1단계 가격개혁을 단행하였고, 이번 2단계 조치 후 2015년에는 전년 실적물량과 전년 대비 증가물량의 가격을 일원화시킬 계획임.

지역

전년 실적물량 기준 (위안/㎥)

전년 대비 증가물량 기준

(위안/㎥)

지역

전년 실적물량 기준 (위안/㎥)

전년 대비 증가물량 기준

(위안/㎥) 베이징 2.66 3.14 후베이 2.62 3.1

톈진 2.66 3.14 후난 2.62 3.1

허베이 2.64 3.12 광둥 2.86 3.32 샨시(山西) 2.57 3.05 광시 2.69 3.15

네이멍구 2 2.48 하이난 2.32 2.78

랴오닝 2.64 3.12 충칭 2.32 2.78

지린 2.42 2.9 쓰촨 2.33 2.79

헤이룽장 2.42 2.9 구이저우 2.37 2.85 상하이 2.84 3.32 윈난 2.37 2.85

장쑤 2.82 3.3 샨시(陝西) 2 2.48

저장 2.83 3.31 깐쑤 2.09 2.57

안후이 2.75 2.66 닝샤 2.17 2.65 장시 2.62 3.1 칭하이 1.93 2.41

산둥 2.64 3.12 신장 1.81 2.29

허난 2.67 3.15 -

자료 : NDRC

<조정 후 지역별 천연가스 도매가격>

(新華網, 2014.8.13; 證券日報, 2014.8.14)

□ 중국 민영기업 Hanas그룹, 한국 SK그룹과 천연가스 협력 추진

ㅇ 중국 신에너지기업 Hanas그룹은 SK그룹과 천연가스 부문 MOU를 8월 6일 체결하였음.

Hanas그룹은 풍력발전, 태양열 발전 등 신에너지 사업과 천연가스 열병합발전, 액화천연 가스 사업을 진행하는 기업으로, 닝샤(寧夏)자치구 인촨(銀川)市에 본사를 두고 있음.

-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천연가스 시장의 상류, 중류, 하류 부문에서 포괄적인 협력을 추진할 계획이며, 구체적인 사업계획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음.

- 양사는 액화 천연가스의 생산·수송·판매·열병합 발전 등 분야 협력을 통해 중국 천연가스 시 장 진출을 계속 확대할 것이며, 업계에서는 이번 협력이 중국 천연가스 수입경로 다원화에

(3)

WORLD ENERGY MARKET Insight Weekly 주요 단신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제14-29호 2014.8.22

33

유리할 것으로 분석함.

ㅇ Hanas그룹은 SK그룹과의 협력을 통해 중국 액화천연가스 사업 확장을 모색하고 있음.

- Hanas그룹은 닝샤(寧夏)자치구에 내륙 최대 규모의 액화천연가스 공장을 보유하고 있

으며 해당 공장의 연간 생산량은 80만 톤에 달함.

- Hanas그룹의 중국 액화천연가스 시장 점유율은 15%로, 액화천연가스 연간 판매량이 200만 톤에 달함.

- Hanas그룹은 SK그룹과의 협력을 통해 LNG사업 범위를 중국 전역으로 확대할 계획임.

(中國證券網, 2014.8.7; 新華能源, 2014.8.8; 中國經濟網; 中國經營網, 2014.8.12)

□ 중국, 동북지역 신규 원전 건설 재개

ㅇ 중국 국무원은 ‘동북 지역 진흥을 위한 중대 조치’에서 동북지역 에너지 구조 개선을 위해 랴오닝(遼寧)省의 홍옌허(紅沿河) 원전 제2기 공정과 쉬다바오(徐大堡) 원전 제1기 공정 이 추진될 예정이라고 밝힘.

- 홍옌허 원전에는 ACPR1000 원자로 2기가, 쉬다바오 원전에는 AP1000 원자로 1기가 각각 건설될 예정임.

- 홍옌허 원전 제1기 공정 원자로(총 4기) 중 1, 2호기는 계통연계 되었고, 3, 4호기는 현 재 건설 중임. NDRC는 2010년에 홍옌허 원전 제2기 공정(5, 6호기) 사전작업을 허가했 으나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3년 간 원전 신규 건설을 잠정 중단했음.

- 중국 광둥핵집단(CGNPC)은 2013년 말 환경보호부에 ‘랴오닝省 홍옌허 원전 제2기 공 정(5, 6호기) 환경영향보고서’를 제출하였으며 현재 사전준비 작업을 추진하고 있음.

- 쉬다바오 원전 프로젝트는 2014월 4월 8일 국가핵안전국의 원전 입지선정 심사에 통과 했고, 국무원 심사를 거칠 예정임.

ㅇ 그 외 싼먼(三門) 제2기, 하이양(海陽) 제2기, 루펑(陸風) 제1기, 룽청(榮城) 시범프로젝 트와 푸칭(福清) 제3기 공정이 2014년에 추진될 예정임.

(第一財經日報, 2014.8.20; 華夏時報, 2014.8.21.)

Referensi

Dokumen terkait

이를 통해 러시아 극동과 중국 간의 무역 발전을 꾀하고 지역 협력 메커니즘을 밝혀내어 중국-러 시아 협력과 양국 간 협력을 원활하게 추진할 수 있다.. 또한 합리적인 지리적 구조를 구축하여 ‘일대일로一帶一路’전략과 유라시아 연합 전략을 실현하기 위한 기틀을 마련할 수

중국 이치中国一汽 자동차 회사, 창춘시 성향규획전람관长春市城乡规划展览馆, 한중국제협력시범구中韩国际合 作示范区 등 시찰을 통해, 중국의 한중 경제협력 방향과 지린성 현황을 이해.. 그밖에 지린대학교 동북아학원, 동북아연구원을 방문하여 서울연구 원-지린대학교 동북아학원 간 협력 방안

이에 중국 정부는 일대일로 전략을 추진하여 러시아, 카자흐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아제르바이잔, 이란, 사우디 등 주요 석유・가스 자원국가들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석유・가스 자원의 다양하고 안정적인 공급원 및 수송로를 확보하려고 함.. ▶ 향후 석유・가스 개발부문에 대한 투자는 주로 중동, 중앙아시아, 러시아 등

▶ 또한 IOC는 NOC와의 협력을 통해 베네수엘라 초중질유, 중국 셰일가스 등 비전 통자원에 대한 접근권 확보를 도모하고 있음.. ▶ 우리나라의 경우도 IOC가 추진하고 있는 자산구조 조정 및 NOC와의 협력에 대해 서 보다 적극적인 검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