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지성․덕성․감성 함양을 위한 교양한문 교과 개발 기초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지성․덕성․감성 함양을 위한 교양한문 교과 개발 기초 연구"

Copied!
19
0
0

Teks penuh

(1)

※과제번호

RR2012-38-419

[연구결과보고서_단기연구]

지성 ․ 덕성 ․ 감성 함양을 위한 교양한문 교과 개발 기초 연구

2012. 7

· 연구책임자: 김영우(인제대)

(2)

( 2011 )년 선정 교양기초교육 단기연구 사업

결 과 보 고 서

사업명

〔2011 한국교양기초교육원 〕교양기초교교육 단기연구

연구과제명 지성(知性) ․ 덕성(德性) ․ 감성(感性) 함양을 위한 <교양한문> 교과 개발 기초 연구

연구 형태 및 참여자

연구형태 연구자 소속 연구기간 연구비 연구보조원

공동 김영우(책임) 김보경(공동)

인제대학교 인제대학교

2011. 12. 21

~ 2012. 3. 20 (3개월)

4,000,000원 1명

(3)

결과보고 연구요약문

1.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대학 교양한문 교육이 실용한자 중심의 ‘한자’ 교육으로 전개된 현황을 비판적 으로 검토하고, 새로운 교양한문 교육으로서 지성(知性), 감성(感性), 덕성(德性) 함양(涵 養)의 한문 교양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그 실현 방법의 일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 연구 추진 내용과 결과

본 연구에서는 최근 5년간 20여개 대학의 교양 한문 교육 현황 및 교재를 조사 검토하 여 대학의 교양 한문 교육의 중심이 ‘한문’에서 ‘실용한자’ 위주의 교육으로 뚜렷하게 변화 하였으며 이러한 변화에는 한글 전용 정책의 강화, 중국 경제의 부상과 경제단체의 요구, 한문 고전 교육의 부실, 수요자 중심 교육의 이념과 실용 교육에 대한 요청 등이 복합적으 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하였다. ‘실용한자’ 중심으로의 변화에는 사회와 교육 수요자의 요 구에 부응한다는 긍정적 측면이 없지 않지만,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것처럼 ‘실용한자’ 중 심의 교육 또한 뚜렷한 한계를 갖고 있다는 점에서 대학 교양 교육의 위상에 부합하는 교양 한문 교육의 목표와 방향을 새롭게 모색해야 할 것이다. 특히 최근 5년 사이에 실용한자 강 좌 역시 크게 위축되고 있어 교양 한문 교육 전반이 폐지위기에 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 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본 연구가 제시한 내용은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한자, 한자어, 한문을 포괄하는 대학 한문 교육의 학습 방법을 재검토하고 교육 목표를 명확히 할 것을 제시하였다. 다른 하나는 고전 한문 교육을 통한 대학 교양 교육의 구체적 방법을 제 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대학의 교양 한문 교육에 있어, 중등 교육과정에서 설정된 ①한자, ②한자어, ③한문 의 단계별 학습 과정의 틀을 벗어나 대학 교양한문 교육에 맞는 학습 영역의 설정의 필요성 이다. 현재 <실용한문>, <생활한문> 등의 이름으로 개설된 대부분의 교양 한문 교재의 경 우 중등 교육과정에서 설정된 위의 틀을 따라 한자, 한자어, 한문이 망라된 방식으로 구성 되어 있다. 그러나 ①한자와 ②한자어 또는 ①한자와 ③한문의 경우에 있어서는 둘 사이에 단계별 학습 설정이 제한적으로 가능하겠지만 ②한자어의 학습이 ③한문으로 연결되지 않는 다는 점에서 ①한자, ②한자어, ③한문의 단계별 학습 과정은 폐기되어야 한다. 그 대신 ① 한자와 ②한자어 혹은 ①한자와 ③한문 교육으로 구분하여 전자는 교양 한문 교육의 목표를

㉮수준 높은 우리말 사용을 위한 한자 교육으로 후자는 ㉯한문고전을 통한 인문 고전 교육 과 평생교육으로 구분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두 번째로 본 연구는 ㉯한문고전을 통한 인문 고전 교육과 평생교육을 위한 교양한문 교육 으로 문제/주제 중심의 새로운 한문 교육을 구상하였다. 기존의 <교양한문>이 한문 고전의 독해 방법에 중점을 두었다면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한문 교육은 동양과 한국의 고전 문화 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고전 문화를 체험하고 익히게 하는 생애 교육으로 서의 한문 교육이다. 즉 삶의 다양한 문제/주제를 고전을 통하여 체험하고 사고할 수 있도

(4)

록 한문 교재를 새롭게 꾸미고 교육하는 새로운 방식의 교양한문 교육이다. 여기에는 한문 문장만이 아니라 고전한문을 번역한 글도 활용될 수 있고, 관련된 다양한 디지털 매체도 활 용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으로 문제/주제를 지성(知性), 감성(感性), 덕성(德 性)의 세 영역으로 구분하고 이에 따른 주제를 설정하여 관련된 한문 문장을 통하여 이를 人性敎育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구상하였다.

3. 연구 결과 활용 계획

- 본 연구는 비교적 짧은 연구 기간〔3개월〕을 고려하여 기초 연구로서 설정되었다. 향 후 본 연구를 보다 확대하여 완성된 논문으로 발전시킬 예정이다.

- 본 연구의 결과는 2012년 2학기 인제대학교 교양필수 교과목 <한문II>의 교재 제작 에 반영될 것이다.

- 학술 논문과 대학교재의 출간은 대학 교양한문의 목표와 방향, 학습 영역과 방법에 관 한 학계의 논의를 활성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 한자검정자격시험을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는 한자 및 한문 교육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논의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다.

(5)

Ⅰ. 연구 목적 및 방법

1. 당초 연구의 목적, 필요성 및 연구목표

본 연구는 현재 한국 대학에서의 교양한문 교육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새로운 교양 한문 교육으로서 사고하는 교양한문 교육의 가능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가 수행할 구체적 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대학별 교양 한문 교과 운영 현황 조사

① 대학별 <교양한문> 교과 개설 현황 조사

교양필수 및 교양선택 등 각 대학의 교과 운영 현황을 조사한다.

② 교양한문 교과의 운영 실태 조사

최근 5년간 교양한문 교과의 개설 수, 수강학생 현황 등 실제 학생들의 수강 현황과 교․강 사 현황 등 운영시스템에 관한 내용도 포함하여 조사한다.

③ 대학 교양한문 교재의 분석

실제 대학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양한문 교재를 분석하고 그 형식과 내용이 교양 교육 교 재로서 적합한가의 여부를 검토하고자 한다.

2) 지성 감성 덕성 함양을 위한 교양한문 교육 ① 교양한문 교육의 목표와 방향 설정 탐색

최근 대학 한문 교육이 ‘실용한자’ 중심으로 변환된 내용과 문제점을 검토하고 교양한문 교육의 목표와 범위를 새롭게 설정하고자 한다.

② 교양한문 교육의 방법과 범위 설정 연구

독해 위주의 과거 한문 교양 교육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교양한문 교육에 적합한 교육 방 법과 1학년 교과로 개설된 교양한문 교육의 범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를 연구한다.

③ 내러티브와 결합한 생각하는 교양한문 교육 연구

지성(知性)과 감성(感性), 덕성(德性), 영성(靈性) 등의 복합적이고 총체적인 잠재능력 을 일깨우는 전인교육으로서의 인성(人性) 교육을 위한 교양한문 교육의 방안을 연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한 학습 전략과 교재 기획 등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도록 할 것이다.

(6)

Ⅱ.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0. 문제의 제기

종래 대학의 교양한문 교육은 중등교육과정의 한문 교육을 전제하였다. 즉 대학에서는 대 학에 입학한 학생들이 1972년 한문 및 한자 교육을 위해 제정된 교육용 한자 1800자를 중 등교육과정(중학 900자, 고등 900자)에서 이수한 것으로 전제하고 대학 교양한문 교육의 목표와 범위를 설정하였다. 따라서 기존의 대학 교양한문은 언어생활에 필요한 한자 어휘를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그야말로 한문고전을 해석하고 그것을 통해 전통 시대의 문화와 사상 을 익히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였던 것이다. 그러던 것이 6차 교육과정(1992~1996)을 기점으로 정부의 한글 전용 정책의 강화에 의해 한문이 수능 과목에서 제외되면서 초 ․ 중 등교육에서 한문이 크게 약화되었고, 기초 한자와 한문을 알지 못하는 수강생을 대상으로 하는 대학의 교양 한문도 쇠락의 길을 가게 된다.

한편, 88년 올림픽을 전후하여 정부의 한글 전용 정책에 맞서 민간 단체에서는 한자급수 시험을 시행하면서 정규 교과에서 외면되는 한자 교육을 유지하고자 노력하였는데, 그 결과 로 2000년들어 민간에서 시행하는 한자급수 시험이 국가공인자격시험으로 인정되었고 때마 침 경제 5단체가 신입사원 채용에 한자를 포함시키기로 하면서 이른바 한자 열풍이 일어나 게 된다.

중등 교육에서의 한문 교육의 쇠퇴와는 반대로 한자가 취업을 위한 도구가 되면서 그 영향 은 그대로 대학의 한문 교육에 반영되었다. 그 결과 2003년 이래 대학의 교양한문 교육은 한문 독해를 중심으로 하던 기존의 한문 교육에서 전공 교육을 위한 교양 한자나 취업을 위 한 실용한자 중심의 교육으로 뚜렷하게 변화되었다.

이와 같은 교양한문 교육의 변화는 중등과정에서의 한문 교육의 부실과 이로 인한 대학생 들의 한자 및 한자 어휘 능력의 저하를 고려할 때 불가피한 측면이 없지 않고, 다른 한편으 로는 한자 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는 그 동안 쇠퇴의 길을 걷던 대학 교양한문 교과를 새롭게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로도 작용하였다. 그 결과 현재 대학의 교양한문 교육은 그 이름이야 무엇이든 한자 교육을 그 중심에 두게 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한자 중심 교육의 현실적 측면을 인정한다 하더라도 고등교육 기관인 대 학에서 한문이 아닌 한자 교육을 중심에 둠으로써 한문고전 교육이 설자리를 잃게 되었고 대학이 한자 급수를 준비하는 사교육 기관과 경쟁하는 곤경에 놓이게 되었다. 물론 한자에 대한 교육을 통해서도 다양한 인문 교양 교육이 전혀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그것은 이미 한계가 있는 것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 교양한문 교육이 처한 이러한 곤혹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를 찾아보고자 한다. 나아가 그 구체적인 대안으로 인성 함양을 위한 대학 교양 한문 교육을 제안하고자 한다.

(7)

한문 교양필수 운영대학

인제대(4학점), 한림대(2학점), 인하대(1학점), 한세대(2학점), 한동대 (3학점)

-한동대 : 한문을 교양필수로 하지만 중국어로 대체가 가능함(2006년 이후) 현재 중국어 10강좌, 한문 4강좌 개설됨

-인하대 : 학점은 1학점이지만, 강의는 2시간이다. 한자급수시험으로 대 체인정이 가능하다. 총 개설강좌는 6강좌.

현재 전교생을 대상으로 한문이 교양필수로 지정된 대학은 인제대 한 림대, 한세대 세 곳에 불과하다. 단국대의 경우 2009년 이후 실용한자가 교양필수에서 교양선택으로 변경되었고 현재 학기당 3 강좌가 개설되고 있다.

그 밖에 서울시립대, 전남대, 영남대 등에서 계열별로 한문을 필수로 지정하고 있다.

1. ‘한자’ 교육 중심의 교양 한문 교육의 문제점과 극복 방안 1) ‘한자’ 중심 교육의 문제점

2003년 조사에 따르면 전국 197개 4년제 대학 가운데 한문을 교양으로 개설한 대학은 118개 교에 이르며 이 가운데 12개 대학은 한문을 교양 필수 교과로 지정하고 있었다. 전 국 대학 가운데 2/3가 한문을 교양 교과로 개설하고 있는 것이다.1) 전국 대학을 대상으로 한 것은 아니지만 2007년의 조사에서도 조사 대상 25개 대학 가운데 24개 대학에서 한문 은 독립 교양 교과로 운영되고 있었다.2) 본 연구를 위해 임의로 조사한 26개 대학 모두, 개설 강좌의 수에서는 큰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한문이 교양 교과로 운영되고 있었다.3)

<2012년 현재 한문 교양필수 운영대학과 특징>

그런데 대학에서 현재 운영되고 있는 교양한문 교과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한자를 중심 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2003년 경북대학의 사례에서 보듯이 한문 문장의 독해를 주된 교육 내용으로 삼고 이를 통해 가치관 형성이라는 목표를 가지는 ‘교양한문’은 수강 학생들이 대폭적으로 줄어든 반면, 한자, 한자어 학습을 중심으로 언어생활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표로 삼는 실용한자에 대한 요구는 늘어나는 추세였다.4) 2008년 25개 대학의

1) 문무영,「대학 기초 교양 한문 교육의 현황과 전망」,『어문연구』, 제 31권 4호, 한문어문교육연구회, 2003.

2) 김우정,「대학 교양 한자 교육의 현황과 과제」,『한자한문교육』, 제20집,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8.

3) 2012년 현재 교양한문 교과 운영에 대한 조사는 2012년 2월 ~ 3월 사이에 26개 대학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별첨 참조) 선정 방법은 지역별 2개 대학을 포함시켰으며, 부산 경남 소재 대학은 다수 포함시켰다. 조사는 인터넷 조사와 전화 상 담 조사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정확한 현황을 파악하는 데 일정한 한계가 있었다. 정확한 조사를 위해서는 직접적인 대면 조사가 필요할 것이다. 이는 향후 논문 작성과정에서 보완할 것이다.

4) 박영호,「대학 교양교육으로서의 한문교육의 방향」,『동방한문학』, 27집, p323. 경북대에서는 2003년 2학기 교양한문 개설강좌 13개 분반 가운데 6개 분반이 수강 최저인원을 채우지 못했다고 보고하고 있다.

(8)

교재 및 강의 방향 주 요 대 학

한문 중심 전남대, 서울대(한문), 충남대, 계명대, 인 제대(한문2), 경성대(중급한문)

한자, 한자어 한문 혼합 부경대, 인제대(한문1), 한림대, 한양대, 조 선대, 경북대 등

실용한자 중심

원광대, 한동대, 단국대, 인하대, 부산대(한 문1), 동아대, 동의대, 동서대, 원광대, 영 남대, 고려대, 영산대 신라대, 경북대 서울 시립대 등

조사는 일반 교양 강좌의 성격이 강한 한문 중심의 한문 교육은 뚜렷하게 한자 교육 위주로 바뀌었음을 보여준다.5) 실용 한자 중심의 한문 교육은 2012년의 조사에서도 재차 확인되고 있다.6)

<2012년 현재 별첨 참조>

대학의 교양한문 교육이 한자와 한자어 중심의 실용한자 교육으로 변화된 원인으로 여러 가지 이유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먼저 가장 큰 이유는 6차 교육과정 이후 한글세대가 대학 에 진학하면서 한문 교육이 현실적으로 어려워졌다는 점이다. 기초 한자조차 모르는 학생들 에게 기존의 한문 독해 중심의 한문 강의는 선택하기가 더욱 어려운 과목이 되었다. 이에 비해 한자 강의의 경우, 비록 초 ․ 중등 교육에서 한자가 홀대시되었지만 배움의 필요성마저 사라진 것은 아니었기 때문에 한문에 비하여 학생들의 선호가 상대적으로 컸다. 아울러 우 리가 사용하는 말의 대부분이 한자어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 전공 과정에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의 경우 더욱더 한자어 비중이 높다는 점 등에서 한자어 학습의 당위성은 쉽게 찾아질 수 있는 것이었다. 이와 더불어 한자에 대한 사회적 관심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중국 경제의 부상과 함께 경제 단체들은 한자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시작하였고, 민간자격시험인 한자급수 시험 결과를 채용에 반영하면서 실용한자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가히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되었다.7) 이에 따라 대학의 한문 교육도 실용과 수요자 중심 교육을 앞세워 빠르 게 한자 중심 교육으로 전환해 갔던 것이다.

이와 같은 대학 한문 교육의 한자 교육으로의 전환은 초 ․ 중등 교육의 부실이라는 현실적 조건하에서는 불가피한 면이 없지 않으며 한자를 통해서라도 한문 교육이 존립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한자 교육을 통해서도 교양 교 육의 목표를 실현하고자 하는 방안 또한 적극적으로 모색되기도 하였다.8) 혹자는 대학에서 의 한문 교육은 한자 교육이 되어야 함을 역설하기도 하였다.9)

그러나 실상 한자 중심 교육 또한 그렇게 전망이 밝은 편은 아니다. 실제로 이번 조사에

5) 김우정(2008)

6) 한자가 아닌 한문 교육을 유지하고 있는 대학은 서울대, 전남대, 충남대 등 비교적 한문고전연구소 혹은 한문 관련 학과 가 개설되어 있는 대학이 대부분이 이었다.

7) 2004년 한자급수 시험 응시생은 100만 명을 넘었다.

8) 최성화,「대학 교양한자 교재의 개선방안」,『동방한문학』, 45집, 2010.

9) 전광진(2003), 대학생을 위한 교양한자, 다락원, 머리말 참조.

(9)

서도 알 수 있듯이 한자자격증 시험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줄어들면서 실용한자 교육 또한 상당히 위축되고 있다. 2004년 한자능력을 졸업자격시험으로 채택했던 고려대학의 경우 제 도를 폐기하기에 이르렀고, 한동대학의 경우 한문 이외에 중국어를 선택할 수 있게 하자 실 용한자보다는 중국어에 대한 강좌가 늘어나고 있다. 단국대학도 2009년 실용한자를 교양필 수에서 제외하자 당장 개설 강좌 수가 대폭적으로 줄어들었다.

대학의 교양 교과가 한자를 익히는 것으로만 진행되기에는 그 한계가 너무나 뚜렷하며, 한자급수시험은 대학 교양 교과가 아닌 사설 교육 기관을 통해서도 충분히 대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학의 교양 한문이 한자급수시험을 내세워 학생들을 유인하면서 내용적으로는 교양적 요소를 가르치려는 것은 오히려 부작용을 더 키울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대학 교 양한문 교육은 이제라도 목표를 보다 명확히 설정하여 교양 교육으로서의 위상을 되찾아야 할 것이다.

2) 대학 한문 교육에서 한자, 한자어, 한문 교육의 위상 정립

대학의 교양 한문 교육은 그것이 사설 학원이 아닌 바에야 전적으로 한자 익힘 강좌나 시 험 대비 강좌의 성격을 가질 수 없다. 그것은 교수도 학생도 원하지 않는 방향이다. 따라서 비록 한자 중심의 교육으로 전환되었다 하더라도 대학의 한문 수업은 교양 과목으로서의 목 표를 의식하게 된다.

여기서는 먼저 한문 교육의 목표를 중등 과정에서 설정된 제 7차 교육 과정의 교육 목표 를 통해 살펴보자.

“한자, 한자어, 한문을 익혀 ㉠ 언어생활에서 바르게 읽고 쓰며, ㉡ 한문을 독해할 수 있 는 능력을 기르고, ㉢ 한문기록에 담긴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며 건전한 가치관과 바 람직한 인성을 함양하여, 전통문화를 계승 ․ 발전시키려는 태도를 지니고, ㉣ 한자문화권 내 에서의 상호이해와 교류 증진에 기여한다.”10)

위의 교육 목표는 대학 교육에서도 그대로 통용되고 있다. 즉 한문 교육은 한자, 한자 어, 한문을 익혀서 ㉠~㉣까지의 목표를 실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목표 가운데 지 금까지 우리가 실용 한자로 논의한 부분은 ㉠과 ㉣에 해당되고 기존의 교양 한문은 ㉢, ㉣ 로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즉 한자와 한자어를 이해하는 것은 우리말의 70%를 차지하는 한자어를 올바로 알아서 언어 생활을 바르게 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며 또 한자를 많이 알게 될 경우 한자문화권 내에서의 교류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반면 기존의 한문 교육은 바로

㉡과 ㉢을 목표로 한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즉 한문에 대한 독해 방법을 익히고 또 선현 의 글을 통해 가치관의 체득과 인성 함양을 목표로 했던 것이다. 물론 한문 교육에서는 이 렇게 한문 교육의 목표를 둘로 나누어 한자, 한자어와 한문을 분리 선택하여 가르치지 않는 다. 오히려 한문 교육에서는 한자, 한자어, 한문을 모두 가르쳐 ㉠~㉣의 목표를 모두 성취

10) ㉠~㉣은 필자 주. 위의 내용은 비록 중등 교육이 교육 목표이지만, 대학 한문 교육에서도 공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내용이라 생각하였다.

(10)

하려 한다.

이러한 설정이 가능한 것은 한자, 한자어, 한문의 학습을 단계적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한자의 기초를 익히는 것은 한자어 학습에 우선하며 한자와 한자어 학습을 통 해 한문 학습에 대한 기초가 마련된다고 본다. 그러나 실제 위 세 가지 학습은 단계적으로 설정되지 않는다. 특히 한자어가 고대의 한자에서 유래된 것도 있지만 그 대부분이 근대에 새롭게 만들어진 2음절 단어라는 점에서 한자나 한문 학습과 연결되지 않는 부분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한자어 학습이 한문 독해에 어떠한 도움을 주리라는 것은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한자, 한자어, 한문 학습과 ㉠~㉣까지의 교육 목표는 새롭게 설정될 필요가 있다.

즉 ①한자와 ②한자어 또는 ①한자와 ③한문의 경우에 있어서는 둘 사이에 단계별 학습 설 정이 제한적으로 가능하겠지만 ②한자어의 학습이 ③한문으로 연결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① 한자, ②한자어, ③한문의 단계별 학습 과정은 폐기되어야 한다. 대신 ①한자와 ②한자어 혹 은 ①한자와 ③한문 교육으로 구분하여 전자는 한문 교육의 목표를 ㉮ 수준 높은 우리말 사 용을 위한 한자 교육으로 후자는 ㉯ 한문고전을 통한 인문 고전 교육과 평생교육으로 구분 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11)

그런데 앞서 살펴보았듯이 우리 대학의 한문 교육은 ㉯에서 ㉮로 전환되었으며 ㉯의 교육 은 점차 사라질 위기에 놓여있다. 이는 어떻게 보면 한문이 대학에 교양 교과로서 개설되어 있기는 하지만 교양 교육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지 못하였음을 의미한다. 이 제 한문 교육이 가야할 길은 무엇인가?

2. 지성 감성 덕성 함양을 위한 교양 한문 교육 1) 반성과 전망

앞서 언급한 바 있듯이 초 · 중등 한문 교육의 부실로 인해 한문 고전을 중심으로 한 한 문 교양 강의는 어렵다는 인식이 일반화되어 있다. 그래서 차선책으로 대학의 한문 교육은 실용 한자 교육으로 전환되었다. 하지만 한자 교육의 앞날 또한 그리 밝지만은 않다. 그 조 짐은 2008년 이후 4년 만인 이번의 조사에서도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12)

여기서 비록 불가피한 현실적 선택의 측면이 있었다고 하지만 우리는 지난 10년 전 한문 교육에서 한자 교육의 전환이 과연 올바른 선택이었는지 반성해 보아야 한다. 대학 교양 교육의 정신까지 쉽게 버리면서 실용을 명분으로 대학의 교양한문을 스펙을 위한 도구과목 으로 만든 잘못은 없었는 지 되돌아 보아야 한다. 그러한 선택은 결국 교양한문의 종말을 잠시 지연시킬 수 있을지는 몰라도 해결책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과거 교양 한문의 문제가 초·중등 한문 교육의 부실과 학생들의 눈높이를 고려하지 않은 일방적 한문 독해 중심 강의 에 있었다면, 문제를 푸는 해법도 그러한 문제 자체를 해결하는 데 집중했어야지 문제를 남

11) 여기서 생애학습으로서의 한문 교육은 일본 고등학교의 고전교육의 목표인 ‘자국의 문화와 전통을 중시하고, 생애에 걸 쳐서 고전에 친숙한 태도를 육성하는 것을 중시’함에서 가져온 개념이다. 이에 대해서는 한예원,『한문교육론』, 문자향, 2006, p.195. 참조.

12) 한자가 교양필수였던 단국 대학의 경우 2008년에는 선택 과목으로 바뀌었으며, 한동 대학의 경우도 2009년 이후 한자와 함께 중국어를 선택할 수 있게 하였는데 현재 중국어 강좌를 선택하는 학생의 수가 훨씬 많다고 한다.

(11)

겨 둔 채 다른 방식의 대안을 찾는 것은 바람직한 방법이 아니었다. 교양 교육이라고 한다 면 학생들이 원하는 것과 관계없이 고유의 목적을 위해 강제되어야 하는 것이지, 수요자 중 심 교육이라는 명분으로 고유의 목적까지 포기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게 한다면 그것 은 이미 그 자체로 교양 교육을 떠난 것이기 때문이다.

한글전용정책과 그에 따른 초·중등 교육에서의 한문 교육의 부실화, 한문과 한자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불편을 느끼지 않는 언어 환경 등에서 대학의 교양한문 교육은 많은 어려움 이 있을 수밖에 없다. 하지만 그러한 어려움 때문에 가치관과 인성 교육을 중심으로 하는 교양한문 교육의 목표마저 포기해서는 안 될 것이다. 애초에 한문 교육이 일반대학생을 대 상으로 한 교육으로 적합하지 않다면 모르겠으나 한문을 통한 교양 교육이 의미 있고 가치 있는 것이라면 학습 수준의 개선과 교육 방법의 개편을 통해 교양한문 교육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올바른 자세일 것이다. 단지 교육 수요자의 요구에 맞추는 것만이 미덕은 아니 다. 가치있는 교육이라고 한다면 교육 수요자에게 그 가치를 이야기하고 교육을 받을 수 있 도록 교육 방법을 개선하는 적극적인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그렇다면 방법은 무엇인가?

첫번째로 고려해야 할 것은 학생들의 수준에 대한 정확한 인식인 것이다. 학생들의 한자 실력이 매우 낮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실이다. 그렇지만 학습 능력을 따져본다면 한자 실 력이 매우 낮음에도 불구하고 한문 교육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인식하는 것은 더 중요하다. 학생들의 지식수준과 학습 능력을 고려하여 학습 목표를 설정한다면 교양한문 교 육은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것이다.

두번째로 고려하여야 할 것은 교양한문 교육이 단순히 교재의 내용을 암기하고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주입식 교육이 아니라 학생들이 배운 것을 활용하고 적용해서 스스로 공부하는, 즉 자기 주도적 학습이 될 수 있도록 기획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한문의 경우 몇 개의 명언 이나 한시를 일방적으로 암기하도록 하는 방식이 아니라 일정한 주제나 스토리와 결합하여 생각하는 교육이 될 수 있도록 설계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생애 교육으 로서의 한문 교육을 제안하고자 한다.

2) 지성 ․ 감성 ․ 덕성 함양을 위한 교양한문 교육

기존의 <교양한문>이 한문 고전의 독해 방법에 중점을 두었다면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한문 교육은 동양과 한국의 고전 문화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고전 문화를 체험하고 익히게 하는 생애 교육으로서의 한문 교육이다. 즉 삶의 다양한 문제/주제를 고전 을 통하여 체험하고 사고할 수 있도록 한문 교재를 새롭게 꾸미고 교육하는 새로운 방식의 교양한문 교육이다. 여기에는 한문 문장만이 아니라 고전한문을 번역한 글도 활용될 수 있 고, 관련된 다양한 디지털 매체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으로 문제/

주제를 지성(知性), 감성(感性), 덕성(德性)의 세 영역으로 구분하고 이에 따른 주제를 설 정하여 관련된 한문 문장을 통하여 이를 인성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구상하였다.

그리하여 먼저 교재의 편집부터 한문 독해에 대한 기법 중심이 아니라 고전과 한시를 선 별하여 가르치되 각 내용들을 지성, 덕성, 감성의 주제로 분류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유도하

(12)

주 제 생각해 볼

문제 학습 내용 생각 마당

1. 배움의 즐거움

-공부란 무엇인 가?

-공부는 왜 해 야 하는 가?

-공부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子曰:“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 人不知而不, 不亦君 子乎?” (논어)

爲學日益, 爲道日損. 損之又損, 以至於無爲, 無爲而無不

爲. 取天下, 常以無事. 及其有事, 不足以取天下. (노자)

<정약용>

-배움에는 능 력보다 부지런 함이 중요

2. 어떻게 살 것인가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 엇인가?

-어떤 삶이 좋 은 삶인가?

德不孤, 必有隣. 《논어》

五福, 一曰壽, 二曰富, 三曰康寧, 四曰攸好德,

五曰考終命. 《서경書經)》

<장자>

-재질 있음과 재질 없음 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주제에 따라 생각할 내용을 각 장마다 질문 방식으로 제시함으 로써 한문 공부가 단순 암기가 아닌 생각하는 공부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 이다.

예를 들어 지성 함양에 해당하는 배움을 주제로 선택한다면, 장의 첫 부분에는 ‘공부는 왜 해야 하는지’,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 공부인지’ 등의 질문을 먼저 제기하여 학생들로 하여 금 그에 대해 생각하게 한 다음 관련되는 지문 등을 수록하여 공부하게 한다면 좋을 것이 다. 물론 수록 지문은 기본과 심화로 나누어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한 필요하다면 원문을 번역한 자료를 싣는 것도 무방하겠다. 한자에 대한 지식과 한문 문장 에 대한 해석 능력도 가르쳐야겠으나 교양한문의 교육 목표를 실현할 수 있는 수준과 내용 으로 교재를 기획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겠다. 학생들이 고전을 통해 현재의 문제와 만나서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아울러 한문 공부는 한두 학기의 학습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몸담고 살고 있는 세 계의 삶과 문화를 배운다는 태도를 견지하게 함으로써 고전 공부가 평생 공부가 될 수 있도 록 학습 태도를 갖추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성 ․ 감성 ․ 덕성 함양을 위한 한문 교재의 구성 예시>13)

13) 2012년 8월 수정과 보완을 거쳐 <테마로 읽는 교양한문>의 제목으로 출간 예정

(13)

3. 군자의 도, 선비의 길

-어떻게 살 것 인가?

-이상적인 인간 이 되기 위한 조건은 무엇인

讀書曰士, 從政爲大夫, 有德爲君子.

박지원(朴趾源),

<양반전>

君子豹變, 小人革面.

《주역周易)》

<주돈이>

-연꽃을 사랑 하는 이유

4. 산수 자연 속에서

-동양인에게 자 연은?

-자연과 함께 하는 삶이란?

-오늘날 우리에 게 자연은 어떤 의미인가?

春水滿四澤夏雲多奇峯 秋月揚明輝冬嶺秀孤松 도잠陶潛), <사계절[四時]>

初登上面, 一步更難一步, 及趨下面, 徒自擧足, 而身自流下, 豈非從善如登, 從惡如崩者乎

조식曺植),

<지리산유람록[遊頭流錄]>

<조식>

-지리산 유람

5. 삶의 다양한 내면과 풍경

-인생이란?

-감성은 우리 삶에서 어떤 의 미를?

-삶을 대하는 우리의 마음가 짐은?

秋風唯苦吟世路少知音 窓外三更雨燈前萬里心 최치원崔致遠),

<비내리는가을밤에[秋夜雨中]>

君家何處住妾住在璜塘 停船暫借問或恐是同鄕 최호崔顥),

<장간의노래[長干行]>

<이백>

-봄날 밤에 취 해 노닐며

6. 사람으로 세상을 보다

-좋은 사람은 어떤 사람인가?

-내 안에 있는 사람에 대한 편 견은 없을까?

-바람직한 인간

大王常語, 汝必爲溫達之婦, 今何故改

前言乎? 匹夫猶不欲食言, 況至尊乎!

<사마천>

-자객 예양 이 야기

<김부식>

-바보 온달 이

(14)

관계는 무엇인 가?

김부식(金富軾),

<온달열전溫達列傳>

야기

7. 친구를 사귈 때는

-좋은 친구 나 쁜 친구는?

-어떻게 해야 좋은 친구를 사 귈 수 있을까?

-지구촌 시대의 사귐은?

君子之交淡若水,

小人之交甘若醴.《장자(莊子)》

達矣哉! 洪君之爲友也.

吾乃今得友之道矣. 觀其所友, 觀其所爲友, 亦觀其所不友, 吾之所以友也. 박지원朴趾源)

<《중국인벗들과의우정》에 써 준 서문[會友錄序]>

<박지원>

-벗을 사귀는

8. 가족 이야기

-효의 진정한 의미는?

-나에게 가족은 어떤 의미를?

-1인 가구 세 대, 가족의 미래 는?

出必告, 反必面. 《예기》

兄之骨, 是父之骨, 弟之肉, 是母 之肉. 一氣周流而無間,

身雖二而本則一. 최현崔晛),

<우애에 관한 잠[友愛箴]>

<일연>

-어머니를 위 해 자식을 묻 은 손순

9. 시대를 생각하다

-백성이 진정으 로 원하는 것 은?

-사회적 존재로 살아간다는 은?

-올바른 정치와 정치가란?

無恒産而有恒心者, 惟士爲能, 若民則無恒産, 因無恒心.

《맹자》

夫信者, 人君之大寶也.

國保於民, 民保於信.

사마광司馬光),《자치통감(資治 通鑑)》

<사마천>

-백성이 바라 는 것을 막을 수 있겠는가

10. 삶과 죽음을 대하는 자세

-저승보다는 이 승이?

-행복한 삶과 행복한 죽음은?

-우리 사회는 죽음을 어떻게

季路問事鬼神.

子曰:“ 未能事人, 焉能事鬼”敢問死.

曰: “未知生, 焉知死”《논어》

<장자>

-아내의 죽음 앞에서 노래 부르다

(15)

대하고 있나?

生亦我所欲也, 義亦我所欲也, 二者, 不可得兼,

舍生而 取義者也. 《맹자》

11.초월과 미지의 세계

-내가 아는 세 상이 전부인가?

-꿈과 상상의 힘은 왜 필요한 가?

-자유로운 삶은 어떻게 해야 가 능할까?

夫象猶目見而其理之不可知者, 如此, 則又況天下之物, 萬倍於象者乎!

박지원(朴趾源),

<코끼리 이야기[象記]>

<장자>

-물고기가 변 하여 새가 되

<박지원>

-코끼리 이야

<도잠>

- 무 릉 도 원 을 찾아서

12. 우리의 기원을 찾아서

-신화란 무엇인 가?

-우리가 알지 못하는 우리 신 화는?

-기원에 대한 관심, 왜 우리는 뿌리에 대해 알 아야 하는가?

昔有桓因庶子桓雄, 數意天下, 貪求人世.

父知子意, 下視三危太伯, 可以弘益人間.

《삼국유사(三國遺事)》

<단군신화(壇君神話)>

<삼국유사>

-단군신화 -수로왕신화 -박혁거세신화

<이규보>

-동명왕신화

(16)

Ⅲ. 연구결과 활용계획

- 본 연구는 비교적 짧은 연구 기간〔3개월〕을 고려하여 기초 연구로서 설정되었다. 향 후 본 연구를 보다 확대하여 완성된 논문으로 발전시킬 예정이다.

- 본 연구의 결과는 2012년 2학기 인제대학교 교양필수 교과목 <한문II>의 교재 제작 에 반영할 것이다.

- 학술 논문과 대학교재의 출간은 대학 교양 한문의 목표와 방향, 학습 영역과 방법에 관한 학계의 논의를 활성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 한자검정자격시험을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는 한자 및 한문 교육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논의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다.

Ⅳ. 참고문헌

강석중 외(2003), 전통시대의 지혜와 향기, 세종출판사.

고려대 한문학교실(2001), 『기초한문』, 고려대학교 출판부.

고순희(2010), 『교양한자․한문 익히기』, 부경대학교 출판부.

서울대 중문과(2002),『기초한문』, 서울대학교 출판부.

우리한문연구회(2009),『우리한문』, 산지니 전광진(2003), 대학생을 위한 교양한자, 다락원.

한예원(2006),『한문교육론』, 문자향.

한국교육개발원(2011),『한국교육미래비전』, 학지사.

강석중(2008), 「대학 한문 교육의 현실과 문제」, 한자한문연구4호, 고려대한자한문연구 소.

김우정(2008), 「대학 교양 한자 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자한문교육, 제20집.

朴英鎬(2004), 「대학 교양 교육으로서의 한문교육의 방향」, 동방한문학27집.

신상필(2010), 「대학 교양으로서의 한문교육과 동아시아 한자문화권」, 한국고전연구22집.

임형택(2004), 「한국, 20세기의 한문교육과 그 당면과제」, 한문교육연구23집.

진재교(2002), 「현행 한자 ·한문 급수제도의 문제와 개선방향」, 한문교육연구19집.

崔晟燁(2010), 「대학 교양한자 교재의 개선방안」, 동방문학45집.

(17)

대학명 영역 과목명 학기당개설수 비 고

인제대 교양필수

한문 I 60강좌

공학인증제 해당 학과는 한문II 제외 한문 II 50강좌

한동대 교양필수 한문

4강좌 2006년 이후 중국어로 대체 가능 (중국어 10강좌)

단국대 교양선택 실용한자

3강좌

2009년 이전은 교양필수 (1학기, 온라인)

2강좌(2학기)

인하대 교양필수 생활한문 6강좌 한자자격시험 1-3급

획득시 학점 인정

부산대 교양선택

한문1 8강좌 한자어 강좌

한문2 5강좌 기초 한문 강좌

21세기와

교양한자 3강좌 한자 중심

동아대 교양선택 실용한자

3강좌(1학기) 4강좌(2학기)

동의대 교양선택 한문의 이해 1강좌

법정․ 한의대의 경우

<실용한자> 1강좌를 필수로

동서대 교양선택 실용한자 5강좌

경성대 교양선택

기초한문 3강좌

.

중급한문 1강좌

영산대 교양선택 대학한문 1강좌 <논어의 지혜> 교양필수

신라대 교양선택 실용한자 2강좌(2학기)

부경대 교양선택 교양한문 8강좌 실용한자와 한문

경북대 교양선택

교양한문 7강좌 대구 캠퍼스의 경우

실용한자 21강좌 13강좌

<2012년 3월 현재, 26개 대학의 교양 한문 교육 현황표>

(18)

영남대 교양선택

생활한자 6강좌

인문대는 필수 이야기 고사성어 4강좌

서울시립대

교양필수 한자와 언어생활 17강좌

인문사회계열 필수

교양선택 한문 3강좌

고려대 교양선택 생활한자 11강좌

2004년 졸업인증제 실시도입(한자2급),

2012년 폐지

한세대 교양필수 한문1,한문2 5강좌

서울대 교양선택

한문1 3강좌

중문과 담당, 한문 중심

한문2 1강좌

한국기초한문 1강좌

국문과 담당(한자와 한문)

한국의 한자 1강좌

한림대 교양필수 생활한문 20강좌 생활한자와 교양한문

조선대 교양선택

생활한문 5강좌

초급한문 9강좌

동국대(서울) 교양선택 교양한문 12강좌

충남대 교양선택

기초한문 7강좌

실용한문 4강좌

순천향대 교양선택

초급한자 2강좌

중급한자 2강좌

전남대 교양선택 한문 11강좌 실용한자가 아닌 한문교육

계열별 필수지정

원광대 교양선택

초급실용한자 17강좌

각 학과마다 교양필수 지정선택가능

중급실용한자 3강좌

고급실용한자 1강좌

강원대 교양선택

교양한문 8강좌 생활한자와 한문

교육실용한문 3강좌 사범대 대상

계명대 교양선택 초급한문 8강좌 한문강좌

(19)

이 연구는 1차년도 한국교양기초교육원의 연구 및 교과목개발 사 업에 관한 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된 것입니다. 본 연구의 모든 저작권은 한국교양기초교육원에 있으며, 연구에 제시된 정책대안이 나 의견 등은 한국교양기초교육원의 공식적인 의견이 아닌 연구진 의 견해임을 밝혀둡니다.

한국교양기초교육원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General Education)

137-748 서울특별시 서초구 헌릉로 25

Tel : 02-6393-5294 / Fax : 02-6393-5288 Website : konige.kr

원 장 : 손동현 ([email protected]) 사무국장 : 최종철 ([email protected]) 전 문 원 : 김소현 ([email protected])

Referensi

Dokumen terkait

또한 국제 콘퍼런스 개최를 통해 신성장 동력인 원자력 및 방사선 산업의 신기술과 비전을 제시하고 세계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리가 될 것입니다.. 이에 일반 기업관과는 별도로 관련 연구기관 학교 등을 위한, “R&D 공동관”을 구성하여 관련 단체의 연구 기술과 성과물에 대한 홍보와 마케팅 기회를 제공하고 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