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직원 해외연수 결과보고서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직원 해외연수 결과보고서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Copied!
30
0
0

Teks penuh

(1)연구자료 02-8. 직원 해외연수 결과보고서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 미국 위스콘신주를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 연구자료 02-8. 직원 해외연수 결과보고서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 미국 위스콘신주를 중심으로. 연수자 : 장 원 섭.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은 21세기 국가 경쟁력 강화와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국가인적자원개발과 평생직업교육훈련에 관련된 다양한 정책 연구와 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하고 있다. 이 연구자료는 인적자원정책연구실 장원섭 책임연구원이 2000년도 해외교육훈련(2000. 12. 28 - 2001. 3. 27) 기간 동안 미국 Center. on Edu cation an d Work, Un iversity of Wiscon sin -Madison에서 연수하며 미국의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위스 콘신주의 시스템을 중심으로)에 관하여 작성한 보고서를 바탕으로 제작된 것이다. 이 연구자료가 관련 정책 개발과 현장 개선에 유용한 참고자료로 널리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4) <차 례> I. 연수 목적. 1. 1. 연수의 필요성. 1. 2. 연수의 목적. 2. Ⅱ. 연수의 내용 및 방법. 3. 1. 연수 거점 기관의 벤치마킹. 3. 2. 문헌 및 자료의 수집과 분석. 4. 3. 현장 방문 및 관계자 면담. 5. 4. 컨퍼런스 참석. 6. Ⅲ. 미국의 학교-직업세계 이행. 7. 1. 미국 School-to-Work의 시행. 7. 2. 위스콘신주의 School-to-Work 시스템. 9. 3. 위스콘신의 Education for Employment 프로그램. 12. 4. 위스콘신 기술대학체제(Wisconsin Technical College System). 14. Ⅳ. 결 론. 17. <표차례> <표 1> WTCS 재정(1995-96). 17.

(5) <보론> 위스콘신주의 Education for Employment" 프로그램. 19. 1. 미국의 학교-직업세계 이행 개관. 19. 2. 위스콘신주의 학교-직업세계 이행 시스템. 20. 3. 위스콘신주의 고용을 위한 교육. 22. 4. 결 론. 23.

(6) I. 연수 목적. 1. 연수의 필요성 청년층의 높은 실업률 문제를 해결하고 지식기반사회에 적합한 인력 을 양성하는 일은 우리 나라에서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매우 중요한 국가적 과제임. 이에 따라 OECD 국가를 비롯한 많은 국가들이 청년의 직업세계로의 순조로운 이행을 위한 범국가적인 차원의 정책적 지원을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있음. 특히, 미국은 1994년 『학교-직업세계 이행 기회 법(School-to-Work Opportunities Act)』를 제정하는 등 연방 정부 차원의 다양한 정책 을 통하여 청년들의 원만한 직업세계로의 이행을 지원하기 위한 노 력을 기울이고 있는 대표적인 국가라고 할 수 있음. - 미국의 학교-직업세계 이행에 대한 정책적 지원은 청년 실업의 감 소 등 가시적인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고 보고됨. 국내에서 미국의 학교-직업세계 이행 정책 및 실천에 관한 많은 자료 가 있고 이에 대한 소개와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음. 그러나 문헌 분 석만을 가지고는 미국의 학교-직업세계 이행 정책이 연방 정부 수준 에서뿐만 아니라 지방 정부와 현장 수준에서 어떤 방식으로 개발되 고 실천되는지에 관한 구체적이고 심층적인 내용을 파악하는데 한계 가 있음. - 특히, 연방 정부 차원의 정책이 지방과 현장에서 어떤 과정을 거쳐 정착되고 어떻게 실천되어 가는지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서는 문헌. - 1 -.

(7) 분석의 한계를 벗어나서 현장을 방문·관찰하고 관계자를 면접하는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함.. 2. 연수의 목적 본 연수는 직업교육의 핵심 영역이며, 근래 들어 가장 강조되는 정책 가운데 하나인 학교-직업세계 이행(school-to-work transition) 정책의 개발, 현장 착근과 실천 과정에 대한 미국 사례를 탐구하기 위한 목 적을 가짐.. - 2 -.

(8) Ⅱ. 연수의 내용 및 방법. 1. 연수 거점 기관의 벤치마킹 연수 거점 기관명 Center on Education and Work,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사명 청소년과 성인에게 의미 있고 생산적인 진로를 유도할 수 있는 학습 과 진로개발 경험을 가질 수 있도록 함. 이를 위해 교육기관, 일터, 지역사회, 가정 사이의 연계를 강화할 수 있는 연구, 개발, 기술적 지 원을 수행함. 궁극적으로 모든 사람을 위해 학교, 대학, 일터에서의 진로 관련 학습의 질을 높이고자 함.. 중점 사업 영역 - 진로개발 - 교육과정, 학습, 평가와 professional development - 일터에서의 교육과 학습 - 평등과 특수집단 - 평가와 계속적 진보 - 컨퍼런스, 워크샵, 고객중심 기술지원 - 출판. 역사 - 1964년 Ford Foundation에 의해 Center for Stu dies in VocationalTechnical Education으로 설립 - 1971년 Wisconsin Technical College System의 재정재원 체제로 전환 - 3 -.

(9) - 1992년 현재의 이름으로 바꾸고, 더욱 폭 넓은 직업교육, 진로개발, 훈련프로그램 등에 관한 연구, 개발, 서비스 제공. 재정 연방정부 25%, WCIS 회비 20%, 주정부 15%, 판매수익 15%, 컨퍼런 스 10%, 위스콘신대학 10%, 기업 및 재단 5% - 재정의 대부분은 soft money "로서 2-3명의 인건비를 제외하고 모 두 프로젝트 계약과 수익사업에 의해 충당됨.. 조직 및 인적 구성 1명의 Director (Allen Phelps 교수), 2명의 Associate Director, 1명의 기회관리실장, 연구원 및 연구보조원, 연수담당자, 기술자 등 약 60-70명으로 구성 - 구성원 각자의 임무와 역할을 중심으로 한 수평적 조직을 특징으로 하고 있음.. 2. 문헌 및 자료의 수집과 분석 학교-직업세계 이행 정책 관련 자료 - 『학교-직업세계 이행 기회 법(School-to-Work Opportunities Act)』 및 관련 법령 - 위스콘신주 Governor's Work-Based Learning Board의 정책 자료. 학교-직업세계 이행관련 연구 자료 - 학교-직업세계 이행 관련 저서 및 연구 보고서 - 위스콘신주 학교-직업세계 이행 관련 조사 및 연구. - 4 -.

(10) 3. 현장 방문 및 관계자 면담 GM - Janesville, WI.에 위치 - 5000명 이상의 종업원 - 주로 트럭을 생산하는 제조업체 - 회사와 노동조합의 기업교육: ABE, GED, ESL 등. Sonic Foundry - Madison, WI.에 위치 - 300명 이상의 종업원 (대졸 이상의 프로그래머와 그 밖의 지원 및 판매 인력으로 구성) - 1991년에 설립된 디지털 미디어와 인터넷 소프트웨어 개발 회사 - 직종마다 다른 선발기준 (예, customer service는 언어가 중요) - 잦은 이직으로 기업 내 교육은 활발하지 않은 편임.. Madison East High School - 1922년 설립된 종합고등학교로 2000여명의 학생이 재학 - Technology Center: 26개의 station에서 학생들이 스스로 진로탐색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 Career Center: 6명의 진로상담교사와 컴퓨터가 학생과 학부모에게 진로, 직업과 대학에 관한 폭넓은 정보를 제공하고 진로 상담 및 학 생들의 school-to-w ork에 관한 계획 및 시행. Waukesha Technical College - Wisconsin주 Waukesha County에 위치한 주립 2년제 기술대학 - 미래의 근로자와 현재 근로자, 기업과 지역사회를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제공. - 5 -.

(11) - 재정은 재산세(56.4%), 주정부 지원(8.4%), 수업료(9.7%), 연방정부 (3.4%), 기타(22.1%)로 구성. Governor's Work-Based Learning Board - 위스콘신주의 school-to-work 활동을 총괄·조정하는 기구 - 주지사가 의장인 17인으로 구성된 위원회(State Superintendent of Public Instruction, President. of Wisconsin. Technical College. System Board, State Director of WTCS, Secretary of Department of. Workforce. Development,. administrator. of. Division. of. Workforce Excellence in DWD, 4 representatives from organized labor, 4 representatives from business and industry, 2 members with vocational and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experience, 1 public member). 전문가 면담 - Allen Phelps, Robert Sorensen, Tom Sargent, Michele Mickelson, Ann. Ru dolf(이상. Murray (Governor's. Center. on. Education. Work-Based. Learning. and. Work), Borad),. Aleta Adam. Gamoran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David Bills(University of Iow a) 등. 4. 컨퍼런스 참석 컨퍼런스명 Careers 2001 - Dreams and Directions. 일시 2001년 2월 5일-7일, 위스콘신주 매디슨 매리옷 매디슨 웨스트 호텔 - 6 -.

(12) 주최 Center on Education and Work,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참석자 교사, 진로상담자, 행정가 등 현장 실천가들을 위한 컨퍼런스(34개 주 에서 1500명 이상 참석). 구성 11개의 w orkshop, 6개의 technology session, 3개의 special tour, 200 개 이상의 session, 40개 이상의 exhibitor 등으로 구성. Ⅲ. 미국의 학교-직업세계 이행. 1. 미국 School-to-Work의 시행 경과 - School-to-Work Opportunities Act of 1994의 통과 - 지역수준에서 stw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행함으로써 다양한 지역의 partnership 구축을 지원. - 7 -.

(13) 프로그램 사례: West Virginia의 Wetzel County school-to-career program - 배경 ·West Virginia school-to-work 사무소를 통해 연방정부 기금을 받아 1995-96학년도부터 school-to-work 프로그램 시작 ·1996-97학년도에 $150,000의 시행(implemetation) 자금을 받음 (County의 총 학생 수 3,700명) ·1997-98학년도에 $35,000의 향상(emhancement)"지금을 받음 ·1996년에 직업고등학교를 폐교하고 직업교육 프로그램을 school-to-career 프로그램에 통합 - 프로그램 ·K-8학년까지는 진로 의식 에 중점(현장 견학, 학부모 또는 지 역사회인사 초빙, 수업 중 교사의 진로에 대한 언급 등) ·8학년부터 컴퓨터 교육에서 자신의 흥미를 생각하게 하고, 그 것을 진로군(12,00개 진로 포함)과 연결시키며, 다양한 직업을 준비하는 코스를 알려주는 수업 시작 ·8학년말에 상담교사와 학부모가 만나 6개의 진로 경로(career pathw ays, 예술과 의사소통, 건강서비스, 인류 봉사, 천연 재원, 산업 및 공학체제, 사업 관리)"가운데 선택 ·9학년에는 모든 학생이 하루의 job shadowing(학교수업을 방해 받지 않도록 staff-development day 활용, HR시간을 활용하여 일주일에 두 번 30분 동안 adviser와 만남). 성과 - 상황 중심적 학습(contextual learning)을 통한 인문과 직업교육의 통합 - 학업성취 기준을 높이는 동시에 진로와 관련된 교육 실시(Hardy, 1999) - 일반 학생보다 school-to-work 학생의 높은 고등교육진학률 및 졸업 률(Hardy, 1999; Phelps et al., 1999) Boston 조사: ProTech 프로그램 참여자 78% 대 일반 학생 72% 고등교육 진학률 - 8 -.

(14) Wisconsin 조사: Youth Apprenticeship 프로그램 참여자 50.2% 대 일반 학생 46.0% 고등교육 진학(주내 고등교육기관에 진학한 경우만 포함). 문제점 (Hardy, 1999) - low-intensity "프로그램에는 학생 참여가 많으나 high-intensity" 프 로그램(예, 인턴쉽)에는 학생 참여 저조 - 산업계의 소극적 참여 - 모든 학교에 모든 직업교육이 갖추어져 있지 않음 --> 교육기회의 불평등으로 이어질 가능성 - academic achievement의 저조 - 학생의 흥미나 관심이 아니라 노동시장의 요구에 따른 진로 선택 - 미국 교육을 국가 노동력 준비체제로 대치하고 있다는 비판. 2. 위스콘신주의 School-to-Work 시스템 개관 배경 - 1993년 주 Department of Workforce Development의 Division of Connecting Education and Work에서 주의 School-to-Work 프로그 램을 관리하기 시작 - 1995년부터 1999년 9월까지 연방 정부의 stw 재정지원(약 $27 million) 위스콘신은 연방정부 지원을 받은 최초의 8개 주 가운데 하나임 - 1999-2001 Budget Bill의 통과로 Governor's Work-Based Learning Board로 업무 이관. - 9 -.

(15) 행정 및 재정 Governor's Work-Based Learning Board의 관리 기능 - 40개의 주 재정 지원 youth apprenticeship grants - 9개의 주 재정 지원 business partnership grant - 29개의 연방 재정 지원 stw grant - 10개의 연방 Temporary Assistance for Needy Family (TANF) grant - stw를 위한 Milw aukee Public Schools grant - 16개의 Carl D. Perkins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Act of 1998에 의한 Tech Prep grant - w ork-based learning을 위한 2개의 tribal colleges grant. 재정(1999-2001) - Local Youth Apprenticeship Grants: $3,150,000 - Tech Prep 프로그램: $2,133,800 - School-to-Work for At-Risk Youth : $600,000 - Work-Based Learning Programs for Tribal Colleges: $1.2million -. Work-Based. Learning. Programs. for. TANF-Eligible. Youth :. $8,192,000. 접근 방법 Education for Employment 프로그램 - 모든 K-12 학생들에게 Education for Employment 프로그램을 필수화 - applied instruction, w ork experience, career exploration 등. - 10 -.

(16) train-the-trainer approach - 교사교육 및 재교육, staff development - applied/ integrative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시행 방법 등에 관한 학 습 기회 제공 - Technical College와 University of Wisconsin의 활용. 기존의 교육, 고용, 훈련 프로그램의 활용 - conversion strategy "을 통한 종합적인 school-to-w ork 시스템 구축 - 기존의 cooperative education, summer youth, JTPA-funded 프로그 램들을 School-to-Work Opportunities Act의 주요한 요소들에 따라 통합. 대표적 프로그램들 Youth Apprenticeship - 1992년 인쇄업종(printing)에서 YA를 위한 기술표준(skill standards) 설정으로 시작 - 유럽의 전통적 도제제도와 유사하게 교실 수업과 현장 멘터에 의한 구조화된 wbl의 결합 - 고등학교 졸업장과 기술 자격증을 동시에 취득. Tech-Prep - 위스콘신주 모든 학교구에서 시행 - 모든 위스콘신 고등학생을 위해 지속적인 통합적 school-based 프로 그램의 개선을 위해 Quality Components"를 개발 - 통합교육과정, hands on learning, enhanced 진로지도, career mapping (진로 목적과 성취전략을 글로 적은 계획), 기술교과, 중 등이후교육과의 연계 등. - 11 -.

(17) 진로상담 네트워크 - 독일의 The Bundesanstalt fur Arbeit"를 모델로 하여 지역 상담 센 터 네트워크를 구축 - 모든 학생에게 노동시장 정보, job shadowing, 진로 탐색의 기회 제공. 3. 위스콘신의 Education for Employment 프로그램 경과 - 1981년 Parker Pen Company의 George Parker와 주 교육감 Herbert J. Grover가 만나 초·중등학교에서 청소년들이 21세기 일의 세계를 잘 준비하도록 하기 위한 논의를 한 것을 계기로 Parker 연구 프로 젝트가 시작되어 5년간 이루어짐. - Parker 프로젝트는 학교와 기업에 관한 새로운 데이터를 수집하고, 600명의 기업, 근로자, 교육자, 행정가가 참여하여 위스콘신 교육정 책과 실천을 위한 제안을 하였음. - 1985년에 종합적인 Education for Employment 프로그램에 관한 입 법과 1985-1987년 예산 및 $500,000의 demonstration grants가 통과됨. - 1986년에 행정 규칙이 공포되었고, 1991년까지 모든 학교구에서 시 행됨.. 취지 - Education for Employment는 다양한 정책과 프로그램들을 개발하기 위한 중심으로서 개념적, 정책적 틀과 통합적인 비전을 제시 - 청소년들이 일의 세계를 준비하고 주의 경제발전을 도모. 주요 내용 (위스콘신주의 모든 학교구에 해당) - 모든 K-12 학생들이 Education for Employment 프로그램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함.. - 12 -.

(18) - 적어도 50%의 기업주를 포함하는 Education for Employment 위원 회 조직을 구성함. - Education for Employment 위원회가 개발하는 교육계획을 수립함. (이 계획에는 학생의 요구와 관심, 교육기회평등, 노동시장 정보, 경 제발전과 직업창출, 주기적 졸업생 조사, 교육프로그램 평가와 staff development 요구조사 등을 포함함) - Education for Employment 프로그램을 조정할 전문가를 임용 - K-12 모든 학생에게 인문과정에서 배운 지식을 현장에 적용하고 직 업과정에서 기초적인 기술을 배울 수 있도록 가르침. - 모든 청소년들이 학교가 관리하는 일의 경험을 가질 수 있도록 함. - K-12에서 진로 탐색, 계획, 결정에 관한 통합된 교육과정과 5-8학년 에 한 학기 코스를 개발함. - K-12에서 취업을 위한 기술과 태도에 관한 통합된 교육과정을 제공함. - K-12의 모든 학생들에게 사업을 시작하고 운영하는 필요한 기업가 정신과 지식을 포함하는 경제학의 현실 적용과 미국 경제제도에 관 한 통합된 교육과정을 개발함. - 노동시장 정보, 졸업생 조사, 취업 요구 등에 기초한 일련의 교육과 정을 7-12학년 직업교육 프로그램에서 제공함. - 교육과 산업계의 연계를 위해 기업과 교육 파트너쉽 위원회 (Business and Education Partnership Council)를 설립함. - Education for Employment와 다른 교육기준들, 졸업필수요건, 중도 탈락위기학생 프로그램, JTPA 프로그램을 통합 조정함.. - 13 -.

(19) 4.. 위스콘신. 기술대학체제(Wisconsin. Technical. College System) 미국내에서 최초로 1911년에 직업, 기술, 성인교육을 위한 시스템 설립 설립목적 - 중등 및 중등이후교육에 등록하지 않은 청년과 성인들에게 시간제 교육 기회 제공. 경과 - 처음에는 공립학교체제 또는 기술학교구에 의해 운영 - 1965년에 주 직업기술성인교육위원회와 지역 직업대학구에 의해 운 영되는 체제로 변경 - 1994년에 위스콘신 기술대학체제(WTCS)로 변경. 현재 WTCS는 16개 구와 46개 캠퍼스를 가지고 있음. WTCS의 구성 - WTCS위원회와 개별 구 위원회(District Board)로 구성 - WTCS위원회는 전체 프로그램과 활동의 기획하고 조정하고, 개별 구 위원회는 지역 수준에서 교육과정과 코스를 기획, 개발하고 시행하 는 역할을 수행. WTCS 위원회 조직 및 역할 - 조직: 13명의 위원으로 구성 ·위원: 고용주 대표(1), 근로자 대표(1), 농민 대표(1), 당연직 위원 (3, 주 교육감, Seretary of Workforce Development, 위스콘신대학 - 14 -.

(20) 교 이사장), 지역사회인사(6), 학생(1) ·고용주, 근로자, 농민, 지역사회인사는 6년 임기, 학생은 2년 임기 로 주지사가 임명 - 역할: ·State Director와 직원의 고용 ·학사학위 이하 직업과 관련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장학 ·기술대학의 조직, 기획, 범위, 발전에 관련된 사항 결정 ·각 구의 교육프로그램 개설 또는 폐지 제안에 관한 검토와 승인 ·주 재정의 배분 및 감사 ·구 재정 신청의 검토와 승인 ·학비 설정 ·교육자 자격부여 ·공립고등학교 tech-prep 프로그램에 관한 조정 ·구 위원회의 일반적 정책 설정. 구 위원회 조직 및 역할 - 조직: 9명의 위원으로 구성 ·위원: 고용주(2), 근로자(2), 지역사회인사(3), 학교구 행정가(1), 공무원(1) ·위원은 3년 임기로 지역 위원회 또는 학교위원회 의장에 의해 임명 - 역할: ·district director와 직원, 교사의 고용 ·WTCS위원회의 승인하에 프로그램과 코스의 개설 또는 폐지 ·연간 재정계획과 법령에 의한 재산세 징수 설정 ·연방정부와 재단의 기금 획득 노력 ·학생 선발, 재정보조, 진로지도, 취업알선 서비스 제공 ·교육, 회계, 관리 서비스 제공 ·법이 정한 한도 내에서 재정확보 프로그램 개발. - 15 -.

(21) 교육 목적 - 주목적 ·직업교육과 훈련/ 재훈련 프로그램 제공 ·주문식 훈련과 산업체에 기술 지원 - 부차적 목적 ·중등학교와의 계약을 통한 고등학생 코스 제공 ·대학 편입 프로그램 제공 ·부업 또는 자기개발 코스 제공 ·기초기술교육 제공 ·소수인종, 여성, 장애인에게 교육과 서비스 제공. 교육 프로그램 - 중등이후교육(post-secondary): 전일제 프로그램 ·대학 편입(college parallel): 교양학점이 4년제 대학에서 인정받는 2년제 과정으로 전체의 25% 이내로 제한되어 있음. ·준학사학위(associate degree): 고등학교 이후의 2년제 과정 ·직업 디플로마(vocational diploma): 1년 또는 2년제 과정 - 계속교육(continuing education): 성인 직업, 부업, 취미, 지역사회 활 동 등을 포함하는 시간제 프로그램. 재정 - 재산세, 주지원, 등록금, 연방지원, 자체 수입 등으로 구성 (표 참조). - 16 -.

(22) <표 1> WTCS 재정(1995-96) (단위: $ in millions, %) 구분. 금액. 비율. 재산세. 331.3. 47.3. 주 지원. 123.5. 17.6. 등록금. 86.5. 12.4. 연방 지원. 58.4. 8.3. 자체 수입 등. 100.7. 14.4. 전체. 700.4. 100.0. Ⅳ. 결 론. 모든 학생을 위한 체계적인 인적자원개발 - 미국에서 School-to-Work은 직업교육의 또 다른 이름이 아니라 모든 학생을 위한 체계적인 진로 및 직업능력 개발을 통해 인적자원개발 을 위한 기반을 형성하고 있음. - 이것은 좁은 의미의 직업교육개혁이 아니라 교육의 전반적 개혁을 위한 폭 넓은 접근임.. 아래서부터의 개혁 노력과 그에 대한 위에서의 지원 - 미국의 School-to-Work은 지역의 주도 아래 이루어져 지역 사정을 고려한 상이한 프로그램들로 구성되어있음. 이에 따라 지방과 현장 의 창의성과 주도성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도록 하고 있음. 연방. - 17 -.

(23) 정부는 기본 방침을 정하고 지역의 노력에 대한 평가를 통해 지원 을 하고 있음.. 시간을 두고 문제점을 극복해 나가는 여유 - 단시간에 모든 것을 이루려고 하기보다는 점진적으로 문제를 해결 해나가는 시간과 재정의 여유를 보여줌. 역할분담과 유기적 협력 체제 - 고등학교, 기술대학 또는 지역사회대학, 일반대학이 역할분담을 통해 체계적으로 연계되어 협력하고 있음. - 위스콘신주의 경우 주 정부와 연구소 사이의 역할 분담과 상호 협력 에 터해 School-to-Work이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끊임없는 feedback을 하고 있음.. - 18 -.

(24) <보론>. 위스콘신주의 Education for Employment" 프로그램. 청년층의 높은 실업률 문제를 해결하고 지식기반사회에 적합한 우수한 인 력을 양성하는 일은 전 세계적으로 매우 중요한 국가적 과제로 등장하였다. OECD 국가를 비롯한 많은 국가들이 청년의 직업세계로의 순조로운 이행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미 국 역시 1994년 『학교-직업세계 이행 기회 법(School-to-Work Opportunities Act)』를 제정하는 등 연방 정부 차원의 다양한 정책을 통하여 청년들의 원 만한 직업세계로의 이행을 지원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한 노 력은 청년 실업의 감소 등과 같은 가시적인 성과를 얻고 있다고 보고된다. 미국의 학교-직업세계 이행 정책은 연방 정부 수준에서의 방향 제시 및 재정 지원과 지방 정부와 현장 수준에서의 프로그램 개발 및 실천으로 특징지워 진다. 따라서 미국의 학교-직업세계 이행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연방 정부 차 원의 정책뿐만 아니라 그것이 지방과 현장에서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미국의 학교-직업세계 이행(school-to-w ork transition) 현황을 간략히 개관한 후에 학교-직업세계 이행의 모범적인 사례 로 평가받고 있는 주들 가운데 하나인 위스콘신주의 학교-직업세계 프로그램 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1. 미국의 학교-직업세계 이행 개관 미국에서 학교-직업세계 이행은 1994년 『School-to-Work Opportunities Act』의 통과로 활성화되었다. 이 법은 연방 정부가 지역 수준에서 개발하고 시행하는 학교-직업세계 이행 프로그램을 지원함으로써 지역차원에서의 학교와 직업세계 사이의 다양한 파트너십을 구축하고자 하는 취지를 가지고 있다.. - 19 -.

(25) 미국에서 학교-직업세계 이행은 인턴쉽 같은 high-intensity " 프로그램에의 학생 참여 저조, 산업계의 소극적 참여, 모든 학교에 모든 직업교육 프로그 램이 갖추어져 있지 않음으로 인한 교육기회의 불평등 문제, 학문적 성취 수 준의 저하, 학생의 흥미나 관심이 아니라 노동시장의 요구에 따른 진로 선택, 교육을 노동시장 준비 체제로 대치하고 있다는 등의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에서 학교-직업세계 이행은 상황 중심적 학습 (contextual learning)을 통한 인문과 직업교육의 통합, 학업성취 기준을 높이 는 동시에 진로와 관련된 교육 실시, 그리고 학교-직업세계 이행 프로그램에 참가한 학생들의 높은 고등교육 진학률 및 졸업률 등의 성과를 나타내고 있 다고 보고된다. 또한 지역의 특성과 여건에 맞는 다양한 학교-직업세계 이행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시로 그 효과성을 높이고 있다.. 2. 위스콘신주의 학교-직업세계 이행 시스템 1) 행정 및 재정 위스콘신주는. 1993년. 주. 인력개발부(Department. of. Workforce. Development) 의 교육과 일 연계과(Division of Connecting Education and Work) 에서 주의 학교-직업세계 이행 프로그램을 관리하기 시작하였다. 위스 콘신주는 연방정부 학교-직업세계 이행 재정 지원을 받은 최초의 8개 주 가 운데 하나로, 1995년부터 1999년 9월까지 약 2천7백만 달러의 지원을 받았다. 1999-2001예산안의 통과로 지금은 Governor's Work-Based Learning Board로 업무가 이관되어 시행되고 있다. 현재 Governor's Work-Based Learning Board는 위스콘신주의 다양한 학 교-직업세계 이행 프로그램에 대한 관리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40개의 주 재정 지원 youth apprenticeship grants, 9개의 주 재정 지원 business partnership grant, 29개의 연방 재정 지원 school-to-work grant, 10 개의 연방 Temporary Assistance for Needy Family(TANF) grant, 학교-직업. - 20 -.

(26) 세계 이행을 위한 Milw aukee Public Schools grant, 16개의 Carl D. Perkins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Act of 1998에 의한 Tech Prep grant, work-based learning을 위한 2개의 tribal colleges grant를 관리하고 있다. 한편. 학교-직업세계. 이행을. Apprenticeship. Grants. School-to-Work. for. 위한. $3,150,000,. At-Risk. 재정(1999-2001)은 Tech. Youth. Prep. $600,000,. Local. 프로그램 Work-Based. Youth. $2,133,800, Learning. Programs for Tribal Colleges: $1.2million, Work-Based Learning Programs for TANF-Eligible Youth $8,192,00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 프로그램 위스콘신주에서 학교-직업세계 이행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유치원서부터 고등학생에 이르는 모든 K-12 학생들에게 현장적용과 경 험교육, 그리고 진로 탐색 교육을 필수화하여 실시한다. 이 프로그램을 고 용을 위한 교육(Education for Employment) 이라고 하는데, 그 구체적인 내 용은 다음절에서 제시한다. 둘째,. 위스콘신주에서는. 교사를. 훈련시키는. 접근법(train-the-trainer. approach)를 강조한다. 즉, 다양한 교사교육 및 재교육을 통해 현장적용 및 통합적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구체적 실시 방법 등에 관한 학습 기회 제 공을 한다. 이를 위해 주의 기술대학(Technical College)과 위스콘신대학교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특징적이다. 셋째, 위스콘신주에서는 기존의 교육, 고용, 훈련 프로그램을 최대한 활용 하고 있다.. 전환 전략(conversion strategy)"을 통해 학교-직업세계 이행의. 종합적인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기존의 산학협동교육, 도제제도, JTPA 재 정지원 프로그램들을 School-to-Work Opportunities Act의 주요한 요소들에 따라 통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위스콘신주의 학교-직업세계 이행의 대표적인 프로그램은 다 음과 같다. 첫째, 청년도제제도(Youth Apprenticeship)는 1992년 인쇄업 분야 에서 청년도제제도를 위한 기술표준(skill standards)을 설정하면서 시작하였 - 21 -.

(27) 다. 이 프로그램은, 유럽의 전통적 도제제도와 유사하게, 교실 수업과 현장 멘터에 의한 구조화된 현장경험학습(w ork-based learning)을 결합한다. 이 프 로그램을 통하여 학생들은 고등학교 졸업장과 기술 자격증을 동시에 취득하 게 된다. 둘째, 테크 프렢(Tech-Prep)은 위스콘신주 모든 학교구에서 시행된다. 위스 콘신주에서는. 모든. 고등학생을. 위한. 통합적. 학교중심. 교육프로그램. (school-based program)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통 합교육과정, hands on learning, 고도화된 진로지도, career mapping(진로 목 적과 성취전략을 글로 적은 계획), 기술교과, 중등이후교육과의 연계 등이 그 구체적인 노력의 성과들이다. 셋째, 위스콘신주에서는 독일의 The Bundesanstalt fur Arbeit"를 모델로 하여 지역 상담 센터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진로상담 네트워크는 모든 학 생에게 노동시장 정보, job shadowing, 진로 탐색의 기회를 제공한다.. 3. 위스콘신주의 고용을 위한 교육 위스콘신주가 학교-직업세계 이행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시작한 것은 이미 오래. 전의. 일이다.. 구체적으로. 고용을. 위한. 교육(Education. for. Employment)" 프로그램은 1981년 파커펜회사(Parker Pen Company)의 파커 (George Parker)와 주 교육감인 그로버(Herbert J. Grover)가 만나 초·중등 학교에서 청소년들이 21세기 일의 세계를 잘 준비하도록 하기 위한 논의를 한 것을 계기로 5년간의 Parker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이루어졌다. 이 프로 젝트의 결과로 1985년에 종합적인 고용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입 법과 1985-1987년 예산 및 $500,000의 demonstration grants가 통과되었고 1986년에 행정 규칙이 공포되었다. 이에 따라 이 프로그램은 1991년까지 모 든 학교구에서 시행되게 되었다. 고용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모든 K-12 학 생들이 고용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 ②. - 22 -.

(28) 적어도 50%의 기업주를 포함하는 고용을 위한 교육 위원회 조직을 구성한 다. ③ 고용을 위한 교육 위원회가 수립하는 교육계획에는 학생의 요구와 관심, 교육기회평등, 노동시장 정보, 경제발전과 직업창출, 주기적 졸업생 조 사, 교육프로그램 평가와 staff development 요구조사 등을 포함한다. ④ 고 용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조정할 전문가를 임용한다. ⑤K-12 모든 학생에 게 인문과정에서 배운 지식을 현장에 적용하고 직업과정에서 기초적인 기술 을 배울 수 있도록 가르친다. ⑥모든 청소년들이 학교가 관리하는 일의 경험 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⑦K-12에서 진로 탐색, 계획, 결정에 관한 통합된 교육과정과 5-8학년에 한 학기 코스를 개발한다. ⑧K-12에서 취업을 위한 기 술과 태도에 관한 통합된 교육과정을 제공한다. ⑨K-12의 모든 학생들에게 사업을 시작하고 운영하는 필요한 기업가 정신과 지식을 포함하는 경제학의 현실 적용과 미국 경제제도에 관한 통합된 교육과정을 개발한다. ⑩노동시장 정보, 졸업생 조사, 취업 요구 등에 기초한 일련의 교육과정을 7-12학년 직업 교육 프로그램에서 제공한다. ⑪교육과 산업계의 연계를 위해 기업과 교육 파트너쉽 위원회(Business and Education Partnership Council)를 설립한다. ⑫ 고용을 위한 교육 과 다른 교육기준들, 졸업필수요건, 중도탈락위기학생 프로그램, JTPA 프로그램을 통합 조정한다. 결국,. 고용을 위한 교육 은 다양한 정책과 프로그램들을 개발하기 위한. 개념적, 정책적 틀과 통합적인 비전을 제시한다. 그럼으로써 청소년들이 일 의 세계를 적절히 준비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주의 경제발전을 도모하기 위 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4. 결 론 미국의 학교-직업세계 이행 정책의 실천 과정을 검토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점을 알 수 있다. 첫째, 미국에서 학교-직업세계 이행 정책은 아래서부터의 개혁 노력과 그에 대한 위에서의 지원으로 특징지워진다. 미국에서 학교-직 업세계 이행 프로그램은 지역의 주도 아래 이루어져 지역 사정을 고려한 상 이한 프로그램들로 구성되어있다. 이에 따라 지방과 현장의 창의성과 주도성 - 23 -.

(29) 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연방 정부는 기본 방침을 정하고 지 역의 노력에 대한 평가를 통해 지원을 하고 있을 뿐이다. 둘째, 미국에서는 학교-직업세계 이행과 관련된 이해 당사자들은 상호 역 할분담과 유기적 협력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고등학교, 기술대학 또는 지역 사회대학, 일반대학이 역할분담을 통해 체계적으로 연계되어 협력하고 있다. 위스콘신주의 경우에도 학교, 기업, 주 정부와 연구소 사이의 역할 분담과 상호 협력에 터해 학교-직업세계 이행이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끊임 없는 피드백을 하고 있다. 셋째, 미국의 학교-직업세계 이행 정책은 모든 학생을 위한 체계적인 인적 자원개발전략의 하나이다. 실제로 미국에서 학교-직업세계 이행은 직업교육 의 또 다른 이름이 아니라 모든 학생을 위한 체계적인 진로 및 직업능력 개 발을 통해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기반을 형성하고 있다. 이것은 좁은 의미의 직업교육개혁이 아니라 교육의 전반적 개혁을 위한 폭 넓은 접근인 것이다.. - 24 -.

(30) 연구자료 02-8. 직원 해외연수 결과보고서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이행: 미국 위스콘신주를 중심으로일 일. 인쇄 발행. 2002년 2002년. 11월 11월. 발행인. 강. 발행처. 한 국직 업 능력 개 발 원. 주.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2동 15-1(135-949) 홈페이지: h ttp :// w ww .krivet.re.kr 전 화: (02) 3485-5000, 5100 팩 스: (02) 3485-5200. 소. 무. 섭. 등 록 제16-1681호 (1998. 6. 11) IS B N 89-84 3 6-446-0 93330 인쇄처. (02). 보고서 내용의 무단 복제를 금함.. 비매.

(31)

Referensi

Dokumen terkait

연구의 일부로 중앙 정부 가정폭력․ 성폭력 정책, 부산광역시 가정폭력․성폭력 정책, 관계 기관 협력체계 등 에 대해 전문가를 대상으로 의견조사를 실시하게 되었습니다.. 의견조사 결과는 부산지 역의 가정폭력․성폭력 예방과 피해자 서비스 제고 등의 대안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하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