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직장여성의 양육스트레스와 건강증진행위의 관계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직장여성의 양육스트레스와 건강증진행위의 관계"

Copied!
52
0
0

Teks penuh

직장여성의 양육스트레스와 건강증진행동과의 관계. 첫째, 직장여성의 양육스트레스는 건강증진행동 및 사회적 지지와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서론

연구의 필요성

사회적 지지는 건강증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양육스트레스와 건강증진행동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연구는 없다.

연구 목적

따라서 선행연구를 고려할 때 직장여성의 양육스트레스와 건강증진행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유의미한 매개변수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를 통해 육아스트레스와 직장여성의 건강증진행동과 지원자원의 매개효과와의 관계를 규명하여 여성의 건강증진행동 개선을 위한 대내외 자원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 . .

개념적 기틀

산모의 건강증진행동과 스트레스의 관계. 사회적 지지, 양육스트레스 및 건강증진행동과의 관계. 배우자지지와 양육스트레스의 관계.

일과 가정의 균형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 유연근무제와 영유아를 둔 워킹맘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전은다·김민주, 2019)에서는 어린 자녀를 둔 엄마가 가족친화적 제도를 시행할수록 부모의 스트레스와 가족친화제도 시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주희(2018)는 일·가정 양립지원제도 지원이 워킹맘의 일·가정 갈등과 심리적 안녕을 완화시키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양육스트레스, 건강증진행동 및 지원자원의 상관관계.

나는 내 아이의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더 많은 내 삶을 포기하고 있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214)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214)

용어 정의

문헌고찰

양육 스트레스

건강증진행위

지지자원

많은 연구에서 사회적 지원이 스트레스 및 건강과 중요한 관계가 있다고 제안했습니다. 종합하면,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지원이 육아 스트레스를 경감시킨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연구방법

연구 설계

연구 대상

자료 수집 방법

연구 도구

육아 스트레스 지수 약식 4판 한글판(PSI-4-SF; Abidin, 2012) 한 사람의 육아 스트레스 측정을 위한 한글판(국문판) 육아 스트레스 지수 약식 4판: PSI-4 -SF; 정경미 외, 2019). 일과 가정의 균형과 육아를 지원하기 위해 직장에서 제공하는 가족친화 또는 일과 삶의 균형 프로그램을 이용한 경험을 말하며, 전체 제도의 수를 조사하였다. 유연근무제 : 시간제근무제, 점진출퇴근제, 유연근무제, 재택근무/스마트근무제

분석 방법

점수가 높을수록 주변의 사회적 지원 수준이 높습니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주요 변수들의 기술 통계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양육 스트레스, 건강증진행위, 지지자원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동을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ANOVA(Analysis of variance)를 시행하였고, 등분산 가정을 만족하지 못하는 위치이므로 Welch's test로 평균차를 검정하였다. 일용근로자는 계약직 및 정규직에 비해 배우자부양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다(표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제도적 지원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ANOVA(Analysis of variance)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학력이 등분산 가정을 만족하지 못하여 Welch's test를 실시하였다.

양육 스트레스, 건강증진행위, 지지자원 간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양육 스트레스와 건강증진행위의 관계에서 지지자원의 매개효과

3단계에서는 막내아동의 나이, 직위, 월가구소득, 직종을 통제한 후 양육스트레스와 배우자지원이 건강증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건강증진이 건강증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이를 위해 회귀분석의 가정을 검정한 결과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단계에서는 막내아동의 연령, 직위, 가구 월소득, 고용형태를 통제한 후 양육스트레스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Table  7-1.  Mediating  Effect  of  Spouse  Support                                                          (N=214) Step  1 †
Table 7-1. Mediating Effect of Spouse Support (N=214) Step 1 †

논의

둘째, 직장여성의 양육스트레스와 배우자의 지지, 친구의 지지, 제도적 지지,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양육스트레스와 건강증진행동의 관계에서 지지원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배우자지지와 이웃지지가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유아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를 살펴본 양진희(2016)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건강증진행동 및 건강상태와의 관계. 직무스트레스와 경찰관의 건강증진행동과의 관계.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및 건강증진행동과의 관계.

맞벌이 부부의 가족스트레스와 건강증진행동과의 관계. 배우자의 지지와 사회적 지지가 양육과 일반적인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Gambar

Figure  1. Conceptual  Framework
Table  2.  Descriptive  Statistics  of  Key  Variables                                                          (N=214)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214)
Table  3.  Parenting  Stres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N=214)
+7

Referensi

Dokumen terkait

Menurut beberapa penelitian Aplikasi zoom merupakan salah satu aplikasi yang efektif digunakan dalam pembelajaran disekolah serta aktifitas perkantoran baik negeri maupun swasta sela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