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한국의 기술혁신활동조사, 2006 : 서비스업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한국의 기술혁신활동조사, 2006 : 서비스업"

Copied!
124
0
0

Teks penuh

(1)한국의 기술혁신활동조사, 2006 : 서비스업. CODE BOOK. 자료번호. A1-2006-0082. 연구책임자. 엄미정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수행기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조사년도. 2006년.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10년. 코드북 제작년도. 2010년.

(2) 이 자료를 연구 및 저작에 이용, 참고 및 인용할 경우에는 KOSSDA의 자 료인용표준서식에 준하여 자료의 출처를 반드시 명시하여야 합니다. 자료 출처는 자료명이 최초로 언급되는 부분이나 참고문헌 목록에 명시할 수 있습니다.. ❚ 자료를 이용, 참고,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엄미정. 2006. 「한국의 기술혁신활동조사, 2006 : 서비스업」. 연구수행기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10 년. 자료번호: A1-2006-0082.. ❚ 코드북을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10. 「한국의 기술혁신활동조사, 2006 : 서비스업 CODE BOOK」. pp. 5-10.. 이 자료의 코드북에 대한 모든 권한은 KOSSDA에 있으며 KOSSDA의 사 전허가 없이 복제, 송신, 출판, 배포할 수 없습니다..

(3)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KSIC3_nso 업종(KSIC-3digit)_[재분류]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상품 중개업. 511. 26. 1.0. 1.0. 산업용 농축산물 및 산동물 도매업. 512. 5. 0.2. 0.2. 음·식료품 및 담배 도매업. 513. 64. 2.6. 2.6. 가정용품 도매업. 514. 98. 3.9. 3.9. 건축자재 및 철물 도매업. 515. 20. 0.8. 0.8. 금속광물 및 1차 금속제품 도매업. 516. 13. 0.5. 0.5. 기타 산업용중간재 및 재생재료 도매업. 517. 27. 1.1. 1.1. 기계장비 및 관련용품 도매업. 518. 68. 2.7. 2.7. 기타 도매업. 519. 15. 0.6. 0.6. 철도 운송업. 601. 1. 0.0. 0.0. 도로화물 운송업. 603. 195. 7.8. 7.8. 파이프라인 운송업. 604. 2. 0.1. 0.1. 해상 운송업. 611. 122. 4.9. 4.9. 내륙 수상 운송업. 612. 10. 0.4. 0.4. 정기 항공 운송업. 621. 7. 0.3. 0.3. 부정기 항공 운송업. 622. 3. 0.1. 0.1. 화물 취급업. 631. 30. 1.2. 1.2. 창고업. 632. 51. 2.0. 2.0. 기타 운송관련 서비스업. 639. 193. 7.7. 7.7. 우편 및 소포 송달업. 641. 55. 2.2. 2.2. 전기 통신업. 642. 69. 2.8. 2.8. 통화 금융기관. 651. 12. 0.5. 0.5. 비통화 금융기관. 659. 93. 3.7. 3.7. 보험 및 연금업. 660. 49. 2.0. 2.0. 금융관련 서비스업. 671. 34. 1.4. 1.4. 보험 및 연금관련 서비스업. 672. 88. 3.5. 3.5. 부동산 임대 및 공급업. 701. 1. 0.0. 0.0. 컴퓨터시스템 설계 및 자문업. 721. 35. 1.4. 1.4. 소프트웨어 자문, 개발 및 공급업. 722. 178. 7.1. 7.1. 자료처리 및 컴퓨터시설 관리업. 723. 23. 0.9. 0.9. 데이터베이스 및 온라인 정보제공업. 724. 52. 2.1. 2.1. 기타 컴퓨터 운영 관련업. 729. 5. 0.2. 0.2. 자연과학 연구 개발업. 731. 46. 1.8. 1.8. 인문 및 사회과학 연구 개발업. 732. 3. 0.1. 0.1. 법무 및 회계관련 서비스업. 741. 148. 5.9. 5.9. 시장조사 및 경영상담업. 742. 56. 2.2. 2.2. 건축기술 및 엔지니어링 서비스업. 743. 224. 9.0. 9.0. 1.

(4)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YEAR.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744. 84. 3.4. 3.4. 광고업. 745. 117. 4.7. 4.7. 전문 디자인업. 746. 11. 0.4. 0.4. 기타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749. 34. 1.4. 1.4. 영화 산업. 871. 66. 2.6. 2.6. 방송업. 872. 65. 2.6. 2.6. 2,498.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920 년. 1920. 1. 0.0. 0.0. 1922 년. 1922. 1. 0.0. 0.0. 1930 년. 1930. 1. 0.0. 0.0. 1946 년. 1946. 4. 0.2. 0.2. 1947 년. 1947. 1. 0.0. 0.0. 1948 년. 1948. 2. 0.1. 0.1. 1949 년. 1949. 4. 0.2. 0.2. 1950 년. 1950. 1. 0.0. 0.0. 1951 년. 1951. 3. 0.1. 0.1. 1952 년. 1952. 1. 0.0. 0.0. 1953 년. 1953. 2. 0.1. 0.1. 1954 년. 1954. 6. 0.2. 0.2. 1955 년. 1955. 4. 0.2. 0.2. 1956 년. 1956. 6. 0.2. 0.2. 1957 년. 1957. 2. 0.1. 0.1. 1958 년. 1958. 5. 0.2. 0.2. 1959 년. 1959. 2. 0.1. 0.1. 1960 년. 1960. 6. 0.2. 0.2. 1961 년. 1961. 2. 0.1. 0.1. 1962 년. 1962. 15. 0.6. 0.6. 1963 년. 1963. 2. 0.1. 0.1. 1964 년. 1964. 4. 0.2. 0.2. 1965 년. 1965. 8. 0.3. 0.3. 1966 년. 1966. 3. 0.1. 0.1. 1967 년. 1967. 13. 0.5. 0.5. 1968 년. 1968. 13. 0.5. 0.5. 1969 년. 1969. 14. 0.6. 0.6. 1970 년. 1970. 15. 0.6. 0.6. 설립년도. 2.

(5)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1971 년. 1971. 22. 0.9. 0.9. 1972 년. 1972. 15. 0.6. 0.6. 1973 년. 1973. 7. 0.3. 0.3. 1974 년. 1974. 10. 0.4. 0.4. 1975 년. 1975. 14. 0.6. 0.6. 1976 년. 1976. 18. 0.7. 0.7. 1977 년. 1977. 22. 0.9. 0.9. 1978 년. 1978. 21. 0.8. 0.8. 1979 년. 1979. 19. 0.8. 0.8. 1980 년. 1980. 13. 0.5. 0.5. 1981 년. 1981. 19. 0.8. 0.8. 1982 년. 1982. 23. 0.9. 0.9. 1983 년. 1983. 26. 1.0. 1.0. 1984 년. 1984. 17. 0.7. 0.7. 1985 년. 1985. 23. 0.9. 0.9. 1986 년. 1986. 37. 1.5. 1.5. 1987 년. 1987. 35. 1.4. 1.4. 1988 년. 1988. 47. 1.9. 1.9. 1989 년. 1989. 48. 1.9. 1.9. 1990 년. 1990. 54. 2.2. 2.2. 1991 년. 1991. 66. 2.6. 2.6. 1992 년. 1992. 52. 2.1. 2.1. 1993 년. 1993. 64. 2.6. 2.6. 1994 년. 1994. 103. 4.1. 4.1. 1995 년. 1995. 89. 3.6. 3.6. 1996 년. 1996. 110. 4.4. 4.4. 1997 년. 1997. 118. 4.7. 4.7. 1998 년. 1998. 141. 5.6. 5.6. 1999 년. 1999. 197. 7.9. 7.9. 2000 년. 2000. 237. 9.5. 9.5. 2001 년. 2001. 191. 7.6. 7.6. 2002 년. 2002. 181. 7.2. 7.2. 2003 년. 2003. 168. 6.7. 6.7. 2004 년. 2004. 117. 4.7. 4.7. 2005 년. 2005. 29. 1.2. 1.2. 무응답. 9999. 4. 0.2. 0.2. 2,498. 100.0. 100.0. 3.

(6)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ADD_H. 기업(본사)소재지 변수값. ADD_R.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서울. 11. 1,196. 47.9. 47.9. 부산. 21. 239. 9.6. 9.6. 대구. 22. 91. 3.6. 3.6. 인천. 23. 106. 4.2. 4.2. 광주. 24. 72. 2.9. 2.9. 대전. 25. 59. 2.4. 2.4. 울산. 26. 54. 2.2. 2.2. 경기. 31. 259. 10.4. 10.4. 강원. 32. 36. 1.4. 1.4. 충북. 33. 50. 2.0. 2.0. 충남. 34. 37. 1.5. 1.5. 전북. 35. 45. 1.8. 1.8. 전남. 36. 70. 2.8. 2.8. 경북. 37. 57. 2.3. 2.3. 경남. 38. 101. 4.0. 4.0. 제주. 39. 26. 1.0. 1.0. 2,498. 100.0. 100.0.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소속기관 위치 변수값 서울. 11. 1,093. 43.8. 50.0. 부산. 21. 200. 8.0. 9.2. 대구. 22. 76. 3.0. 3.5. 인천. 23. 90. 3.6. 4.1. 광주. 24. 59. 2.4. 2.7. 대전. 25. 48. 1.9. 2.2. 울산. 26. 48. 1.9. 2.2. 경기. 31. 212. 8.5. 9.7. 강원. 32. 28. 1.1. 1.3. 충북. 33. 42. 1.7. 1.9. 충남. 34. 31. 1.2. 1.4. 전북. 35. 37. 1.5. 1.7. 전남. 36. 59. 2.4. 2.7. 경북. 37. 49. 2.0. 2.2. 경남. 38. 87. 3.5. 4.0. 제주. 39. 25. 1.0. 1.1. 314. 12.6. 2,498. 100.0. 비해당 (시스템 결측값). 4. 100.0.

(7)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FTYPE. 회사형태 A1-1. 회사형태 (2005년 12월 기준) 변수값. FCOUNT. 퍼센트. 유효 퍼센트. 독립기업. 1. 2,210. 88.5. 88.5. 국내그룹 계열사. 2. 206. 8.2. 8.2. 해외그룹 계열사. 3. 82. 3.3. 3.3. 2,498. 100.0. 100.0.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해외그룹 계열사라면) 본사의 국가명 변수값. VENT. 빈도. 일본. 1. 15. 0.6. 18.3. 프랑스. 2. 2. 0.1. 2.4. 네덜란드. 3. 4. 0.2. 4.9. 미국. 4. 26. 1.0. 31.7. 영국. 5. 6. 0.2. 7.3. 스위스. 7. 3. 0.1. 3.7. 홍콩. 8. 6. 0.2. 7.3. 독일. 9. 6. 0.2. 7.3. 스웨덴. 10. 1. 0.0. 1.2. 러시아. 11. 1. 0.0. 1.2. 덴마크. 12. 1. 0.0. 1.2. 중국. 13. 3. 0.1. 3.7. 리히텐슈타인. 14. 1. 0.0. 1.2. 싱가포르. 15. 3. 0.1. 3.7. 파키스탄. 16. 1. 0.0. 1.2. 노르웨이. 17. 1. 0.0. 1.2. 대만. 18. 1. 0.0. 1.2. 무응답. 99. 1. 0.0. 1.2. 비해당. 0. 2,416. 96.7. 2,498. 100.0. 100.0.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벤처기업 지정여부 변수값 아니오. 0. 2,272. 91.0. 91.0. 예. 1. 226. 9.0. 9.0. 2,498. 100.0. 100.0. 5.

(8)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INNB. INN-BIZ 지정여부 변수값. KOSP. EMP03. 유효 퍼센트. 0. 2,442. 97.8. 97.8. 예. 1. 56. 2.2. 2.2. 2,498. 100.0. 100.0.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거래소상장기업 여부. 아니오. 0. 2,444. 97.8. 97.8. 예. 1. 54. 2.2. 2.2. 2,498. 100.0. 100.0.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코스닥상장기업 여부 변수값. SIZE. 퍼센트. 아니오. 변수값. KOSQ. 빈도. 아니오. 0. 2,458. 98.4. 98.4. 예. 1. 40. 1.6. 1.6. 2,498.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대기업. 1. 214. 8.6. 8.6. 중기업. 2. 785. 31.4. 31.4. 소기업. 3. 1,499. 60.0. 60.0. 2,498. 100.0. 100.0. 법정 유형. 2003년 종업원 및 재무현황1 : 상시근로자 수 (명) A1-2. 종업원 및 재무현황 (2005년 12월말 기준) 값 유효합계. 2,479. 최소값. 0. 최대값. 11000. 평균. 90.89 명. 표준편차. 365.404. 6.

(9)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SALE03. 2003년 종업원 및 재무현황2 : 총매출액 (백만원) 값 유효합계. 2,362. 최소값. -47700. 최대값. 10326200. 평균. 46111.30 백만원. 표준편차. EXP03. 356870.962. 2003년 종업원 및 재무현황3 : 매출액 대비 해외매출 비중 (%) 값 유효합계. 2,495. 최소값. .0. 최대값. 100.0. 평균. 4.190 %. 표준편차. FOWN03. 17.3392. 2003년 종업원 및 재무현황4 : 외국기업 직접투자비율 (%) 값 유효합계. 2,496. 최소값. .0. 최대값. 100.0. 평균. 2.436 %. 표준편차. EMP04. 14.4418. 2004년 종업원 및 재무현황1 : 상시근로자 수 (명) A1-2. 종업원 및 재무현황 (2005년 12월말 기준) 값 유효합계. 2,488. 최소값. 0. 최대값. 17674. 평균. 105.38 명. 표준편차. 560.979. 7.

(10)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SALE04. 2004년 종업원 및 재무현황2 : 총매출액 (백만원) 값 유효합계. 2,374. 최소값. -160. 최대값. 13242400. 평균. 52897.03 백만원. 표준편차. EXP04. 4299643.281. 2004년 종업원 및 재무현황3 : 매출액 대비 해외매출 비중 (%) 값 유효합계. 2,495. 최소값. .0. 최대값. 100.0. 평균. 4.549 %. 표준편차. FOWN04. 17.7880. 2004년 종업원 및 재무현황4 : 외국기업 직접투자비율 (%) 값 유효합계. 2,496. 최소값. .0. 최대값. 100.0. 평균. 2.527 %. 표준편차. EMP05. 14.6815. 2005년 종업원 및 재무현황1 : 상시근로자 수 (명) A1-2. 종업원 및 재무현황 (2005년 12월말 기준) 값 유효합계. 2,498. 최소값. 10. 최대값. 17702. 평균. 107.46 명. 표준편차. 524.901. 8.

(11)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SALE05. 2005년 종업원 및 재무현황2 : 총매출액 (백만원) 값 유효합계. 2,384. 최소값. -6. 최대값. 14258400. 평균. 56190.38 백만원. 표준편차. EXP05. 455743.147. 2005년 종업원 및 재무현황3 : 매출액 대비 해외매출 비중 (%) 값 유효합계. 2,496. 최소값. .0. 최대값. 100.0. 평균. 4.718 %. 표준편차. FOWN05. 18.0529. 2005년 종업원 및 재무현황4 : 외국기업 직접투자비율 (%) 값 유효합계. 2,496. 최소값. .0. 최대값. 100.0. 평균. 2.637 %. 표준편차. HIGHE. 14.9349.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 수 (명) 값 유효합계. 2,471. 최소값. 0. 최대값. 500. 평균. 5.40 명. 표준편차. 21.574. 9.

(12)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HIGHW.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 중 여성인력 비중 (%) 값 유효합계. 2,474. 최소값. .0. 최대값. 100.0. 평균. 4.890 %. 표준편차. ACT1. 15.3056. 기업 주요활동별 총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1 : 소비재, 원재료, 부품 등의 상품생산 (%) A2-1. 귀사의 주요 활동은 무엇인지, 해당되는 활동에 대해서 귀사 총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 을 적어주십시오. (1) 소비재, 원재료, 부품 등의 상품생산 값 유효합계. 2,498. 최소값. .0. 최대값. 100.0. 평균. 3.317 %. 표준편차. ACT2. 16.7195. 기업 주요활동별 총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2 : 생산장비의 생산 (%) A2-1. 귀사의 주요 활동은 무엇인지, 해당되는 활동에 대해서 귀사 총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 을 적어주십시오. (2) 생산장비(기계, 설비, 공구)의 생산 값 유효합계. 2,498. 최소값. .0. 최대값. 100.0. 평균. .638 %. 표준편차. ACT3. 7.0460. 기업 주요활동별 총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3 : 소프트웨어(게임 제외)의 개발 (%) A2-1. 귀사의 주요 활동은 무엇인지, 해당되는 활동에 대해서 귀사 총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 을 적어주십시오.(3) 소프트웨어(게임 제외)의 개발 값 유효합계. 2,498. 최소값. .0. 최대값. 100.0. 평균. 6.560 %. 표준편차. 23.3327. 10.

(13)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ACT4. 기업 주요활동별 총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4 : 게임개발 (%) A2-1. 귀사의 주요 활동은 무엇인지, 해당되는 활동에 대해서 귀사 총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 을 적어주십시오.(4) 게임개발 값 유효합계. 2,498. 최소값. .0. 최대값. 100.0. 평균. .484 %. 표준편차. ACT5. 6.4797. 기업 주요활동별 총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5 : 소비재, 원재료, 부품, 장비등에 관한 도매업 (%) A2-1. 귀사의 주요 활동은 무엇인지, 해당되는 활동에 대해서 귀사 총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 을 적어주십시오.(5) 소비재, 원재료, 부품, 장비등에 관한 도매업 값 유효합계. 2,498. 최소값. .0. 최대값. 100.0. 평균. 13.693 %. 표준편차. ACT6. 33.2442. 기업 주요활동별 총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6 : 운송서비스 (%) A2-1. 귀사의 주요 활동은 무엇인지, 해당되는 활동에 대해서 귀사 총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 을 적어주십시오.(6)운송 서비스 값 유효합계. 2,498. 최소값. .0. 최대값. 100.0. 평균. 24.789 %. 표준편차. ACT7. 42.9514. 기업 주요활동별 총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7 : 통신서비스 (%) A2-1. 귀사의 주요 활동은 무엇인지, 해당되는 활동에 대해서 귀사 총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 을 적어주십시오.(7)통신 서비스 값 유효합계. 2,498. 최소값. .0. 최대값. 100.0. 평균. 3.532 %. 표준편차. 17.6357. 11.

(14)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ACT8. 기업 주요활동별 총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8 : 금융서비스 (%) A2-1. 귀사의 주요 활동은 무엇인지, 해당되는 활동에 대해서 귀사 총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 을 적어주십시오.(8)금융서비스 값 유효합계. 2,498. 최소값. .0. 최대값. 100.0. 평균. 10.933 %. 표준편차. ACT9. 31.1573. 기업 주요활동별 총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9 : 비즈니스서비스 (%) A2-1. 귀사의 주요 활동은 무엇인지, 해당되는 활동에 대해서 귀사 총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 을 적어주십시오.(9)비즈니스 서비스(기술, 컨설팅, 법무, IT서비스) 값 유효합계. 2,498. 최소값. .0. 최대값. 100.0. 평균. 27.033 %. 표준편차. ACT10. 43.5648. 기업 주요활동별 총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10 : 영상, 광고 활동 (%) A2-1. 귀사의 주요 활동은 무엇인지, 해당되는 활동에 대해서 귀사 총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 을 적어주십시오.(10) 영상, 광고 활동 값 유효합계. 2,498. 최소값. .0. 최대값. 100.0. 평균. 8.748 %. 표준편차. 27.5805. 12.

(15)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PDLF1. 주력서비스(제품)의 평균수명 A2-2 위의 응답 중 가장 높은 매출비중을 차지하는 귀사 주력서비스(제품)의 평균수명(새로운 서비스(제품)로 교체되는 기간)은 어느 정도입니까?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년. 1. 16. 0.6. 0.6. 2년. 2. 1. 0.0. 0.0. 3년. 3. 20. 0.8. 0.8. 5년. 5. 3. 0.1. 0.1. 6년. 6. 40. 1.6. 1.6. 8년. 8. 1. 0.0. 0.0. 9년. 9. 1. 0.0. 0.0. 10 년. 10. 2. 0.1. 0.1. 12 년. 12. 180. 7.2. 7.2. 14 년. 14. 1. 0.0. 0.0. 16 년. 16. 1. 0.0. 0.0. 17 년. 17. 2. 0.1. 0.1. 18 년. 18. 15. 0.6. 0.6. 20 년. 20. 3. 0.1. 0.1. 24 년. 24. 77. 3.1. 3.1. 26 년. 26. 1. 0.0. 0.0. 28 년. 28. 2. 0.1. 0.1. 30 년. 30. 15. 0.6. 0.6. 36 년. 36. 148. 5.9. 5.9. 39 년. 39. 1. 0.0. 0.0. 41 년. 41. 1. 0.0. 0.0. 42 년. 42. 4. 0.2. 0.2. 48 년. 48. 30. 1.2. 1.2. 50 년. 50. 1. 0.0. 0.0. 54 년. 54. 2. 0.1. 0.1. 60 년. 60. 128. 5.1. 5.1. 65 년. 65. 1. 0.0. 0.0. 66 년. 66. 3. 0.1. 0.1. 68 년. 68. 1. 0.0. 0.0. 72 년. 72. 9. 0.4. 0.4. 84 년. 84. 8. 0.3. 0.3. 90 년. 90. 2. 0.1. 0.1. 1년미만. 96. 24. 1.0. 1.0. 반영구적. 98. 1,752. 70.1. 70.1. 무응답. 99. 2. 0.1. 0.1. 2,498. 100.0. 100.0. 13.

(16)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STD. 서비스의 표준화 척도 A2-3. 귀 사가 고객(개인 또는 기업)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제품)은 다음 중 어디에 해당됩니까? 서비스의 표준화 정도 변수값. ORG.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불특정 다수의 고객이 활용가능한 표준화된 범용 서비스(제품). 1. 1,071. 42.9. 42.9. 몇 개의 고객그룹을 대상으로 정형화된 형태로 제 공되는 모듈서비스(제품). 2. 532. 21.3. 21.3. 개별고객에 맞춰 제작되어야하는 맞춤형 서비스(제 품). 3. 464. 18.6. 18.6. 표준화된 범용 서비스(제품)/요소를 기반으로 고객 에게 맞춤으로 제공되는 서비스(제품). 4. 431. 17.3. 17.3. 2,498. 100.0. 100.0. 서비스의 기원 A2-3. 귀 사가 고객(개인 또는 기업)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제품)은 다음 중 어디에 해당됩니까? 서비스의 기원. MARKET.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전에는 주로 제조업체 및 서비스업체 내부에서 수행되었던 활동의 외주화. 1. 231. 9.2. 9.2. 새로운 서비스 영역의 독자적인 창출. 2. 297. 11.9. 11.9. 해외에서 창출된 서비스의 국내도입. 3. 129. 5.2. 5.2. 오래전부터 서비스로 존재하였던 서비스. 4. 1,841. 73.7. 73.7. 2,498. 100.0. 100.0. 주력시장 A2-4. 지난 3년간 주력시장과 주요 고객은 무엇입니까? 주력 시장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기초시/구 범위. 1. 355. 14.2. 14.2. 16개 도/광역시 범위. 2. 236. 9.4. 9.4. 초광역권. 3. 322. 12.9. 12.9. 국내 전체. 4. 1,478. 59.2. 59.2. 선진국. 5. 68. 2.7. 2.7. 개도국. 6. 39. 1.6. 1.6. 2,498. 100.0. 100.0. 14.

(17)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CUSTM. 주요 고객 A2-4. 지난 3년간 주력시장과 주요 고객은 무엇입니까? 주요 고객. A2E.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제조업체(보통의 시장거래). 1. 434. 17.4. 17.4. 서비스업체(보통의 시장거래). 2. 712. 28.5. 28.5. 제조업체(장기 하청 계약). 3. 178. 7.1. 7.1. 서비스업체(장기 하청 계약). 4. 256. 10.2. 10.2. 공공부문(정부, 학교 등). 5. 220. 8.8. 8.8. 개인소비자. 6. 698. 27.9. 27.9. 2,498. 100.0. 100.0.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주요 경쟁전략 A2-5. 다음 중 귀사의 주요 경쟁전략에 가까운 것은 무엇입니까? 변수값. A2F1. 내부역량 강화를 통한 장기적인 경쟁력 확보. 1. 1,448. 58.0. 58.0. 기존 업체와 차별화. 2. 372. 14.9. 14.9. 모방을 통한 빠른 추격. 3. 65. 2.6. 2.6. 브랜드 가치의 확충. 4. 163. 6.5. 6.5. 특별한 경쟁전략 없음. 5. 450. 18.0. 18.0. 2,498. 100.0. 100.0. 항목별 기업이 속한 업종과의 관련성 평가1 : 소수의 선도기업이 존재 A2-6 다음의 각 사항에 대해 귀사가 속한 업종과의 관련성을 평가하여 주십시오.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낮음. 1. 680. 27.2. 27.2. 보통. 2. 1,106. 44.3. 44.3. 높음. 3. 712. 28.5. 28.5. 2,498. 100.0. 100.0. 15.

(18)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A2F2. 항목별 기업이 속한 업종과의 관련성 평가2 : 서비스를 위해 막대한 장비/인프라의 선투자 필요 변수값. A2F3. A2F6. 유효 퍼센트. 1. 1,152. 46.1. 46.1. 보통. 2. 809. 32.4. 32.4. 높음. 3. 537. 21.5. 21.5. 2,498. 100.0. 100.0. 항목별 기업이 속한 업종과의 관련성 평가3 : IT장비 투자가 기업경영 및 효율성 측면에서 중요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낮음. 1. 1,191. 47.7. 47.7. 보통. 2. 772. 30.9. 30.9. 높음. 3. 535. 21.4. 21.4. 2,498. 100.0. 100.0. 항목별 기업이 속한 업종과의 관련성 평가4 : 새로운 설비의 개발 및 R&D 경쟁력이 중요 변수값. A2F5. 퍼센트. 낮음. 변수값. A2F4. 빈도.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낮음. 1. 1,301. 52.1. 52.1. 보통. 2. 695. 27.8. 27.8. 높음. 3. 502. 20.1. 20.1. 2,498. 100.0. 100.0. 항목별 기업이 속한 업종과의 관련성 평가5 : 서비스제공을 위해 전문인력이 필요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낮음. 1. 518. 20.7. 20.7. 보통. 2. 781. 31.3. 31.3. 높음. 3. 1,199. 48.0. 48.0. 2,498. 100.0. 100.0. 항목별 기업이 속한 업종과의 관련성 평가6 : 고객 니즈에 부합하기 위한 생산의 유연성이 중요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낮음. 1. 789. 31.6. 31.6. 보통. 2. 919. 36.8. 36.8. 높음. 3. 790. 31.6. 31.6. 2,498. 100.0. 100.0. 16.

(19)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A2F7. A2F8. A2G1. 항목별 기업이 속한 업종과의 관련성 평가7 : 기업경쟁력 확보를 위해 고객 니즈 파악 역량이 중요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낮음. 1. 379. 15.2. 15.2. 보통. 2. 758. 30.3. 30.3. 높음. 3. 1,361. 54.5. 54.5. 2,498. 100.0. 100.0. 항목별 기업이 속한 업종과의 관련성 평가8 : 경쟁력 확보를 위해 고객 및 공급자와의 실질적인 협 력관계 구축이 중요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낮음. 1. 324. 13.0. 13.0. 보통. 2. 732. 29.3. 29.3. 높음. 3. 1,442. 57.7. 57.7. 2,498. 100.0. 100.0. 지역 기술혁신 환경 만족도1 : 전문인력 및 핵심 인력확보 용이성 A2-7 귀 사가 위치한 16개 광역시/도를 기준으로 각각의 환경 요소의 지역 만족도를 평가해 주 세요.. A2G2. A2G3.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불편. 1. 486. 19.5. 19.5. 보통. 2. 1,344. 53.8. 53.8. 우수. 3. 668. 26.7. 26.7. 2,498. 100.0. 100.0. 지역 기술혁신 환경 만족도2 : 저렴한 임대료와 시설이용의 편이성과 교통 및 정보통신 하부구조의 편리성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불편. 1. 440. 17.6. 17.6. 보통. 2. 1,619. 64.8. 64.8. 우수. 3. 439. 17.6. 17.6. 2,498. 100.0. 100.0. 지역 기술혁신 환경 만족도3 : 대학/공공연구기관/협회/조합/공공지원기관과의 인접성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불편. 1. 604. 24.2. 24.2. 보통. 2. 1,403. 56.2. 56.2. 우수. 3. 491. 19.7. 19.7. 2,498. 100.0. 100.0. 17.

(20)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A2G4. A2G5. A2G6. A2G7. A2G8. 지역 기술혁신 환경 만족도4 : 잠재적, 현실적 고객과의 지리적 인접성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불편. 1. 367. 14.7. 14.7. 보통. 2. 1,303. 52.2. 52.2. 우수. 3. 828. 33.1. 33.1. 2,498. 100.0. 100.0. 지역 기술혁신 환경 만족도5 : 귀사에 제품/서비스를 납품/공급하는 회사들과의 인접성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불편. 1. 373. 14.9. 14.9. 보통. 2. 1,396. 55.9. 55.9. 우수. 3. 729. 29.2. 29.2. 2,498. 100.0. 100.0. 지역 기술혁신 환경 만족도6 : 동일/연관업종 회사/민간연구소와의 지리적 인접성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불편. 1. 481. 19.3. 19.3. 보통. 2. 1,473. 59.0. 59.0. 우수. 3. 544. 21.8. 21.8. 2,498. 100.0. 100.0. 지역 기술혁신 환경 만족도7 : 서비스전문회사들 확보 용이성 및 자금지원기관과의 인접성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불편. 1. 467. 18.7. 18.7. 보통. 2. 1,430. 57.2. 57.2. 우수. 3. 601. 24.1. 24.1. 2,498. 100.0. 100.0. 지역 기술혁신 환경 만족도8 :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해당산업/기술지원 의지/정책의 신뢰성 및 지 역전에의 기업활동 분위기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불편. 1. 506. 20.3. 20.3. 보통. 2. 1,586. 63.5. 63.5. 우수. 3. 406. 16.3. 16.3. 2,498. 100.0. 100.0. 18.

(21)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A3A. 연구개발활동방식 A3-1 귀사의 연구개발 활동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습니까?. RDF03.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연구소 운영. 1. 314. 12.6. 12.6. 전담부서 운영. 2. 170. 6.8. 6.8. 필요시 비상시적으로 수행. 3. 243. 9.7. 9.7. 수행않음. 4. 1,771. 70.9. 70.9. 2,498. 100.0. 100.0. 2003년 내부 연구인력 규모1 : 연구개발 전담인력 수 (명) A3-2 2003-2005년간 귀사의 내부 연구인력 규모는 어느 정도입니까? 값 유효합계. 727. 최소값. 0. 최대값. 715. 평균. 10.68 명. 표준편차. RDF04. 35.585. 2003년 내부 연구인력 규모2 : 타업무 병행인력 수 (명) 값 유효합계. 727. 최소값. 0. 최대값. 659. 평균. 13.19 명. 표준편차. RDF05. 42.793. 2004년 내부 연구인력 규모1 : 연구개발 전담인력 수 (명) 값 유효합계. 726. 최소값. 0. 최대값. 809. 평균. 15.08 명. 표준편차. 53.461. 19.

(22)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RDP03. 2004년 내부 연구인력 규모2 : 타업무 병행인력 수 (명) 값 유효합계. 727. 최소값. 0. 최대값. 464. 평균. 4.25 명. 표준편차. RDP04. 23.825. 2005년 내부 연구인력 규모1 : 연구개발 전담인력 수 (명) 값 유효합계. 727. 최소값. 0. 최대값. 545. 평균. 4.76 명. 표준편차. RDP05. 26.476. 2005년 내부 연구인력 규모2 : 타업무 병행인력 수 (명) 값 유효합계. 726. 최소값. 0. 최대값. 544. 평균. 5.04 명. 표준편차. A3R1. 26.021. 연구부문 지점의 지역별 분포1 : 첫 번째 지점의 위치 A3-3 귀사의 본사이외의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연구부문, 생산부문의 지역별 분포를 적어주십시 오. 또한 주요한 서비스 지점을 2곳 이내로 적어주십시오.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없음. 0. 601. 24.1. 82.7. 서울. 11. 66. 2.6. 9.1. 부산. 21. 7. 0.3. 1.0. 대구. 22. 5. 0.2. 0.7. 인천. 23. 6. 0.2. 0.8. 광주. 24. 1. 0.0. 0.1. 대전. 25. 1. 0.0. 0.1. 울산. 26. 1. 0.0. 0.1. 20.

(23)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A3R2. A3M1. 경기. 31. 23. 0.9. 3.2. 강원. 32. 1. 0.0. 0.1. 충북. 33. 4. 0.2. 0.6. 충남. 34. 2. 0.1. 0.3. 전북. 35. 2. 0.1. 0.3. 전남. 36. 2. 0.1. 0.3. 경북. 37. 1. 0.0. 0.1. 경남. 38. 4. 0.2. 0.6. 비해당. 88. 1,771. 70.9. 2,498.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없음. 0. 716. 28.7. 98.5. 서울. 11. 4. 0.2. 0.6. 인천. 23. 1. 0.0. 0.1. 경기. 31. 5. 0.2. 0.7. 충북. 33. 1. 0.0. 0.1. 비해당. 88. 1,771. 70.9. 2,498.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없음. 0. 661. 26.5. 90.9. 서울. 11. 19. 0.8. 2.6. 부산. 21. 4. 0.2. 0.6. 대구. 22. 3. 0.1. 0.4. 인천. 23. 7. 0.3. 1.0. 대전. 25. 2. 0.1. 0.3. 경기. 31. 17. 0.7. 2.3. 강원. 32. 2. 0.1. 0.3. 충북. 33. 4. 0.2. 0.6. 전북. 35. 2. 0.1. 0.3. 전남. 36. 1. 0.0. 0.1. 경북. 37. 4. 0.2. 0.6. 경남. 38. 1. 0.0. 0.1. 비해당. 88. 1,771. 70.9. 2,498. 100.0. 연구부문 지점의 지역별 분포2 : 두 번째 지점의 위치. 생산부문 지점의 지역별 분포1 : 첫 번째 저점의 위치. 21. 100.0.

(24)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A3M2. A3S1. 생산부문 지점의 지역별 분포2 : 두 번재 지점의 위치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없음. 0. 709. 28.4. 97.5. 서울. 11. 2. 0.1. 0.3. 부산. 21. 4. 0.2. 0.6. 인천. 23. 1. 0.0. 0.1. 경기. 31. 4. 0.2. 0.6. 충북. 33. 3. 0.1. 0.4. 충남. 34. 2. 0.1. 0.3. 경남. 38. 1. 0.0. 0.1. 제주. 39. 1. 0.0. 0.1. 비해당. 88. 1,771. 70.9. 2,498.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없음. 0. 555. 22.2. 76.3. 중국. 1. 2. 0.1. 0.3. 전국. 10. 1. 0.0. 0.1. 서울. 11. 70. 2.8. 9.6. 부산. 21. 32. 1.3. 4.4. 대구. 22. 3. 0.1. 0.4. 인천. 23. 3. 0.1. 0.4. 광주. 24. 2. 0.1. 0.3. 대전. 25. 4. 0.2. 0.6. 울산. 26. 2. 0.1. 0.3. 경기. 31. 19. 0.8. 2.6. 강원. 32. 3. 0.1. 0.4. 충북. 33. 5. 0.2. 0.7. 충남. 34. 3. 0.1. 0.4. 전북. 35. 2. 0.1. 0.3. 전남. 36. 1. 0.0. 0.1. 경북. 37. 8. 0.3. 1.1. 경남. 38. 12. 0.5. 1.7. 비해당. 88. 1,771. 70.9. 2,498. 100.0. 서비스부문 지점의 지역별 분포1 : 첫 번째 지점의 위치. 22. 100.0.

(25)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A3S2. A3D. 서비스부문 지점의 지역별 분포2 : 두 번째 지점의 위치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없음. 0. 640. 25.6. 88.0. 중국. 1. 1. 0.0. 0.1. 서울. 11. 16. 0.6. 2.2. 부산. 21. 11. 0.4. 1.5. 대구. 22. 7. 0.3. 1.0. 인천. 23. 4. 0.2. 0.6. 광주. 24. 1. 0.0. 0.1. 대전. 25. 9. 0.4. 1.2. 울산. 26. 2. 0.1. 0.3. 경기. 31. 14. 0.6. 1.9. 강원. 32. 1. 0.0. 0.1. 충북. 33. 2. 0.1. 0.3. 충남. 34. 4. 0.2. 0.6. 전북. 35. 2. 0.1. 0.3. 전남. 36. 4. 0.2. 0.6. 경북. 37. 2. 0.1. 0.3. 경남. 38. 7. 0.3. 1.0. 비해당. 88. 1,771. 70.9. 2,498. 100.0. 정보화관련 지출/투자비용 (백만원) A3-4 2005년 한해동안 정보화관련 지출/투자비용은 어느 정도입니까? 값 유효합계. 706. 최소값. 0. 최대값. 52044. 평균. 1369.88 백만원. 표준편차. 4930.179. 23. 100.0.

(26)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A4A1. 노동조합 유무 A4-1 귀사에는 노동조합이 있습니까?. A4A2.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203. 8.1. 8.1. 아니오. 2. 2,295. 91.9. 91.9. 2,498.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386. 15.5. 16.8. 아니오. 2. 1,909. 76.4. 83.2. 비해당. 0. 203. 8.1. 2,498. 100.0. (노조가 있다면) 노조원 비중 (%) 값 유효합계. 200. 최소값. 2. 최대값. 100. 평균. 58.50 %. 표준편차. A4A3. A4B1. 25.714. (노조가 없다면) 다른 종업원 대표 조직 유무. 100.0. 추가적 보상제도 유무1 : 회사내에서 새로운 서비스나 제품을 개발할 경우 A4-2. 다음의 각 상황에 대해서 추가적인 보상을 하는 제도가 있습니까? 회사 내에서 새로운 서 비스나 제품을 개발할 경우 보상실시. A4B2.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597. 23.9. 23.9. 아니오. 2. 1,901. 76.1. 76.1. 2,498. 100.0. 100.0. 추가적 보상제도 유무2 : 생산성 향상 활동 또는 서비스 질개선 활동 A4-2. 다음의 각 상황에 대해서 추가적인 보상을 하는 제도가 있습니까? 생산성향상 활동 또는 서비스 질개선 활동에 근거하여 보상 실시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738. 29.5. 29.5. 아니오. 2. 1,760. 70.5. 70.5. 2,498. 100.0. 100.0. 24.

(27)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EBIZ. 전자통신수단 이용수준 A4-3 2003년에서 2005년 사이에 전자통신수단(인트라넷, 엑스트라넷, 인터넷, 화상회의 등 IT 를 활용한 모든 통신수단 포함. 단, 전화/ 팩스 제외)의 이용은 다음 중 어느 단계까지 진행되었습 니까?. PDINN.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거의 활용하지 않음. 1. 224. 9.0. 9.0. 개인차원에서 사용됨. 2. 621. 24.9. 24.9. 회사의 도메인, 웹사이트가 구축되어 있으나 대체로 오프라인 매체를 활용. 3. 1,115. 44.6. 44.6. 기업의 판매활동에서 온라인 매체 활용. 4. 165. 6.6. 6.6. 기업의 일상적 활동은 모두 온라인 매체 활용 중요 의사결정은 오프라인 활용. 5. 276. 11.0. 11.0. 모든 기업활동 및 중요의사결정도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짐. 6. 97. 3.9. 3.9. 2,498. 100.0. 100.0. 제품/서비스 변화 및 혁신 경험 유무 B1-1 2003년˜2005년동안 귀사는 다음의 각각에 해당되는 제품/서비스를 시장에 출시하였는 지를 답하여 주십시오. 서비스(제품) 변화/혁신 변수값. NPD03.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없다. 0. 2,140. 85.7. 85.7. 있다. 1. 358. 14.3. 14.3. 2,498. 100.0. 100.0. 2003년 신제품혁신 유무 B1-1 2003년-2005년동안 귀사는 다음의 각각에 해당되는 제품/서비스를 시장에 출시하였는 지를 답하여 주십시오. (1) 새로운 지식이나 기술을 이용하거나 새로운 서비스의 질, 용도를 창출 한 완전히 새로운 제품/서비스 출시. NPD04.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130. 5.2. 36.3. 아니오. 2. 228. 9.1. 63.7. 비해당. 0. 2,140. 85.7. 2,498.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136. 5.4. 38.0. 아니오. 2. 222. 8.9. 62.0. 비해당. 0. 2,140. 85.7. 2,498. 100.0. 2004년 신제품혁신 유무. 25. 100.0.

(28)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NPD05. NPD. 2005년 신제품혁신 유무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190. 7.6. 53.1. 아니오. 2. 168. 6.7. 46.9. 비해당. 0. 2,140. 85.7. 2,498. 100.0. 100.0. 3년간 신제품혁신 총 건수 값 유효합계. 358. 최소값. 0. 최대값. 600. 평균. 6.77 건. 표준편차. IPD03. 42.053. 2003년 제품개선혁신 유무 B1-1 2003년˜2005년동안 귀사는 다음의 각각에 해당되는 제품/서비스를 시장에 출시하였는 지를 답하여 주십시오. (2) 성능이나 용도에 있어 기존 서비스(제품)에 비해 크게 개선된 서비스 (제품) 출시. IPD04. IPD05.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149. 6.0. 41.6. 아니오. 2. 209. 8.4. 58.4. 비해당. 0. 2,140. 85.7. 2,498.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188. 7.5. 52.5. 아니오. 2. 170. 6.8. 47.5. 비해당. 0. 2,140. 85.7. 2,498.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236. 9.4. 65.9. 아니오. 2. 122. 4.9. 34.1. 비해당. 0. 2,140. 85.7. 2,498. 100.0. 2004년 제품개선혁신 유무. 2005년 제품개선혁신 유무. 26. 100.0.

(29)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IPD. 3년간 제품개선혁신 총 건수 값 유효합계. 358. 최소값. 0. 최대값. 998. 평균. 9.26 건. 표준편차. B1B1. 59.822. 제품/서비스 혁신 수준별 구성비1 : 시장 최초 (%) B1-2 최근 3년간 수행한 귀사의 제품/서비스혁신들의 수준을 적어주십시오. 시장에서 최초 값 유효합계. 358. 최소값. 0. 최대값. 100. 평균. 36.59 %. 표준편차. B1B2. 40.513. 제품/서비스 혁신 수준별 구성비2 : 귀사 최초 (%) B1-2 최근 3년간 수행한 귀사의 제품/서비스혁신들의 수준을 적어주십시오. 귀사 최초, 시장 최 초는 아님 값 유효합계. 358. 최소값. 0. 최대값. 100. 평균. 63.41 %. 표준편차. B1C1. 40.513. 제품별 매출 기여도1 : 시장 최초 제품/서비스 (%) B1-3 귀사의 2005년도 매출액을 100%로 놓고, 제품별 매출 기여도를 적어 주십시오. ·2003˜ 2005년 사이에 출시되었으며 시장에서 최초인 서비스(제품) 값 유효합계. 358. 최소값. 0. 최대값. 100. 평균. 21.14 %. 표준편차. 31.677. 27.

(30)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B1C2. 제품별 매출 기여도2 : 귀사 최초 제품/서비스 (%) B1-3 귀사의 2005년도 매출액을 100%로 놓고, 제품별 매출 기여도를 적어 주십시오. ·2003˜ 2005년 사이에 출시되었고, 시장에 최초는 아니지만 귀사에는 최초인 서비스(제품) 값 유효합계. 358. 최소값. 0. 최대값. 100. 평균. 30.53 %. 표준편차. B1C3. 34.982. 제품별 매출 기여도3 : 기존 제품을 다소 개선한 제품/서비스 (%) B1-3 귀사의 2005년도 매출액을 100%로 놓고, 제품별 매출 기여도를 적어 주십시오. ㅤ과거의 기존제품과 그것을 2003˜2005년에 사소하게 개선하여 출시한 서비스(제품) 값 유효합계. 358. 최소값. 0. 최대값. 100. 평균. 48.34 %. 표준편차. B1D1. 39.328. 제품/서비스 혁신 개발주체별 구성비1 : 귀사나 소속그룹 내에서 개발 (%) B1-4 최근 3년간 수행한 귀사의 서비스(제품)혁신들을 전체 사용금액을 기준으로 누가 개발했 는지, 그 구성비를 적어주십시오. 또한 귀사나 소속그룹 내에서의 서비스(제품)혁신활동을 100% 로 보았을 때, 귀사 내부에서 누가 개발하거나 제안했는지 사용금액을 기준으로 기여한 비중을 적 어주십시오. 값 유효합계. 358. 최소값. 0. 최대값. 100. 평균. 80.23 %. 표준편차. B1D2. 33.927. 제품/서비스 혁신 개발주체별 구성비2 : 타기업/타기관과 공동으로 개발 (%) 값 유효합계. 358. 최소값. 0. 최대값. 100. 평균. 12.21 %. 표준편차. 26.426. 28.

(31)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B1D3. 제품/서비스 혁신 개발주체별 구성비3 : 타기업/타기관과 주로 개발(위탁) (%) 값 유효합계. 358. 최소값. 0. 최대값. 100. 평균. 7.56 %. 표준편차. PDCOST. 22.974. 총 제품/서비스 개발비용 (백만원) 값 유효합계. 332. 최소값. 0. 최대값. 200000. 평균. 2098.45 백만원. 표준편차. B1D4. 12358.681. 제품/서비스 혁신개발 내부 주체별 기여비중1 : 본사 (%) 값 유효합계. 358. 최소값. 0. 최대값. 100. 평균. 58.77 %. 표준편차. B1D5. 44.639. 제품/서비스 혁신개발 내부 주체별 기여비중2 : 연구부문 (%) 값 유효합계. 358. 최소값. 0. 최대값. 100. 평균. 32.97 %. 표준편차. 41.873. 29.

(32)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B1D6. 제품/서비스 혁신개발 내부 주체별 기여비중3 : 생산부문 (%) 값 유효합계. 358. 최소값. 0. 최대값. 80. 평균. 2.33 %. 표준편차. B1D7. 9.017. 제품/서비스 혁신개발 내부 주체별 기여비중4 : 지사/대리점 (%) 값 유효합계. 358. 최소값. 0. 최대값. 100. 평균. 1.17 %. 표준편차. B1F. 7.914. 제품/서비스 혁신 지식수명 (년) B1-5 지난 3년간 귀사가 추진한 서비스(제품)혁신 과정에서 획득된 지식의 수명은 평균적으로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 (이 경우 축적된 지식은 귀사 내에서 다른 서비스(제품)개발 등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년. 1. 24. 1.0. 6.7. 2년. 2. 42. 1.7. 11.7. 3년. 3. 88. 3.5. 24.6. 4년. 4. 8. 0.3. 2.2. 5년. 5. 69. 2.8. 19.3. 6년. 6. 3. 0.1. 0.8. 7년. 7. 4. 0.2. 1.1. 8년. 8. 5. 0.2. 1.4. 10 년. 10. 45. 1.8. 12.6. 12 년. 12. 1. 0.0. 0.3. 15 년. 15. 4. 0.2. 1.1. 20 년. 20. 5. 0.2. 1.4. 24 년. 24. 3. 0.1. 0.8. 30 년. 30. 2. 0.1. 0.6. 36 년. 36. 3. 0.1. 0.8. 50 년. 50. 1. 0.0. 0.3. 30.

(33)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B1G. 60 년. 60. 11. 0.4. 3.1. 77 년. 77. 1. 0.0. 0.3. 1년미만. 96. 8. 0.3. 2.2. 반영구적. 98. 24. 1.0. 6.7. 무응답. 99. 7. 0.3. 2.0. 비해당. 888. 2,140. 85.7. 2,498. 100.0. 100.0. 제품/서비스 혁신 중도포기/미완료 프로젝트 유무 B1-6 지난 3년간 서비스(제품)혁신을 중간에 포기 또는 2005년 기준으로 완료하지 않은 프로 젝트가 있습니까? 변수값. PCINN.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포기한 서비스(제품)혁신 있음. 1. 36. 1.4. 1.4. 미완료 서비스(제품)혁신 있음. 2. 180. 7.2. 7.2. 없음. 3. 2,282. 91.4. 91.4. 2,498. 100.0. 100.0. 공정 변화 및 혁신 경험 유무 B2-1 2003년˜2005년 기간에 귀사는 다음의 각각에 해당되는 변화를 도입하였습니까? 그 여 부와 3년간 총 도입한 건수를 적어주십시오. 공정변화/혁신 변수값. PCP03.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없다. 0. 2,222. 89.0. 89.0. 있다. 1. 276. 11.0. 11.0. 2,498. 100.0. 100.0. 2003년 새로운 생산방식 도입 유무 B2-1 2003년˜2005년 기간에 귀사는 다음의 각각에 해당되는 변화를 도입하였습니까? 그 여 부와 3년간 총 도입한 건수를 적어주십시오. (1)기술적으로 기존과 아주 다른 생산방식의 도입 (ERP, 자동화 설비도입 등)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55. 2.2. 19.9. 아니오. 2. 221. 8.8. 80.1. 비해당. 0. 2,222. 89.0. 2,498. 100.0. 31. 100.0.

(34)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PCP04. 2004년 새로운 생산방식 도입 유무 변수값. PCP05. PCC03.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78. 3.1. 28.3. 아니오. 2. 198. 7.9. 71.7. 비해당. 0. 2,222. 89.0. 2,498. 100.0. 100.0.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2005년 새로운 생산방식 도입 유무 변수값. PCP. 빈도. 예. 1. 88. 3.5. 31.9. 아니오. 2. 188. 7.5. 68.1. 비해당. 0. 2,222. 89.0. 2,498.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건. 0. 143. 5.7. 51.8. 1건. 1. 72. 2.9. 26.1. 2건. 2. 22. 0.9. 8.0. 3건. 3. 21. 0.8. 7.6. 4건. 4. 5. 0.2. 1.8. 5건. 5. 6. 0.2. 2.2. 6건. 6. 1. 0.0. 0.4. 7건. 7. 1. 0.0. 0.4. 10 건. 10. 2. 0.1. 0.7. 11 건. 11. 1. 0.0. 0.4. 20 건. 20. 2. 0.1. 0.7. 비해당. 888. 2,222. 89.0. 2,498. 100.0. 3년간 새로운 생산방식 도입 건수. 100.0. 2003년 고객과 새로운 접점 개발 유무 B2-1 2003년˜2005년 기간에 귀사는 다음의 각각에 해당되는 변화를 도입하였습니까? 그 여 부와 3년간 총 도입한 건수를 적어주십시오. (2)기술을 활용하여 고객과의 새로운 접점 개발(인 터넷 활용 등)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100. 4.0. 36.2. 아니오. 2. 176. 7.0. 63.8. 비해당. 0. 2,222. 89.0. 2,498. 100.0. 32. 100.0.

(35)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PCC04. PCC05. PCC. 2004년 고객과 새로운 접점 개발 유무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121. 4.8. 43.8. 아니오. 2. 155. 6.2. 56.2. 비해당. 0. 2,222. 89.0. 2,498.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165. 6.6. 59.8. 아니오. 2. 111. 4.4. 40.2. 비해당. 0. 2,222. 89.0. 2,498. 100.0. 100.0.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2005년 고객과 새로운 접점 개발 유무. 3년간 고객과 새로운 접점 개발 건수 변수값 0건. 0. 70. 2.8. 25.4. 1건. 1. 102. 4.1. 37.0. 2건. 2. 27. 1.1. 9.8. 3건. 3. 45. 1.8. 16.3. 4건. 4. 5. 0.2. 1.8. 5건. 5. 8. 0.3. 2.9. 6건. 6. 4. 0.2. 1.4. 8건. 8. 1. 0.0. 0.4. 10 건. 10. 4. 0.2. 1.4. 11 건. 11. 1. 0.0. 0.4. 12 건. 12. 1. 0.0. 0.4. 15 건. 15. 3. 0.1. 1.1. 36 건. 36. 1. 0.0. 0.4. 50 건. 50. 2. 0.1. 0.7. 100 건. 100. 1. 0.0. 0.4. 450 건. 450. 1. 0.0. 0.4. 비해당. 888. 2,222. 89.0. 2,498. 100.0. 33. 100.0.

(36)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PCL03. 2003년 새로운 구매/납품/유통방식 도입 유무 B2-1 2003년˜2005년 기간에 귀사는 다음의 각각에 해당되는 변화를 도입하였습니까? 그 여 부와 3년간 총 도입한 건수를 적어주십시오. (3)기술적으로 기존과는 완전히 다른 새로운 구매/ 납품/유통방식 도입 (제품배송에서 바코드 도입 등) 변수값. PCL04. 유효 퍼센트. 1. 37. 1.5. 13.4. 아니오. 2. 239. 9.6. 86.6. 비해당. 0. 2,222. 89.0. 2,498. 100.0. 100.0.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2004년 새로운 구매/납품/유통방식 도입 유무. 예. 1. 45. 1.8. 16.3. 아니오. 2. 231. 9.2. 83.7. 비해당. 0. 2,222. 89.0. 2,498. 100.0. 100.0.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2005년 새로운 구매/납품/유통방식 도입 유무 변수값. PCL. 퍼센트. 예. 변수값. PCL05. 빈도. 예. 1. 49. 2.0. 17.8. 아니오. 2. 227. 9.1. 82.2. 비해당. 0. 2,222. 89.0. 2,498.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건. 0. 205. 8.2. 74.3. 1건. 1. 42. 1.7. 15.2. 2건. 2. 6. 0.2. 2.2. 3건. 3. 14. 0.6. 5.1. 5건. 5. 3. 0.1. 1.1. 6건. 6. 2. 0.1. 0.7. 10 건. 10. 2. 0.1. 0.7. 15 건. 15. 1. 0.0. 0.4. 40 건. 40. 1. 0.0. 0.4. 비해당. 888. 2,222. 89.0. 2,498. 100.0. 3년간 새로운 구매/납품/유통방식 도입 건수. 34. 100.0.

(37)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PCO03. 2003년 생산공정/유통과정 조직변화 유무 B2-1 2003년˜2005년 기간에 귀사는 다음의 각각에 해당되는 변화를 도입하였습니까? 그 여 부와 3년간 총 도입한 건수를 적어주십시오. (4)생산공정/ 유통과정에서의 조직변화 변수값. PCO04. 유효 퍼센트. 1. 33. 1.3. 12.0. 아니오. 2. 243. 9.7. 88.0. 비해당. 0. 2,222. 89.0. 2,498. 100.0. 100.0.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2004년 생산공정/유통과정 조직변화 유무. 예. 1. 44. 1.8. 15.9. 아니오. 2. 232. 9.3. 84.1. 비해당. 0. 2,222. 89.0. 2,498. 100.0. 100.0.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2005년 생산공정/유통과정 조직변화 유무 변수값. PCO. 퍼센트. 예. 변수값. PCO05. 빈도. 예. 1. 66. 2.6. 23.9. 아니오. 2. 210. 8.4. 76.1. 비해당. 0. 2,222. 89.0. 2,498.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건. 0. 195. 7.8. 70.7. 1건. 1. 49. 2.0. 17.8. 2건. 2. 12. 0.5. 4.3. 3건. 3. 14. 0.6. 5.1. 5건. 5. 2. 0.1. 0.7. 10 건. 10. 2. 0.1. 0.7. 13 건. 13. 1. 0.0. 0.4. 20 건. 20. 1. 0.0. 0.4. 비해당. 888. 2,222. 89.0. 2,498. 100.0. 3년간 생산공정/유통과정 조직변화 건수. 35. 100.0.

(38)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B2B1. 공정혁신 개발주체별 구성비1 : 귀사나 소속그룹 내에서 개발 (%) B2-2 최근 3년간 수행한 공정혁신들은 전체 사용금액을 기준으로 누가 개발했는지, 그 구성비를 적어주십시오. 또한 귀사나 소속그룹 내에서 개발한 공정혁신활동을 100%로 보았을 때, 귀사 내 부에서 누가 기여했는지를 기여도를 적어주십시오. 값 유효합계. 276. 최소값. 0. 최대값. 100. 평균. 71.38 %. 표준편차. B2B2. 41.930. 공정혁신 개발주체별 구성비2 : 타기업/타기관과 공동으로 개발 (%) 값 유효합계. 276. 최소값. 0. 최대값. 100. 평균. 11.94 %. 표준편차. B2B3. 28.402. 공정혁신 개발주체별 구성비3 : 타기업/타기관과 주로 개발(위탁) (%) 값 유효합계. 276. 최소값. 0. 최대값. 100. 평균. 17.05 %. 표준편차. PCCOST. 35.495. 총 공정혁신 개발비용 값 유효합계. 267. 최소값. 0. 최대값. 21168. 평균. 284.81 백만원. 표준편차. 1364.079. 36.

(39)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B2B4. 공정혁신개발 내부 주체별 기여비중1 : 본사 (%) 값 유효합계. 276. 최소값. 0. 최대값. 100. 평균. 68.41 %. 표준편차. B2B5. 43.683. 공정혁신개발 내부 주체별 기여비중2 : 연구부문 (%) 값 유효합계. 276. 최소값. 0. 최대값. 100. 평균. 14.28 %. 표준편차. B2B6. 31.049. 공정혁신개발 내부 주체별 기여비중3 : 생산부문 (%) 값 유효합계. 276. 최소값. 0. 최대값. 100. 평균. 3.89 %. 표준편차. B2B7. 16.353. 공정혁신개발 내부 주체별 기여비중4 : 지사/대리점 (%) 값 유효합계. 276. 최소값. 0. 최대값. 30. 평균. .38 %. 표준편차. 2.548. 37.

(40)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B2C1. 공정혁신 수준별 구성비1 : 산업 최초 (%) B2-3 귀사의 공정혁신들의 수준을 적어주십시오. (1) 귀 산업에서 최초 값 유효합계. 276. 최소값. 0. 최대값. 100. 평균. 22.28 %. 표준편차. B2C2. 38.034. 공정혁신 수준별 구성비2 : 귀사 최초 (%) B2-3 귀사의 공정혁신들의 수준을 적어주십시오. (2) 귀사 최초, 산업 최초는 아님 값 유효합계. 276. 최소값. 0. 최대값. 100. 평균. 77.72 %. 표준편차. B2D. 38.034. 공정혁신 지식수명 (년) B2-4 지난 3년간 귀사의 공정혁신 과정에서 획득된 지식의 수명은 평균적으로 얼마나 된다고 생 각하십니까? (이 경우 축적된 지식은 다른 공정개발 등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값 유효합계. 248. 최소값. 1. 최대값. 30. 평균. 4.65 년. 표준편차. B2F. 4.419. 공정혁신 중도포기/미완료 프로젝트 유무 B2-5 지난 3년동안 중간에 포기한 또는 2005년 기준으로 아직 완료되지 않은 공정혁신이 있습 니까?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포기한 공정혁신 있음. 1. 10. 0.4. 0.4. 미완료 공정혁신 있음. 2. 106. 4.2. 4.2. 없음. 3. 2,382. 95.4. 95.4. 2,498. 100.0. 100.0. 38.

(41)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B3A1. 기술혁신 정보원천별 중요도 평가1 : 그룹계열사 B3-1 지난 3년 동안 귀사가 수행한 기술혁신활동의 초기 혹은 중간과정에서 사용된 정보의 원천 으로서, 다음 각각의 항목들은 얼마나 중요하였습니까?. B3A2. B3A3.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활용 않음. 0. 452. 18.1. 86.3. 매우 낮음. 1. 9. 0.4. 1.7. 다소 낮음. 2. 1. 0.0. 0.2. 보통. 3. 15. 0.6. 2.9. 다소 높음. 4. 22. 0.9. 4.2. 매우 높음. 5. 25. 1.0. 4.8. 비해당. 8. 1,974. 79.0. 2,498.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활용 않음. 0. 226. 9.0. 43.1. 매우 낮음. 1. 20. 0.8. 3.8. 다소 낮음. 2. 18. 0.7. 3.4. 보통. 3. 115. 4.6. 21.9. 다소 높음. 4. 85. 3.4. 16.2. 매우 높음. 5. 60. 2.4. 11.5. 비해당. 8. 1,974. 79.0. 2,498.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활용 않음. 0. 216. 8.6. 41.2. 매우 낮음. 1. 13. 0.5. 2.5. 다소 낮음. 2. 12. 0.5. 2.3. 보통. 3. 84. 3.4. 16.0. 다소 높음. 4. 100. 4.0. 19.1. 매우 높음. 5. 99. 4.0. 18.9. 비해당. 8. 1,974. 79.0. 2,498. 100.0. 기술혁신 정보원천별 중요도 평가2 : 동일 업종 경쟁업체. 기술혁신 정보원천별 중요도 평가3 : 고객/수요기업. 39. 100.0.

(42)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B3A4. B3A5. B3A6. 기술혁신 정보원천별 중요도 평가4 : 공급업체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활용 않음. 0. 280. 11.2. 53.4. 매우 낮음. 1. 25. 1.0. 4.8. 다소 낮음. 2. 22. 0.9. 4.2. 보통. 3. 99. 4.0. 18.9. 다소 높음. 4. 53. 2.1. 10.1. 매우 높음. 5. 45. 1.8. 8.6. 비해당. 8. 1,974. 79.0. 2,498.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활용 않음. 0. 268. 10.7. 51.1. 매우 낮음. 1. 18. 0.7. 3.4. 다소 낮음. 2. 18. 0.7. 3.4. 보통. 3. 107. 4.3. 20.4. 다소 높음. 4. 71. 2.8. 13.5. 매우 높음. 5. 42. 1.7. 8.0. 비해당. 8. 1,974. 79.0. 2,498.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활용 않음. 0. 352. 14.1. 67.2. 매우 낮음. 1. 27. 1.1. 5.2. 다소 낮음. 2. 31. 1.2. 5.9. 보통. 3. 71. 2.8. 13.5. 다소 높음. 4. 33. 1.3. 6.3. 매우 높음. 5. 10. 0.4. 1.9. 비해당. 8. 1,974. 79.0. 2,498. 100.0. 기술혁신 정보원천별 중요도 평가5 : IT업체. 기술혁신 정보원천별 중요도 평가6 : 민간연구소/기술서비스업체. 40. 100.0.

(43)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B3A7. B3A8. B3A9. 기술혁신 정보원천별 중요도 평가7 : 비즈니스서비스업체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활용 않음. 0. 349. 14.0. 66.6. 매우 낮음. 1. 26. 1.0. 5.0. 다소 낮음. 2. 25. 1.0. 4.8. 보통. 3. 72. 2.9. 13.7. 다소 높음. 4. 41. 1.6. 7.8. 매우 높음. 5. 11. 0.4. 2.1. 비해당. 8. 1,974. 79.0. 2,498.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활용 않음. 0. 366. 14.7. 69.8. 매우 낮음. 1. 29. 1.2. 5.5. 다소 낮음. 2. 26. 1.0. 5.0. 보통. 3. 67. 2.7. 12.8. 다소 높음. 4. 18. 0.7. 3.4. 매우 높음. 5. 18. 0.7. 3.4. 비해당. 8. 1,974. 79.0. 2,498.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활용 않음. 0. 395. 15.8. 75.4. 매우 낮음. 1. 33. 1.3. 6.3. 다소 낮음. 2. 21. 0.8. 4.0. 보통. 3. 52. 2.1. 9.9. 다소 높음. 4. 11. 0.4. 2.1. 매우 높음. 5. 12. 0.5. 2.3. 비해당. 8. 1,974. 79.0. 2,498. 100.0. 기술혁신 정보원천별 중요도 평가8 : 대학/고등연구소. 기술혁신 정보원천별 중요도 평가9 : 출연/국립연구소. 41. 100.0.

(44)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B3A10. B3A11. B3A12. 기술혁신 정보원천별 중요도 평가10 : 경영진의 외부 비공식적 모임, 네트워크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활용 않음. 0. 292. 11.7. 55.7. 매우 낮음. 1. 14. 0.6. 2.7. 다소 낮음. 2. 24. 1.0. 4.6. 보통. 3. 99. 4.0. 18.9. 다소 높음. 4. 68. 2.7. 13.0. 매우 높음. 5. 27. 1.1. 5.2. 비해당. 8. 1,974. 79.0. 2,498.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활용 않음. 0. 319. 12.8. 60.9. 매우 낮음. 1. 38. 1.5. 7.3. 다소 낮음. 2. 33. 1.3. 6.3. 보통. 3. 72. 2.9. 13.7. 다소 높음. 4. 36. 1.4. 6.9. 매우 높음. 5. 26. 1.0. 5.0. 비해당. 8. 1,974. 79.0. 2,498.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활용 않음. 0. 264. 10.6. 50.4. 매우 낮음. 1. 34. 1.4. 6.5. 다소 낮음. 2. 45. 1.8. 8.6. 보통. 3. 85. 3.4. 16.2. 다소 높음. 4. 64. 2.6. 12.2. 매우 높음. 5. 32. 1.3. 6.1. 비해당. 8. 1,974. 79.0. 2,498. 100.0. 기술혁신 정보원천별 중요도 평가11 : 특허정보. 기술혁신 정보원천별 중요도 평가12 : 박람회나 전시회. 42. 100.0.

(45)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B3A13. B3A14. B3A15. 기술혁신 정보원천별 중요도 평가13 : 언론매체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활용 않음. 0. 207. 8.3. 39.5. 매우 낮음. 1. 23. 0.9. 4.4. 다소 낮음. 2. 29. 1.2. 5.5. 보통. 3. 121. 4.8. 23.1. 다소 높음. 4. 90. 3.6. 17.2. 매우 높음. 5. 54. 2.2. 10.3. 비해당. 8. 1,974. 79.0. 2,498.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활용 않음. 0. 220. 8.8. 42.0. 매우 낮음. 1. 19. 0.8. 3.6. 다소 낮음. 2. 19. 0.8. 3.6. 보통. 3. 83. 3.3. 15.8. 다소 높음. 4. 114. 4.6. 21.8. 매우 높음. 5. 69. 2.8. 13.2. 비해당. 8. 1,974. 79.0. 2,498. 100.0. 100.0. 기술혁신 정보원천별 중요도 평가14 : 마케팅 및 판매부문. 기술혁신 정보원천별 중요도 평가15 : 연구/개발 부문(연구소, 현장부서 포함)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활용 않음. 0. 212. 8.5. 40.5. 매우 낮음. 1. 16. 0.6. 3.1. 다소 낮음. 2. 19. 0.8. 3.6. 보통. 3. 69. 2.8. 13.2. 다소 높음. 4. 100. 4.0. 19.1. 매우 높음. 5. 108. 4.3. 20.6. 비해당. 8. 1,974. 79.0. 2,498. 100.0. 43. 100.0.

(46)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B3A16. B3A17. B3D1. 기술혁신 정보원천별 중요도 평가16 : 개발부문(현장부서)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활용 않음. 0. 234. 9.4. 44.7. 매우 낮음. 1. 14. 0.6. 2.7. 다소 낮음. 2. 21. 0.8. 4.0. 보통. 3. 75. 3.0. 14.3. 다소 높음. 4. 109. 4.4. 20.8. 매우 높음. 5. 71. 2.8. 13.5. 비해당. 8. 1,974. 79.0. 2,498.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활용 않음. 0. 326. 13.1. 62.2. 매우 낮음. 1. 27. 1.1. 5.2. 다소 낮음. 2. 24. 1.0. 4.6. 보통. 3. 75. 3.0. 14.3. 다소 높음. 4. 53. 2.1. 10.1. 매우 높음. 5. 19. 0.8. 3.6. 비해당. 8. 1,974. 79.0. 2,498. 100.0. 기술혁신 정보원천별 중요도 평가17 : 생산부문. 100.0. 주요 정보원천 위치(국내)1 : 그룹계열사 B3-1 지난 3년 동안 귀사가 수행한 기술혁신활동의 초기 혹은 중간과정에서 사용된 정보의 원천 으로서, 다음 각각의 항목들은 얼마나 중요하였습니까? 주요 정보원천 위치 국내(시/구)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없음. 0. 463. 18.5. 88.4. 전국. 10. 3. 0.1. 0.6. 서울. 11. 47. 1.9. 9.0. 부산. 21. 2. 0.1. 0.4. 대구. 22. 1. 0.0. 0.2. 대전. 25. 1. 0.0. 0.2. 경기. 31. 3. 0.1. 0.6. 충남. 34. 1. 0.0. 0.2. 경북. 37. 2. 0.1. 0.4. 경남. 38. 1. 0.0. 0.2. 비해당. 88. 1,974. 79.0. 2,498. 100.0. 44. 100.0.

(47)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B3D2. B3D3. 주요 정보원천 위치(국내)2 : 동일 업종 경쟁업체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없음. 0. 244. 9.8. 46.6. 전국. 10. 16. 0.6. 3.1. 서울. 11. 207. 8.3. 39.5. 부산. 21. 8. 0.3. 1.5. 대구. 22. 8. 0.3. 1.5. 인천. 23. 2. 0.1. 0.4. 광주. 24. 1. 0.0. 0.2. 대전. 25. 5. 0.2. 1.0. 울산. 26. 2. 0.1. 0.4. 경기. 31. 13. 0.5. 2.5. 강원. 32. 1. 0.0. 0.2. 충북. 33. 1. 0.0. 0.2. 충남. 34. 1. 0.0. 0.2. 전북. 35. 2. 0.1. 0.4. 전남. 36. 3. 0.1. 0.6. 경북. 37. 2. 0.1. 0.4. 경남. 38. 7. 0.3. 1.3. 제주. 39. 1. 0.0. 0.2. 비해당. 88. 1,974. 79.0. 2,498.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없음. 0. 237. 9.5. 45.2. 전국. 10. 40. 1.6. 7.6. 서울. 11. 185. 7.4. 35.3. 부산. 21. 14. 0.6. 2.7. 대구. 22. 5. 0.2. 1.0. 인천. 23. 2. 0.1. 0.4. 광주. 24. 5. 0.2. 1.0. 대전. 25. 6. 0.2. 1.1. 울산. 26. 2. 0.1. 0.4. 경기. 31. 8. 0.3. 1.5. 강원. 32. 1. 0.0. 0.2. 주요 정보원천 위치(국내)3 : 고객/수요기업. 45.

(48)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B3D4. 충북. 33. 3. 0.1. 0.6. 충남. 34. 1. 0.0. 0.2. 전북. 35. 1. 0.0. 0.2. 전남. 36. 4. 0.2. 0.8. 경북. 37. 2. 0.1. 0.4. 경남. 38. 6. 0.2. 1.1. 제주. 39. 2. 0.1. 0.4. 비해당. 88. 1,974. 79.0. 2,498.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없음. 0. 295. 11.8. 56.3. 전국. 10. 11. 0.4. 2.1. 서울. 11. 165. 6.6. 31.5. 부산. 21. 10. 0.4. 1.9. 대구. 22. 5. 0.2. 1.0. 인천. 23. 3. 0.1. 0.6. 광주. 24. 5. 0.2. 1.0. 대전. 25. 4. 0.2. 0.8. 울산. 26. 1. 0.0. 0.2. 경기. 31. 11. 0.4. 2.1. 강원. 32. 1. 0.0. 0.2. 충북. 33. 1. 0.0. 0.2. 충남. 34. 1. 0.0. 0.2. 전북. 35. 1. 0.0. 0.2. 전남. 36. 2. 0.1. 0.4. 경북. 37. 2. 0.1. 0.4. 경남. 38. 5. 0.2. 1.0. 제주. 39. 1. 0.0. 0.2. 비해당. 88. 1,974. 79.0. 2,498. 100.0. 주요 정보원천 위치(국내)4 : 공급업체. 46. 100.0.

(49)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B3D5. B3D6. 주요 정보원천 위치(국내)5 : IT업체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없음. 0. 279. 11.2. 53.2. 전국. 10. 9. 0.4. 1.7. 서울. 11. 190. 7.6. 36.3. 부산. 21. 10. 0.4. 1.9. 대구. 22. 6. 0.2. 1.1. 인천. 23. 3. 0.1. 0.6. 광주. 24. 3. 0.1. 0.6. 대전. 25. 5. 0.2. 1.0. 울산. 26. 2. 0.1. 0.4. 경기. 31. 6. 0.2. 1.1. 강원. 32. 1. 0.0. 0.2. 충북. 33. 1. 0.0. 0.2. 전북. 35. 1. 0.0. 0.2. 전남. 36. 1. 0.0. 0.2. 경북. 37. 1. 0.0. 0.2. 경남. 38. 5. 0.2. 1.0. 제주. 39. 1. 0.0. 0.2. 비해당. 88. 1,974. 79.0. 2,498.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없음. 0. 360. 14.4. 68.7. 전국. 10. 2. 0.1. 0.4. 서울. 11. 133. 5.3. 25.4. 부산. 21. 5. 0.2. 1.0. 대구. 22. 3. 0.1. 0.6. 광주. 24. 1. 0.0. 0.2. 대전. 25. 5. 0.2. 1.0. 울산. 26. 1. 0.0. 0.2. 경기. 31. 5. 0.2. 1.0. 강원. 32. 1. 0.0. 0.2. 충북. 33. 1. 0.0. 0.2. 충남. 34. 2. 0.1. 0.4. 주요 정보원천 위치(국내)6 : 민간연구소/기술서비스업체. 47.

(50)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B3D7. B3D8. 전북. 35. 1. 0.0. 0.2. 경북. 37. 1. 0.0. 0.2. 경남. 38. 2. 0.1. 0.4. 제주. 39. 1. 0.0. 0.2. 비해당. 88. 1,974. 79.0. 2,498.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없음. 0. 356. 14.3. 67.9. 전국. 10. 2. 0.1. 0.4. 서울. 11. 137. 5.5. 26.1. 부산. 21. 6. 0.2. 1.1. 대구. 22. 4. 0.2. 0.8. 광주. 24. 1. 0.0. 0.2. 대전. 25. 5. 0.2. 1.0. 울산. 26. 1. 0.0. 0.2. 경기. 31. 3. 0.1. 0.6. 강원. 32. 2. 0.1. 0.4. 충북. 33. 1. 0.0. 0.2. 전북. 35. 1. 0.0. 0.2. 전남. 36. 1. 0.0. 0.2. 경북. 37. 2. 0.1. 0.4. 경남. 38. 1. 0.0. 0.2. 제주. 39. 1. 0.0. 0.2. 비해당. 88. 1,974. 79.0. 2,498.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없음. 0. 376. 15.1. 71.8. 전국. 10. 3. 0.1. 0.6. 서울. 11. 101. 4.0. 19.3. 부산. 21. 7. 0.3. 1.3. 대구. 22. 3. 0.1. 0.6. 광주. 24. 2. 0.1. 0.4. 주요 정보원천 위치(국내)7 : 비즈니스서비스업체. 주요 정보원천 위치(국내)8 : 대학/고등연구소. 48.

(51)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B3D9. 대전. 25. 9. 0.4. 1.7. 울산. 26. 2. 0.1. 0.4. 경기. 31. 7. 0.3. 1.3. 강원. 32. 2. 0.1. 0.4. 충북. 33. 1. 0.0. 0.2. 충남. 34. 1. 0.0. 0.2. 전북. 35. 2. 0.1. 0.4. 전남. 36. 3. 0.1. 0.6. 경북. 37. 1. 0.0. 0.2. 경남. 38. 3. 0.1. 0.6. 제주. 39. 1. 0.0. 0.2. 비해당. 88. 1,974. 79.0. 2,498.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없음. 0. 404. 16.2. 77.1. 전국. 10. 2. 0.1. 0.4. 서울. 11. 88. 3.5. 16.8. 부산. 21. 3. 0.1. 0.6. 대구. 22. 4. 0.2. 0.8. 광주. 24. 1. 0.0. 0.2. 대전. 25. 12. 0.5. 2.3. 울산. 26. 1. 0.0. 0.2. 경기. 31. 3. 0.1. 0.6. 강원. 32. 1. 0.0. 0.2. 충북. 33. 1. 0.0. 0.2. 전북. 35. 1. 0.0. 0.2. 경남. 38. 2. 0.1. 0.4. 제주. 39. 1. 0.0. 0.2. 비해당. 88. 1,974. 79.0. 2,498. 100.0. 주요 정보원천 위치(국내)9 : 출연/국립연구소. 49. 100.0.

(52)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B3D10. B3F1. 주요 정보원천 위치(국내)10 : 경영진의 외부 비공식적 모임, 네트워크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없음. 0. 303. 12.1. 57.8. 전국. 10. 9. 0.4. 1.7. 서울. 11. 172. 6.9. 32.8. 부산. 21. 7. 0.3. 1.3. 대구. 22. 3. 0.1. 0.6. 인천. 23. 2. 0.1. 0.4. 광주. 24. 1. 0.0. 0.2. 대전. 25. 7. 0.3. 1.3. 울산. 26. 1. 0.0. 0.2. 경기. 31. 6. 0.2. 1.1. 강원. 32. 1. 0.0. 0.2. 충북. 33. 1. 0.0. 0.2. 충남. 34. 1. 0.0. 0.2. 전북. 35. 3. 0.1. 0.6. 전남. 36. 2. 0.1. 0.4. 경북. 37. 2. 0.1. 0.4. 경남. 38. 2. 0.1. 0.4. 제주. 39. 1. 0.0. 0.2. 비해당. 88. 1,974. 79.0. 2,498. 100.0. 100.0. 주요 정보원천 위치(해외)1 : 그룹계열사 B3-1 지난 3년 동안 귀사가 수행한 기술혁신활동의 초기 혹은 중간과정에서 사용된 정보의 원천 으로서, 다음 각각의 항목들은 얼마나 중요하였습니까? 주요 정보원천 위치 해외(국가명)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없음. 0. 517. 20.7. 98.7. 일본. 1. 2. 0.1. 0.4. 미국. 4. 2. 0.1. 0.4. 영국. 5. 3. 0.1. 0.6. 1,974. 79.0. 2,498. 100.0. 비해당. 88. 50. 100.0.

(53)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B3F2. 주요 정보원천 위치(해외)2 : 동일 업종 경쟁업체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없음. 0. 510. 20.4. 97.3. 일본. 1. 3. 0.1. 0.6. 프랑스. 2. 1. 0.0. 0.2. 미국. 4. 4. 0.2. 0.8. 영국. 5. 1. 0.0. 0.2. 인도. 6. 1. 0.0. 0.2. 베트남. 7. 2. 0.1. 0.4. 중국. 8. 2. 0.1. 0.4. 1,974. 79.0. 2,498.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없음. 0. 515. 20.6. 98.3. 일본. 1. 3. 0.1. 0.6. 미국. 4. 3. 0.1. 0.6. 영국. 5. 1. 0.0. 0.2. 베트남. 7. 1. 0.0. 0.2. 중국. 8. 1. 0.0. 0.2. 1,974. 79.0. 2,498.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없음. 0. 516. 20.7. 98.5. 일본. 1. 3. 0.1. 0.6. 미국. 4. 3. 0.1. 0.6. 중국. 8. 1. 0.0. 0.2. 독일. 13. 1. 0.0. 0.2. 비해당. 88. 1,974. 79.0. 2,498. 100.0. 비해당. B3F3. 88. 주요 정보원천 위치(해외)3 : 고객/수요기업. 비해당. B3F4. 88. 주요 정보원천 위치(해외)4 : 공급업체. 51. 100.0.

(54)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B3F5. 주요 정보원천 위치(해외)5 : IT업체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없음. 0. 519. 20.8. 99.0. 미국. 4. 4. 0.2. 0.8. 인도. 6. 1. 0.0. 0.2. 1,974. 79.0. 2,498.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0. 524. 21.0. 1,974. 79.0. 2,498.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0. 524. 21.0. 1,974. 79.0. 2,498.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없음. 0. 523. 20.9. 99.8. 미국. 4. 1. 0.0. 0.2. 1,974. 79.0. 2,498.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 523. 20.9. 99.8 0.2. 비해당. B3F6. 88. 주요 정보원천 위치(해외)6 : 민간연구소/기술서비스업체. 없음 비해당. B3F7. 88. 주요 정보원천 위치(해외)7 : 비즈니스서비스업체. 없음 비해당. B3F8. 88. 주요 정보원천 위치(해외)8 : 대학/고등연구소. 비해당. B3F9. 100.0. 88. 주요 정보원천 위치(해외)9 : 출연/국립연구소. 없음 스위스. 12. 1. 0.0. 비해당. 88. 1,974. 79.0. 2,498. 100.0. 52. 100.0.

(55)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B3F10. 주요 정보원천 위치(해외)10 : 경영진의 외부 비공식적 모임, 네트워크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없음. 0. 520. 20.8. 99.2. 일본. 1. 2. 0.1. 0.4. 프랑스. 2. 1. 0.0. 0.2. 미국. 4. 1. 0.0. 0.2. 1,974. 79.0. 2,498. 100.0. 비해당. B4A. 88. 100.0. 기술혁신을 위한 공동 R&D 활동 유무 B4-1 지난 3년 동안 위에서 응답했던 서비스(제품)혁신 및 공정혁신활동과 관련하여 귀사는 다 른 회사/조직과 적극적으로 교류하는 공동 R&D나 혁신 프로젝트를 수행한 적이 있습니까?. B4B1.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180. 7.2. 34.4. 아니오. 2. 344. 13.8. 65.6. 비해당. 0. 1,974. 79.0. 2,498. 100.0. 100.0. 공동 R&D 파트너별 혁신 기여도 평가1 : 그룹계열사 B4-2 지난 3년 동안 공동 R&D나 혁신프로젝트를 수행한 파트너에 대해서 귀사의 혁신활동에 기여한 정도에 대하여 평가하여 주십시오. 주요 국내외 파트너의 위치를 각각 기입해 주십시오.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수행경험 없었음. 0. 151. 6.0. 83.9. 전혀 유용않음. 1. 1. 0.0. 0.6. 별로 유용않음. 2. 5. 0.2. 2.8. 보통. 3. 8. 0.3. 4.4. 다소 유용함. 4. 6. 0.2. 3.3. 매우 유용함. 5. 9. 0.4. 5.0. 비해당. 8. 2,318. 92.8. 2,498. 100.0. 53. 100.0.

(56)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B4B2. 공동 R&D 파트너별 혁신 기여도 평가2 : 동일 업종 경쟁업체 변수값. B4B3. B4B4.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수행경험 없었음. 0. 97. 3.9. 53.9. 전혀 유용않음. 1. 7. 0.3. 3.9. 별로 유용않음. 2. 10. 0.4. 5.6. 보통. 3. 31. 1.2. 17.2. 다소 유용함. 4. 19. 0.8. 10.6. 매우 유용함. 5. 16. 0.6. 8.9. 비해당. 8. 2,318. 92.8. 2,498.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수행경험 없었음. 0. 104. 4.2. 57.8. 전혀 유용않음. 1. 5. 0.2. 2.8. 별로 유용않음. 2. 4. 0.2. 2.2. 보통. 3. 26. 1.0. 14.4. 다소 유용함. 4. 28. 1.1. 15.6. 매우 유용함. 5. 13. 0.5. 7.2. 비해당. 8. 2,318. 92.8. 2,498.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수행경험 없었음. 0. 107. 4.3. 59.4. 전혀 유용않음. 1. 3. 0.1. 1.7. 별로 유용않음. 2. 5. 0.2. 2.8. 보통. 3. 37. 1.5. 20.6. 다소 유용함. 4. 15. 0.6. 8.3. 매우 유용함. 5. 13. 0.5. 7.2. 비해당. 8. 2,318. 92.8. 2,498. 100.0. 공동 R&D 파트너별 혁신 기여도 평가3 : 고객/수요기업. 공동 R&D 파트너별 혁신 기여도 평가4 : 공급업체. 54. 100.0.

(57)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B4B5. 공동 R&D 파트너별 혁신 기여도 평가5 : IT업체 변수값. B4B6. B4B7.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수행경험 없었음. 0. 97. 3.9. 53.9. 전혀 유용않음. 1. 4. 0.2. 2.2. 별로 유용않음. 2. 1. 0.0. 0.6. 보통. 3. 36. 1.4. 20.0. 다소 유용함. 4. 25. 1.0. 13.9. 매우 유용함. 5. 17. 0.7. 9.4. 비해당. 8. 2,318. 92.8. 2,498. 100.0. 100.0. 공동 R&D 파트너별 혁신 기여도 평가6 : 민간연구소/기술서비스업체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수행경험 없었음. 0. 121. 4.8. 67.2. 전혀 유용않음. 1. 4. 0.2. 2.2. 별로 유용않음. 2. 11. 0.4. 6.1. 보통. 3. 20. 0.8. 11.1. 다소 유용함. 4. 20. 0.8. 11.1. 매우 유용함. 5. 4. 0.2. 2.2. 비해당. 8. 2,318. 92.8. 2,498.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수행경험 없었음. 0. 127. 5.1. 70.6. 전혀 유용않음. 1. 6. 0.2. 3.3. 별로 유용않음. 2. 11. 0.4. 6.1. 보통. 3. 19. 0.8. 10.6. 다소 유용함. 4. 13. 0.5. 7.2. 매우 유용함. 5. 4. 0.2. 2.2. 비해당. 8. 2,318. 92.8. 2,498. 100.0. 공동 R&D 파트너별 혁신 기여도 평가7 : 비즈니스서비스업체. 55. 100.0.

(58)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B4B8. B4B9. B4D1. 공동 R&D 파트너별 혁신 기여도 평가8 : 대학/고등연구소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수행경험 없었음. 0. 104. 4.2. 57.8. 전혀 유용않음. 1. 5. 0.2. 2.8. 별로 유용않음. 2. 9. 0.4. 5.0. 보통. 3. 29. 1.2. 16.1. 다소 유용함. 4. 21. 0.8. 11.7. 매우 유용함. 5. 12. 0.5. 6.7. 비해당. 8. 2,318. 92.8. 2,498.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수행경험 없었음. 0. 131. 5.2. 72.8. 전혀 유용않음. 1. 6. 0.2. 3.3. 별로 유용않음. 2. 5. 0.2. 2.8. 보통. 3. 15. 0.6. 8.3. 다소 유용함. 4. 13. 0.5. 7.2. 매우 유용함. 5. 10. 0.4. 5.6. 비해당. 8. 2,318. 92.8. 2,498. 100.0. 공동 R&D 파트너별 혁신 기여도 평가9 : 출연/국립연구소. 100.0. 주요 R&D 파트너 위치(국내)1 : 그룹계열사 B4-2 지난 3년 동안 공동 R&D나 혁신프로젝트를 수행한 파트너에 대해서 귀사의 혁신활동에 기여한 정도에 대하여 평가하여 주십시오. 주요 국내외 파트너의 위치를 각각 기입해 주십시오. 주요 파트너 위치 국내(시/구)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없음. 0. 152. 6.1. 84.4. 전국. 10. 2. 0.1. 1.1. 서울. 11. 20. 0.8. 11.1. 대구. 22. 1. 0.0. 0.6. 울산. 26. 1. 0.0. 0.6. 경기. 31. 2. 0.1. 1.1. 충남. 34. 1. 0.0. 0.6. 경남. 38. 1. 0.0. 0.6. 비해당. 88. 2,318. 92.8. 2,498. 100.0. 56. 100.0.

(59)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B4D2. B4D3. 주요 R&D 파트너 위치(국내)2 : 동일 업종 경쟁업체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없음. 0. 101. 4.0. 56.1. 전국. 10. 4. 0.2. 2.2. 서울. 11. 57. 2.3. 31.7. 부산. 21. 4. 0.2. 2.2. 대구. 22. 3. 0.1. 1.7. 인천. 23. 3. 0.1. 1.7. 광주. 24. 1. 0.0. 0.6. 울산. 26. 1. 0.0. 0.6. 경기. 31. 3. 0.1. 1.7. 강원. 32. 1. 0.0. 0.6. 전북. 35. 1. 0.0. 0.6. 경북. 37. 1. 0.0. 0.6. 비해당. 88. 2,318. 92.8. 2,498.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없음. 0. 107. 4.3. 59.4. 전국. 10. 7. 0.3. 3.9. 서울. 11. 53. 2.1. 29.4. 부산. 21. 1. 0.0. 0.6. 대구. 22. 3. 0.1. 1.7. 인천. 23. 1. 0.0. 0.6. 광주. 24. 1. 0.0. 0.6. 울산. 26. 2. 0.1. 1.1. 경기. 31. 2. 0.1. 1.1. 경북. 37. 2. 0.1. 1.1. 경남. 38. 1. 0.0. 0.6. 비해당. 88. 2,318. 92.8. 2,498. 100.0. 주요 R&D 파트너 위치(국내)3 : 고객/수요기업. 57. 100.0.

(60)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B4D4. B4D5. 주요 R&D 파트너 위치(국내)4 : 공급업체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없음. 0. 109. 4.4. 60.6. 전국. 10. 1. 0.0. 0.6. 서울. 11. 54. 2.2. 30.0. 부산. 21. 4. 0.2. 2.2. 대구. 22. 2. 0.1. 1.1. 인천. 23. 1. 0.0. 0.6. 광주. 24. 1. 0.0. 0.6. 울산. 26. 1. 0.0. 0.6. 경기. 31. 5. 0.2. 2.8. 전남. 36. 1. 0.0. 0.6. 경북. 37. 1. 0.0. 0.6. 비해당. 88. 2,318. 92.8. 2,498.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없음. 0. 103. 4.1. 57.2. 서울. 11. 62. 2.5. 34.4. 부산. 21. 4. 0.2. 2.2. 대구. 22. 3. 0.1. 1.7. 인천. 23. 1. 0.0. 0.6. 광주. 24. 1. 0.0. 0.6. 대전. 25. 1. 0.0. 0.6. 울산. 26. 1. 0.0. 0.6. 경기. 31. 1. 0.0. 0.6. 경북. 37. 1. 0.0. 0.6. 경남. 38. 1. 0.0. 0.6. 제주. 39. 1. 0.0. 0.6. 비해당. 88. 2,318. 92.8. 2,498. 100.0. 주요 R&D 파트너 위치(국내)5 : IT업체. 58. 100.0.

(61)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B4D6. B4D7. B4D8. 주요 R&D 파트너 위치(국내)6 : 민간연구소/기술서비스업체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없음. 0. 126. 5.0. 70.0. 서울. 11. 43. 1.7. 23.9. 부산. 21. 2. 0.1. 1.1. 대구. 22. 1. 0.0. 0.6. 광주. 24. 1. 0.0. 0.6. 울산. 26. 1. 0.0. 0.6. 경기. 31. 3. 0.1. 1.7. 충남. 34. 1. 0.0. 0.6. 경북. 37. 1. 0.0. 0.6. 경남. 38. 1. 0.0. 0.6. 비해당. 88. 2,318. 92.8. 2,498.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없음. 0. 129. 5.2. 71.7. 서울. 11. 41. 1.6. 22.8. 부산. 21. 5. 0.2. 2.8. 대구. 22. 1. 0.0. 0.6. 광주. 24. 1. 0.0. 0.6. 울산. 26. 1. 0.0. 0.6. 경기. 31. 1. 0.0. 0.6. 강원. 32. 1. 0.0. 0.6. 비해당. 88. 2,318. 92.8. 2,498.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없음. 0. 108. 4.3. 60.0. 서울. 11. 44. 1.8. 24.4. 부산. 21. 6. 0.2. 3.3. 대구. 22. 2. 0.1. 1.1. 인천. 23. 1. 0.0. 0.6. 주요 R&D 파트너 위치(국내)7 : 비즈니스서비스업체. 주요 R&D 파트너 위치(국내)8 : 대학/고등연구소. 59.

(62)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B4D9. 광주. 24. 3. 0.1. 1.7. 대전. 25. 4. 0.2. 2.2. 울산. 26. 3. 0.1. 1.7. 경기. 31. 6. 0.2. 3.3. 강원. 32. 1. 0.0. 0.6. 전남. 36. 1. 0.0. 0.6. 경남. 38. 1. 0.0. 0.6. 비해당. 88. 2,318. 92.8. 2,498.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없음. 0. 134. 5.4. 74.4. 전국. 10. 1. 0.0. 0.6. 서울. 11. 28. 1.1. 15.6. 부산. 21. 1. 0.0. 0.6. 대구. 22. 1. 0.0. 0.6. 광주. 24. 1. 0.0. 0.6. 대전. 25. 8. 0.3. 4.4. 울산. 26. 1. 0.0. 0.6. 경기. 31. 5. 0.2. 2.8. 비해당. 88. 2,318. 92.8. 2,498. 100.0. 주요 R&D 파트너 위치(국내)9 : 출연/국립연구소. 60. 100.0.

(63) A1-2006-0082 한국의 기술혁신조사, 2006 : 서비스업. B4F1. 주요 R&D 파트너 위치(해외)1 : 그룹계열사 B4-2 지난 3년 동안 공동 R&D나 혁신프로젝트를 수행한 파트너에 대해서 귀사의 혁신활동에 기여한 정도에 대하여 평가하여 주십시오. 주요 국내외 파트너의 위치를 각각 기입해 주십시오. 주요 파트너 위치 해외(국가명) 변수값. 빈도. 퍼센트. 0. 180. 7.2. 2,318. 92.8. 2,498.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없음. 0. 177. 7.1. 98.3. 미국. 4. 1. 0.0. 0.6. 인도. 6. 1. 0.0. 0.6. 중국. 8. 1. 0.0. 0.6. 2,318. 92.8. 2,498.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없음. 0. 179. 7.2. 99.4. 미국. 4. 1. 0.0. 0.6. 2,318. 92.8. 2,498.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없음. 0. 177. 7.1. 98.3. 일본. 1. 1. 0.0. 0.6. 미국. 4. 1. 0.0. 0.6. 이태리. 14. 1. 0.0. 0.6. 비해당. 88. 2,318. 92.8. 2,498. 100.0. 없음 비해당. B4F2. 88. 주요 R&D 파트너 위치(해외)2 : 동일 업종 경쟁업체. 비해당. B4F3. 88. 주요 R&D 파트너 위치(해외)3 : 고객/수요기업. 비해당. B4F4. 88. 주요 R&D 파트너 위치(해외)4 : 공급업체. 61. 100.0.

Referensi

Dokumen terkait

1 우리 회사의 기업문화는 본사 또는 다른 나라에 있는 지사들과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다... 2 우리 회사의 승진 및 경력관리 시스템은 본사 또는 다른 나라에 있는 지사들과 일관성을 유지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