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2007학년도 이전 입학생
(~ 2007학년도 입학생) 2008학년도 입학생 2009~2012학년도 입학생 2013-2014학년도 입학생 2015학년도 이후 입학생
(2015학년도 입학생~) 비고
교원자격증 발급을 위한 기준년도
대상자
기준년도
학번 선발년도-1
사범대학생 ○
비사범계 교직과정 이수선발자
2011년도 이전 선발자 ○
2012년도 선발자부터 ○
교육대학원생 ○
「기준년도」는 주전공 뿐만 아니라 복수전 공의 교원자격증 발급을 위한 기준에도 동 일하게 적용됨
(졸업을 위한 기준은 「학번」임)
확인방법은 「통합정보시스템의 학적기본사 항관리/학적변동/교직선발정보」의 맨 우 측화면에서 가능
성적기준 전체 성적 75점 이상 전공 75점 이상
교직 80점 이상
교육대학원생의 경우
교육대학원 재학 중 취득한 성적만 산출
교직 적성.인성 검사 1회 통과
평가(정량, 정성) 종류 구별 없음
2회 통과
정량평가는 반드시 1회 이상 포함
1학기 : 정량평가(검사지를 통한 검사) 2학기 : 정성평가(해당 학과별 면접을 통 한 검사)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실습
2016년 8월 졸업대상자 : 실습받지 않아도 됨 2017년 2월 졸업대상자 : 실습 1회 받아야 함
2017년 8월 이후 졸업대상자 : 실습 2회이상 받아야 함
교직이론
교육학개론
교육철학 및 교육사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육심리
교육사회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생활지도 및 상담(교직이론)
8과목 중 7과목 이상을 선택하여 이수
교육학개론
교육철학 및 교육사 교육과정
교육평가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육심리
교육사회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생활지도 및 상담(교직이론) 9과목 중 7과목 이상을 선택 하여 이수
교육학개론
교육철학 및 교육사 교육과정
교육평가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육심리
교육사회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생활지도 및 상담(교직이론) 9과목 중 6과목 이상을 선택 하여 이수
교육학개론
교육철학 및 교육사 교육과정
교육평가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육심리
교육사회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8과목 중 6과목 이상을 선택 하여 이수
「생활지도 및 상담」과목의 영역 변경 (교직이론 => 교직소양)
교직이수자의 수강계획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영역에 따라 교과목명칭 구분
「학교폭력의 예방 및 대책」=> 「학교폭력 예방의 이론과 실제」과목명 변경
2013, 2014학번 학생들에게만 적용 2017년도까지만 개설
「생활지도 및 상담(교직소양)」은 2015학번 학생부터 수강 가능
「교육과정및교육평가」를 이수하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변경된
【「교육과정」,「교육평가」】과목 중 한 과목만 이수하더라도
「교육과정및교육평가」 이수로 인정됨. 단,「교육과정및교육평 가」,「교육과정」,「교육평가」과목을 모두 이수하였다 하더라도 한 과목 이수로 인정됨
교직소양
특수교육학개론 교직실무
(교육대학원생은 2009~2012학년도 입학생)
특수교육학개론 교직실무
학교폭력예방의 이론과 실제
특수교육학개론 교직실무
생활지도 및 상담(교직소양)
교육실습 학교현장실습 학교현장실습
교육봉사활동2(교육대학원생은 2009학년도 입학생부터) 중등2정:중등학교정교사(2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