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2018년도 제26회 교육방송연구대회 작품설명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2018년도 제26회 교육방송연구대회 작품설명서"

Copied!
4
0
0

Teks penuh

(1)

[양식 5 : 클립형 영상학습자료 작품설명서]

2018년도 제26회 교육방송연구대회 작품설명서

주제 : 잊혀진 영웅들 여성 독립운동가

소속기관

○○초등학교

○○초등학교

직위 교사

교사 성명 △△△

◇◇◇

1. 제작 동기

수업 시간에 학생들에게 독립운동사에 대하여 가르칠 때면 유관순 열사를 제외한 모든 독립운동가가 남성임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여성 독립운 동가는 유관순 열사밖에 없었을까? 여성 독립운동가에 대한 자료를 찾아보면 생각 외로 많은 여성 독립운동가를 만날 수 있다. 대한민국 여성 독립운동가 를 집중 조명한 자료를 개발하여 학생들에게 이를 알리고자 하는데 이 영상 제작의 목적이 있다.

2. 제작 내용

가. 일제강점기

1910년 8월 국권피탈로 대한제국이 멸망한 이후부터 8.15광복에 이르기 까지 일제 강점(强占)하에 처해 우리 국민은 일본군 위안부, 강제 노역에 동원되는 등 갖은 수난을 당해야만 했다.

나. 국립 현충원 무후선열제단(無後先烈祭壇)

1945년 8월 15일 우리나라가 독립을 맞이하기까지 많은 분들의 노력과 희생이 있었다. 국립 현충원 애국지사 묘역에는 후손이 없거나 유해마저 찾을 길이 없는 133분의 위패를 모신 무후선열제단이 있는데, 이 위패들 중 유독 낯익은 이름, ‘유관순’이 있다.

다. 서대문형무소 여옥사(女獄舍) 8호 감방

1919년 3·1 운동을 주도한 유관순 열사는 서대문 형무소에 투옥되어 모진 고문 끝에 목숨을 잃었다. 서대문형무소 여옥사 8호 감방에는 유관순 열사 이외에도 어윤희, 권애라, 신관빈, 심명철, 임명애, 김향화 등 낯설지 만 독립을 위해 투쟁하다 숨진 많은 분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2)

라. 상해임시정부(일강 김철 기념관)

상해 임시정부(上海臨時政府)는 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하이에 설립된 임시정부로 대한민국의 망명정부의 근거지 중 하나였다.

마. 남자현 열사의 활약상

19세에 경북 영양으로 시집온 남자현 열사는 평범 한 가정을 꿈꾸지만 남편이 일본에 대항해 의병 활동 을 하다가 전사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가족의 생계 를 책임지던 남자현 열사는 독립운동의 기회를 엿보 다 나이 46살에 독립운동을 위해 중국으로 떠난다.

무장 독립운동단체인 서로군정서에 가입해 독립군의 뒷바라지를 하던 남자 현 열사는 1925년 사이토 마코토 총독을 암살하기 위해 총을 들고 동지들 과 함께 서울에 잠입하였으나, 총독의 암살을 먼저 시도한 송학선 열사가 거사에 실패하면서 남자현 열사는 암살을 포기해야 했다. 1932년 9월, 국 제연맹조사단이 온다는 것을 안 남자현 열사는 일제의 만행을 조사단에게 호소하기 위해 왼손 무명지 두 마디를 잘라 흰 천에다 ‘조선독립원(朝鮮 獨立願)’이라는 혈서를 쓴 뒤 잘린 손가락 마디와 함께 조사단에 이를 전 달했다. 추후 총독 암살을 시도하던 중 체포되어 고문을 받고 결국 고문 후유증으로 죽음에 이르게 된다.

바. 윤희순 의사, 권기옥 지사, 안경신 의사의 활약상 윤희순 의사는 을미의병부터 정미의병 때까지 직·

간접적으로 의병 운동에 참여했던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의병 지도자였다. 강원도 춘천시 남면을 근거지 로 한 윤희순 의사는 이곳에서 여성 30여명을 모아 안사람 의병단을 조직하여 군자금을 모으고, 직접 무 기를 만들며 여성 의병활동을 이끌었다. 윤희순 의사 는 또한 ‘안사람 의병가’를 만들어 의병들의 사기 를 드높였다.

권기옥 지사는 학생시절부터 비밀결사대 ‘송죽 회’에 가입하여 독립운동에 참여하였으며, 중국 항

남자현 열사

윤희순 의사

권기옥 지사

(3)

공학교 1기생으로 입학하여 한국 최초의 여성 비행사 로 활동하였다. 독립운동가인 이상정과 결혼 후에도 지속적으로 독립 운동을 이어 나갔다.

안경신 의사는 1919년 평양에서 3·1운동에 참여, 이후 대한애국부인회를 조직하여 활동하였다. 군자금

을 모아 상해임시정부로 보내는 등의 활동을 하다가 상해로 망명했다.

1920년 미국의원단 일행의 내한을 이용하여 국제여론을 환기시킬 목적으 로 평남도청에 폭탄 투척하였다.

3. 제작 일정 및 역할 분담

단계 기간 추진 내용

문제분석 및 제작계획

2018. 4. 1.

- 4. 20.

사회 교과의 학습 주제 및 내용 분석(공동) 학습 주제 및 내용과 관련된 참고문헌 분석 (공동)

자료 제작 계획 수립 및 제작 내용 구성 (공동)

콘티 제작(공동)

계획서 제출(공동)

자료수집 2018. 4. 1.

– 5. 31.

촬영을 위한 제작 장비 마련(

△△△

)

촬영 장소 및 인물 섭외(공동)

자료제작 및 수업적용

2018. 5. 1.

– 7. 26.

촬영 콘티에 따른 촬영(공동)

나레이션 녹음(

◇◇◇

)

촬영 자료의 편집(

△△△

)

촬영 자료 제작(공동)

편집 자료의 수업적용 및 수업 활용의 효율성 검토(공동)

안경신 의사

(4)

4. 기대 효과

우리 민족에게 가장 큰 암흑기였던 일제 강점기에 조국을 되찾겠다는 굳은 의 지와 희망을 품은 독립운동가가 있었다. 그들의 끊임없는 노력이 있었기에 우리 는 광복을 맞이할 수 있었다. 여성도 독립운동에 있어서 예외는 아니었다. 우리 에게 생소했던 여성 독립운동가에 대하여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자 하였다. 구체적인 기대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독립운동가의 활약상에 대한 배경 지식이 부족해 지도에 어려움을 겪는 교사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둘째, 우리나라의 독립을 위해 헌신했던 여성들의 진취적인 삶을 돌아보며 나 라를 되찾는 일에 남녀가 따로 있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본 영상을 보면서 우리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던 여성 독립운동가에 대한 이야 기를 접하며 학생들이 우리나라의 독립을 위해 헌신했던 여러 독립운동가들과 그 밖의 무명 독립운동가들의 희생을 기억하고 그들의 정신을 계승하는 밑거름 이 되었으면 한다.

※참고 문헌

심옥주, 『여성독립운동가의 발자취를 알리다』, 한국여성독립운동연구소, 2016 정운현, 『조선의 딸, 총을 들다』, 인문서원, 2016

※촬영 협조

국립 현충원(서울시 동작구)

남자현 열사 생가(경상북도 영양군) 서대문형무소(서울시 서대문구) 윤희순 의사 유적지(강원도 춘천시) 일강 김철 기념관(전라남도 함평군)

한국여성독립운동연구소(서울시 동대문구)

항일여성독립운동 기념 사업회(서울시 동대문구) 자료

수정 보완

2018. 7. 27.

- 9. 9. 제작 영상 보완(

△△△

)

제출 2018. 9. 10. 최종 자료 완성 및 출품작 제출(공동)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