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식 5 : 클립형 영상학습자료 작품설명서]
2019년도 제27회 교육방송연구대회 작품설명서
주제 : 즐기면서 기부한다! 퍼네이션!
소속기관 유영초등학교
유영초등학교 직위 교사
교사 성명 안서환
최필성 1. 제작 동기
매년 연말이 되면 주변의 어려운 이웃을 돕기 위해 기부활동이 뉴스와 티비에서 소개되지만 정작 통계에 따르면 기부하는 국민의 참여율 수치는 해가 거듭될수록 점 점 하락하고 있다. 그렇지 않아도 과거와 달리 개인적인 성향이 강해진 학생들에게 단순한 돈의 전달에서 벗어난 기부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 전환 교육이 요구된다.
또, 학생들은 자본주의의 산물 앞에서 소비조장 문화에 많이 노출되어 있고, 개인 을 위한 경제생활 속에서 나눔을 실천하기는 더욱 어려워졌다. 이에 소비지향적이고 개인적인 문화 속에서도 실천가능한 즐거운 기부문화에 대한 콘텐츠를 제작 보급할 필요성을 느꼈다.
2015 개정교육과정 초등학교 5~6학년군 도덕 교과서에는 ‘나눔의 실천과 기쁨’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여 사회 구성원으로서 나눔과 기부를 실천할 수 있도록 하고 있 다. 하지만 ‘자본과 재능의 나눔’이라는 행위를 넘어 ‘재미를 선사하는 기부’를 통해 즐거운 문화로 자리잡도록 안내 제시할 필요가 있다.
그 근거로는 2015 개정교육과정 총론 추구하는 인간상에서 ‘라. 공동체 의식을 가 진 세계 시민으로서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더불어 사는 사람’의 양성과 경남교육 교육지표에 제시된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 의식을 지닌 건강하고 도덕적인 사람’
의 육성이다.
따라서 본 교육영상으로 학생들에게 기존의 일방적인 나눔 독려에서 벗어나 재미라 는 날개를 달아 즐기면서 기부와 나눔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학생주도의 공동체 역량 을 기르고 실천하는 세계시민의 자질을 키우고자 한다.
그동안 교육방송이라고 하면 내용이 딱딱하여 재미가 없고, 보는 것에만 그치는 일 방향 교육이었다면 본 영상은 보는 사람이 즐겁고 따라할 수 있게 제작하여 영상을 본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확산, 실천이 가능하다. 이에 본 영상은 기부 문화 인식 개 선 교육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교육방송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이다.
2. 제작 내용
대주제 즐기면서 기부한다! 퍼네이션!
소주제
기부에 대한 오해
퍼네이션 의미 및 활동 소개
퍼네이션 전문가와 만남
퍼네이션 학생 활동
시간 1분 2분 2분 2분
기획의도
기 부 에 대한 오 해와 편 견 으 로 인 하 여 기부 참 여 율 이 매년 하 락 하 고 있음.
퍼네이션의 의 미와 활동을 소 개하여 기부에 대한 재개념화 및 인식 전환, 퍼네이션 활동 방법을 알아보고 자 함.
퍼네이션 전 문가를 만나 생활 속에서 꾸준하게 실천 하는 원동력을
학생이 할 수 있는 퍼네이션 활동을 학교나 일상에서 실천 해보고, 즐거운 기 부 활 동 으 로 만들어지는 아 름다운 사회를 그려봄.
내용흐름
인트로 동기유발
퍼네이션의 의미
퍼네이션 전문가 만남
퍼네이션 학생활동
↓ ↓ ↓ ↓
기부참여 율 관련통계
퍼네이션 활동 소개
퍼네이션 전문가 인터뷰
활동 후 학생 인터뷰
↓ 클로징
활용방안
5-6학년군 6학년 도덕 교과서
2. 작은 손길이 모여 따뜻해지는 세상/ 5.배려하고 봉사하는 우리 기부에
대한 편견타파
기부를 하는 방법 생각해보기
퍼네이션 관련활동 실천해보기
작은 움직임으로 아름다운 사회
만들어보기
3. 저작권 사용
○ 사진: 구글 비상업적 사용가능 사진, 네이버 CCL 비상업적 사용가능 사진
○ 아이스버킷 영상
※ 저작권자: Bill Gates, 자유로운 공유 및 사용 가능 명시 ※ 저작권자: IamReggieBrown(유투브 채널), 사용 허락 동의
○ 커피프렌즈 영상 ※ 저작권자: the4k(유투브채널), 사용 허락 동의
○ 산타런 영상 ※ 저작권자: ㈜필더필070-7575-2352, 유선 사용 허락 동의
○ 건강기부계단
※ 저작권자: 서울특별시청 건강증진과02-2133-7573, 유선 사용 허락 동의 ※ 저작권자: 서울특별시 서초구청, 사용 협조 공문 발송
4. 기대 효과
가. 학생들이 기존 기부행위의 어려움을 파악하고, 기부에 대한 심리적 물리적 불편함을 인식할 수 있다.
나. 기부문화에 대한 인식 전환의 필요성을 느낄 수 있다.
다. 학생들이 즐거운 기부문화에 직접 참여하여 민주시민의 자질을 키우는 공동 체 역량을 기를 수 있다.
라. 학생들이 일상 속에서 즐겁게 지속적으로 기부를 실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