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Insect fauna on the Juwang National Park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Insect fauna on the Juwang National Park"

Copied!
7
0
0

Teks penuh

(1)

주왕산국립공원의 곤충상

석상욱1·백문기2·강승호3·정종철3·홍의정3*

1연세대학교 생명과학과, 2한반도곤충보전연구소, 3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Insect fauna on the Juwang National Park

Sang-Wook Suk

1

, Mun-Ki Paek

2

, Seongho Kang

2

, Jong-Chul Jeong

2

and Eui-Jeong Hong

2

*

1Division of B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Yonsei University, Wonju 26493, Korea

2Institute of Korean Peninsula Insects Conservation, Bucheon 14575, Korea

3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Wonju 26441, Korea

요 약 :2017년도주왕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곤충상조사결과 15목 179과 1,265종이조사되었다. 과거 문헌및 본 조사에서확인된주왕산국립공원의곤충류는 총 16목 206과 1,771종으로나타났다. 분류군별출현현황은 나비목 44과 916종으로가장 높게 나타났으며딱정벌레목 48과 327종, 노린재목 35과 179종, 벌목 15과 122종, 파리목 22 과 113종의 순으로조사되었다. 지구별 출현종수는 기사지구 135과 587종, 월외지구 106과 530종, 상의지구 97과 425종, 절골지구 92과 377종순으로조사되었다. 법정보호종은고유종 34종, 국외반출승인대상종 169종이조사되었다. 주요어 :주왕산국립공원, 곤충상, 법정보호종

Abstract :From the Natural Resource Research in Juwang National Park in 2017, 1,265 species of 179 families under 15 orders were identified. Consequently, the insects identified from previous studies and this survey become 1,771 species 206 families 16 orders. Regarding the emergence by each taxonomic group, Lepidoptera showed the highest as 916 species of 44 families. Coleoptera followed next as 327 species of 48 families, and then showed in the order of Hemiptera as 179 species of 35 families, Hymenoptera 15 families, 122 species, Diptera 22 families, 113 species. By the Region point, Gisa region was identified as the highest emergence as 587 species of 135 families. Next was Woroe region as 530 species of 106 families, Sangui region as 425 species of 97 families, and then Jeolgol region as 92 families, 377species. The Legally protected species were identified as 34 endemic species, specific species and 169 export restricted species (meaning that the special approval is needed to export such species).

Key words :Juwang National Park, Insect, Legally protected species

서 론

생물 구성요소 중 곤충은 상위포식자인 조류 및 양서·파 충류를 포함한 다양한 생물의 먹이원으로 작용하여 먹이그 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며, 동시에 부식자로서 생태 계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분류군이 다. 따라서종 다양성이 높은곤충은 생태계를 부양하고타 생물군의 존재 유무에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결정 인자로서작용할수있다는측면에서매우 중요한분류군이 라 할 수 있다. 또한 환경 스트레스에 신속히 반응하며, 세 대기간이 짧고 채집과 동정이 용이하기 때문에 육상생태계

와 수서생태계에서곤충 생물지표종을 이용한다양한 연구 가 진행되고 있다(Strong et al. 1984; Wilson 1992). 주왕산 국립공원은 북쪽으로는 태행산(933.1m)과 대둔산(905m)이 위치하며, 남쪽으로는 왕거암, 대궐령, 별바위가 연봉을 이 루고 있으며, 기후지역상 온대중부에 위치하고 있다. 주요 식생군락은 굴참나무, 갈참나무, 신갈나무, 서어나무군락과 느티나무-일본잎갈나무군락 등 다양한 유형의 식생을 지니 고 있어곤충이서식하기에적합한환경을 가지고있다. 본 연구는주왕산국립공원에서식하는육상곤충류의 종다양성 을 파악하여 생물자원의 체계적인 관리 및 효율적인 활용방 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와 더불어 주요종 및 위

*Corresponding author E-mail: [email protected]

[총설]

(2)

해곤충 등의분포현황 및 생태적 특성을확인하여 주왕산 의위협요소및 관리방안수립에필요한기초자료로제공하 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1. 조사시기

조사 시기는 2017년 4월부터 10월까지 7개월 동안 수행

하였으며, 현장조사는 지구별월외지구, 상의지구, 절골지구, 기사지구, 갓바위지구 등을 중심으로 주간및 야행성 곤충 류 조사를 실시하였다(Table 1).

2. 조사지점

주왕산국립공원은 행정구역상으로 경상북도 청송군과 영 덕군의 2군 5면 17리에 걸쳐 있고, 전체 총면적은 105.595 km2로 청송군(75.426 km2), 영덕군(30.169 km2)이 포함된다.

Figure 1. A map shows study areas on Juwang National Park.

Table 1. Survey dates and sites.

Item Date Sites Site Numers

1 2017. 4. 14.~21. 월외지구, 상의지구, 절골지구, 기사지구 3, 8, 9, 11, 22, 32

2 2017. 5. 16.~19. 월외지구, 상의지구, 절골지구, 기사지구, 갓바위지구 3, 8, 9, 11, 12, 22, 26, 27, 30, 32

3 2017. 5. 31.~6. 2. 월외지구, 절골지구, 기사지구 3, 7, 8, 9, 10, 11, 32

4 2017. 6. 18.~20. 월외지구, 절골지구, 상의지구, 기사지구, 갓바위지구 7, 8, 11, 22, 30, 32, 37

5 2017. 7. 11.~13. 월외지구, 상의지구 2, 26

6 2017. 7. 17.~18. 월외지구, 상의지구, 절골지구, 기사지구, 갓바위지구 8, 11, 22, 30, 32

7 2017. 8. 7.~9. 기사지구, 갓바위지구 12, 41

8 2017. 8. 21.~22. 월외지구, 상의지구, 절골지구, 기사지구, 갓바위지구 8, 11, 22, 30, 32

9 2017. 9. 1.~2. 주산지, 절골, 기사저수지 3, 11, 28, 32

10 2017. 9. 12.~17. 월외지구, 상의지구, 절골지구, 기사지구, 갓바위지구 3, 8, 9, 11, 22, 25, 28, 30, 32

11 2017. 10. 9.~14. 월외지구, 상의지구, 절골지구, 기사지구 3, 7, 11, 22, 28, 32

12 2017. 10. 17.~20. 월외지구, 갓바위지구 8, 9, 25, 30

(3)

국토의중동부에입지하고있으며태백산맥의산간내륙지역 과동해안에 인접한해안지역을포함하고 있다. 1976년 3월

30일 12번째로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국립공원연구원

2017). 현지조사는 월외지구, 상의지구, 절골지구, 기사지구,

갓바위지구 등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Table 1, Figure 1).

월외지구는(8, 9번 격자) 월외공원지킴터에서 달기폭포, 너구마을로 이어지는 능선으로 주변 농경지, 과수원 및 계 곡 주변으로 초지가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산림은 참나무 림과 혼효림이 우거져 있는 곳으로 비교적 안정된 서식지역 이다.

상의지구는(21, 22, 26번 격자) 대전사에서 학소대를 지나 연화골, 제1폭포, 제2폭포로 이어지는 구간으로 계곡부의 폭 이 좁고 깊으며 산림경계부에 초지대가 형성되어 있으며, 산림은활엽수림과혼효림이 혼재되어 있는지역이다.

절골지구는(32번 격자) 절골분소에서부터 대문다리로 이 어지는 계곡부와, 주산지 계곡을 따라 주산지로 이어지는 구간으로 계곡부의 폭이 좁고 깊으며, 계곡부에서 불어오는 바람의 영향이 강하고 초지대와 산림부가 절 벽면에 형성되 어 있는 경우가 많아 주간곤충 조사가 대단히 어려운 지역 이며, 그에 반해 주산지는 초지대가 형성되어 있고 주변산 림은활엽수림과혼효림이 혼재되어 있는지역이다.

기사지구는(3, 11, 12번 격자) 대둔산에서 먹구등으로 이 어지는 남동쪽사면부로 기사저수지가 위치하고 산림은 신갈 나무 등 활엽수림이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기사저수지 주변 으로 초지가 넓게 형성되어 있는 식생이 다양한 지역이다.

갓바위지구는(24, 25, 30번 격자) 대궐령을 중심으로갓바 위골사면과, 청련사로 이어지는 사면부로산림은침엽수림 과활엽수림이 혼재되어있는지점으로다양한서식처를가 지고 있는 지역이다.

3. 조사방법

곤충은 각 분류군에 따라 동일한 지역에서도 서식 환경 및 행동습성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조사방법은 “국립공 원 자연자원조사 분야별 매뉴얼”(국립공원연구원 2014)에 제시된 방법을 활용하였다. 직접조사법은 포충망을 이용한 쓸어잡기(sweeping), 채어잡기(brandishing)와 미소 서식처 검색법, 사진촬영 등과 트랩을 이용한 함정트랩법(pit-fall

trap)과 유인등을이용한라이트트랩법(Light trap) 등의방법

을 이용하여 주로 정성적인 채집을 실시하였다. 채집된 곤 충류는 실체현미경 하에서 분류·동정 하였으며, 일부 채집물 은 건조표본으로 제작한 후 동정하였다. 채집물은 국립공원 연구원에 보관하였으며 곤충목록은 “국립공원 생물종 목록 집”(국립공원연구원 2012)을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곤충류 다양성

2017년 주왕산국립공원에서 조사된 육상곤충은 15목 179

과 1,265종이 확인되었으며, 문헌조사는 환경청(1987) 15종, 이창언와윤일병(1990) 113종, 이종욱와서경인(1999) 368종, 국립공원연구원(2008) 426종, 조영호 등(2010) 409종과주왕 산국립공원사무소(2011)의 곤충 목록을 기준으로 비단노린 재(=북쪽비단노린재), 참뜰길앞잡이(참길앞잡이) 등의 동종 이명, 노란띠좀잠자리(날개띠좀잠자리), 귀뚜라미(탈귀뚜라 미), 벼메뚜기(우리벼메뚜기), 육점박이비단벌레(소나무육점 박이비단벌레), 잎벌레붙이(=중국잎벌레붙이), 노랑다리강도 래(진강도래), 어리상치과실파리(고들빼기과실파리) 등의국 명이명 정리및 세꼬마먼지벌레(새꼬마먼지벌레), 알통다리 하늘소(하늘소), 송솔나방(솔송나방), 검정무늬박각시(검정무

Table 2. Taxonomic list of insects on Juwang National Park.

Literature Survey Total Note

Family Species Family Species Family Species Un Over New

Ephemeroptera 1 2 2 4 2 4 - 2 2

Odonata 7 24 5 11 7 25 14 10 1

Dictyoptera 2 5 3 4 3 6 2 3 1

Plecoptera 2 2 3 5 4 6 1 1 4

Dermaptera 1 2 1 3 1 3 - 2 1

Orthoptera 7 37 6 23 7 44 21 16 7

Phasmida 1 1 - - 1 1 1 - -

Psocoptera - - 1 1 1 1 - - 1

Hemiptera 29 119 31 122 35 179 57 62 60

Neuroptera 4 4 6 8 8 10 2 2 6

Coleoptera 34 173 44 218 48 327 109 64 154

Hymenoptera 12 100 9 53 15 122 69 31 22

Mecoptera 1 2 1 1 1 2 1 1 -

Diptera 16 69 17 70 22 113 43 26 44

Trichoptera - - 7 12 7 12 - - 12

Lepidoptera 26 459 43 730 44 916 186 273 457

143 999 179 1265 206 1771 506 493 772

※Un: Unfind Species, Over: Overlapping, New: New Species

(4)

늬점박각시), 탐시버짐나방(탐시버짐밤나방), 주홍무늬저녁 밤나방(주홍흰무늬저녁밤나방), 씨자무늬거세미나방(씨자무 늬거세미밤나방), 붉은무늬갈색밤나방(붉은무늬다갈색밤나방) 오타, 오기재 정리 및 애매뚜기, 빨간날개쐐기노린재, 우단 풍뎅이, 어리뒤영벌재검토종 분석 등의분류학적인재정리 를 수행하여 주왕산국립공원전체육상곤충은총 16목 206 과 1,771종으로 정리하였다(Table 2). 문헌조사 및 2017년

조사를통해 확인된전체 육상곤충의분류군별출현종현황 은 나비목이 916종(51.27%)으로 가장 많은 종이 확인되었으 며, 딱정벌레목(327종, 18.46%), 노린재목(179종, 10.11%), 벌목(122종, 6.89%), 파리목(113종, 6.38%) 등의 순으로 나

타났다(Figure 2). 2017년 현지조사에서는 나비목(730종,

57.71%)이 가장높은 종수를 보였으며, 다음으로 딱정벌레

목(218종, 17.23%), 노린재목(122종, 9.64%)순으로 전체 곤 Figure 2. The status of insect fauna on Juwang National Park.

Table 3. Taxonomic list of insects in 5 region on Juwang National Park.

Woroe Sangui Jeolgol Gisa Gatbawi

F S F S F S F S F S

Ephemeroptera 1 1 1 1 1 2 1 1 1 1

Odonata 2 3 3 4 3 3 2 3 3 5

Dictyoptera 2 2 1 1 3 3 2 3 2 3

Plecoptera 2 3 2 2 - - 1 1 2 4

Dermaptera 1 2 1 2 1 2 1 3 1 1

Orthoptera 5 7 3 4 6 10 6 18 6 13

Psocoptera - - 1 1 - - - -

Hemiptera 18 57 13 29 13 24 24 74 17 31

Neuroptera 4 5 2 2 2 4 4 5 2 2

Coleoptera 29 69 26 62 20 42 33 111 21 59

Hymenoptera 5 17 4 23 5 24 7 22 6 33

Mecoptera - - - 1 1

Diptera 2 7 7 13 7 10 18 60 6 11

Trichoptera 5 6 2 2 5 5 6 8 2 2

Lepidoptera 30 351 31 279 26 248 30 278 26 192

106 530 97 425 92 377 135 587 96 358

※ F: Family, S: Species

(5)

충상과비슷한 양상으로조사되었다. 2. 지구별 곤충

지구별 조사 결과 월외지구에서 13목 106과 530종, 상의 지구에서 14목 97과 425종, 절골지구에서 12목 92과 377종, 기사지구에서 13목 135과 587종이갓바위지구에서 14목 96 과 358종이확인되어 총 15목 180과 1,268종이확인되었다. 각 지구별 곤충상을 살펴보면, 월외지구는 나비목 30과 351 종, 딱정벌레목 29과 69종, 노린재목 18과 57종순으로 나타 났으며, 상의지구는 나비목 31과 279종, 딱정벌레목 26과

62종, 노린재목 13과 29종, 절골지구는 나비목 26과 248종,

딱정벌레목 20과 42종, 노린재목 13과 24종, 기사지구는나

비목 30과 278종, 딱정벌레목 33과 111종, 노린재목 24과 74종순으로 나타났다(Table 3).

3. 법정보호종 및 주요곤충 자원

문헌조사및 현지조사를 통해 확인된 환경부에서 고시한 한국고유생물종(국립생물자원관 2011)은 34종, 국외반출승 인대상생물종은 169종, 기후변화생물지표종 4종과국립생물 자원관(한국의 멸종위기종)에서 지정한 적색목록(국립생물자 원관 2012a; 2012b; 2012c) 종 정보에 수록된 위기(Endangered,

EN)등급 1종, 취약(Vulnerable, VU)등급 11종, 준위협종

(Near Threatened, NT)등급 3종, 관심대상(Least Concern, LC)등급 163종이 확인되었으며, 환경지표종 및 정서곤충으 Figure 3. Composition ratio of each taxon on Juwang National Park.

Figure 4. Specific species in Juwang National Park.

(6)

로 활용되고 있는 애반딧불이, 늦반딧불이의 서식이 확인되 었다.

4. 고찰

본조사에서월외지구와 기사지구가다른 지구에비해곤 충 종다양성이 높게 나타난 것은 산림, 임연부 및 수변중 심의 초지대 등 다양한 서식지를 가지고 있다. 또한 조사 시 기상 및 날씨에 대한 간섭요인이 적어 야행성 곤충류의 조사가 타 지역에 비해 양호하게 수행되었으며, 이에 따라 곤충류의 다양성이 높게 나타났다. 상의지구와 절골지구의 경우조사지점 대부분이 계곡과 인접한 지점으로 계곡부에 서 불어오는 강한바람으로 인해비행성 곤충등 육상곤충 이 서식하기에 적합하지 않아 다른 지점에 비해 종수가 낮 게 관찰되었다.

지구별로 출현종 다양성을 주왕산국립공원사무소(2010)의 연구결과와 비교하면, 월외지구는 본 조사에서 530종이 출 현하여 주왕산국립공원사무소(2011)의 175종에 비해 355종 이 더 확인되었고, 상의지구는 425종이 출현하여 주왕산국 립공원사무소(2010)의 126종에 비해 299종이 더 확인 되었

다. 이는 본 지역의 생태계 안정성이 높아지면서 일부 분류 군들은 자연이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한 원 인으로 판단되지만, 이전 연구들에 비해 당해연구에서 조사 방법의 다양화, 조사횟수증가및 조사시기의다양성등이 주왕산국립공원의곤충 종다양성증가의 한원인으로판단 된다.

“기후변화생물지표 100종”으로 선정된 갈색발왕개미, 넓

적송장벌레, 어리대모꽃등에, 남방노랑나비 등은 기후변화에 따른 한반도 생물다양성 분포 변화를 효과적으로 감시 예측 할 수있는자료로 활용되고있으며, 월외지구에서 관찰된 애반딧불이와 늦반딧불이는 우리나라에서 예로부터 정서적 으로풍요로움과 아름다움을 느끼게 해주는 대표적인 문화 곤충으로 본 지역에서의 반딧불이는 생태적 가치 및 보전 방향의 결정지표일 뿐만 아니라 생태탐방 및 교육에 활용해 야 할 중요한 자산이라 할 수 있다.

2011년 주왕산국립공원 자원모니터링에서는 너구마을 인

근에서 100 개체이상이 관찰되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유충

1개체만 확인 되었다. 반딧불이는 환경(빛, 수질, 토양오염) 의 영향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종으로 너구마을 및 계곡 주 Table 4. Legally protected species of Juwang National Park.

Endemic species

한국큰그물강도래*,두눈강도래*, 등줄어리쌕쌔기*, 여치, 우리벼메뚜기*, 팔공산밑들이메뚜기*, 한국민날개밑들이메뚜 기, 남해얼룩매미충, 도토리애매미충*, 원표애보라사슴벌레*, 줄우단풍뎅이*, 꼬마청동줄풍뎅이, 고려청동방아벌레*, 눈큰산병대벌레*, 등점목가는병대벌레*, 연노랑목가는병대벌레*, 원통목가는병대벌레*, 묘향산거저리*, 고려둥글잎벌 레, 흰점맵시벌, 참밑들이*, 갈로이스등에*, 끝검정콩알락파리*, 날개알락파리*, 칼무늬원뿔나방*, 큰판돌기비늘뿔나방*, 노랑띠무늬들명나방*, 깜둥이창나방*, 얼룩갈고리나방*, 갈고리박각시*, 작은갈색재주나방*, 고려톱날무늬밤나방*, 우 리벼밤나방*, 태백밤나방*

Export restricted species

쇠측범잠자리*, 어리장수잠자리, 사마귀, 총채민강도래, 한국큰그물강도래*, 두눈강도래*, 진강도래*, 여치, 왕귀뚜라미, 땅강아지, 참볼록모메뚜기*, 방아깨비*, 콩중이*, 팔공산밑들이메뚜기*, 풀무치, 한국민날개밑들이메뚜기, 빨간긴쐐기노 린재*, 다리무늬침노린재*, 배홍무늬침노린재*, 왕침노린재, 에사키뿔노린재*, 풀색노린재*, 남해얼룩매미충, 도토리애 매미충*, 말매미, 소요산매미*, 애매미*, 대륙뱀잠자리, 보날개풀잠자리, 애사마귀붙이*, 별박이명주잠자리*, 뿔잠자리*, 길앞잡이*, 노랑무늬먼지벌레, 목가는먼지벌레, 쌍무늬먼지벌레*, 아이누길앞잡이*, 참길앞잡이, 물땡땡이*, 이마무늬송 장벌레, 남색좀반날개*, 녹슬은반날개*, 투구반날개*, 한국반날개*, 홍딱지반날개*, 넓적사슴벌레*, 다우리아사슴벌레*, 사슴벌레*, 애사슴벌레, 원표애보라사슴벌레*, 톱사슴벌레*, 홍다리사슴벌레*, 보라금풍뎅이*, 줄우단풍뎅이*, 참검정 풍뎅이*, 장수풍뎅이*, 등노랑풍뎅이*, 별줄풍뎅이*, 풍뎅이, 검정꽃무지*, 꽃무지, 풍이, 홀쭉꽃무지*, 금테비단벌레*, 검 정빗살방아벌레, 대유동방아벌레*, 시이볼드방아벌레*, 늦반딧불이*, 애반딧불이*, 눈큰산병대벌레*, 등점목가는병대벌 레*, 연노랑목가는병대벌레*, 원통목가는병대벌레*, 긴개미붙이*, 긴점무당벌레*, 노랑무당벌레*, 큰남색잎벌레붙이*, 묘향산거저리*, 국화하늘소*, 긴알락꽃하늘소*, 무늬소주홍하늘소*, 삼하늘소*, 알락하늘소, 털두꺼비하늘소*, 고려둥 글잎벌레, 넉점박이큰가슴잎벌레*, 사시나무잎벌레*, 팔점박이잎벌레*, 광릉긴나무좀*, 등빨간갈고리벌*, 흰점맵시벌, 두눈박이쌍살벌, 큰뱀허물쌍살벌*, 왕가위벌*, 어리호박벌*, 재래꿀벌*, 호박벌*, 참밑들이*, 갈로이스등에*, 왕소등에, 검 정파리매, 뒤영벌파리매*, 파리매, 끝노랑꽃등에, 삿포로수염치레꽃등에*, 왕꽃등에*, 진일꽃등에, 참꽃등에, 호박꽃과 실파리, 끝검정콩알락파리*, 날개알락파리*, 둥근날개날도래*, 띠무늬우묵날도래*, 점박이산애기잎말이나방*, 칼무늬원 뿔나방*, 대한비늘뿔나방*, 여름살이비늘뿔나방*, 큰판돌기비늘뿔나방*, 쌍돌기밑두리뿔나방*, 네점노랑물명나방*, 노 랑띠들명나방*, 선비들명나방, 칠점박이벼명나방, 그물무늬창나방*, 깜둥이창나방*, 얼룩갈고리나방*, 굵은줄제비가지 나방*, 남방잔날개물결자나방*, 네눈은빛애기자나, 방, 빗살무늬푸른자나방, 자작나무가지나방*, 톱날버들나방, 멧누에 나방*, 물결멧누에나방*, 왕물결나방, 긴꼬리산누에나방*, 네눈박이산누에나방*, 옥색긴꼬리산누에나방*, 유리산누에나 방*, 갈고리박각시*, 점박각시*, 주홍박각시*, 박쥐재주나방*, 작은갈색재주나방*, 붉은줄불나방*, 고려톱날무늬밤나방*, 북방노랑뒷날개나방*, 사촌주홍흰무늬저녁나방*, 우리벼밤나방*, 으름밤나방*, 탐시버짐밤나방, 호랑무늬밤나방*, 꼬마 흰점팔랑나비*, 돈무늬팔랑나비, 수풀떠들썩팔랑나비, 참알락팔랑나비, 흰점팔랑나비*, 꼬리명주나비, 산제비나비*, 극 남부전나비, 암고운부전나비*, 봄처녀나비, 외눈이지옥사촌나비, 유리창나비*, 은점표범나비, 제일줄나비, 참산뱀눈나비, 큰 은점선표범나비, 황세줄나비

Climate sensitive Biological

Indicator Species 넓적송장벌레, 갈색발왕개미*, 어리대모꽃등에, 남방노랑나비* Note: * 2017년출현종

(7)

변 가로등 및 수은등에 의한 빛 또는 서식처 주변의 수질 및 토양오염에 의한 개체수 감소가 판단되지만, 정확한 원 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애반딧불이의 분포현황 및 개체밀 도, 서식처나 먹이의 이용현황, 주변 환경 등에 관한 정밀조 사가 진행된 후 이에 대한 적절한 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국립공원연구원. 2008. 주왕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국립공원관 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2012. 국립공원생물종목록집(2012). 국립공원 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2014. 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분야별 매뉴얼.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2017. 주왕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국립공원관 리공단.

국립생물자원관. 2011. 한반도고유종총람.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2012a. 한국의멸종위기야생동·식물적색자료집 -곤충 I.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2012b. 한국의멸종위기야생동·식물적색자료집

-곤충Ⅱ.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2012c. 한국의멸종위기야생동·식물적색자료집 -곤충Ⅲ. 환경부.

주왕산국립공원사무소. 2010. 주왕산국립공원자원모니터링 2차 년도. 국립공원관리공단.

주왕산국립공원사무소. 2011. 주왕산국립공원자원모니터링 3차 년도. 국립공원관리공단.

환경청. 1987. 자연생태계전국조사-5차년도-. 환경청.

이종욱. 서경인. 1999. 제 2차전국자연환경기초조사. 청송지역의 자연생태조사보고서_청송, 주왕산일대의육상곤충, 환경부. 이창언, 윤일병. 1990. 자연생태계전국조사, 환경처.

조영호, 김영진, 한용구, 차진열, 정종철, 서정근, 남상호. 2010.

주왕산국립공원의 곤충류 다양성에 관한 연구.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1(3): 225-254.

Strong DR, Lawton JH, Sothwood R. 1984. Insects on Plants.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rd. 313pp.

Wilson, Edward. O. 1992. The diversity of life. Harvard University Press. 413pp.

(2018년 2월 20일접수; 2018년 3월 14일수정; 2018년 4월 26일채택)

Referensi

Dokumen terkait

82-85 2012 덕유산국립공원에서 유기오탁지수DAIpo를 이용한 수질 평가 박정원*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An Evaluation of Water Quality using DAIpo index in Deogyusan National Park, Korea Jung-Won Park * National Park

160-163 2011 국립공원 간이식 화장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심 규 원*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National Park's Portable Toilet Kyu-Won Sim *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