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PDF 비전공자 Sw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PDF 비전공자 Sw"

Copied!
29
0
0

Teks penuh

(1)

비전공자 SW교육 22년의 보람, 과제

한동대학교 이강

소프트웨어중심대학사업단 단장

한동대학교 김경미

소프트웨어중심대학사업단 전교생소프트웨어교육 실장

(2)

목차

1 2 3 4 5

한동대학교 비전공자 SW 교육의 특성 전교생 SW교육 변천사

SW교육과정 2015 개편의 특성

비전공자 SW교육 내실화를 위한 과제 비전공자 SW 교육과정, 키워드

(3)

개교 1995년부터 22년간 전교생 대상 교양 SW 교육 노하우 축적

여러 차례의 교과과정 개편과 진통이 따름

학생들의 만족도 높고 실제적인 영향력이 있음

이제 지금까지 겪어온 시행착오와 노하우들을 공유

비전공자 SW 교육을 준비하는 학교에 도움을 주고자 함

들어가면서

(4)

무전공/무학부제 운영

1학년 때 전공을 탐색하고, 2학년 때 전공 결정

문/이과 전공 변경에 제한이 없음

대부분의 학생 복수전공 운영

졸업 학기 까지 전공변경 가능

한동대학교 제도의 특징

(5)

1995년 개교 시부터 교양SW 교과목 3과목 이상 이수, 졸업 필수 요건 유지 중

모든 수업 분반 당 수강생 40~60명 강의로 전임교원 강의비율 85% 이상

모든 재학생이 주 전공과 SW를 결합 할 수 있는 ICT 기초 역량 제고

1학년 신입생들이 소프트웨어 소질과 잠재력 유무를 발견하는 기간 2015년 교과과정 개편 후

프로그래밍 교과목 일인당 평균 2.58과목을 수강(신입생 인원 대비)

한동대 전교생 기초 SW 교육의 특성

(6)

2.30%

7.40%

22.80%

52.30%

15.20%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음 별로 도움이 되지 않음 보통 도움이 됨 아주 많은 도움이 됨

0.0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수강한 프로그래밍 수업이 도움이 되었는가?

학생 만족도, 2016년 2학기 수강생

(7)

0.00%

0.00%

0.00%

46.30%

53.70%

0.0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음 별로 도움이 되지 않음 보통 도움이 됨 아주 많은 도움이 됨

수강한 프로그래밍 수업이 도움이 되었는가?

학생 만족도, 2017 신입생 예비대학

(8)

43.00%

17.90%

39.10%

0.0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45.00% 50.00%

영향을 받지 않았다 보통이다 영향을 받았다

전공결정 영향력

전공 결정 영향력, 2016년

(9)

공학부에 진학, 문과 출신 학생수

789

848 836 821 816

292 319

434 457

492

101 116

149 178 168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2012 2013 2014 2015 2016

인문 이공계합계 신입생

(10)

공학부에 진학하는 문과 출신 학생 비율 평균 35.7%

공학부에 진학, 문과 출신 학생 비율

입학년도 신입생 (명)

이공계열 진학 수 인원(명, %) 문과 출신(명, %)

2015년 ICT융합 학부 신

2012 789 292(37%) 101(35%) 2013 848 319(38%) 116(36%) 2014 836 434(52%) 149(34%) 2015 821 457(56%) 178(39%) 2016 816 492(60%) 168(34%)

(11)

시간(단위)

전임교원 외부강사

전담 5인 타학부 전임 시간강사 합계

최소 63 9 18 90

70% 10% 20% 8:2

최대 75 12 15 102

74% 12% 15% 8.5:1.5

학기당 개설 시수, 담당교원 현황

(12)

성공 비결

비결1, 사람

22년간 전임 교수 5명 유지, 책임감을 가진 교육과정 운영자

분반당 수강생 50여명 운영

비결2, 제도

졸업 필수 요건 유지

다년간의 교육 노하우가 녹아 든 교육과정

비결3, 마인드

전공탐색기간인 신입생 때부터 모든 학생이 수강, SW 교육을 자연스럽게 받아 들이 는 분위기

IT와 전공의 융합 분위기 확산

(13)

시기 졸업요건 프로그래밍 교과목 교원수

1995년 개교

~1996년 1학기

모든 학생이 21학점

전산 부전공 필수 C프로그래밍과 UNIX 필수 1인+5 1996년 2학기

~ 2003년

전산 부전공 21학점 또는 실무전산 12학점 이수 중 선택 필수

프로그래밍입문 또는

C프로그래밍 필수 2000년, 5인 2003년 ~

2014년

실무전산 8학점 필수 4개 교과목 수강, 1개 프로그래밍 언어

프로그래밍입문, 자바스크립트,

C프로그래밍 중 선택 5인 2015년 ~ 현

졸업학점 10학점 축소로 SW교과 7학점 필수

3개 교과목 수강, 2개 프로그래밍 언어

앱프로그래밍, 파이썬프로 그래밍, C프로그래밍

2개 프로그래밍 교과목 수 강 필수

5인

전교생 졸업필수 SW 교육 변천사

(14)

1995년 개교 ~ 1996년 1학기

전교생 21학점 전산 부전공 필수

C프로그래밍, Unix, 데이터구조등을 졸업 필수로 수강

운영 교원

전담교원 1인과 전산전자공학부 소속 전임교원 5인이 협력

개교초기로 2학년 전공자 수가 적은 상태라서 가능

문제점

법학, 언론정보, 국제어문 전공자 중 21학점 전산 부전공을 이수하기가 어려운 학생들이 속출하여 개편하게 됨

전교생 졸업필수 SW 교육, 1단계

(15)

1996년 2학기 ~ 2003년

전산 부전공 21학점 또는 실무전산 12학점 이수 중 선택 필수

학생 개인이 선택가능하도록 운영

12학점 선택자도 프로그래밍입문 또는 C프로그래밍 필수 수강

운영교원, 전담교원 5인으로 증가

1997년 전담교원 2인 충원

1999년 전담교원 1인 충원

2000년 전담교원 1인 충원

시간이 지날수록 21학점 전산부전공 선택자가 급격히 줄게 됨

전교생 졸업필수 SW 교육, 2단계

(16)

2003년 ~ 2014년, 11년 지속

실무 전산 8학점 필수

2학점 4개 교과목 수강, 이 중 1개 프로그래밍 언어 교과목 필수

프로그래밍입문, 자바스크립트, C프로그래밍 중 선택 필수로 운영

전반적인 교양 교과과정 개편을 하면서, 인성교육과 리더십 교과목 필수 시간을 늘리고 SW교과목 8학점으로 축소 됨

전공 학부나, 계열별로 필요한 SW 활용 강의 지정

전교생 졸업필수 SW 교육, 3단계

(17)

모든 재학생 C프로그래밍 필수

선택으로 전환

수준별 분반 운영

동일 교과목을 수준별로 제공하지 않고, 난이도가 다른 교과목 개설

각 전공별 지원 교과목 선정

전공 변경이 졸업 시까지 자유로운 제도, 계열별로 추천 교과목 권고

온라인 강의 병행

LMS 시스템 도입 필요

시행착오와 조처

(18)

2015 개편 교육과정

졸업학점이 140에서 13으로 축소되어, SW교과 8학점에서 7학점으로 변경프로그래 밍 능력 강화를 목표로 개편

7학점 3개 교과목 수강

2개 프로그래밍 교과목 수강 필수

1학년 1학기(기초코딩): 프로세싱 또는 앱인벤터 중 택 1(2학점)

1학년 2학기(고급코딩): 앱프로그래밍, 파이썬프로그래밍, C프로그래밍 중 택 1(3 학점)

2학년 이상(SW툴): 각 전공에 필요한 을 다루는 SW 교과목(2학점)

전교생 졸업필수 SW 교육, 4단계

(19)

전교생 1인 2개 컴퓨터 언어 경험 및 활용

모든 재학생이 주 전공과 SW를 결합 할 수 있는 ICT 기초 역량 제고

컴퓨팅적사고(computational thinking) 훈련

논리적사고력과 문제해결능력 배양

2015 개편 교육과정의 목표

(20)

구 분 ICT 입문

(선택필수, 2학점) 소프트웨어활용

(선택, 2학점) 프로그래밍기초 (선택필수, 3학점)

융합ICT 기초

최소 한과목 제한 없음 최소 한과목

“소프트웨어입문”

(프로세싱)

“ICT응용입문”

(앱인벤터)

“멀티미디어활용”

“스프레드시트고급활용”

“데이터통계처리”

“데이터베이스활용”

“하이브리드웹설계”

“컴퓨터그래픽기초”

“오피스활용”

“앱프로그래밍”

“파이썬프로그래밍”

“C프로그래밍”

추가 예정 자바스크립트프로그래밍

R프로그래밍

2015 개편 교육과정

(21)

교과목명 2015년

수강인원 2016년

수강인원 평균 초급 소프트웨어입문 (processing) 344명 386명

ICT응용입문 (app inventor) 278명 508명

중급

C프로그래밍 557명 569명

파이썬프로그래밍 314명 376명

앱프로그래밍 271명 547명

합계 1,744명 2,386명

신입생 수 대비 비중 218% 298% 258%

코딩 교과목 수강 현황

(22)

고교계열 ICT 입문

(선택필수, 2학점) 소프트웨어활용

(선택, 2학점) 프로그래밍기초 (선택필수, 3학점)

인문계열 “ICT응용입문”(앱인벤터)

“데이터통계처리”

“데이터베이스활용”

“컴퓨터그래픽기초”

“오피스활용”

“앱프로그래밍”

“파이썬프로그래밍”

이공계열

“소프트웨어입문”

(프로세싱) “스프레드시트고급활용”

“하이브리드웹설계”

“데이터통계처리”

“데이터베이스활용”

“파이썬프로그래밍”

“C프로그래밍”

기타(해외, 특수고)

“ICT응용입문”

(앱인벤터)

“소프트웨어입문”

(프로세싱)

“멀티미디어활용”

“데이터통계처리”

“컴퓨터그래픽기초”

“오피스활용”

“앱프로그래밍”

“파이썬프로그래밍”

“C프로그래밍”

계열별, 권고 수강교과목

(23)

수업 시, 질문 활성화

튜터 세션 운영

팀 프로젝트 진행, 발표

개강 첫 주과, 종강 직전에 설문조사하여 학생들의 의견을 수업에 반영

프로그래밍 수업에 Flipped learning 도입

프로그래밍 교육 운영 노하우

(24)

프로그래밍 교육 운영, 기타

2015년부터 예비대학 실시

수시 합격생 대상

ICT 입문 과정의 프로그래밍 교과목

팀 프로젝트 진행

오리엔테이션 기간 중 test 실시, 학점 인정자 85% 내외

Flipped learning 도입 이유와 운영방안

학생들의 수업 이해도가 더 높은 것으로 연구

On-line contents는 MooC, KMooC 강의 활용

On-line 학습을 돕기 위한 workbook 제작 활용

(25)

수준별 분반 운영

플립드 러닝의 효율적인 활용 방안

수강생들의 잠재 능력을 끌어내는 효율적인 교수 방안 연구

다양한 배경을(해외고교, 대안학교, 새터민 등) 고려한 수업 운영 방안

수강생들의 전공 학습에 프로그래밍을 활용 지도 방안

비전공자 SW 교육 내실화를 위한 과제

(26)

책임지고 운영 할 전담 교수 인력 확보

신입생 150~200명 당 교원 1인 권고

마인드 확산

코딩 교육에 대한 교내 리더십과 구성원들의 이해도 제고

기존 교양 교과 담당교수 설득

학생들의 마인드를 바꿀 수 있는 설득력 있는 근거 마련

제도적인 지원

SW교육과정 이수가 졸업요건이 되면 효과적

비전공자 SW 교육과정, 키워드

(27)

김경미 & 김현숙. (2014).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육 의 필요성에 대한 사례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2(11), 339-348.

김경미 & 김헌주. (2016). 프로그래밍 교육이 대학 신입생들의 전공결정에 미치는 영향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9(2), 51-60.

김경미 & 김현숙. (2017). 디지털시대에 플립드 러닝을 활용한 학습자 맞 춤형 소프트웨어 교육 방안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5(7), 55-64.

김경미 & 김헌주. (2017). 프로그래밍 성취도 분석을 통한 플립드 수업 효 과에 대한 고찰.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0(4), 15-25.

부수적인 결과, SW 교육관련 논문 출간

(28)

2017년부터 3년간 개설 9개 교과목 중, 비전공자 SW 교과목 2개 선정

2017년 2학기 “파이썬프로그래밍“ 개설, 현재 수강신청 중

2019년 2학기 “하이브리드웹설계"개설 준비 중

부수적인 결과, K-MooC 강의

(29)

감사합니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2017년 9월 22일

Referensi

Dokumen terkait

교양교육 연구개발 과제 공모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부설 한국교양기초교육원에서는 2021년 교양 교육 연구개발 3개 과제를 공모하오니 연구자분들의 적극적인 참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