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000000067362.pdf - S-Space - 서울대학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000000067362.pdf - S-Space - 서울대학교"

Copied!
177
0
0

Teks penuh

그러나 백남준의 퍼포먼스들은 단순히 미학적 강령들을 실천하는 것에서 벗어나, 전쟁의 기억과 그 직후 냉전기에 대한 강력한 정치적 수사들을 함의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했다. 예측불가하며 파괴적인 백남준의 퍼포 먼스를 지켜보던 당시의 독일 관객들은 그가 전쟁의 폭력적 장면들 을 끔찍하게 ‘재현’하는 정치적 행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받아들 였다.

서론

필자는 백남준이 정치성을 드러내는 이러한 방식이 플럭서스의 리. 액션뮤직의 시작: 백남준의 정치적 경험과 전후 서독 예술계.

액션뮤직의 시작: 백남준의 정치적 경험과 전후 서독 예술계 …13

동대문 밖으로 조금 나가면 커다란 한옥들이 쭉 있는 데 그 끄트머리에 가면 양옥집이 한 채 있지. 요시미 순야·다지마 데쓰오, 「냉전체제와.

전후 서독 예술계와 백남준의 액션뮤직의 시작

케이지, 뒤샹, 다다가 없이 플럭서스는 존재하지 못한다. 플럭서스는 포스트- 뒤샹, 포스트-케이지라는 지식으로부터 존재하고 창조한다.” Ben Vautier,.

독일시기 주요 퍼포먼스(1959-1961)의 정치성과 그 전략 …52

외무장관회의에 대한 뉴스”가 흘러나왔고, 정상적으로 피아노를 연주하다가 갑작스레 시작되는 2악장에서는 백남준이 “플라스틱 기관차를 집어 들고는 울부짖었다.”. 그러자 커다란 박수소 리가 울려퍼졌다. 악기를 부수는 사람은 독가스로 사람을 죽이는 것이다.” 저는 묻습니다.

파괴의 순간이 명백한 역할을 수 행하기 때문에 이 질문은 그다지 이상한 것이 아닙니다. 의〉에서부터 계속해서 케이지의 미학을 확장시키는 실험을 해온 것의 연장선으로 이해하면서, 마침내 그가 케이지의 넥타이를 자르 는 행위를 실천함으로써 일종의 “상징적 거세행위”를 한 것으로 설명했다.196). 미국인은 주로 일본에서 불교를 가져왔습니다.[…] 점령군으로서 미국인들은 이런 측면을 받아들였습니다.

우메하라 다케시는 자신의 글에서 선과 무사도(武士道)의 정신을 논하는 스즈키의 언설이 전쟁협력에. 한스 헬름스는 “백남준이 욕조에 들어갔다 나온 뒤 베토벤의.

일본 아방가르드 그룹에 대한 태도: 하이레드센터와 구타이…96

백남준이 명령 복종을 거부하는 이들이라고 묘사한 하이레드센 터는 기본적으로 좌익운동의 영향 하에서 등장하고 있던 그룹이었 다.266) 구로다 라이지(黒ダライ児)는 1960년부터 백남준이 일본에 도 착한 1963년까지를 이른바 ‘반예술 퍼포먼스’의 전성기로 정의했 는데, 이 시기에 등장한 하이레드센터, 네오다다 오거나이저, 규슈파 등의 그룹들은 자신들의 신체 행위를 통해 도시공간과 국가권력에 개입하는 반체제적 면모를 보이면서도 뚜렷한 정치성은 표방하지 않는 이른바‘비정치적 반역’의 성격을 공유하고 있었다.267) 이 같. 백남준은 하이레드센터를 평가하면서 이들이“정치적 이데올로 기와 관련이 없다”고 묘사했지만, 하이레드센터 멤버들은 철저하게 예술적 범주 내에 있는 것처럼 가장하는 방법으로 일본 정부의 정 책들에 개입하기를 시도하고 있었다. 아상블라쥬, 환경, 그리고 해프닝(Assemblage, Environments, and Happenings)』(1966)을 통해 구타이를 해프닝의 선구로 지목하고 있 었는데, 그가 이후 백남준에게 자신의 아방가르드 센터에 초대할 일 본 예술가들을 추천해 줄 것을 부탁했을 때에도 백남준은 구타이가 아닌 아카세가와 겐페이, 히지카타 타츠미, 이치야나기 토시, 코스기 다케히사를 추천했다.285).

머쉬는 케이지의 음악적인 실험들이 포스텔 이나 보이스와 같은 독일 기반 예술가들의 작품들에서는 어떻게 상 이한 방식들로 변용되고 있는지를 다루었는데, 그중에서도 백남준의 퍼포먼스는 재건기 독일인들의 이슈들을 성공적으로서 다룸으로써 케이지의 실험들을 비판적으로 타고 넘었다고 평가했다.299). 다른 하나는 무엇을 볼지에 대한 선택의 여지가 없는 텔레 비전의 이미‘결정된’송출 시스템에 대해 의도적으로 개입하고 방 해함으로써, 이데올로기적 도구로서 텔레비전의 역할에 대해 질문하 는 것이다.308). 백남준의 텔레비전 실험은 1차적으로는 괴츠와 케이지의 비결정 성에 대한 시각적인 탐구이면서도, 동시에 반-민주적이고 독재를 연 상시키는 텔레비전의 일-방향적 체계를 전복시키려는 의도를 내포 하고 있었다.314) 이는 독일인 관객들에게 텔레비전을 조작할 자유를 쥐어주거나 혹은 아예 보지 않을 자유까지도 획득하게 함으로써, 수 동적인 자세로 독재자의 명령에 복종해야만 했던 전쟁기의 기억으 로부터 해방시키는 것을 의미했다.

결론

백남준, 〈젊은 페니스를 위한 교향곡(Young Penis Symphony)〉, 1962, Festum Fluxorum Fluxus, Düsseldorf, Musik und Antimusik-Das Instrumentale Theater, Staatliche Kunstakademie Düsseldorf, Photo: Manfred Leve. 백남준, 〈TV를 위한 선(Zen for TV manipulated television set cm, 《음악의 전시-전자텔레비 전(Exposition of Music-Electronic Television)》, Galerie Parnass, Wuppertal, Museum Moderner Kunst Stiftung Ludwig Wien. 음악의 전시-전자텔레비전》전시를 준비 중인 백남준, 1963, Galerie Parnass, Wuppertal, Zentralarchiv des internationalen Kunsthandels(ZADIK), Photo: Rolf Jährling 도 39.

과달카날 레퀴엠(Guadalcanal Requiem)〉에서의 백남준과 샬롯 무어먼(Charlotte Moorman), 1977.4, Solomon Islands, Guadalcanal, Charles Deering McCormick Library of Special Collections, Northwestern University Library, Photo: Frank Pileggi. 백남준, 〈머리를 위한 선(Zen for Head)〉, 1962, Fluxus Internationale Festspiele Neuster Musik, Wiesbaden, Photo: DPA/Photoreporters. 백남준, 〈TV를 위한 선(Zen for TV)〉, 1963, manipulated television set cm, 《음악의 전시-전자텔레비전(Exposition of Music-Electronic Television)》, Galerie Parnass, Wuppertal, Museum Moderner Kunst Stiftung Ludwig Wien.

음악의 전시-전자텔레비전》전시를 준비 중인 백남준, 1963, Galerie Parnass, Wuppertal, Zentralarchiv des internationalen Kunsthandels (ZADIK), Photo: Rolf Jährling. 과달카날 레퀴엠(Guadalcanal Requiem)〉에서의 백남준과 샬롯 무어먼 (Charlotte Moorman), 1977.4, Solomon Islands, Guadalcanal, Charles Deering McCormick Library of Special Collections, Northwestern University Library, Photo: Frank Pileggi.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