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3. 노인의 소득보장
Social Welfare For The Aged
제 3 판
노인복지론
제 15 장 국민연금
CONTENTS
Social Welfare For The Aged
1. 도입과정
2. 부분적립방식 3. 적용대상
4. 급여
5. 보험료
6. 기금운용
Social Welfare For The Aged
1. 도입과정
적립방식으로 추진
.
1973
년1
월12
일 연두기자 회견에서 연금제도의 도입을 공식적으로 천명
.
1986
년8
월11
일 전두환 대통령은 하 계기자회견을 통해 제5
차 사회경제발전5
개년 계획의 일환으로 국민연금의 도입,
전 국민의료보험,
최저임금제의 도입 등을골자로 한 국민복지
3
대 정책을 발표.
국민연금은
1988
년부터시행
.
Social Welfare For The Aged
2. 부분정립방식
Social Welfare For The Aged
2. 부분정립방식
•
우리나라 국민연금은 기금을 조성한다는 점에서 적립방식이 분명하지만 완전한 적립방식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
시행 초기에 보험료율을 낮게 책정했다가 점진적으로 상향 조정(3% → 6% → 9%)
했고,
일정 한 재분배 기능도 갖고 있는데,
이는 부과방식의 특징이다.
•
우리나라 국민연금을 수정적립방식,
혼합방식 또는 부분적립 방식이라고 한다.
Social Welfare For The Aged
2. 부분정립방식
부분적립방식의 문제점
첫째
,
기금의 완전한 적립이 요구되는 적립방식과 기금을 전혀 필요로 하지 않는 부과방식 사이에서기금규모 설정의 임의성 여지가 너무 넓어 적립기금의 절대규모가 아무런 객관적인 기준이
없이 정치적ㆍ자의적으로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
.
둘째
,
보험료의 수준이 정치적 고려에 의해 책정될 위험성이 있다.
Social Welfare For The Aged
3. 적용대상
Social Welfare For The Aged
3. 적용대상
우리나라의 국민연금은1988
년 상시근로자10
인 이상의 사업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시작했 다.
국민연금의 가입자는 사업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로 구분된다.
다른 공적연금의 적용대상이 되는 직업계층과 공공부조대상자인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는 국 민연금에서 제외된다.
Social Welfare For The Aged
4. 급 여
Social Welfare For The Aged
4. 급 여
•
우리나라 국민연금 급여는 노령연금,
장애연금,
유족연금,
반환일시금으로 구성되어 있다.
•
노령연금은 기본연금에 부양가족연금을 가산한 금액으로 정해진다.
Social Welfare For The Aged
4. 급 여
•
국민연금 재정적자에 대비하기 위해2013
년부터 연금수급연령을60
세에서65
세로 단계 별연장하였다
.
•
즉1953-1956
년생61
세, 1957-1960
년생62
세, 1961-1964
년생63
세, 1965-
1968
년생64
세, 1969
년생 이후65
세로 연장한 것이다.
Social Welfare For The Aged
5. 보 험 료
Social Welfare For The Aged
5. 보험료
•
국민연금의 보험료는 가입자의 소득에 부과된다.
•
사업장가입자의 경우 소득이란 근로소득에서 비과세근로소득을 차감한 소득을 말하고,
지역가입자의 경우 농업소득
,
임업소득,
어업소득,
사업소득(
도매업,
소매업,
제조업 기 타의사업에서 얻는 소득
)
을 말한다.
Social Welfare For The Aged
5. 보험료
Social Welfare For The Aged
6. 기금운용
Social Welfare For The Ag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