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u 1학기 중간 고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u 1학기 중간 고사"

Copied!
16
0
0

Teks penuh

(1)

ALL 100

u 1학기 중간 고사

I. 실수와 그 계산

₩₩₩₩₩₩₩₩₩₩₩₩₩₩₩₩₩₩₩₩₩₩₩₩₩₩₩₩₩₩₩₩₩₩34

II. 다항식의 인수분해

₩₩₩₩₩₩₩₩₩₩₩₩₩₩₩₩₩₩₩₩₩₩₩₩₩₩₩₩39

III. 이차방정식

₩₩₩₩₩₩₩₩₩₩₩₩₩₩₩₩₩₩₩₩₩₩₩₩₩₩₩₩₩₩₩₩₩₩₩₩₩₩₩₩₩₩42

3

(2)

01 -

①, ②, ③, ⑤—'7 ④'7

01-

25의 양의 제곱근은'∂25=5이므로 a=5

(-4)¤ =16의 음의 제곱근은-'∂16=-4이므로 b=-4

a+b=5+(-4)=1

01-

(-1)¤ =1의 제곱근은—1이다.

㉣ 제곱근4는'4=2이다.

㉤'∂16=4의 양의 제곱근은'4=2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 ㉡이다.

01-

(삼각형의 넓이)=;2!;_13_6=39(cm¤ )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xcm라고 하면 x¤ =39x='∂39 (x>0)

따라서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39 cm이다.

02-

③-"√(-7)¤ =-7

02-

①, ③, ④, ⑤2 ②-2

02-

øπ0.H9='1 =1, æ≠{-;5!;}¤=;5!;, (-'∂0.3)¤ =0.3

Æ…;3¢6;=Æ;9!;=;3!;

따라서 주어진 수 중 근호를 사용하지 않고 나타낼 수 있 는 것은øπ0.H9, æ≠{-;5!;}¤, (-'∂0.3 )¤, Æ…;3¢6;의4개이다.

03 -

④"√(-12)¤ _0.25=12_0.5=6

03-

①'9+'∂25=3+5=8

②"√(-7)¤ -=7-4=3

③"ç18¤ -(-'∂12 )¤=18-12=6

(-'∂64 )_æ–{;8#;}2=-8_;8#;=-3

-28¤ ÷(-'7 )¤=-28÷7=-4

03-

(주어진 식)=7_2-5+6=15

04-

-a¤ =-(-a)=a

04 -

a>0이므로-2a<0

∴"ç-"√(-2a)¤ =a-{-(-2a)}

=a-2a=-a

04-

-1<a<3이므로a+1>0, a-3<0

∴"√(a+1)¤ +"√(a-3)¤ =(a+1)+{-(a-3)}

=a+1-a+3=4

04-

a<1, ;a!;>1이므로a-;a!;<0 a>0, ;a!;>0이므로a+;a!;>0

∴æ≠{a-;a!;}2-æ≠{a+;a!;}2=-{a-;a!;}-{a+;a!;}

∴æ≠{a-;a!;}2-æ≠{a+;a!;}2=-a+;a!;-a-;a!;

∴æ≠{a-;a!;}2-æ≠{a+;a!;}2=-2a

04-

a-b<0에서a<b이고ab<0이므로 a<0, b>0

따라서a-2b<0, -3a>0, b>0이므로

"√(a-2b)¤ -"√(-3a)¤ +"≈

=-(a-2b)-(-3a)+b

=-a+2b+3a+b

=2a+3b

05 -

'∂48x="√2› _3_x이므로x=3_(자연수)¤의 꼴이어

야 한다.

따라서 가장 작은 자연수x의 값은3이다.

05 -

æ≠ =æ≠ 이므로

x=5, 2¤ _5, 3¤ _5, 2› _5, 2¤ _3¤ _5, 2› _3¤ _5 따라서 가장 작은 자연수x의 값은5이다.

05 -

'∂60n="√2¤ _3_5_n이므로n=3_5_(자연수)¤의

꼴이어야 한다.

15=15_1¤60=15_2¤75=15_5

135=15_3¤` ⑤375=15_5¤

06 -

27+x가 자연수가 되려면27+x는27보다 큰 제곱수 이어야 하므로27+x=36, 49, 64, y

x=9, 22, 37, y

따라서 가장 작은 자연수x의 값은9이다.

06-

45-x가 정수가 되려면45-x는0또는45보다 작은 제곱수이어야 하므로45-x=0, 1, 4, 9, 16, 25, 36

x=9, 20, 29, 36, 41, 44, 45 따라서a=45, b=9이므로 a-b=45-9=36

06-

50-n이 자연수가 되려면50-n은50보다 작은 제곱 수이어야 하므로50-n=1, 4, 9, 16, 25, 36, 49

n=1, 14, 25, 34, 41, 46, 49

따라서 두 자리의 자연수n의 개수는6개이다.

2› _3¤ _5 x 720

x

│2~6쪽│

01-01-01- 1 01- ㉠, ㉡

01- '∂39 cm 02-02-

02- 4개 03-03-03- 15

04-04- -a 04- 4 04- -2a

04- 2a+3b 05- 3 05- 5

05-06- 9 06- 36 06- 6

07-07- '2 07- 4 08- 4개

08- 7 08- 12 09-09-

09-10-10- 점B 10- -2

11- ③, ④ 11-12-12-

12- b<c<a 12- 6

I . 실수와 그 계산

1. 제곱근과 실수

(3)

07-

①'2å5<'2å6이므로5<'2å6

②'ƒ0.04<'∂0.2이므로0.2<'∂0.2

③Æ;9!;<Æ;8!;이므로;3!;<Æ;8!;

④æ–;1¡5;>æ–;1¡6;이므로æ–;1¡5;>;4!;

⑤'4 >'3이므로-2<-'3

07-

0.6=;5#;=æ≠;2ª5;, æ;5!;=æ≠;2∞5;, 3='9이므로

æ;5!;<0.6<'2<'5<3

따라서 세 번째에 오는 수는'2이다.

07 -

'3<2이므로'3-2<0, '3+2>0

∴øπ('3-2)¤ +øπ('3+2)¤ =-('3-2)+('3+2)

=-'3+2+'3+2

=4

08-

1<'∂2x-13의 각 변을 제곱하면 1<2x-19, 2<2x10

1<x5

따라서 이를 만족하는 자연수x2, 3, 4, 5의4개이다.

08-

'5<x<'∂20의 각 변을 제곱하면 5<x¤ <20

따라서 이를 만족하는 자연수x3, 4이므로 3+4=7

08-

3<æ≠ <4의 각 변을 제곱하면

9< <16, 18<x+1<32

17<x<31

따라서M=30, m=18이므로 M-m=30-18=12

09-

①'9=3(유리수)

②0.H3(유리수)

④"ç7¤ =7`(유리수), 'ƒ0.01=0.1`(유리수), '∂25=5`(유리수)

⑤æ;9$;=;3@;`(유리수), "√(-3)¤ =3`(유리수)

09-

② 순환소수

③æ–;2¢5;=;5@;(유리수)

④æ≠{-;3!;}2=;3!;(유리수)

⑤'∂36=6(유리수)

09-

①0을 제외한 유리수는 유한소수 또는 순환소수(무한 소수)로 나타낼 수 있다.

③ 무한소수 중 순환소수는 유리수이다.

④, ⑤ 순환하지 않는 무한소수는 무리수이다.

x+1 2

x+1 2

10-

⑤ 점P에 대응하는 수는1+'2이다.

10-

점의 좌표는 각각 다음과 같다.

A(-2+'2 ), B(-1+'2 ), C('2 ), D(1+'2 ), E(2+'2 )

따라서'2 -1에 대응하는 점은 점B이다.

10-

ABCD=3_3-4_{;2!;_2_1}=5이므로

ABCD의 한 변의 길이는'5이다.

따라서AP”=AB”='5, AQ”=AD”='5이므로 a=-1+'5, b=-1-'5

a+b=(-1+'5 )+(-1-'5 )

=-2

11 -

③ 서로 다른 두 유리수 사이에는 무수히 많은 유리수 와 무리수가 있다.

④ 수직선은 유리수와 무리수, 즉 실수에 대응하는 점들 로 완전히 메울 수 있다.

11-

①'2와'3사이에는 무수히 많은 유리수가 있다.

②1과2사이에는 무수히 많은 무리수가 있다.

③;3!;과;2!;사이에는 무수히 많은 무리수가 있다.

⑤-'2와'2사이에 있는 정수는-1, 0, 1의3개이다.

12 -

①-2-(-1-'2 )=-1+'2 =-'1+'2 >0

∴-2>-1-'2

②(2-'2 )-('5-'2 )=2-'5='4-'5<0

∴2-'2<'5-'2

③('7+2)-4='7-2='7-'4 >0

∴'7+2>4

④(4-'3 )-(4-'2 )=-'3+'2<0

∴4-'3<4-'2

⑤(3-'5 )-1=2-'5='4-'5 <0

∴3-'5 <1

12 -

2<'6<3에서-3<-'6<-2

-1<2-'6<0

따라서2-'6에 대응하는 점이 있는 구간은 ②이다.

12-

a-b=('3+2)-('2+'3 )=2-'2='4-'2 >0

a>b

b-c=('2+'3 )-(2+'2 )='3-2='3-'4<0

b<c

a-c=('3+2)-(2+'2 )='3-'2 >0

a>c

b<c<a

12-

1<'3<2에서0<'3-1<1 2<'5<3에서3<'5+1<4

따라서 두 수 사이에 있는 정수는1, 2, 3이므로 1+2+3=6

(4)

01-

5'2="√5¤ _2='∂50a=50 '∂180="√6¤ _5=6'5b=6

a+b=50+6=56

01-

'7å2="√2‹ _3¤ =('2)‹ _('3)¤ =a‹ b¤

02-

②'∂50 ÷'2= =5

02-

2'6÷ _Ƭ:™3º:=2'6_ _ =4'6

a=4

02 -

⑴ (주어진 식)=4'6_3'2_

⑴ (주어진 식)=4

⑵ (주어진 식)= _ _ _

⑴ (주어진 식)=

;5#;

02-

2''3_'a_'∂12='8에서 2'2_ _'a_2'3=2'2 4'2_'a=2'2

'a=;2!; ∴a=;4!;

02-

BC”='6 cm, CD”='2 cm이므로 ABCD='6_'2=2'3 (cm¤ )

03 -

① = =

② = =

③ = =

④ = =

⑤ = ='∂21 3 '7_'3 '3_'3 '7

'3

'2 4 '2 2'2_'2 1

2'2

2'3 3 2_'3 '3_'3 2

'3

'6 2 '3_'2 '2_'2 '3

'2

'5 5 '5 '5_'5 1

'5 1 '3

'3 5'2 '5 '6 2'2 '∂15 3'3

'2

1 6'3

2'5 '3 '3 '5 '5

'3

5'2 '2

03-

= =a=;2(;

= = ∴b=;6%;

ab=;2(;_;6%;=;;¡4∞;;

03 -

직육면체의 높이를hcm라고 하면 3'5_2'6_h=36'∂10, 6'∂30h=36'∂10

h= = =2'3

따라서 직육면체의 높이는2'3 cm이다.

04-

⑵'ƒ0.173=æ– =

'ƒ0.173= =0.4159

04-

①'ƒ0.006=æ–;10§0º00;=

'ƒ0.006= =0.07746

②'ƒ0.06=æ–;10^0;= = =0.2449

③'∂0.6=æ–;1§0º0;= = =0.7746

④'∂600=10'6=10_2.449=24.49

⑤'ƒ6000=10'∂60=10_7.746=77.46

04-

210=10'∂2.1=10_1.449=14.49

0.21=æ≠ = = =0.4583

∴'ƒ210+0.21=14.49+0.4583

=14.9483

05-

3'∂28-5'8-'∂63+'∂18=6'7-10'2-3'7+3'2

=3'7-7'2 따라서a=3, b=7이므로

a+b=3+7=10

05-

'∂20-a'5+'∂125+'∂180=2'5-a'5+5'5+6'5

=(13-a)'5 따라서13-a=1이므로a=12

05-

b='3+ ='3+ =;3$;'3

따라서b의 값은a의 값의;3$;배이다.

05-

다음 표와 같이 빈칸에 알맞은 수를 각각A, B, C, D 라고 하자.

4'3+9'3+2'3=15'3이므로 A+3'3+4'3=15'3A=8'3 8'3+'3+B=15'3B=6'3 '3+C+9'3=15'3C=5'3 6'3+D+2'3=15'3D=7'3

'3 3 1

'3

4.583 10 '∂21

10 21 100

7.746 10 '6å0

10

2.449 10 '6 10 7.746

100

'6å0 100 4.159

10

'∂17.3 10 17.3

100 6 '3 36'∂10

6'∂30

5'2å1 6 5'7_'3 2'3_'3 5'7

2'3

9'6 2 9'3_'2

'2_'2 9'3

'2

│7~10쪽│

01- 56 01-02-02- 4

02- ⑴4⑵;5#; 02- ;4!;

02- 2'3 cm¤ 03- ②, ④ 03- ;;¡4∞;;

03- 2'3 cm 04-3.899⑵0.4159

04-04- 14.9483 05- 10

05- 12 05- ;3$;05- 해설 참조

05- 9'2 06- 5'2-2'∂10 06- 7

06- 3'3 06- ;1¡2; 06- 5'2+;2%;

06- 27 07- 20 07- 3 08- 6

08- 10 08- '3 09- 2 09- 09- 4a+4

'5 5

2. 근호를 포함한 식의 계산

A '3 B

'∂27=3'3 C D

'∂48=4'3 9'3 '∂12=2'3

(5)

05-

aæ≠ +bæ≠ =æ≠a¤ _ +æ≠b¤ _

='∂3ab+'∂12ab

='∂3_6+'∂12_6

=3'2+6'2

=9'2

06-

(주어진 식)= -

(주어진 식)

=3'2-'∂10-'∂10+2'2

(주어진 식)

=5'2-2'∂10

06-

('3+2'2 )¤ =('3 )¤ +2_'3_2'2 +(2'2 )¤

=3+4'6+8

=11+4'6 따라서a=11, b=4이므로 a-b=11-4=7

06 -

A= +2'3-4'2 A=2'2-'3+2'3-4'2 A=-2'2+'3

B='6{ - }- (2'6-2) A='3-2'2-2'3+'2

A=-'2-'3

A-2B=-2'2+'3-2(-'2-'3 )

=-2'2+'3+2'2+2'3

=3'3

06-

(1+3'3 )(4a-'3 )=4a-'3+12a'3-9

=4a-9+(12a-1)'3 이 수가 유리수가 되려면12a-1=0이어야 하므로 12a=1a=;1¡2;

06-

ABCD=;2!;_{'∂10+('∂10+'5 )}_'5 ABCD=;2!;_(2'∂10+'5 )_'5

ABCD=5'2+;2%;

06-

(주어진 식)={(2'3-3)(2'3+3)} ‹

=(12-9)‹ =3‹ =27

07-

=

=

=12+8'3 따라서a=12, b=8이므로 a+b=12+8=20

07-

(주어진 식)=

(주어진 식)

=

(주어진 식)

=;;¡4™;;=3

(5-2'5+1)+(5+2'5+1) 5-1

('5-1)¤ +('5+1)¤

('5+1)('5-1) 8'3+12

4-3 4'3(2+'3 ) (2-'3)(2+'3) 4'3

2-'3

1 '2 2 '3 1 '2 2'∂10-'∂15

'5

5'∂10-10'2 5 6'2-2'∂10

2

12a b 3b

a 12a

b 3b

a

08-

x=-1+'2에서x+1='2, (x+1)¤ =('2 )¤

x¤ +2x+1=2x¤ +2x=1

x¤ +2x+5=1+5=6

08-

x+y=(5-2'6 )+(5+2'6 )=10 xy=(5-2'6 )(5+2'6 )=25-24=1

;[!;+;]!;= =;;¡1º;;=10

08 -

(x+y)¤ =(x-y)¤ +4xy (x+y)¤=('2)¤ +4_;4!;=3

x+y=—'3

09-

= ='2+1

1<'2<2이므로2<'2+1<3 '2+1의 정수 부분은2이므로a=2

소수 부분은('2+1)-2='2-1이므로b='2-1

∴'2a-2b=2'2-2('2-1)

=2'2-2'2+2=2

09-

3<'∂12<4이므로'∂12의 정수 부분은3이다.

a=3

2<'5<3이므로-3<-'5<-2, 1<4-'5<2 즉, 4-'5의 소수 부분은(4-'5 )-1=3-'5이다.

b=3-'5

= = =

09-

1<'3<2이므로'3의 소수 부분은'3-1이다.

a='3-1 이때'3=a+1이므로 '∂48=4'3=4(a+1)=4a+4

'5 5 1 '5 1

3-(3-'5 ) 1

a-b

'2+1 ('2-1)('2+1) 1

'2-1

x+y xy

│11~13쪽│

01 02 03 04 05

06③, ④07 08 09 10 11 12

13 -1 14-16 15 1-2a162'∂10

17 ;;¡2¶;; 189'3 cm 19 -6 20'7-1

│서술형 문제│

01

'∂49=7의 제곱근은—'7이다.

02

'∂90x="√2_3¤ _5_x이므로x=2_5_(자연수)¤의 꼴 이어야 한다.

따라서100보다 작은 자연수x2_5=10, 2‹ _5=40, 2_3¤ _5=903개이다.

(6)

03

-4<-'∂x+2<-3에서3<'∂x+2<4 각 변을 제곱하면9<x+2<16 ∴7<x<14 따라서a=8, b=13이므로

a+b=8+13=21

04

-'∂16=-4, 3.H0H7=;;£9º9¢;;이므로 무리수는'∂0.4, p의2개 이다.

05

점의 좌표는 각각 다음과 같다.

A(3-'2 ), B(2+'2 ), C(5-'2 ), D(3+'2 ), E(4+'2 )

따라서5-'2에 대응하는 점은 점C이다.

06

-1과'2사이에 있는 자연수는1의1개이다.

④ 수직선은 유리수와 무리수, 즉 실수에 대응하는 점들로 완전히 메울 수 있다.

07

'∂0.03=æ–;10#0;=a=;1¡0;

4'∂10="√4¤ _10='∂160b=160

ab=;1¡0;_160=16

08

÷ _ = _ _

='3

09

'∂0.0402=æ– =

'∂0.0402= =0.2005

②'∂1.01=1.005

③'∂201=10'∂2.01=10_1.418=14.18

④'∂300=10'3=10_1.732=17.32

10

'∂17>'∂16이므로'∂17>4

②Æ;3!;>Æ;9!;이므로-Æ;3!;<-;3!;

③(2-'5 )-(2-'7 )=-'5+'7 >0

∴2-'5 >2-'7

④(2'3+1)-(3'2+1)=2'3-3'2='∂12-'∂18<0

∴2'3+1<3'2+1

⑤(6-'2 )-(2+2'2 )=4-3'2='∂16-'∂18<0

∴6-'2 <2+2'2

11

(주어진 식)= +

(주어진 식)

= +

(주어진 식)

=3'2+'6-2'3-3'2

='6-2'3

12

x=2-'6에서x-2=-'6, (x-2)¤ =(-'6 )¤

x¤ -4x+4=6x¤ -4x=2

∴"√x¤ -4x+10='∂2+10='∂12=2'3 6'3+9'2

6-9 6'2+2'6

3-1

3'2('6+3) ('6-3)('6+3) 2'6('3+1)

('3-1)('3+1) 2.005

10

'∂4.02 10 4.02

100

2'3 '∂15 '5 '3 3'2 2'2 '∂12 '∂15 '3 '5 '∂18 2'2

'3 10

13

'∂36=6의 음의 제곱근은-'6이므로

a=-'6 ⋯⋯40%

(-7)¤ =49의 양의 제곱근은'∂49=7이므로

b=7 ⋯⋯40%

-b=(-'6 )¤ -7=6-7=-1 ⋯⋯20%

14

'9="√3¤ =3, (-'5 )¤=5,"√(-3)¤ =3, '∂121="√11¤ =11

⋯⋯ 각20%

∴ (주어진 식)=-3-5+3-11

=-16 ⋯⋯20%

15

-3<a<4이므로4-a>0, -3-a<0 ⋯⋯30%

∴"√(4-a)¤ -"√(-3-a)¤

=(4-a)-{-(-3-a)} ⋯⋯40%

=4-a-3-a

=1-2a ⋯⋯30%

16

ABCD=4_4-4_{;2!;_3_1}=10이므로 ABCD의 한 변의 길이는'∂10이다. ⋯⋯30%

따라서AP”=AB”='∂10, AQ”=AD”='∂10이므로 a=3+'∂10, b=3-'∂10 ⋯⋯40%

a-b=(3+'∂10)-(3-'∂10)

=3+'∂10-3+'∂10

=2'∂10 ⋯⋯30%

17

+'∂75- +2'6= +5'3- +2'6

+'∂48- +2'6=;;¡3¶;;'3+;2#;'6 ⋯⋯50%

따라서a=;;¡3¶;;, b=;2#;이므로

ab=;;¡3¶;;_;2#;=;;¡2¶;; ⋯⋯50%

18

세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각각'∂12=2'3 (cm), '∂27=3'3 (cm), '∂48=4'3 (cm)이다. ⋯⋯60%

∴AB”=2'3+3'3+4'3

=9'3 (cm) ⋯⋯40%

19

(주어진 식)='5(3'5-a)-2'5(3+'5 )

=15-a'5-6'5-10

=5+(-a-6)'5 ⋯⋯40%

이 수가 유리수가 되려면-a-6=0이어야 한다.

⋯⋯40%

a=-6 ⋯⋯20%

20

3<'∂11<4이므로-4<-'∂11<-3, 1<5-'∂11<2 즉, 5-'∂11의 정수 부분은1이다.

a=1 ⋯⋯40%

2<'7<3이므로'7의 소수 부분은'7-2이다.

b='7-2 ⋯⋯40%

a+b=1+('7-2)

='7-1 ⋯⋯20%

'6 2 2'3

3 '3

'2 2

'3

│서술형 문제│

(7)

01-

8x¤ y-2xy=2xy(4x-1)

01-

-a¤ -5ab=-a(a+5b)

02-

3x¤ -75=3(x¤ -25)=3(x+5)(x-5)

x¤ +2x-8=(x-2)(x+4)

4x¤ -20x+25=(2x-5)¤

5x¤ -14x-3=(x-3)(5x+1)

02 -

2x¤ -3x-5=(x+1)(2x-5) 4x¤ -25=(2x+5)(2x-5)

따라서 두 다항식의1을 제외한 공통 인수는2x-5이다.

02-

12x¤ +5x-3=(3x-1)(4x+3) 따라서 두 일차식의 합은

(3x-1)+(4x+3)=7x+2

02-

a¤ -10a+25=(a-5)¤

9x¤ -3x-2=(3x+1)(3x-2)

③2x¤ -24x+72=2(x¤ -12x+36)=2(x-6)¤

25a¤ +60ab+36b¤ =(5a+6b)¤

x¤ +;4!;x+;6¡4;={x+;8!;}2

02 -

x¤ -1=(x+1)(x-1)

x¤ -5x-6=(x+1)(x-6)

2x¤ +x-1=(x+1)(2x-1)

x¤ +2x+1=(x+1)¤

3x¤ -2x-1=(x-1)(3x+1)

02-

2x¤ +7x-30=(x+6)(2x-5)이므로a=2, b=-5

x¤ +(a-b)x-ab=x¤ +7x+10

=(x+2)(x+5)

│14~18쪽│

01-01-02-02- 2x-5

02- 7x+202-02-

02- (x+2)(x+5) 02- 2x-10

02- (x+4)(x-6) 02- 2x-3

03- 40 03-03- ;7*; 04- 11

04- 8, 3x+4 04- -1

05- 8x+12 05- 4x+805- a+b

05- x-2 06-06- (x-y)(x-1)¤

07- (x-y+3)(x-y-7) 07-

07- 9 07- -6(x-y)(x+6y) 07- 1

08- a-1 08-08- 16

09- x+4y+6 09- (x+y-2)(x+y-3)

10-40000⑵8'3 10- 1 10- -210

11- 4'5 11- -4'3 11- 7-2'7 11- 8

II . 다항식의 인수분해

1. 다항식의 인수분해

02-

x¤ -12x+27=(x-3)(x-9)A=x-3 (x+1)(x-5)-16=x¤ -4x-21

=(x+3)(x-7)

B=x-7

A+B=(x-3)+(x-7)=2x-10

02-

(x+3)(x-8)=x¤ -5x-24이므로 지혜는 상수항 -24를 바르게 본 것이고, (x+2)(x-4)=x¤ -2x-8 이므로 주형이는x의 계수-2를 바르게 본 것이다.

x¤ -2x-24=(x+4)(x-6)

02-

"√x¤ +6x+9-"√x¤ -12x+36="√(x+3)¤ -"√(x-6)¤

이때0<x<6이므로x+3>0, x-6<0

∴ (주어진 식)=(x+3)-{-(x-6)}

=x+3+x-6=2x-3

03-

5x¤ +Ax+80=5{x¤ + x+16}에서

=2_1_4=8A=—40 그런데A>0이므로A=40

03-

={:¡2§:}2=64={ }2=16

y¤ -36y+36= y¤ -2_3y_6+6¤에서

=3¤ =9

25a¤ + a+;1¡6;=(5a)¤ + a+{;4!;}2에서

=2_5_;4!;=—;2%;

⑤;9!;x¤ + xy+9y¤ ={;3!;x}2+ xy+(3y)¤에서

=2_;3!;_3=2

03-

4x¤ -4x+A=4{x¤ -x+ }에서

={ }2=;4!; ∴A=1

;4!;x¤ +Bx+;4¡9;={;2!;x}2+Bx+{;7!;}2에서 B=—2_;2!;_;7!;=—;7!;`

그런데B>0이므로B=;7!;

A+B=1+;7!;=;7*;

04 -

2x¤ +ax+15=(2x+5)(x+m)이라고 하면 15=5_mm=3

따라서(2x+5)(x+3)=2x¤ +11x+15이므로a=11

04-

6x¤ +(2a+1)x+12=(2x+3)(3x+m)이라고 하면 12=3_mm=4

즉, (2x+3)(3x+4)=6x¤ +17x+12이므로 2a+1=17, 2a=16a=8

따라서a=8이고, 다른 일차식인 인수는3x+4이다.

04 -

2x¤ +ax-14=(x-2)(2x+m)이라고 하면 -14=-2_mm=7

즉, (x-2)(2x+7)=2x¤ +3x-14이므로a=3 3x¤ -4x+b=(x-2)(3x+n)이라고 하면 -4=n-6n=2

-1 2 A

4

A 4

-8 2 A

5

A 5

(8)

즉, (x-2)(3x+2)=3x¤ -4x-4이므로b=-4

a+b=3+(-4)=-1

05-

4x¤ +12x+9=(2x+3)¤이므로 이 액자의 한 변의 길 이는2x+3이다.

∴ (둘레의 길이)=4_(2x+3)=8x+12

05-

큰 직사각형의 넓이는x¤ +4x+3=(x+1)(x+3)이 므로

(둘레의 길이)=2{(x+1)+(x+3)}

=2(2x+4)=4x+8

05-

(도형 ㈎의 넓이)=b¤ -a¤ =(b+a)(b-a)

이때 두 도형 ㈎, ㈏의 색칠한 부분의 넓이가 같으므로 도형 ㈏의 가로의 길이는a+b이다.

05-

사다리꼴의 높이를h라고 하면

x¤ -;2!;x-3=;2!;_{(x-1)+(x+4)}_h x¤ -;2!;x-3=;2!;_(2x+3)_h

2x¤ -x-6=(2x+3)h

이때2x¤ -x-6=(x-2)(2x+3)이므로 사다리꼴의 높이는x-2이다.

06 -

x¤ (x-1)-y¤ (x-1)=(x-1)(x¤ -y¤ )

=(x-1)(x+y)(x-y)

06-

(주어진 식)=(x-y)(x¤ -2x+1)

=(x-y)(x-1)¤

07-

x-y=A라고 하면

(주어진 식)=(A+2)(A-6)-9=A¤ -4A-21

=(A+3)(A-7)

=(x-y+3)(x-y-7)

07-

x¤ +x=A라고 하면

(주어진 식)=A¤ -8A+12=(A-2)(A-6)

=(x¤ +x-2)(x¤ +x-6)

=(x-1)(x+2)(x-2)(x+3)

07 -

3x-1=A, x+6=B라고 하면 (3x-1)¤ -(x+6)¤ =A¤ -B¤

=(A+B)(A-B)

={(3x-1)+(x+6)}

{(3x-1)-(x+6)}

=(4x+5)(2x-7) 따라서a=4, b=5이므로a+b=4+5=9

07 -

x-3y=A, x+3y=B라고 하면 (주어진 식)=2A¤ -5AB-3B¤

=(2A+B)(A-3B)

={2(x-3y)+(x+3y)}

= {(x-3y)-3(x+3y)}

=(2x-6y+x+3y)(x-3y-3x-9y)

=(3x-3y)(-2x-12y)

=-6(x-y)(x+6y)

07-

(주어진 식)={(x+1)(x+4)} {(x+2)(x+3)}+k

=(x¤ +5x+4)(x¤ +5x+6)+k

이때x¤ +5x=A라고 하면 (주어진 식)=(A+4)(A+6)+k

=A¤ +10A+24+k 이 식이 완전제곱식이 되려면

24+k={:¡2º:}2, 24+k=25 k=1

08 -

ab-a-b+1=a(b-1)-(b-1)

=(b-1)(a-1) a¤ -ab-a+b=a(a-b)-(a-b)

=(a-b)(a-1)

따라서 두 다항식의1을 제외한 공통 인수는a-1이다.

08-

x‹ +x¤ -x-1=x¤ (x+1)-(x+1)

=(x+1)(x¤ -1)

=(x+1)(x+1)(x-1)

=(x+1)¤ (x-1)

08 -

9-x¤ -16y¤ +8xy=9-(x¤ -8xy+16y¤ )

=3¤ -(x-4y)¤

=(3+x-4y)(3-x+4y) 따라서a=-4, b=-1, c=4이므로

abc=-4_(-1)_4=16

09-

x¤ +4xy+5x-4y-6=4xy-4y+x¤ +5x-6

=4y(x-1)+(x-1)(x+6)

=(x-1)(x+4y+6)

A=x+4y+6

09 -

(주어진 식)=x¤ +2xy-5x+y¤ -5y+6

=x¤ +(2y-5)x+(y¤ -5y+6)

=x¤ +(2y-5)x+(y-2)(y-3)

=(x+y-2)(x+y-3) [다른 해설]

(주어진 식)=(x¤ +2xy+y¤ )-5(x+y)+6

=(x+y)¤ -5(x+y)+6 이때x+y=A라고 하면

(주어진 식)=A¤ -5A+6=(A-2)(A-3)

=(x+y-2)(x+y-3)

10-

⑴ (주어진 식)=204¤ -2_204_4+4¤

=(204-4)¤ =200¤

=40000

⑵ (주어진 식)={(2+'3 )+(2-'3 )}

{(2+'3 )-(2-'3 )}

=4_2'3=8'3

10 -

(주어진 식)=

(주어진 식)

= =1

10-

(주어진 식)=(1¤ -2¤ )+(3¤ -4¤ )+y+(19¤ -20¤ )

=(1+2)(1-2)+(3+4)(3-4) +y+(19+20)(19-20)

=(1+2+3+4+y+19+20)_(-1)

=-210 3009_3011 3011_3009

3009_(3010+1) (3010+1)(3010-1)

(9)

│19~20쪽│

01 ①, ④0203040506

0708

01

4x¤ -9=(2x+3)(2x-3)

x¤ -3x-10=(x+2)(x-5)

a(x+y)-4(x+y)=(x+y)(a-4)

02

2+(3a-2)x-15=(2x-3)(x+b)에서 3a-2=2b-3, -15=-3b

-15=-3b에서b=5

3a-2=2b-3에서3a-2=7, 3a=9a=3

ab=3_5=15

03

x› -16=(x¤ +4)(x¤ -4)=(x¤ +4)(x+2)(x-2)

04

6a¤ -36a+k=6{a¤ -6a+;6K;}에서

;6K;={ }¤ =9k=54

05

+ax+20=(x+5)(x+m)이라고 하면 20=5_mm=4

즉, (x+5)(x+4)=x¤ +9x+20이므로a=9 -6

2

09x-5 10(x+2)(x-6) 11 2a-112 10x-16 13 (a+b-2)(a+b+4) 144'3

│서술형 문제│

3x¤ +17x+b=(x+5)(3x+n)이라고 하면 17=15+nn=2

즉, (x+5)(3x+2)=3x¤ +17x+10이므로b=10

b-a=10-9=1

06

a¤ -2ab-2a+4b=a(a-2b)-2(a-2b)

=(a-2b)(a-2)

07

+-2xy-1=(-2xy+y¤ )-1=(x-y)¤ -1¤

=(x-y+1)(x-y-1) 따라서a=-1, b=1, c=-1이므로 a+b-c=-1+1-(-1)=1

08

"√26¤ -24¤ ="√(26+24)(26-24)

='∂50_2='∂100=10

09

2-3x-35=(x-5)(2x+7) ⋯⋯40%

4-100=4(x¤ -25)=4(x+5)(x-5) ⋯⋯40%

따라서 두 다항식의1을 제외한 공통 인수는x-5이다.

⋯⋯20%

10

(x-7)(x+3)=x¤ -4x-21이므로 동현이는x의 계수

-4를 바르게 본 것이다. ⋯⋯35%

(x-3)(x+4)=x¤ +x-12이므로 연정이는 상수항

-12를 바르게 본 것이다. ⋯⋯35%

-4x-12=(x+2)(x-6) ⋯⋯30%

11

"√a¤ +4a+4-"√a¤ -6a+9="√(a+2)¤ -"√(a-3)¤

⋯⋯20%

이때-2<a<3이므로a+2>0, a-3<0 ⋯⋯40%

∴ (주어진 식)=(a+2)-{-(a-3)}

=a+2+a-3=2a-1 ⋯⋯40%

12

6x¤-19x+15=(2x-3)(3x-5)이므로 직사각형의 세 로의 길이는3x-5이다. ⋯⋯50%

∴ (둘레의 길이)=2{(2x-3)+(3x-5)}

=2(5x-8)

=10x-16 ⋯⋯50%

13

a+b=A라고 하면 ⋯⋯20%

(주어진 식)=A(A+2)-8=A¤ +2A-8

=(A-2)(A+4) ⋯⋯50%

=(a+b-2)(a+b+4) ⋯⋯30%

14

x= =

x= ='3+'2

y= =

y= ='3-'2 ⋯⋯30%

x¤ y+xy¤ +x+y=xy(x+y)+(x+y)

=(x+y)(xy+1) ⋯⋯ 30%

x+y=('3+'2 )+('3-'2 )=2'3,

xy=('3+'2 )('3-'2 )=3-2=1이므로 ⋯⋯30%

(x+y)(xy+1)=2'3_(1+1)=4'3 ⋯⋯10%

'3-'2 3-2

'3-'2 ('3+'2 )('3-'2 ) 1

'3+'2 '3+'2 3-2

'3+'2 ('3-'2 )('3+'2 ) 1

'3-'2

11-

x¤ -y¤ -8x+8y=(x¤ -y¤ )-8(x-y)

=(x+y)(x-y)-8(x-y)

=(x-y)(x+y-8)

='5_(12-8)=4'5

11-

x= = ='3-1

y= = ='3+1

이때x+y=('3-1)+('3+1)=2'3, x-y=('3-1)-('3+1)=-2이므로 x¤ -y¤ =(x+y)(x-y)=2'3_(-2)=-4'3

11-

x+2=A라고 하면

(x+2)¤ -4(x+2)+3=A¤ -4A+3

=(A-1)(A-3)

=(x+2-1)(x+2-3)

=(x+1)(x-1)

=('7-1+1)('7-1-1)

='7_('7-2)=7-2'7

11 -

2'2='8에서2<'8<3, 즉2<2'2<3이므로 5<3+2'2<6

x=(3+2'2 )-5=2'2-2

x¤ +4x+4=(x+2)¤ ={(2'2-2)+2}¤

=(2'2 )¤ =8 2('3+1) ('3-1 )('3+1 ) 2

'3-1

2('3-1) ('3+1 )('3-1 ) 2

'3+1

│서술형 문제│

(10)

02-

㉠(-2)¤ +2_(-2)=0

(-2)¤ -3_(-2)+2+0

(-2)¤ -(-2)+0

(-2)¤ +(-2)-2=0

따라서x=-2를 해로 갖는 이차방정식은 ㉠, ㉣이다.

02-

x=-1일 때, (-1)¤ -4_(-1)-5=0 x=0일 때, 0¤ -4_0-5+0

x=1일 때, 1¤ -4_1-5+0

따라서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해는x=-1이다.

03-

x=-1x¤ -(2a+1)x+3a+2=0에 대입하면 1+(2a+1)+3a+2=0, 5a=-4

a=-;5$;

03 -

x=4x¤ +ax+4=0에 대입하면 16+4a+4=0, 4a=-20

a=-5

x=4x¤ =-x+b에 대입하면 16=-4+bb=20

b-a=20-(-5)=25

03 -

x=a5x¤ +3x-3=0에 대입하면 5a¤ +3a-3=0 ∴5a¤ +3a=3 x=b2x¤ +3x+1=0에 대입하면 2b¤ +3b+1=0 ∴2b¤ +3b=-1

5a¤ +3a-2b¤ -3b=5a¤ +3a-(2b¤ +3b)

=3-(-1)=4

03 -

x=mx¤ -4x+1=0에 대입하면 m¤ -4m+1=0

m+0이므로 양변을m으로 나누면 m-4+ =0m+ =4

m¤ + ={m+ }2-2

=4¤ -2=14

04-

(x+3)(x-2)=0에서x+3=0또는x-2=0

x=-3또는x=2

04-

2x+3=0또는;2!;x-6=0

x=-;2#;또는x=12

05-

3x¤ +x-4=0에서(3x+4)(x-1)=0

x=-;3$;또는x=1

05 -

(x-3)(x-5)=2x-9에서

x¤ -8x+15=2x-9, x¤ -10x+24=0 (x-4)(x-6)=0

x=4또는x=6

이때a>b이므로a=6, b=4

a+2b=6+2_4=14 1 m 1

1 m 1

m

│21~24쪽│

01-01- a+3 01-02-

02-02- ㉠, ㉣ 02- x=-1

03- -;5$; 03- 25 03- 4 03- 14

04-04-05- x=-;3$;또는x=1

05- 14 05- x=2 05- 3 05- 1

05- 3 06- ②, ④ 06-06- 5

06- -5 06- 1, 13 06- ;1¡8;

07- x=-307- 13 07- 7

07- 2'1å0 08- 29 08-08- -2 '7

2

III . 이차방정식

1. 이차방정식의 풀이

01-

x¤ -16=x¤, 즉-16=0이므로 거짓인 등식이다.

x¤ -3x=x¤ -x, 즉-2x=0이므로 일차방정식이다.

③-x¤ +1=0이므로 이차방정식이다.

x¤ +4x+4=x¤ -1, 즉4x+5=0이므로 일차방정 식이다.

-3x(x¤ -1)=0, 즉-3x‹ +3x=0이므로 이차방 정식이 아니다.

01-

3(x+1)¤ =ax¤ -3x+5에서 3x¤ +6x+3=ax¤ -3x+5 (3-a)x¤ +9x-2=0

이 식이x에 대한 이차방정식이 되려면3-a+0이어야 한다.

a+3

01-

(ax-1)(x+2)=-5x¤ +2에서 ax ¤ +2ax-x-2=-5x¤ +2 (a+5)x¤ +(2a-1)x-4=0

이 식이x에 대한 이차방정식이 되려면a+5+0이어야 한다.

a+-5

02-

①-2_(2+2)+0 ②(-5)¤ -5_(-5)+0

③(-3)¤ +9+6_(-3) ④4¤ +4-12+0

⑤5_1¤ -2_1-3=0

따라서 [ ] 안의 수가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해인 것은

⑤이다.

02-

-(-3-3)¤+0

(-3)¤ -3_(-3)+0

(-3)¤ +6_(-3)+9=0

(-3)¤ +(-3)+3+0

2_(-3-3)_(-3+5)+0 따라서x=-3을 해로 갖는 것은 ③이다.

(11)

05-

x¤ +5x-14=0에서(x+7)(x-2)=0

x=-7또는x=2

2x¤ +5x-18=0에서(2x+9)(x-2)=0

x=-;2(;또는x=2

따라서 두 이차방정식의 공통인 해는x=2이다.

05-

x=3(a-1)x¤ -7x+3=0에 대입하면 9(a-1)-21+3=0, 9a=27a=3 즉, 주어진 이차방정식은2x¤ -7x+3=0이므로 (2x-1)(x-3)=0x=;2!;또는x=3 따라서 다른 한 근은;2!;이므로b=;2!;

2ab=2_3_;2!;=3

05-

x¤ -x-2=0에서(x+1)(x-2)=0

x=-1또는x=2

이때 두 근 중 음수인 근은-1이므로x=-1x¤ -2ax-3a=0에 대입하면

1+2a-3a=0, -a=-1

a=1

05-

x=2(a-1)x¤ -(a¤ +3)x+4(a+1)=0에 대입 하면

4(a-1)-2(a¤ +3)+4(a+1)=0

4a-4-2a¤ -6+4a+4=0, 2a¤ -8a+6=0 2(a¤ -4a+3)=0, 2(a-1)(a-3)=0

a=1또는a=3

그런데a-1+0, 즉a+1이어야 하므로a=3

06-

(x-2)¤ =4에서x¤ -4x+4=4 x¤ -4x=0, x(x-4)=0

x=0또는x=4

(x+2)¤ =0에서x=-2(중근)

x¤ -3x-4=0에서(x+1)(x-4)=0

x=-1또는x=4

9x¤ -12x+4=0에서(3x-2)¤ =0

x=;3@;(중근)

x¤ =81에서x¤ -81=0

(x+9)(x-9)=0x=-9또는x=9

06 -

x¤ -6x+9=0에서(x-3)¤ =0

x=3(중근)

4x¤ +4x+1=0에서(2x+1)¤ =0

x=-;2!;(중근)

3x¤ -24x+48=0에서3(x¤ -8x+16)=0 3(x-4)¤ =0x=4(중근)

2x¤ -4x-6=0에서2(x¤ -2x-3)=0 2(x+1)(x-3)=0x=-1또는x=3

x=0(중근)

06-

2k-6={;2$;}2에서2k=10

k=5

06 -

이차방정식2(x+3)¤ =a+2가 중근을 가지려면 a+2=0a=-2

즉, 2(x+3)¤ =0의 해는x=-3(중근)이므로 m=-3

a+m=-2+(-3)=-5

06-

2m-1=[ ]¤에서m¤ -14m+13=0 (m-1)(m-13)=0

m=1또는m=13

06-

모든 경우의 수는6_6=36

이차방정식x¤ -2ax+b=0이 중근을 가지려면 b={ }2, 즉b=a¤이어야 한다.

b=a¤을 만족하는 순서쌍(a, b)(1, 1), (2, 4)2가지이므로 구하는 확률은;3™6;=;1¡8;

07-

4(x+3)¤ =7에서(x+3)¤ =;4&;

x+3=— ∴x=-3

07-

(x+A)¤ =17에서x+A=—'∂17

x=-A—'∂17

따라서A=4, B=17이므로 B-A=17-4=13

07-

;2!;(x-5)¤ =4에서(x-5)¤ =8 x-5=2'2x=52'2 따라서a=5, b=2이므로 a+b=5+2=7

07-

2(x-2)¤ -20=0에서(x-2)¤ =10 x-2=—'∂10x=2—'∂10 따라서 두 근의 차는

2+'∂10-(2-'∂10 )=2'∂10

08-

x¤ -12x+1=0에서x¤ -12x=-1 x¤ -12x+36=-1+36

(x-6)¤ =35

따라서a=-6, b=35이므로 a+b=-6+35=29

08-

x¤ -6x-2=0에서x¤ -6x=2 x¤ -6x+9=2+9, (x-3)¤ =11 x-3=—'1å1 x=3—'1å1

08-

x¤ -10x-p=0에서x¤ -10x=p x¤ -10x+25=p+25, (x-5)¤ =p+25 x-5=—'ƒp+25

x=5—'ƒp+25

따라서p+25=23이므로p=-2 '7

2 '7

2 -2a

2

-(m-3) 2

(12)

01-

x= = 따라서A=-3, B=5이므로 A-B=-3-5=-8

01-

x=

x=

따라서25-8a=41에서-8a=16a=-2

01-

x¤ +2x-5=0에서

x=-1—"√1¤ -1_(-5)=-1—'6 3x+1<-5에서3x<-6x<-2 따라서 구하는x의 값은-1-'6이다.

01-

x=-(-2)"√(-2)¤ -1_2=2—'2 이때a>b이므로a=2+'2, b=2-'2

따라서2-'2-2<n<2+'2-2에서-'2<n<'2 이므로 조건을 만족하는 정수n-1, 0, 13개이다.

02-

양변에10을 곱하면2x¤ +7x=-4 2x¤ +7x+4=0

x= =

따라서A=-7, B=17이므로 A+B=-7+17=10

02-

양변에12를 곱하면4(x¤ +1)-3(x+3)=2x 4x¤ +4-3x-9=2x, 4x¤ -5x-5=0

x=

x=5—'ƒ105 8

-(-5)—"√(-5)¤ -4_4_(-5) 2_4

-7—'1å7 4

-7—"√7¤ -4_2_4

2_2 5—'∂25-8a

4

-(-5)—"√(-5)¤ -4_2_a 2_2

-3—'5 2

-3—"√3¤ -4_1_1

2_1

│25~29쪽│

01- -8 01- -2 01- -1-'6

01- 302- 10 02- x=

02- x=;2!; 02- x=-2—'∂10 02- 0

02- 2 03- ㉡, ㉣ 03- 6 03- 4

03-03- 6개 04- -2 04- 30

04- -2 04- -;1£1; 04- 46 04- ;2&;

04- -12 05- 27 05- -10 05-

05- -2'∂10 06- -8 06- -12

06- 1 07- 2x¤ +12x+18=0

07- 6x¤ -x-1=0 07- 3x¤ -5x+1=0

07- x=-1또는x=-5 08- 16 08- 십각형

08- 3초 09- 5 cm 09- 2 m 09- 3 m

09- P(3, 10)또는P(5, 6)

5—'ƒ105 8

2. 이차방정식의 근의 공식과 활용 02-

0.6x¤ -1.3x+0.5=0의 양변에10을 곱하면 6x¤ -13x+5=0, (2x-1)(3x-5)=0

x=;2!;또는x=;3%;

;3@;x¤ -;3&;x+1=0의 양변에3을 곱하면

2x¤ -7x+3=0, (2x-1)(x-3)=0

x=;2!;또는x=3

따라서 두 이차방정식의 공통인 해는x=;2!;이다.

02-

양변에10을 곱하면6+4x(x-1)=5x¤

6+4x¤ -4x=5x¤ , x¤ +4x-6=0

x=-2—"√2¤ -1_(-6)=-2—'∂10

02 -

5x+1=A라고 하면A¤ -2A-24=0 (A+4)(A-6)=0A=-4또는A=6 즉, 5x+1=-4또는5x+1=6이므로 x=-1또는x=1

따라서 두 근의 합은-1+1=0

02-

x-2y=A라고 하면A(A+4)+4=0 A¤ +4A+4=0, (A+2)¤ =0∴∴

A=-2(중근) 즉, x-2y=-2이므로

2y-x=-(x-2y)=-(-2)=2

03-

b¤ -4ac=0¤ -4_1_(-5)=20>02

b¤ -4ac=1¤ -4_1_6=-23<0 ∴0개

b¤¤ -4ac=4¤ -4_2_2=01

b¤ -4ac=(-4)¤ -4_3_2=-8<0 ∴0개 따라서 근을 갖지 않는 것은 ㉡, ㉣이다.

03-

x¤ +4x=3-k에서x¤ +4x-3+k=0

b¤ -4ac=4¤ -4_1_(-3+k)>0이어야 하므로 16+12-4k>0, -4k>-28k<7 따라서 정수k의 최댓값은6이다.

03 -

b¤ -4ac=(m-2)¤ -4_9_1=0이어야 하므로 m¤ -4m-32=0, (m+4)(m-8)=0

m=-4또는m=8

따라서 모든 상수m의 값의 합은-4+8=4

03-

3x¤ -6x+k=0에서

b¤ -4ac=(-6)¤ -4_3_k=36-12k

k=-1이면36+12=48>0이므로 서로 다른 두 근을 갖는다.

k=0이면36-0=36>0이므로 서로 다른 두 근을 갖는다.

k=3이면36-36=0이므로 중근을 갖는다.

k=4이면36-48=-12<0이므로 근을 갖지 않는 다.

k=6이면36-72=-36<0이므로 근을 갖지 않는 다.

(13)

03-

이차방정식x¤ -4x+p=0이 근을 갖지 않으므로 b¤ -4ac=(-4)¤ -4_1_p<0, 16-4p<0 -4p<-16p>4

이차방정식x¤ +6x+p-1=0이 근을 가지므로 b¤ -4ac=6¤ -4_1_(p-1)æ0, 36-4p+4æ0 -4pæ-40p10

따라서4<p…10을 만족하는 정수p는5, 6, 7, 8, 9, 10의6개이다.

04-

a=-;3%;, b=-;3!;이므로 a+b=-;3%;+{-;3!;}=-2

04-

(두 근의 합)=-1+6=-aa=-5 (두 근의 곱)=-1_6=bb=-6

ab=-5_(-6)=30

04-

이차방정식x¤ -2x-7=0의 두 근의 합은2이므로 x=22x¤ -3x+k=0에 대입하면

8-6+k=0k=-2

04-

이차방정식4+px+q=0의 두 근이-3, ;4!;이므로 (두 근의 합)=-3+;4!;=-;4P;

-;;¡4¡;;=-;4P;p=11

(두 근의 곱)=-3_;4!;=;4Q;

-;4#;=;4Q;q=-3

따라서 이차방정식11+3x-2=0의 두 근의 합은

-;1£1;이다.

04-

이차방정식+5x-7=0에서 (두 근의 합)=-5, (두 근의 곱)=-7

즉, 이차방정식2+ax+b=0의 두 근이-5, -7이 므로

(두 근의 합)=-5+(-7)=-;2A;

-12=-;2A;a=24 (두 근의 곱)=-5_(-7)=;2B;

35=;2B;b=70

b-a=70-24=46

04-

두 근을a, a+3이라고 하면 (두 근의 합)=a+(a+3)=5 2a=2 ∴a=1

따라서 두 근은1, 4이므로 (두 근의 곱)=1_4=2k-3

2k=7k=;2&;

04-

두 근을a, 3a라고 하면 (두 근의 합)=a+3a=m+6 4a=m+6 ∴m=4a-6 (두 근의 곱)=a_3a=12 a¤=4 ∴a=-2또는a=2

⁄ a=-2일 때, m=-8-6=-14

¤ a=2일 때, m=8-6=2

⁄, ¤에 의하여 모든 상수m의 값의 합은 -14+2=-12

05-

a+b=-3, ab=-6이므로 a¤ -ab+b¤=(a+b)¤ -2ab-ab

=(a+b)¤ -3ab

=(-3)¤ -3_(-6)=27

05-

a+b=4, ab=-2이므로

;å©;+;∫ƒ;= =

;å©;+;∫ƒ;= = =-10

05 -

a+b=3, ab=1이므로

①a¤ +b¤ =(a+b)¤ -2ab=3¤ -2_1=7

(a-b)¤ =(a+b)¤ -4ab=3¤ -4_1=5

;å!;+;∫!;= =3

+ = = =7

⑤a¤b+ab¤ =ab(a+b)=1_3=3

05-

a+b=-2, ab=-;2#;이므로

(a-b)¤ =(a+b)¤ -4ab

(a-b)¤=(-2)¤ -4_{-;2#;}=10

∴a-b=—'∂10

그런데a>b이므로a-b>0

∴a-b='∂10

∴a¤ -b¤ =(a+b)(a-b)

=-2_'∂10=-2'∂10

06-

한 근이4-'5이므로 다른 한 근은4+'5이다.

(두 근의 합)=(4-'5 )+(4+'5 )=-a

a=-8

06-

한 근이2-2'3이므로 다른 한 근은2+2'3이다.

(두 근의 합)=(2-2'3 )+(2+2'3 )=-a

a=-4

(두 근의 곱)=(2-2'3 )(2+2'3 )=b

b=-8

a+b=-4+(-8)=-12

06 -

1<'2<2에서-2<-'2<-1

1<3-'2<2

이때3-'2의 정수 부분이1이므로 소수 부분은 (3-'2 )-1=2-'2

따라서 한 근이2-'2이므로 다른 한 근은2+'2이다.

(두 근의 곱)=(2-'2 )(2+'2 )=-a+3 2=-a+3a=1

07-

중근이-3이고의 계수가2인 이차방정식은 2(x+3)¤ =0, 2(x¤ +6x+9)=0

2x¤ +12x+18=0

a¤ +b¤

(ab)¤

a¤ +b¤

a¤b¤

1 b¤

1 a¤

a+b ab

20 -2 4¤ -2_(-2)

-2

(a+b)¤ -2ab ab a¤ +b¤

ab

(14)

07-

두 근이;2!;, -;3!;이고의 계수가6인 이차방정식은 6{x-;2!;} {x+;3!;}=0, 6{x¤ -;6!;x-;6!;}=0

6x¤ -x-1=0

07 -

a+b=5, ab=3이므로

;å!;+;∫!;= =;3%;

;å!;_;∫!;=;å¡∫;=;3!;

따라서 구하는 이차방정식은3{x¤ -;3%;x+;3!;}=0

3x¤ -5x+1=0

07-

두 근이1, 5이고의 계수가1인 이차방정식은 (x-1)(x-5)=0, 즉x¤ -6x+5=0

이때 지민이는 상수항을 바르게 보았으므로 상수항은5 이다.

두 근이-4, -2이고의 계수가1인 이차방정식은 (x+4)(x+2)=0, 즉x¤ +6x+8=0

이때 경철이는x의 계수를 바르게 보았으므로x의 계수 는6이다.

따라서 처음에 주어진 이차방정식은x¤ +6x+5=0이 므로

(x+1)(x+5)=0x=-1또는x=-5

08-

연속하는 두 홀수를x, x+2(xæ1)라고 하면 x¤ +(x+2)¤ =130, x¤ +2x-63=0 (x+9)(x-7)=0 x=-9또는x=7 그런데xæ1이므로x=7

따라서 연속하는 두 홀수는7, 9이므로 구하는 합은 7+9=16

08 -

=35에서-3n-70=0

(n+7)(n-10)=0n=-7또는n=10 그런데næ3이므로n=10

따라서 구하는 다각형은 십각형이다.

08-

35t-5t¤ =50에서t¤ -7t+10=0 (t-2)(t-5)=0 t=2또는t=5

따라서 이 물체가50 m이상의 높이에서 머무는 것은2 초부터5초까지이므로3초 동안이다.

09 -

처음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xcm라고 하면 (x+3)(x+2)=56, +5x-50=0

(x+10)(x-5)=0 ∴x=-10또는x=5 그런데x>0이므로x=5

따라서 처음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5 cm이다.

09-

연못의 반지름의 길이를xm라고 하면 p_(x+2)¤ -px¤=3px¤, 3x¤ -4x-4=0 (3x+2)(x-2)=0 ∴x=-;3@;또는x=2 그런데x>0이므로x=2

따라서 연못의 반지름의 길이는2 m이다.

n(n-3) 2

a+b ab

09-

길의 폭을xm라고 하면 길을 제외한 잔디밭의 넓이는 가로의 길이가(20-x)m, 세로의 길이가(15-x)m 인 직사각형의 넓이와 같으므로

(20-x)(15-x)=204, -35x+96=0 (x-3)(x-32)=0 ∴x=3또는x=32 그런데0<x<15이므로x=3

따라서 길의 폭은3 m이다.

09-

점P의x좌표를a라고 하면 점P의 좌표는 P(a,-2a+16)이다.

OQPR의 넓이가30이므로

a_(-2a+16)=30, -2+16a-30=0 -8a+15=0, (a-3)(a-5)=0

a=3또는a=5

따라서 점P의 좌표는P(3, 10)또는P(5, 6)이다.

│30~32쪽│

01 ②, ③0203040506

070809101112

01

① 이차식이다.

-6x+9=5, 즉-6x+4=0이므로 이차방정식 이다.

③-3+8=0이므로 이차방정식이다.

x‹-x=+1, 즉x‹--x-1=0이므로 이차방정 식이 아니다.

⑤-4x-3=0이므로 일차방정식이다.

02

①(-2)¤ -(-2)+0 ②(2+3)_(2-2)+4

③1¤ +2_1-1+0 ④(-1)¤ -4_(-1)=5

⑤3¤ +3-6+0

따라서 [ ] 안의 수가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해인 것은 ④ 이다.

03

x=-1을3-(2a+1)x+4=0에 대입하면 3+(2a+1)+4=0

2a=-8 ∴a=-4

04

-2x-3=0에서(x+1)(x-3)=0

x=-1또는x=3

-3x-10=0에서(x+2)(x-5)=0

x=-2또는x=5

+7x+12=0에서(x+4)(x+3)=0

x=-4또는x=-3

+12x+36=0에서(x+6)¤=0

x=-6(중근)

13 a+3 14-5 15 -;2#; 16 5 17 ;;™4ª;;

18x=-5 19 x= 3—"√29 202초 후

2

│서술형 문제│

(15)

⑤3-15x+18=0에서3(x¤ -5x+6)=0 3(x-2)(x-3)=0x=2또는x=3

05

5(x-2)¤=10에서(x-2)¤=2

x-2=—'2 ∴x=2—'2 따라서A=2, B=2이므로 A+B=2+2=4

06

-8x+5=0에서-8x=-5

-8x+16=-5+16, (x-4)¤=11 x-4=—'∂11 ∴x=4—'∂11

07

x=

x=

따라서a=3, b=1+3a에서b=1+9=10

a+b=3+10=13

08

b¤ -4ac=(-4)¤ -4_1_(-2k-6)>0이어야 하므로 16+8k+24>0, 8k>-40 ∴k>-5

따라서k의 값이 될 수 없는 것은 ①-6이다.

09

a+b=2, ab=-;4!;이므로

(a-b)¤=(a+b)¤ -4ab (a-b)¤=2¤ -4_{-;4!;}=5

10

한 근이5-'2이므로 다른 한 근은5+'2이다.

(두 근의 합)=(5-'2)+(5+'2)=k+2 10=k+2 ∴k=8

11

연속하는 세 자연수를x-1, x, x+1(xæ2)이라고 하면 (x+1)¤ =(x-1)¤ +x¤ -45, -4x-45=0

(x+5)(x-9)=0 ∴x=-5또는x=9 그런데xæ2이므로x=9

따라서 가장 큰 수는10이다.

12

도로를 제외한 땅의 넓이는 가로의 길이가(20-x)m, 세 로의 길이가(14-x)m인 직사각형의 넓이와 같으므로 (20-x)(14-x)=160, -34x+120=0

(x-4)(x-30)=0 ∴x=4또는x=30 그런데0<x<14이므로x=4

13

x(ax+8)+4=3-x에서ax¤+8x+4=3-x

(a-3)x¤+9x+4=0 ⋯⋯60%

이식이x에대한이차방정식이되려면a-3+0이어야한다.

a+3 ⋯⋯40%

14

x=a+5x-1=0에 대입하면

+5a-1=0 ⋯⋯40%

a+0이므로 양변을a로 나누면

a+5-;a!;=0 ⋯⋯40%

a-;a!;=-5 ⋯⋯20%

1—'∂1+3a a

-(-1)—"√(-1)¤ -a_(-3) a

15

-3x+2=0에서(x-1)(x-2)=0

x=1또는x=2 ⋯⋯40%

이때 두 근 중 작은 근은1이므로x=1을-10x-6a=0 에 대입하면

1-10-6a=0, -6a=9 ∴a=-;2#; ⋯⋯60%

16

이차방정식-6x+2a+5=0이 중근을 가지므로 2a+5={ }¤, 2a=4 ∴a=2 ⋯⋯40%

즉, 주어진 이차방정식은-6x+9=0이므로 (x-3)¤=0 ∴x=3(중근)

m=3 ⋯⋯40%

a+m=2+3=5 ⋯⋯20%

17

4-16x-5=0에서-4x-;4%;=0

-4x=;4%;, -4x+4=;4%;+4

(x-2)¤ =;;™4¡;; ⋯⋯60%

따라서p=2, q=;;™4¡;;이므로

p+q=2+;;™4¡;;=;;™4ª;; ⋯⋯40%

18

0.1x¤ +;5#;x+;2!;=0의 양변에10을 곱하면 x¤ +6x+5=0, (x+5)(x+1)=0

x=-5또는x=-1 ⋯⋯40%

+ =0의 양변에6을 곱하면

2x(x+2)+3(x-5)=0, 2x¤ +4x+3x-15=0 2x¤ +7x-15=0, (x+5)(2x-3)=0

x=-5또는x=;2#; ⋯⋯40%

따라서 두 이차방정식의 공통인 해는x=-5이다.

⋯⋯20%

19

이차방정식2x¤ +ax+b=0의 두 근이-;2!;, 3이므로 (두 근의 합)=-;2!;+3=-;2A;

;2%;=-;2A;a=-5 ⋯⋯30%

(두 근의 곱)=-;2!;_3=;2B;

-;2#;=;2B;b=-3 ⋯⋯30%

따라서-3x-5=0에서 x=

x= ⋯⋯40%

20

10+40x-5=70에서-8x+12=0

(x-2)(x-6)=0 ∴x=2또는x=6 ⋯⋯60%

따라서 공의 높이가 처음으로70 m가 되는 것은 던져 올린

지2초 후이다. ⋯⋯40%

3—"√29 2

-(-3)—"√(-3)¤ -√4_1_(-5) 2_1

x-5 2 x(x+2)

3 -6

2

│서술형 문제│

(16)

Referensi

Dokumen terkait

Dato che gli elementi delle matrici di dissimilarit`a non sono fra loro indipendenti, per valutare la significativit` a del test si ricorre a una procedura Monte Carlo:

Dokumen ini telah ditandatangani secara elektronik menggunakan sertifikat elektronik yang diterbitkan oleh Balai Sertifikasi Elektroni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