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수번호 21A20131200007
사업분야 자연과학 신청분야 생물 단위 지역 구분 사업단
학술연구분야 분류코드
구분 관련분야 관련분야 관련분야
중분류 소분류 중분류 소분류 중분류 소분류
분류명 생물학 분자생물학 생물학 미생물학 생물학 식물학
비중(%) 40% 30% 30%
학과(학부) 또는
협동과정명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학과개설일 200603
사업단명
국문) 경북대학교 첨단복합 생명과학인력 양성사업단
영문) KNU Creative BioResearch Group
사업단장
소 속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직 위 부교수
성명
국문 이동석 전화
팩스 영문 Dong-Seok Lee 이동전화
E-mail 연차별
총 사업비 (백만원)
구분 4차년도
('16.3~'17.2)
5차년도 ('17.3~'18.2)
6차년도 ('18.3~'19.2)
7차년도 ('19.3~'20.2)
8차년도 ('20.3~'20.8)
국고지원금 1,061 1,061 1,061 1,061 530
총 사업기간 2016.3.1. ~ 2020.8.31.(54개월)
재선정평가 대상기간 2013.9.1. ~ 2015.8.31.(24개월) 본인은 『BK21 플러스』사업신청서를 다음과 같이 제출하며, 지원이 결정될 경우 관련 법령, 귀 재단과의 협약, 귀 재단이 정한 제반 사항 등을 준수하여 성실하게 사업을 추진 하여 소정의 사업성과를 거두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아울러, 신청서에는 사실과 다른 내용이 포함되지 아니하였으며 만약 허위 사실이나 중대한 오류가 발견될 경우에는 그에 상응하는 불이익을 감수하겠음을 서약합니다.
2015년 09월 18일
작성자 사업단장 (인)
확인자 산학협력단장 (인)
확인자 총장 (인)
한국연구재단 이사장 귀하
경북대학교 경북대학교
『BK21 플러스』 미래기반 창의인재양성 (자연과학분야) 사업단 재선정평가 신청서
이동석
<신청서 요약문>
지원분야의 중요성 (미래가치)
BT(biotechnology)로 대변되는 생명과학은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의 미래 핵심 산업을 이끌어갈 중요한 연구 분야이다. 미래의 생명과학은 신약 개발, 인공장기, 줄기세포를 이 용한 질병 치료, 유전체 분석을 이용한 질병 진단 및 예방, 바이오 에너지를 포함하는 바 이오 신소재 개발뿐만 아니라, 앞으로 BT-IT-NT의 융합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산 업에 필수적 분야이다.
대구는 첨단의료복합단지뿐만 아니라 지역의 풍부한 한방자원을 바탕으로 한방바이오산업 을 추진하고 있으며 경북지역에서는 백신 클러스터 조성 사업이 진행 중에 있다. 이들 다 양한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산학협력을 통한 대학의 연구역량 강화와 우수한 생명과 학 인력양성이 절실히 요구된다.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는 대구·경북 지역의 중심에 위치하면서 미래 생명과학의 첨단 연 구 최적 환경으로 첨단의료복합단지의 최신 연구기관(신약개발지원센터, 실험동물센터, 첨단의료기기 개발지원센터, 임상시험센터),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한국뇌연구원, 포항공대, 울산과기대 등의 연구기관들과의 상호 협력을 통한 연구 허브로서의 도약이 가 능하다. 이를 통해 세계적·국가적·지역적 요구를 충족하는 맞춤형 첨단 바이오 연구인 력을 양성하고자 한다.
사업 목표
경북대학교 첨단복합 생명과학인력 양성사업단’은 미래 생명과학의 복합적인 수요의 충 족을 위한 석·박사급의 첨단 생명과학 연구인력 양성, 산학협력을 통한 지역 첨단 바이 오산업 육성, 산업연구인력 제공, 지역 연구기관 및 대학과의 유기적인 네트워크 확립을 위하여 다음의 사업목표를 추진하고자 한다.
- 대구·경북 창조경제를 주도할 석박사급의 첨단 바이오 인력 양성 - 대구·경북 생명과학 분야 연구 중심 허브 구축
- 지역 바이오산업 발전의 원동력을 제공을 위한 학·연·산 협력 체계 구축 -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과 첨단 연구환경 확립을 통한 교육의 국제화
- 사업단 내외 관련 연구분야 연구자 간의 상호 협력을 통한 시너지 유발
교육역량 영역
본 사업단의 교육 영역에서의 비전은 ‘대구·경북지역의 바이오 연구 및 산업을 복합적 으로 주도할 수 있는 첨단 생명과학 연구인력 양성’이며 이를 위해 다음의 목표를 실현 하고자 한다.
-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학계·산업계의 생명과학 차세대 전문 연구자 및 고급 전문 인력 양성
- 생명과학 산업체 및 연구소와 인적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현장 감각 및 국제적 경쟁력 을 두루 갖춘 창의적 고급인력 양성
- 학계 및 산업체 전문 연구·개발 인력 양성을 위한 효율적 대학원 교육체계 실현 - 산업체 및 연구기관의 수요에 부응하는 맞춤형 연구인력 양성
- 해외 학회 참석, 해외 연수 및 해외 대학과의 교류 협력 강화를 통한 국제적 감각을 갖 춘 전문 연구인력 양성
이상의 연구목표 실현을 위하여 선도적 질환 동물모델, 첨단 차세대 분자제어, 미래형 바이오 신소재와 같은 3개의 중점 교육과정을 정하고 이를 중심으로 교과과정을 개발한 다.
연구역량 영역
본 사업단의 연구영역에서의 비전은 ‘대구·경북 생명과학 분야 연구 중심 허브 구축’
이며 이를 구현하기 위한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대구·경북지역 바이오 연구기관과의 공동 연구체계 확립
- 지역 바이오산업 발전의 원동력 제공을 위한 학·연·산 협력 체계 구축 중심어
생명과학 첨단 바이오 연구인력 양성 선도적질환동물모델
미래형바이오신소재 첨단차세대분자제어 첨단의료복합단지
메디시티 대구 생명과학 산학연 연구허브 글로벌·현장 맞춤형 교육
- 국제적 생명과학 연구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최첨단 연구 수준 유지 - 관련 연구분야 연구자 간의 상호 협력 증진을 통한 시너지 유발
이상의 연구목표를 실현하고 참여 교수의 주 연구분야를 중심으로 연구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선도적 질환 동물모델사업 팀, 첨단 차세대 분자제어사업 팀, 미래형 바이오 신소 재사업 팀의 3개 사업 팀을 구성하여 운영한다
각 사업 팀의 연구역량을 극대화하기 위해 아래의 추진전략을 따른다
- 대구·경북 첨단의료복합단지 및 지역 연구기관과의 긴밀한 인적·연구 교류 - 지역 바이오산업체와의 교류 협력 증진을 통한 산학협력 강화
- 중점 추진분야를 중심으로 세계 수준의 교수, 신진연구인력 및 학생의 확보 및 양성 - 효율적 사업단 운영: 연구 성과 중심 평가 시스템 도입 및 사업비 차등 지원을 통한 연 구역량 강화의 극대화
기대효과
- 국제적인 연구역량을 갖춘 첨단복합 연구 인력의 양성 - 지역 바이오산업을 이끌어갈 첨단 연구인력 배출
- 대구·경북지역 바이오산업 활성화 및 산학협력의 이상적 모델 제시 - 대구·경북지역 생명과학 연구 허브 구축을 통한 지역 산업 발전
Ⅰ 사업단 현황
1 사업단 구성
1.1 사업단장
T _ 1 _ 1 :성명 T _ 1 _ 2 :한글 D _ 1 _ 3 :이동석 T _ 1 _ 4 :영문 D _ 1 _ 5 :Dong-Seok Lee
T _ 2 _ 1 :소속기관 D _ 2 _ 3 :경북대학교 D _ 2 _ 4 :자연과학대학 D _ 2 _ 5 :생명과학부
1.2 사업단 대학원 학과(부) 현황
<표 1-1> 사업단 대학원 학과(부) 교수 현황 (단위: 명, %)
T _ 1 _ 1 :기
준 일
T _ 1 _ 2 :대
학 원 학 과(
부)
T _ 1 _ 3 :전체 교수 수(교육, 분
교, 기금 제외)
T _ 1 _ 8 :기존교수 수(교육, 분
교, 기금 제외)
T _ 1 _ 1 3 :신임교수 수(교육, 분
교, 기금 제외)
T _ 1 _ 1 8 :교육, 분교, 기금 교수
수
T _ 2 _ 3 :전
체
T _ 2 _ 4 :참여
T _ 2 _ 7 :참
여 비 율 (%)
T _ 2 _ 8 :전
체
T _ 2 _ 9 :참여
T _ 2 _ 1 2 :참
여 비 율 (%)
T _ 2 _ 1 3 :전
체
T _ 2 _ 1 4 :참여
T _ 2 _ 1 7 :참
여 비 율 (%)
T _ 2 _ 1 8 :전
체
T _ 2 _ 1 9 :참여
T _ 2 _ 2 2 :참
여 비 율 (%)
T _ 3 _ 4 :전
임
T _ 3 _ 5 :겸
임 T _ 3 _ 6 :계 T _ 3 _ 9 :전
임
T _ 3 _ 1 0 :겸
임 T _ 3 _ 1 1 :계 T _ 3 _ 1 4 :전
임
T _ 3 _ 1 5 :겸
임 T _ 3 _ 1 6 :계 T _ 3 _ 1 9 :전
임
T _ 3 _ 2 0 :겸
임 T _ 3 _ 2 1 :계
T _ 4 _ 1 :접
수 마 감 일
D _ 4 _ 2 :경
북 대 학 교 생 명 과 학 부
D _ 4 _ 3 :33 D _ 4 _ 4 :24 D _ 4 _ 5 :0 D _ 4 _ 6 :24 D _ 4 _ 7 :72.
73% D _ 4 _ 8 :32 D _ 4 _ 9 :23 D _ 4 _ 1 0 :0 D _ 4 _ 1 1 :23 D _ 4 _ 1 2 :71.
88% D _ 4 _ 1 3 :1 D _ 4 _ 1 4 :1 D _ 4 _ 1 5 :0 D _ 4 _ 1 6 :1 D _ 4 _ 1 7 :100
% D _ 4 _ 1 8 :0 D _ 4 _ 1 9 :0 D _ 4 _ 2 0 :0 D _ 4 _ 2 1 :0 D _ 4 _ 2 2 :0%
<표 1-2> 사업단 대학원 학과(부) 대학원생 현황 (단위: 명, %)
T _ 1 _ 1 :기준
일
T _ 1 _ 2 :대학원
학과(
부)
T _ 1 _ 3 :대학원생 수
T _ 2 _ 3 :석사 T _ 2 _ 6 :박사 T _ 2 _ 9 :석·박사 통합 T _ 2 _ 1 2 :계
T _ 3 _ 3 :전체 T _ 3 _ 4 :참여 T _ 3 _ 5 :참여비
율(%) T _ 3 _ 6 :전체 T _ 3 _ 7 :참여 T _ 3 _ 8 :참여비
율(%) T _ 3 _ 9 :전체 T _ 3 _ 1 0 :참여 T _ 3 _ 1 1 :참여비
율(%) T _ 3 _ 1 2 :전체 T _ 3 _ 1 3 :참여 T _ 3 _ 1 4 :참여비
율(%)
T _ 4 _ 1 :접수
마감일
D _ 4 _ 2 :경북대
학교 생명과
학부
D _ 4 _ 3 :75 D _ 4 _ 4 :63 D _ 4 _ 5 :84% D _ 4 _ 6 :47 D _ 4 _ 7 :35 D _ 4 _ 8 :74.47% D _ 4 _ 9 :6 D _ 4 _ 1 0 :5 D _ 4 _ 1 1 :83.33% D _ 4 _ 1 2 :128 D _ 4 _ 1 3 :103 D _ 4 _ 1 4 :80.47%
Ⅱ 부문별
<교육역량 영역>
1 사업단의 교육 비전 및 목표
1.1 사업단의 교육 비전 및 목표
<교육 비전>
○ 미래 바이오산업을 주도하고 국가경쟁력 강화에 이바지할 차세대 글로벌 첨단 생명과학 연구 인재 양성
○ 바이오연구 및 산업을 주도할 대구·경북지역 현장 맞춤형 인재 양성
○ 바이오 분야 신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미래 바이오산업화를 주도할 창의적 인재 양성
<교육 목표>
○ 차세대 글로벌 인재 양성
-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학계·산업계의 생명과학 차세대 전문 연구자 및 고급 전문 인력양성
- 연구 그룹별 세계 초일류 연구 그룹과의 인적 교류를 통하여 국제적 감각을 갖춘 글로벌 인재 양성
- 국내외 전문 연구기관 및 산업체와 인적/연구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국제경쟁력을 갖춘 차세대 생명과학 연구 자양 성
○ 현장 맞춤형 인재 양성
- 생명과학 산업체 및 연구소와 인적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현장 감각을 갖춘 창의적 고급인력양성
-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 등과 같은 지역대표 바이오연구· 산업기관과의 긴밀한 인적·연구 네트워킹을 통한 현 장 맞춤형 인재 양성
- 지역 바이오연구기관 및 산업체의 전문 연구자들을 대학원 강의 및 대학원생 연구에 적극 참여시킴으로써 지역대표 바이오산업의 성공을 위한 인재 양성
○ 창의적 인재 양성
- 학계·산업계 전문 연구개발 인력양성을 위한 효율적 대학원 교육체계 실현
- 심도 있는 전문지식의 습득 및 다양한 타 연구분야와의 학생교류 및 실습 참여를 통해 여러 학문분야의 폭넓은 이해 도를 가지는 창의적 인재 양성
2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2.1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 계획
<요약>
○ 생명과학 분야 전문 고급인력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 체계 구축
○ 글로벌 미래형 연구인력양성을 위한 맞춤식 교과과정 개편
○ 대구·경북 지역 특화 바이오 연구기관 연계 교육 프로그램 확립
○ 매 학기 강의평가 후 공개, 그 결과를 교육 부분의 평가에 반영하여 인센티브 차등 지급
○ 사업단 전체 참여교수가 영어 논문 작성법 강의를 위해 매 학기 학위논문연구강좌 개설
○ 매 학기 생물윤리학특론 강의 개설을 통한 글로벌 수준의 연구 윤리 교육 강화
<세부 내용>
1. 생명과학 분야 전문 고급인력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 체계 구축 계획
1) 창의적인 생명과학 연구를 선도할 수 있는 연구 중심의 대학원 교육을 위해 선도적 질환 동물모델 트랙, 첨단 차세 대 분자제어 트랙, 미래형 바이오 신소재 트랙의 세 개의 특성화 분야로 나누어 전공심화과목을 선택적으로 이수하게 하는 맞춤식 교과과정을 운영할 계획임. 세 분야의 트랙과 각 트랙별 전공심화교과목은 아래와 같음.
○ 선도적 질환 동물모델 트랙
동물유전학특론(Selected Topics in Animal Genetics), 기관발생학특론(Topics in Organogenesis), 고급생체대사학 (Advanced Metabolism), 고급발생생물학(Advanced Developmental Biology), 고급생리학(Advanced Physiology), 고급형 태학(Advanced Morphology), 동물계통학특론(Topics in Animal Systematics), 동물생태학(Animal Ecology), 발생학특 론(Advanced Developmental Biology), 실험동물학특론(Selected Topics in Laboratory Animal Science), 줄기세포공학 (Stem Cell Engineering), 인류유전학(Human Genetics), 의학유전학특론(Selected Topics in Medical Genetics), 인체 유전학특론(Advanced Human Genetics), 감각신경생물학(The Neurobiology of Sense), 신경과학특론(Topics in
Neuroscience), 게놈진화(Genomic Evolution), 약물전달시스템학(Drug Delivery System), 미생물생리학특론(Advanced Microbial Physiology), 의학바이러스학특론(Advanced Medical Virology), 노화생물학(Biology of Aging), 구조분자생 물학특론(Advanced Structural Molecular Biology), 효소생화학특론(Enzyme Biochemistry), 구조기반약물학
(Structure-based Pharmacology), 발암생화학(Biochemical Carcinogenesis), 고급생화학(Advanced Biochemistry), 고 급분자생물학(Advanced Molecular Biology), 고급생체조절론(Advanced Biological Regulation), 고급면역학(Advanced Immunology), 고급유전학(Advanced Genetics), 백신학(Vaccinology)
○ 첨단 차세대 분자 제어 트랙
발암생화학(Biochemical Carcinogenesis), 분자생리화학(Molecular Physiological Chemistry), 생물리특론(Special Topics in Biophysics), 단백질공학특론(Special Topics in Protein Engineering), 지질생화학특론(Special Topics in Lipid Chemistry), 고급세포생물학(Advanced Cell Biology), 세포생리학(Cell Physiology), 분자생물학특론(Topics in Molecular Biology), 세포분화론(Cell Differentiation), 고급생화학(Advanced Biochemistry), 고급분자생물학
(Advanced Molecular Biology), 고급생물공학(Advanced Biochemical Engineering), 고급미생물학(Advanced
Microbiology), 단백질생화학(Protein Biochemistry), 바이러스학특론(Selected Topics in Virology), 고급생체조절론 (Advanced Biological Regulation), 고급면역학(Advanced Immunology), 고급유전학(Advanced Genetics), Genome연구 (Genome Research), 유전자조작특론(Selected Topics in Gene Manipulation), 의학바이러스학특론(Advanced Medical
Virology), 생리활성물질화학특론(Advanced Bioactive Substance), 백신학(Vaccinology), 펩타이드공학(Peptide Engineering), 단백질결정학(Protein Crystalography), 생유기화학특론(Bioorganic Chemistry), 효소생화학특론 (Enzyme Biochemistry), 구조기반약물학(Structure-based Pharmacology), 구조분자생물학특론(Advanced Structural Molecular Biology), 항생물질학특론(Advanced Biology of Antibiotics), 병원미생물학특론(Advanced Pathogenic Microbiology),암생물학특론(Advanced Cancer BiologyM), 세포주기조절특론(Current Topics in-Mechanisms of Cell Cycle Regulation), 노화생물학(Biology of Aging), 미생물화학특론(Advanced Microbial Chemistry)
○ 미래형 바이오 신소재 트랙
식물생리생태학(Plant Ecophysiology), 식물호르몬학(Plant Hormones), 조류학특론(Topics in Phycology), 질소고정 론(Nitrogen Fixation), 고급식물생리학(Advanced Plant Physiology), 식물분자생물학특론(Selected Topics in Plant Molecular Biology), 식물생화학특론(Selected Topics in Plant Biochemistry), 고급생태학(Advanced Ecology), 고급 계통분류학(Advanced Phylogeny and Taxonomy), 식물계통학특론(Topics in Plant Systematics), 식물사회학(Plant Sociology), 식물형태학특론(Topics in Plant Mophology), 종생물학(Species Biology), 진화계통학특론(Topics in Evolutionary Phylogeny), 식물발생학특론(Advanced Plant Developmental Biology), 미생물유전체학특론(Topics in Microbial Genomics), 세균학특론(Advanced Bacteriology), 발효미생물학특론(Advanced Fermentation Microbiology), 식물대사공학특론(Selected Topics in Plant Metabolic Engineering),환경미생물학특론(Advanced Environmental Microbiology), 고급유전학(Advanced Genetics), 산업미생물학특론(Advanced Industrial Microbiology), 고급면역학 (Advanced Immunology), 병원미생물학특론(Advanced Pathogenic Microbiology), 미생물화학특론(Advanced Microbial Chemistry), 고급생화학(Advanced Biochemistry), 고급분자생물학(Advanced Molecular Biology), 고급생물공학 (Advanced Biochemical Engineering), 생리활성물질화학특론(Advanced Bioactive Substance), 균학특론(Advanced Mycology)
2) 기초 공통과목(유기화학, 생화학, 분자생물학, 유전학, 생리학, 식물생리학, 면역학, 생태학, 발생생물학, 생체대 사학 등)은 교과운영위원회의 심의를 통해 매 학기 강의를 결정하고, 위의 세 개의 트랙별 전공 심화과정과의 연계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며 전공심화과목 중 유사 전공 교수들 간의 팀티칭을 통해 특화된 교육을 지향함.
2. 글로벌 미래형 연구인력양성을 위한 맞춤식 교과과정 개편 계획
1) 생명과학분야의 창조적 전문 고급 과학기술 인력양성을 위한 교과과정 개편으로 학부에서 수강한 생명과학 분야 기 초과목에 대하여 다양한 고급 심화과정을 개설하여 대학원생들에게 보다 깊은 전문지식 제공함(고급생태학, 고급발생 생물학, 고급분자생물학,고급생리학, 고급식물생리학, 고급면역학,고급생화학,고급생체대사학 등).
2) 생명과학분야의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새로운 바이오분야 진로에 대응하기 위해 창의성과 응용 역량을 갖춘 미래 형 연구인력양성 위한 최신 연구동향 및 연구 방법을 소개하는 특화 과목을 다수 개설하여 심도 있는 전문지식의 습득 기회를 제공함. (신경과학특론, 암생물학특론, 인체유전학특론, 환경미생물학특론, 구조분자생물학특론, 구조분자생물 학특론, 산업미생물학특론, 유전자발현조절특론, 의학유전학특론, 생유기화학특론, 발생학특론, 분자생물학특론, 식물 계통학특론, 의학바이러스학특론, 조류학특론, 효소생화학특론, 기관발생학특론, 바이러스학특론, 진화계통학특론, 균 학특론, 식물분자생물학특론, 항생물질학특론, 생리활성물질화학특론 등)
3) 대학원생 주도형 연구계획 및 문제 해결형 세미나를 통한 능동적인 연구 유도를 위해 트랙별 다양한 세미나 강의를 개설하여 전문지식의 응용 역량을 강화함. (유전생명공학세미나, 생화학분자생물학세미나, 생태계통학세미나, 진화발 생생물학세미나 등)
4) 교과과정 개편으로 인한 본 사업단의 대학원생들은 전공심화과정의 과목 수강으로 생명과학분야의 미래 고급 전문 인력이 갖추어야 할 전공 지식을 지식 습득하였고, 생명현상에 대한 심도 있는 다각적 분석을 통해 과학적인 사고력과 독립적 연구가 가능한 연구능력을 갖추는 맞춤식 교과과정 개편함.
5) 차세대 글로벌 우수인재로서의 자질 강화를 위해 영어로 진행하는 발표, 논문 및 보고서 작성 등의 능력을 향상시
키고자 다양한 영어강의 개설(영어논문 작성 세미나, 석박사 학위논문연구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앞으로 대학원 강좌의 90%를 영어로 진행할 계획임. 특히, 2015년도 본 사업단 소속 생명과학부에 임명된 순수 외국인 전임교원 Eric 교수와 Institut National Polytechnique Toulouse(France)의 겸임교원 Carlos VACA-GARCIA 교수의 대학원 교과목 강 의를 통한 실질적인 대학원 국제화 및 대학원 영어강좌의 비율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생각됨.
3. 대구·경북지역 특화 바이오연구기관 연계 교육 프로그램 확립 계획
1) 대구·경북지역 생명과학분야 연구개발의 창조 허브로 도약하기 위한 지역 특화 바이오산업 연계 교육 프로그램으 로 대구·경북지역에 조성되어 있는 첨단의료복합단지 내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센터와 MOU를 맺고, 책임 및 선임연구원을 생명과학부 겸임교원(7명)으로 임명(2013.4.1.-2017.2.28)하여 구조기반약물학, 약물전달시스템 학 등 대학원 강의를 개설하고 있음.
2) 또한,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실험동물센터와도 MOU를 맺고 책임 및 선임연구원을 생명과학부 겸임교원(7명 )으로 임명(2015.7.10.-2017.2.28)하여 2016년도부터 선도적 질환 동물 모델 트랙의 심화과정 대학원 강의를 할 예정 이며, 최근 한국뇌연구원과도 MOU를 맺어 뇌공학 분야의 관심이 있는 대학원생의 파견할 계획임. 이와 같이 지역 특화 바이오 연구기관과의 연계 교육 프로그램을 확립하고, 앞으로 더 많은 대구경북지역 바이오 연구기관과 바이오 산 업 체와 긴밀한 협조를 통한 연계 교육 프로그램을 확립할 계획임.
3) 첨단의료복합단지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센터로 개발에 관심대학원생을 단기 파견을 하여 신약개 발연구의 다양한 경험과 연구성과를 직접 경청하고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지역연구기관의 요구에 부합하는 맞춤형 인재 양성에 주력할 예정임.
4. 강의평가와 그에 따른 환류 계획
1) 본 사업단 소속 경북대학교는 2005학년도부터 모든 개설과목에 대하여 경북대학교 수업관리지침(제27조 2, 강의평 가)에 의거하여 학기별로 모든 강좌에 대한 강의평가를 실시하고 이를 공개함으로써 강의에 대한 객관적 평가 및 강의 내용의 개선점 보완 등으로 효과적인 강의를 위한 피드백 시스템 구축되어 있어, 이러한 강의평가를 통한 결과를 매년 교원 성과급 시스템을 통한 교육 부분의 평가에 반영하여 인센티브 차등 지급할 예정임.
2) 강의평가문항은 수업 진행, 학습결과, 학생만족도를 객관 및 주관적으로 평가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강의평가가 우 수하여 강의 동영상 제작 작업을 계획하고 있음.
3) 석사과정은 연구 윤리 생명윤리 및 실험실 안전에 관한 교육과 기초 생명과학 연구지식을, 박사과정은 생명과학의 급격한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처하며 생명현상을 총체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도록 다양한 분야의 전공지식 을 접할 수 있는 기회 마련을 위한 내외 다양한 연구분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외부 세미나 강좌를 적극 활 용할 계획임.
5. 논문 작성법 강의 개설 계획
1) 글로벌 우수인재로서의 자질 강화를 위해 대학원 강의 중에 "석박사 학위논문 연구"를 전체 참여 교수가 매 학기 개설하여 대학원생들의 영어논문 작성에 대한 전문지식을 제공하고 특히, 지도교수는 입학 후 1년간은 학위논문연구강 좌를 필수교과목 이수를 지도 할 계획.
2) 세계 수준의 선도적 미래 창조인재로의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의 일환으로 본 사업단 내에 매년 2번 대학원생 간의 연구발표대회를 통한 대학원생 서로 간의 연구능력 및 논문 작성 향상을 유도함.
6. 글로벌 수준의 연구 윤리 확보를 위한 교육 강화 계획
1) 매 학기 개설한 영어강의로 석박사 학위논문연구뿐만 아니라 생물윤리학특론을 매 학기 개설하여 대학원생들의 연 구 윤리의식을 고취 공유함으로써 글로벌 우수인재가 갖추어야 할 기본적 소양 강화할 계획임.
2) 특히, 석사 학위논문연구 강의 내용은 현장연구 진행과정에서 일어날 수가 있는 부분에서 연구 윤리, 연구부정행 위, 동물실험윤리, 연구 데이터관리 및 연구노트, 표절에 대한 이해와 대처 방법, 실제 연구부정 표절의 예를 중점으 로 강의를 계획하고 있음.
3) 서울시립대학교 황은성 교수를 초빙하여 "영어논문 작성법 및 연구 윤리"에 관한 연구 윤리 관련 세미나를 개최하 였고, 앞으로 계속 매 학기 직접 연구현장에서 국내외 연구 윤리 위반 사례를 연구종사자를 초빙하여 현장에서 일어날 수가 있는 연구 윤리 위반에 대한 집중적인 교육을 할 예정임.
2.2 학사 단위 관리제도 및 학위 수여 제도의 선진화 계획
<요약>
○ 사업단 단장은 대학원 학부장을 겸임,사업단과 대학원 학사관리 운영 일원화
○ 경북대학교 대학원 내규 및 규정을 개편하여 학사관리 제도적 장치 강화
○ 학사/석사/박사과정 간 연계과정 및 통합과정 개설하여 유연성 있는 학제운영
○ 대구경북지역 바이오연구기관 우수 연구자의 강의 개설을 통한 현장 교육 강화
○ 우수대학원생 해외 우수 연구기관 파견으로 글로벌생명과학자 인재 양성교육 강화
○ 글로벌 미래생명과학 연구자 배출을 위한 학위 논문 제출 자격조건 강화
○ 석사과정 4학기,박사과정 8학기 기간 사업단 장학금 지원으로 불합리한 석박사 학위 취득 소요기간 장기화 방지
<세부 내용>
1. 사업단의 체계적 학사 단위 관리 제도 운영
1) 본 BK21플러스사업단 단장은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대학원 학부장을 겸임하여 사업단 운영과 대학원 학사관리를 일원화하여 체계적으로 운영할 계획임.
2) 대학원에서 학부 회의와 본부와의 협의를 사업단과 관련하여 새롭게 추진하는 내규 및 규정을 개편하고 재정비하여 운영에 대한 제도적 장치를 아래와 같이 마련함.
○ 대학원의 한 학기당 이수 기준 학점은 9학점 이내로 함.
○ 대학원의 동일한 과정 내에서 이미 이수한 과목을 다시 이수(이하 "재이수"라고 한다) 할 수 있으며, 재이수를 신 청하면 이미 취득한 학점은 무효가 됨. 다만, 논문연구 등 S/U로 평가하는 과목은 재이수할 수 없음.
○ 대학원 박사과정의 경우 본교에서 석사과정을 마친 자는 석사과정 이수과목을 포함하여 명칭이 동일한 과목을 중복 이수할 수 없음.
○ 본 대학원에서는 석사과정 24학점, 박사과정 36학점(석사과정 취득학점을 포함하여 전공과목 60학점),석ㆍ박사 통 합과정 60학점을 취득해야 함.
○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박사과정에 입학한 전공일치자 중 수료 학점(학칙 제73조)을 초과하여 취득한 학점(논문연구 제외)은 대학원장의 승인을 얻어 6학점까지 박사과정 학점으로 인정함.
○ 논문연구는 석사과정은 6학점까지, 박사과정은 9학점까지, 석ㆍ박사 통합과정은'석사학위논문연구'를 6학점까지'박 사학위논문연구'를 9학점까지 이수할 수 있음. 다만, 석사학위논문연구는 입학 첫 학기에는 수강할 수 없음.
○ 논문연구는 S/U로 평가하며 논문지도교수가 담당하는 과목에만 수강 가능함.
3) 학위논문 제출 자격조건 강화를 위해 연구 내용과 방향은 지도교수의 지도하에 최대한 자율성을 보장하되, 석박사 학위 심사위원회의 엄격한 심사를 통해 연구의 우수성 및 연구 윤리준수 여부를 철저히 확인하여 질적 교육 향상을 통 한 글로벌 미래생명과학 연구자를 배출하고자 함. 주요 학위논문 제출 자격조건은 아래와 같음.
○ 학위논문 제출을 위하여 학위과정별 수료 학점의 3분의 2 이상[석사과정 16학점 이상, 박사과정 24학점 이상, 석박 사 통합과정 40학점 이상]을 이수하고 지도교수의 추천을 받아야 함.
○ 학위논문 심사 제출 전까지 공인기관에서 실시한 외국어 시험 성적표(TOEIC685, TEPS573 이상)를 제출하여야 하여 야 됨.
○ 학위 청구 논문 심사위원회는 석사논문은 3인, 박사논문은 5인의 위원으로 구성.
○ 심사 절차는 공개 발표→심사(석사는 1회, 박사는 3회)→학위논문 판정으로 진행됨.
○ 논문의 제출 및 심사에 의하여 석·박사학위를 취득하고자 하는 자는 ①심사용 논문(석사 3부, 박사 5부) ②지도교 수 추천서 ③연구 윤리준수 확인서의 서류를 제출해야 함.
○ 논문 심사위원은 학과장이 지도교수의 의견을 수렴하여 이 대학교 조교수 이상의 교원 또는 이 분야의 권위자를 추
천하면 대학원장은 대학원 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위촉함.
○ 석사논문 심사위원회는 위원장 1인과 위원 2인, 박사논문 심사위원회는 위원장 1인, 부위원장 1인과 위원 3인으로 구성하되, 이 중 박사학위 소지자 3인 이상 포함하여야 하며 지도교수는 논문 심사위원 회의 위원장이 될 수 없음.
○ 박사학위논문을 제출할 학생들은'생명과학부 박사학위수여규정(국외 학회지 SCI 논문 게재)'대로 지도교수 확인서 와 논문별쇄본 1부를 제출하여야 함.
4) 대구경북지역 바이오연구기관 우수 연구자의 강의 개설을 통한 현장 교육 운영계획
○ 지역 특화 바이오산업 연계 교육 프로그램으로 대구·경북지역에 조성되어 있는 첨단의료복합단지 내 대구경북첨단 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센터의 책임 및 선임연구원을 생명과학부 겸임교원(7명)으로 임명하여 2013년도 2학기, 2014년도 1학기에 구조기반약물학, 약물전달시스템학 등 대학원 강의를 개설 및 단기 파견으로 현장 교육 운영 강화하 는 학사운영을 할 계획으로 2015년도에 대구경북첨단 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 지원센터로 석사과정 학생 2명 (이준 혁, 김여진) 단기 파견을 보내었음.
○ 앞으로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실험동물센터와 한국뇌연구원과도 연계 교육 프로그램을 확립할 예정임.
5) 우수대학원생 해외 우수 연구기관 파견으로 글로벌 생명과학자 인재 양성교육 운영계획
○ 해외 유명 대학 및 연구기관에 우수대학원생 장·단기연수 기회 확대하여 국제적인 연구 경험 제공과 다양한 분야 의 연구집단과 지식 및 정보 네트워크 형성을 지원하고 있으며, 특히 해외 공동연구를 적극 장려, BK21 플러스 사업의 목적인 글로벌 생명과학자 인재양성을 위한 우수대학원생을 지원하고 있음. (조형우(프랑스)/ 박송(중국)/ 박인지(미 국)/ 성용훈(중국))
○ 앞으로 이와 같은 해외 단기 파견을 계속 추진하여 글로벌 생명과학자 인재 양성에 주력하고자 함.
6) 기타
○ 해외 석학 초청 강연회 개최, 자연과학대학 콜로퀴움 참석 등 다양한 방법으로 학제간, 전공 간 교류를 활성화시키 고 연구역량 강화에 주력하고자 함.
2. 학위 수여 제도의 선진화 계획 1) 학위 취득 종합시험기준 강화
○ 학위 청구 논문 제출 자격시험은 종합시험과 외국어시험으로 구분하여 매 학기 1회 시행함. 시행 날짜는 일반대학 원장이 정하고 시행 30일 전에 공고함.
○ 종합시험은 전공분야와 이에 관련된 관계 분야의 학식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며 학위과정별 수료 학점의 3분의 2 이 상[석사과정 16학점 이상, 박사과정 24학점 이상, 석박사 통합과정 40학점 이상]을 이수하고 지도교수의 추천을 받아 야 함. 석사과정은 이수과목 중 세 과목을 선택, 박사과정은 이수과목 중 네 과목을 선택하여 학과에서 자체 출제한 필기시험을 시행하여 과목별로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70점 이상을 반드시 취득한 자를 합격으로 함.
○ 학위논문 심사 제출 전까지 공인기관에서 실시한 외국어 시험 성적표(TOEIC 685, TEPS 573 이상)를 반드시 제출하 여야 하여야 함.
2) 학위논문 커미티 구성 체계 강화
○ 본 사업단의 대학원에서는 학위논문 지도와 심사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을 대학원 학위수여규정에 명시하고 졸업요 건 및 논문 심사에 관련된 시행세칙을 철저히 시행하고 있고 주요한 규정은 아래와 같음.
- 논문의 제출 및 심사에 의하여 석·박사학위를 취득하고자 하는 자는 ①심사용 논문(석사 3부, 박사 5부) ②지도교 수 추천서 ③연구 윤리준수 확인서의 서류를 제출해야함.
- 심사 절차는 공개 발표→심사(석사는 1회, 박사는 3회)→학위논문 판정으로 진행됨.
- 학위 청구 논문 심사위원회는 석사논문은 3인, 박사논문은 5인의 위원으로 구성함.
- 논문 심사위원은 학과장이 지도교수의 의견을 수렴하여 본 대학교 조교수 이상의 교원 또는 이 분야의 권위자를 추 천하면 대학원장은 대학원 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위촉하며, 석사논문 심사위원회는 위원장 1인과 위원 2인, 박사논문 심사위원회는 위원장 1인, 부위원장 1인과 위원 3인으로 구성하되, 이 중 박사학위 소지자 3인 이상 포함하여야 하며 지도교수는 논문 심사위원회의 위원장이 될 수 없음.
- 학위논문은'가'또는'부'로 판정하고, 석사과정은 심사위원 3분의 2 이상, 박사과정은 심사위원 5분의 4 이상'가'판 정이 있어야 학위논문 심사에 통과됨.
- 박사학위논문의 학위 심사위원회의 엄격한 심사를 통해 연구의 우수성을 확인하고, 박사학위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 생명과학부 박사학위수여규정(국외 학회지 SCI 논문 2편 이상 게재)'대로 지도교수 확인서와 논문별쇄본 1부를 반드시 제출하여야 함.
3) 학위 취득 소요기간 장기화 방지를 위한 제도 구축 계획
○ 불합리한 석박사 학위 취득 소요기간의 장기화를 방지하기 위해 매 학기 사업단 전체 교수회의를 통한 석박사 학위 과정 학생지도 방식에 대한 토론 회의를 개최하고 있고, 현재 사업단 지원의 학생의 경우 석사는 4학기, 박사는 8학기 만을 장학금을 지원함으로써 불합리한 석박사 학위 취득 소요기간 장기화를 방지하고 있음.
○ 학위과정 중에 휴학 및 자퇴의 경우 반드시 사업단장과 운영위원과의 면담 후 결정을 유도하고, 담당 지도교수에게 운영위원회의 의견을 통보하여 사업단 석사 박사학위과정 학사운영을 제도화하였음.
○ 사업단이 제시한 기간 내에 학위를 미취득한 학생은 사유서를 제출하여야 하며, 미제출 시 사업단 지원을 중단함.
특히, 석사과정 학생의 경우 박사 진학 시 지원 중단함으로써 석·박사 학위 취득 소요기간 장기화 방지를 위한 제도 구축을 하였음.
4) 사업단내의 연계 과정(학석, 석박, 학석박)관련 교육 커리큘럼 구축 강화
○ 본 사업단은 급속도 변화하는 학문 특성상 고급인력의 조기졸업을 지원하기 위해 석·박사 통합과정을 운영하고 학 사운영을 탄력적으로 하였음. (2014년도 1학기 3명, 2015년도 1학기 1명 입학)
○ 학부와 대학원 연계과정의 일환으로 석사 및 박사과정 정원의 일부를 학·석사, 학·석·박사 연계과정 생으로 모 집하고 있으며, 이 학사운영 제도는 대학원에 진학하고자 하는 학부 학생이 대학원 과목을 학부과정 중에 수강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대학원 진학 후 학점으로 인정해주는 제도로서, 대학원에 진학하려는 학부생이 신속하게 대학원 교 육 흐름을 파악하고 교육받을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교육 커리큘럼의 유연성을 확보할 예정임.
○ 학·석사 연계과정(연계과정)은 학사과정(3.5년)과 석사과정(1.5년 이상)의 교육과정을 합하여 운영하는 과정임.
학·석 박사 연계과정(통합 연계과정)은 학사과정(3.5년)과 석박사 통합과정(3.5년 이상)의 교육과정을 합하여 운영하 는 과정으로 2014년도 1학기 9명, 2014년도 2학기 3명, 2015년도 1학기 4명을 모집 및 선발하여 연계 및 통합 연계과 정을 이수할 예정으로 주요 입학요강, 연계과정 내용, 그리고 특전 및 혜택은 아래와 같음.
- 주요 입학 요강 :
본교 생명과학부 3학년 수료학생으로 매년 1월 중순에 지도교수 추천 선발 - 연계 과정 내용:
학부 4학년에 지도교수의 석사학위논문연구 3학점, 대학원 이론과목 이수가능 연계과정 중에 이수한 대학원 수업은 선수과목으로 학점 인정
- 특전 및 혜택:
석사과정 입학 시 지도교수의 추천 및 특별전형으로 선발 (구술고사면제) 학부 장학금 지급 및 입학금 면제
3 인력양성 계획 및 지원 방안
3.1 대학원생 인력 확보/배출 및 지원 계획
① 대학원생 확보 및 배출 실적 (최근 2년)
<표 2> 사업단 소속 학과(부) 대학원생 확보 및 배출 실적 (단위: 명)
T _ 1 _ 1 :대학원생 확보 및 배출 실적
T _ 2 _ 1 :실적 T _ 2 _ 3 :석사 T _ 2 _ 4 :박사 T _ 2 _ 5 :석·박사 통합 T _ 2 _ 6 :계
T _ 3 _ 1 :확보
T _ 3 _ 2 :2013년 D _ 3 _ 3 :36.5 D _ 3 _ 4 :31 D _ 3 _ 5 :0.5 D _ 3 _ 6 :68
T _ 4 _ 2 :2014년 D _ 4 _ 3 :78.5 D _ 4 _ 4 :59 D _ 4 _ 5 :5 D _ 4 _ 6 :142.5
T _ 5 _ 2 :2015년 D _ 5 _ 3 :40 D _ 5 _ 4 :27 D _ 5 _ 5 :2 D _ 5 _ 6 :69
T _ 6 _ 2 :계 D _ 6 _ 3 :155 D _ 6 _ 4 :117 D _ 6 _ 5 :7.5 D _ 6 _ 6 :279.5
T _ 7 _ 1 :배출
T _ 7 _ 2 :2014년 D _ 7 _ 3 :33 D _ 7 _ 4 :13 D _ 7 _ 5 :X D _ 7 _ 6 :46
T _ 8 _ 2 :2015년 D _ 8 _ 3 :34 D _ 8 _ 4 :22 D _ 8 _ 5 :X D _ 8 _ 6 :56
T _ 9 _ 2 :계 D _ 9 _ 3 :67 D _ 9 _ 4 :35 D _ 9 _ 5 :X D _ 9 _ 6 :102
② 대학원생 확보 및 지원 계획 가. 대학원생 배출 계획
<표 3> 향후 사업단 소속 학과(부) 대학원생 배출 계획 (단위: 명)
T _ 1 _ 1 :연도
T _ 1 _ 2 :대학원생 배출 계획
T _ 2 _ 2 :석사 T _ 2 _ 3 :박사 T _ 2 _ 4 :계
T _ 3 _ 1 :4차년도 D _ 3 _ 2 :36 D _ 3 _ 3 :16 D _ 3 _ 4 :52
T _ 4 _ 1 :5차년도 D _ 4 _ 2 :39 D _ 4 _ 3 :18 D _ 4 _ 4 :57
T _ 5 _ 1 :6차년도 D _ 5 _ 2 :40 D _ 5 _ 3 :22 D _ 5 _ 4 :62
T _ 6 _ 1 :7차년도 D _ 6 _ 2 :42 D _ 6 _ 3 :24 D _ 6 _ 4 :66
T _ 7 _ 1 :8차년도 D _ 7 _ 2 :14 D _ 7 _ 3 :9 D _ 7 _ 4 :23
T _ 8 _ 1 :계 D _ 8 _ 2 :171 D _ 8 _ 3 :89 D _ 8 _ 4 :X
※ 상기 목표 설정에 관한 실현가능성 및 부가설명 기술
○ 현재 대학 구조조정에 의한 학부생 감소에 따른 대학원생 감소에도 불구하고 본 사업단은 꾸준히 학교 본부 대학원 생 배정 위원회에 요구를 하여 현재 경북대학교 제도개혁 위원회 결정에 따라 BK21플러스사업에 대학원생 우선 배정을 2016년도에 받을 것으로 예상되어 2018년(6년차)도부터는 석사 40명, 2019년(7년차) 석사42명 박사24명으로 증가 계획 임. BK21플러스 사업단이 2020년 8월에 종료되기 때문에 2020년(8년차)의 경우 3월-8월까지의 계획으로 석사 14명박사 9명 배출될 것으로 예상됨.
○ 그리고 학석사 석박사 과정의 학생이 계속 대학원 과정으로 진입을 하기 때문에 예상 보다 많은 인원이 배출될 것 이고 그래서 2016년 2017년도에 예상보다는 2-4명 정도 더 석사 박사 과정 배출될 것으로 판단됨.
○ 사업단이 선정이 되면 2019년도부터 매년 약 5-8% 배출 인원이 증가를 위해서 2016년부터 보다 적극적으로 입학처 에 대학원생 증원을 요구할 예정임.
○ 한편 학위과정 중에 휴학, 자퇴와 같은 중도 탈락 방지를 위해 엄격한 학사관리를 통한 석박사 학위 취득율 98%을 목표로 함.
나. 사업단의 우수 대학원생 확보 및 지원 계획
<요약>
○ 학·석사 연계과정과 석·박사 통합과정 입학을 유도하여 우수 석사 박사과정 대학원생 확보
○ 대구경북지역 타 대학 생명과학 관 련 학과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홍보를 통한 우수대학원생 확보
○ 국립국제교육원 주최 해외박람회 참가 등을 통한 우수 외국인 대학원생 확보
○ 우수대학원 신입생 및 외국인에 대한 장학금 지급
○ 우수논문, 영어 컨퍼런스 발표 대학원생에게 인센티브 지급
○ 대구 경 북 내의 우수한 연구기관에 우수대학원생 단기 파견
○ 우수대학원생에게 해외 우수 연구기관 단기 파견
○ 사업단 지원의 엄격한 학사관리로 석사 박사학위 취득률 98% 이상으로 생명과학 분야의 우수한 인재 배출
<세부 내용>
1. 본 사업단 소속 생명과학부의 매년 석사 박사과정 지원 경쟁률은 1.48:1 이상이며 특히 학석사 연계, 석박사 통합 과정까지 포함하면 2.0:1 이상의 높은 경쟁률로 현재 경북대학교 내 대학원 입학 경쟁률이 가장 높다고 판단됨.
2. 그러나 최근 대학 구조조정의 여파로 학부생 정원 감소에 따른 학교 차원에서 대학원생 정원 감축으로 매년 대학원 입학정원 증가 요청 및 BK21플러스사업 수행학과에 대학원생 우선 배정 원칙 요구를 하고 있는 상황임.
3. 우수대학원생 확보 노력으로 학부와 대학원 연계과정의 일환으로 석사 및 박사과정 정원의 일부를 학·석사 연계 과정생, 학·석박사 통합 연계과정 생으로 2014년도 1학기 9명, 2014년도 2학기 3명, 2015년도 1학기 4명을 선발하여 입학 및 입학 예정임.
4. 석사과정 지원자들을 대상으로 석·박사 통합과정 입학을 유도하여 우수 박사과정 대학원생 확보 비율을 높였 음.(2013년도 2학기 1명, 2014년도 1학기 5명, 2014년도 2학기 5명, 2015학년도 1학기 4명)
5. 본교의 타 대학(농업생명과학, 공과대학) 및 대구경북지역 지역 타 대학(영남대, 계명대, 대구대) 관련 학과 학부 생들을 대상으로 한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우수대학원생을 다수확보하고 있음.(대구대학교 12명, 영남대학교 10명, 대 구가톨릭대학교 4명, 계명대학교 2명, 부산 부경대학교 2명 등).
6. 본교는 현재 19개국 88개 대학과 학생교류협정을 통하여 세계화 교육을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국립국제교육원 주최 해외박람회 참가 등을 통해 우수 외국인 대학원생들을 확보하고자 노력하였음. 2015년도 1학기 현재 외국인 대학원생이 7명으로 증가를 하였음. (베트남 2명, 우즈베키스탄 1명, 중국 3명, 파키스탄 1명)
7. 사업단 지급 장학금뿐만 아니라 생명과학부가 소속된 자연과학대학 자체 발전 기금으로 우수대학원 신입생에 대한 장학금 300만 원(2014년 3명, 2015년 3명)을 지급하고 있음.
8. 본사업단은 대학원생 성과급 제도를 도입하여 우수논문(SCI/E급 논문) 발표 대학원생에게 인센티브를 지급(2014년 2월 18명, 2015년 2월 25명) 하여 대학원생 선의의 경쟁과 연구의욕 고취하고자 함.
9. 대학원생 영어 컨퍼런스를 개최, 우수발표자 2014년 8월 8명, 2015년 8월 4명)에게 별도의 인센티브 포상하여 사업 단 내 대학원생들 간의 선의의 경쟁력을 유도함.
10. 대구경북지역연구기관(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 실험동물센터)의 전임연구원들을 대학원 생이 현장에서 요구되는 현장 맞춤형 연구인력양성을 위하여 본 학부 겸임교수로 임용함. (신약개발지원센터 :
/ 실험동물센터 : )
11. 글로벌 인재 양성을 위해 우수 대학원생들에게 해외 우수 연구기관(미국, 프랑스, 중국 등)에서의 단기 파견의 연 구 기회를 부여하였고 앞으로 선정이 되면 보다 더 확대할 예정임. 2015년도에 사업단 소속 대학원생 단기 파견은 아 래와 같음. ( , 2015.6.20-2015.6.28,프랑스 National Polytechnic Institute of Toulouse/
2015.7.5-2015.7.16, 중국 China-US Henan Hormel Cancer Institute/ 2015.7.5-2015.7.16, 중국 China-US Henan Hormel Cancer Institute/ , 2015.7.15.-2015.7.29, 미국 National Cancer Institute)
12. 정기적으로 생명과학 관련 분야 최신 기술 및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지원하기 위해 대학교수, 연구자를 초빙하여 세미나를 개최하고, 그 외에 국내외 우수 연구자를 초청하여 특별 초청 세미나를 개최하고자 함.
13. 이외에 사업단의 요청으로 본교의 생명과학 관련 분야 학술정보지원 시스템 확충/운영과 대학원생 전용 기숙사 신 축을 결정하여 앞으로 학교 차원에서의 지원도 계속 증가할 것으로 기대함. 특히, 국제 교류원에서 우수 외국인 대학 원생에게는 KINGS(KNUInternationalGraduateScholarships)을 통해 100% 등록금 전액 지원과 자비 외국인 유학생의 경 우 50% 지원을 할 예정임.
14. 사업단이 선정되면 엄격한 학사관리 시스템에 의한 석사 박사학위 취득률 98% 이상으로 생명과학분야의 우수한 인 재 배출할 계획임.
3.2 대학원생의 취업 현황 및 진로 개발 계획
① 취업률 및 취업의 질적 우수성
<표 4> 사업단 소속 학과(부) 대학원생 취업률 실적 (단위: 명, %)
T _ 1 _ 1 :구분
T _ 1 _ 3 :졸업 및 취업현황
T _ 1 _ 9 :취업률
(%)(D/C)×
100
T _ 2 _ 3 :졸업자(G)
T _ 2 _ 4 :비취업자(B)
T _ 2 _ 7 :취업대상자
(C=G-B) T _ 2 _ 8 :취업자(D)
T _ 3 _ 4 :진학자
T _ 3 _ 6 :입대자
T _ 4 _ 4 :국내 T _ 4 _ 5 :국외
T _ 5 _ 1 :2014년 8
월 졸업자
T _ 5 _ 2 :석사 D _ 5 _ 3 :8 D _ 5 _ 4 :2 D _ 5 _ 5 :0 D _ 5 _ 6 :0 D _ 5 _ 7 :6 D _ 5 _ 8 :3 T _ 5 _ 9 :석사/박사
합산
T _ 6 _ 2 :박사 D _ 6 _ 3 :4 D _ 6 _ 4 :X D _ 6 _ 5 :X D _ 6 _ 6 :0 D _ 6 _ 7 :4 D _ 6 _ 8 :2 D _ 6 _ 9 :50
T _ 7 _ 1 :2015년 2
월 졸업자
T _ 7 _ 2 :석사 D _ 7 _ 3 :22 D _ 7 _ 4 :10 D _ 7 _ 5 :0 D _ 7 _ 6 :0 D _ 7 _ 7 :12 D _ 7 _ 8 :6 T _ 7 _ 9 :석사/박사
합산
T _ 8 _ 2 :박사 D _ 8 _ 3 :13 D _ 8 _ 4 :X D _ 8 _ 5 :X D _ 8 _ 6 :0 D _ 8 _ 7 :13 D _ 8 _ 8 :8 D _ 8 _ 9 :56
T _ 9 _ 1 :계 D _ 9 _ 3 :47 D _ 9 _ 4 :12 D _ 9 _ 5 :0 D _ 9 _ 6 :0 D _ 9 _ 7 :35 D _ 9 _ 8 :19 D _ 9 _ 9 :54.29
취업률 및 취업의 질적 우수성
<요약>
○ 석사과정 졸업생 중 대부분의 박사과정 진학자는 본 사업단 소속 생명과 학부로 진학
○ 생명과학 분야의 우수 국내외 대학, 기업, 연구소 취업
○ 대구경북지역의 생명과학 연구기관 현장 맞춤형 취업
○ 첨단 생명과학인력양성이라는 본사업단의 최종 목표 대비 높은 취업률 달성
<세부 내용>
1. 본 사업단의 석사 학위 취득자 중 박사과정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의 대부분이 본 사업단 소속 생명과학부로 진학하 였음. 박사 입학전형 경쟁률은 2014년 (1.17:1), 2015년 (1.42:1) 로 매년 경쟁률이 증가를 하고 있어, 본교 대학원 입학 정책과에 BK21플러스사업 수행 학부에 대학원생 우선 배정원칙 요구를 하고 있는 상황임.
2. 본 사업단의 대부분의 석박사 졸업생들이 생명과학전공 분야로 취업하여 질적 우수성을 확보하였고, 본 사업단의 최종목표인 생명과학분야 연구기관 및 기업, 대구 경북지역의 현장 맞춤형 인재 배출 허브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 하고 있음. (정부연구기관의 연구원: 국립식량과학원 1명, 기초과학연구원 2명 / 지역의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 단 1명, 한국뇌연구원 1명, 대학(교) 4명 / 바이오기업 6명 / 외국 대학교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Visayas 1 명 / 미국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s of Health,NIH) 1명 / 기타 2명 등)
3. 위와 같이 본 사업단의 최종 목표인 미래창조 생명과학 산업의 수요 충족을 위한 석 박사급의 고급 첨단생명과학 인재를 양성하여 생명과학분야 우수한 연구기관 및 기업에 높은 취업률을 달성하였다고 자부함.
4. 본 사업단은 향후 대구 경북지역에 박사급 인력 수요가 증가될 것으로 예상하며, 생명과학 분야의 새로운 리더로서 국내외 대학, 기업, 연구소 등에 진출하여 고부가가치 신산업 창출에 선도적인 역할을 담당하기 위한 미래 글로벌 인 재를 계속 배출하고자 함.
② 취업지도/진로 개발 실적 및 계획
<요약>
○ 대구 경북지역의 우수 연구기관 현장 맞춤형 취업의 기틀 마련
○ 졸업생과 취업 준비생과의 상호 정보교환을 위한 장을 제공
○ 학과 홈페이지에 구인광고 및 다양한 취업 정보를 제공
○ 사업 참여 참여 교수들의 기업체 및 연구기관 방문, 우수대학원생 채용 독려
○ 산 학 연 네트워크 형성에 따른 협력관계 유지 및 취업지원 프로그램 개발 지원
○ 국내외 다양한 연구분야 우수 연구자 초청 정기세미나, 심포지엄 개최
○ 글로벌 생명과학 기업의 취직을 위한 영어 교육 강화
○ 해외 현장체험을 통한 글로벌 인력 양성으로 취업 수준 향상
○ 최신 생명과학 연구동향, 정책, 산업, 제도, 특허 분야로 나누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창업역량 강화 교육을 통한 창업에 대한 관심 증대 및 취업 경쟁력 우위 확보
○ 대학원생의 취업지도/진로 관련 교과목 운영 및 실적 지표 선정, 담당 지도 교수 인센티브 지급
<세부 내용>
1. 취업의 질적 우수성을 달성하기 위한 취업상담, 진로지도, 취업 컨퍼런스 및 세미나 등 다양한 취업지원 프로그램 개발실적 및 계획
1) 본 사업단은 취업의 질적 우수성 향상을 위해 참여 대학원생들에게 대구경북첨단 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 지원 센터에 단기 파견 (2건)으로 산업체 현장실습 기회를 적극 부여하고 있으며, 신약개발 지원센터와 한국뇌연구원과 MOU 를 맺고 인력 정보교환 Network 구축하여 대구 경북지역의 우수 연구기관 현장 맞춤형 취업의 기틀 마련.
2) 취업한 졸업생들을 활용한 다양한 행사(졸업생 초청 강연 등)를 개최하여 취업 준비생과 졸업생 간의 상호 정보교 환을 위한 장을 제공하였음.
3) 학과 홈페이지에 게시판을 운영하여 상시 구인광고 및 다양한 취업 정보를 제공하고 있고, 지역 주요 바이오 연구 기관 및 산업체와의 상담을 적극 주선하여 전공과 능력에 맞는 취업방향을 지도하고 있음.
4) 참여교수들의 대구 생명과학 관련 기업체 및 연구기관 방문을 통해서 사업단 프로그램을 적극 홍보하고 우수대학원 생들의 채용을 독려하고 있고 그 결과 아래와 같으며 보다 더 맞춤형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기업체 및 연구기관 심포 지엄, 초청 세미나를 통한 보다 긴밀한 협조관계를 유지할 계획임. (한국한의학연구원 1명, 기초과학연구원 2명/ 지역 의 대구경북첨단 의료산업진흥재단 1명, 한국뇌연구원 1명, 대학(교) 4명/ 바이오기업 6명)
5) 국내외 다양한 연구분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우수 연구자 초청 정기 세미나, 또는 심포지엄을 매년 2회 개최하여 대학원이 학문에 대한 다양한 경험과 열정 및 연구성과를 직접 경청하고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과학자로서의 미래 계획 구상에 적극적이고 직접적인 도움 제공할 계획이며 특히, 대구·경북지역의 생명과학 산업체 및 연구기관의 전문가를 수시로 초청하여 지역대표 바이오산업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기회를 지원을 계속하고자 함.
2. 현 취업률 현황(기업, 대학, 연구소 등) 분석 및 특성 파악을 통해 취업의 우수성 향상 계획
1) 취업률 현황을 분석하면 석사를 졸업한 다수의 학생들이 박사과정으로 진학하였으며, 또는 정부 및 대구 경북 지역 특성화 우수 연구기관으로 박사학위 취득자의 경우 박사 후 과정을 하기 위해 미국과 같은 생명과학 선진국에 객원 연 구원으로 취업경향을 나타내는 바, 특히, 외국인 박사 학위자 경우, 본국의 교수로 역할을 하고 있어 BK21 플러스 사 업의 취지에 맞는 역할을 수행하였음.
2) 보다 더 취업의 우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산 학 연 네트워크 형성에 따른 협력관계 유지 및 취업지원 프로그 램 개발을 위하여 참여 대학원생들에게 산업체 현장실습 기회를 적극 부여하고 있으며, 산학연계 강화 및 공동연구 수 행, 최신 동향과 목을 개설 등 인력 정보교환 Network 구축할 계획이며, 기존의 연도별 목표치를 실현 가능한 수치로 재설정, 각종 지원계획을 현실화함으로써 취업률 향상을 도모할 것임.
3) 박사 미진학자 중 취업하고자 하는 졸업자는 재학 중 미리 취업률 향상 지원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하여 지역기반 인 력양성사업에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매년 5~10%씩 취업률 향상시킬 계획임.
4) 글로벌 생명과학 기업의 취직을 위한 영어 교육 강화를 위해 영어 공인 시험에 따른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해외 현 장체험을 통한 글로벌 인력 양성하기 위해 해외 자매결연 대학이나 연구소에 연수 및 단기 체류의 지원을 통해 국제화 된 인력을 양성함으로써 글로벌 취업 질적 수준 향상을 도모함.
5) 사업단 홈페이지에 게시판에 최근 인터넷이나, SNS에 의한 많은 정보로 인한 취업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최신 생 명과학 연구동향, 정책, 산업, 제도, 특허 분야로 나누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하여 보다 정확한 생명과학 분야 취업 정 보를 지원하고자 함.
6) 창업역량 강화 교육을 통한 창업에 대한 관심 증대 및 취업 경쟁력 우위 확보를 위해 창업동아리 지원과 창업 관련 초청 강의와 사업단과 본교 산학협력단이 창업 지원을 계획하고 있음.
7) 대학원생의 취업지도/진로 관련 교과목 운영 및 실적 지표 선정하고, 실적에 따른 사업 참여 교수의 인센티브 지급 함으로써 보다 적극적인 취업률 향상을 계획하고 있음.
4 대학원생 연구역량
4.1 대학원생 연구 실적의 우수성 (최근 2년)
① 대학원생 1인당 국제저명학술지 게재 논문 환산 편수
<표 5> 대학원생 논문 환산 편수 실적
T _ 1 _ 1 :구분
T _ 1 _ 2 :최근 2년간 실적
T _ 1 _ 5 :전체기간 실적
T _ 2 _ 2 :2013년 T _ 2 _ 3 :2014년 T _ 2 _ 4 :2015년
T _ 3 _ 1 :논문 총 건수 D _ 3 _ 2 :13 D _ 3 _ 3 :70 D _ 3 _ 4 :38 D _ 3 _ 5 :121
T _ 4 _ 1 :1인당 논문 건수 D _ 4 _ 2 :X D _ 4 _ 3 :X D _ 4 _ 4 :X D _ 4 _ 5 :0.4329
T _ 5 _ 1 :논문 총 환산 편수 D _ 5 _ 2 :4.2426 D _ 5 _ 3 :24.2497 D _ 5 _ 4 :13.7748 D _ 5 _ 5 :42.2671
T _ 6 _ 1 :1인당 논문 환산편수 D _ 6 _ 2 :X D _ 6 _ 3 :X D _ 6 _ 4 :X D _ 6 _ 5 :0.1512
T _ 7 _ 1 :소속 학과 대학원생 수 D _ 7 _ 5 :279.5
② 대학원생 SCI(E) (SSCI 포함) 논문의 환산 보정 IF
<표 6> 대학원생 1인당 SCI(E) (SSCI 포함) 논문의 환산 보정 IF
T _ 1 _ 1 :구분
T _ 1 _ 2 :최근 2년간 실적
T _ 1 _ 5 :전체기간 실적
T _ 2 _ 2 :2013년 T _ 2 _ 3 :2014년 T _ 2 _ 4 :2015년
T _ 3 _ 1 :총 환산 편수 D _ 3 _ 2 :4.2426 D _ 3 _ 3 :24.2497 D _ 3 _ 4 :13.7748 D _ 3 _ 5 :42.2671
T _ 4 _ 1 :총 환산 보정 IF D _ 4 _ 2 :1.52363 D _ 4 _ 3 :9.16448 D _ 4 _ 4 :4.47595 D _ 4 _ 5 :15.16406
T _ 5 _ 1 :환산 논문 1편당 환
산 보정 IF D _ 5 _ 2 :0.35912 D _ 5 _ 3 :0.37792 D _ 5 _ 4 :0.32493 D _ 5 _ 5 :0.35876
T _ 6 _ 1 :1인당 환산 보정 IF D _ 6 _ 2 :X D _ 6 _ 3 :X D _ 6 _ 4 :X D _ 6 _ 5 :0.05425
T _ 7 _ 1 :소속 학과 대학원생 수 D _ 7 _ 5 :279.5명
③ 대학원생 1인당 학술대회 발표 논문 환산 편수
<표 7> 대학원생 1인당 학술대회 발표 논문 환산 편수
T _ 1 _ 1 :구분
T _ 1 _ 2 :최근 2년간의 학술대회 발표 실적
T _ 1 _ 1 1 :전체기간 실적
T _ 2 _ 2 :2013년 T _ 2 _ 5 :2014년 T _ 2 _ 8 :2015년
T _ 3 _ 2 :국제 T _ 3 _ 3 :국내 T _ 3 _ 4 :계 T _ 3 _ 5 :국제 T _ 3 _ 6 :국내 T _ 3 _ 7 :계 T _ 3 _ 8 :국제 T _ 3 _ 9 :국내 T _ 3 _ 1 0 :계 T _ 3 _ 1 1 :국제 T _ 3 _ 1 2 :국내 T _ 3 _ 1 3 :계
T _ 4 _ 1 :총 건
수 D _ 4 _ 2 :33 D _ 4 _ 3 :34 D _ 4 _ 4 :67 D _ 4 _ 5 :64 D _ 4 _ 6 :34 D _ 4 _ 7 :98 D _ 4 _ 8 :39 D _ 4 _ 9 :2 D _ 4 _ 1 0 :41 D _ 4 _ 1 1 :136 D _ 4 _ 1 2 :70 D _ 4 _ 1 3 :206
T _ 5 _ 1 :총 환
산편수
D _ 5 _ 2 :30.674
1
D _ 5 _ 3 :14.202
7
D _ 5 _ 4 :44.876
8
D _ 5 _ 5 :67.218
3
D _ 5 _ 6 :17.209
2
D _ 5 _ 7 :84.427
5
D _ 5 _ 8 :38.842
2 D _ 5 _ 9 :0.75 D _ 5 _ 1 0 :39.592
2
D _ 5 _ 1 1 :136.73
46
D _ 5 _ 1 2 :32.161
9
D _ 5 _ 1 3 :168.89
65
T _ 6 _ 1 :1인당
환산편 수
D _ 6 _ 2 :X D _ 6 _ 4 :X D _ 6 _ 5 :X D _ 6 _ 7 :X D _ 6 _ 8 :X D _ 6 _ 1 0 :X D _ 6 _ 1 1 :X D _ 6 _ 1 2 :X D _ 6 _ 1 3 :0.6042
T _ 7 _ 1 :소속 학과 대학원생 수 D _ 7 _ 1 1 :X D _ 7 _ 1 2 :X D _ 7 _ 1 3 :279.5
명
4.2 대학원생 연구 수월성 증진의 우수성
① 연도별 목표설정의 우수성
<표 8> 연도별 목표설정의 우수성
T _ 1 _ 1 :항목
T _ 1 _ 2 :연도별 목표
T _ 1 _ 7 :연평균 증가율
T _ 2 _ 2 :4차년도 T _ 2 _ 3 :5차년도 T _ 2 _ 4 :6차년도 T _ 2 _ 5 :7차년도 T _ 2 _ 6 :8차년도
T _ 3 _ 1 :대학원생 1인
당 국제저명학 술지 논문 환
산 편수
D _ 3 _ 2 :0.17 D _ 3 _ 3 :0.19 D _ 3 _ 4 :0.23 D _ 3 _ 5 :0.26 D _ 3 _ 6 :0.28 D _ 3 _ 7 :15.28%
T _ 4 _ 1 :대학원생 1인
당 SCI, SCIE (SSCI,A&HCI 포함) 논문의 환산 보정 IF
D _ 4 _ 2 :0.057 D _ 4 _ 3 :0.063 D _ 4 _ 4 :0.069 D _ 4 _ 5 :0.075 D _ 4 _ 6 :0.082 D _ 4 _ 7 :9.58%
T _ 5 _ 1 :환산 논문 1편
당 환산 보정 IF
D _ 5 _ 2 :0.37 D _ 5 _ 3 :0.4 D _ 5 _ 4 :0.43 D _ 5 _ 5 :0.46 D _ 5 _ 6 :0.49 D _ 5 _ 7 :7.52%
T _ 6 _ 1 :대학원생 1인
당 학술대회 발표논문 환산
편수
D _ 6 _ 2 :0.65 D _ 6 _ 3 :0.7 D _ 6 _ 4 :0.75 D _ 6 _ 5 :0.8 D _ 6 _ 6 :0.85 D _ 6 _ 7 :7.16%
※ 상기 목표 설정에 관한 실현가능성 및 부가설명 기술최근 2년간의 실적을 근거로 하여 대학원생 연구실적(환산 편수, 환산 보정 IF 등)에 관한 실현 가능성 및 목표설정의 적절성 등 부가설명 기술
1. 본 사업단 대학원생의 연구 실적 현황
1) 최근 2년간 본교 대학원생 1인당 국제 학술논문 게재 수는 매년 평균 0.4편 이상임.
2) 1인당 논문 환산 편수는 현재 0.15이며, 더욱 활발한 연구 장려 및 지도를 통해 상기 언급된 연도별 목표를 달성하 고자 함.
3) 환산 논문 1편당 환산 보정 IF는 논문 편당 0.35로 우수한 수준을 나타내고 있음.
4) 대학원생 1인당 학술대회 발표 논문 환산 편수는 0.6이며 매년 꾸준한 증가를 나타내고 있음.
2. 연도별 목표 설정의 적절성
1) 대학원 졸업 조건으로 권장하는 국제 학술지 논문 게재(석사 1편, 박사 2편)를 고려하면 사업 종료 시점에 대학원 생 1인당 국제 저명 학술지 논문 환산 편수는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2) 사업 종료 시점까지 대학원생 1인당 국제 저명 학술지 논문 환산 편수는 연평균 15.28%의 증가 목표치를 가지고 있 음.
3) 현재 재학 대학원생 논문의 질적 향상을 위해 힘쓰고 있으며, 다양한 학술활동 지원으로 연구 역량을 강화하여 환 산 논문 1편당 환산 보정 IF는 사업 종료 시점에 0.49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4) 재학 대학원생의 연 1회 이상 국내외 학술대회 참가를 권장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발표 기회를 부여하여 설정한 목 표 달성을 위해 최선을 다 할 것임.
5) 상기 목표는 실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목표 달성과 함께 우수한 연구력을 가진 대학원생들을 지속적으로 배출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3. 목표 달성을 위한 준비 내용
1) 우수 연구자 초청 정기 세미나를 통한 최신의 연구결과 습득 및 연계전공 프로그램 강화.
2) 최적의 연구환경 조성과 지역 내 정출연과의 교류를 통한 최신 연구기기 이용 지원 및 대학원 학술활동 지원 강화.
3) 매년 5~10% 이상의 논문 환산 편수 및 환산 보정 IF 향상 목표.
4) 매년 5% 이상의 대학원생 국내·외 학술대회 발표 증가 및 국제 학술대회 발표 비율 확대.
② 대학원생 학술활동 지원계획의 우수성
가. 대학원생 학술 및 연구활동 지원 계획
<요약>
○ 창의적 교육을 위한 연계전공 신규강좌 개설 및 세미나 개최
○ 대학원생 학술대회 참가 지원 및 자체 학생발표대회 개최
○ 첨단 교육 시설 확충 (학술 정보 지원) 및 복리후생 강화
○ 연구시설 및 연구지원 시스템 구축
○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통한 창의적인 자유 토론 시스템 구축
<세부 내용>
1. 창의적 교육을 위한 연계전공 신규강좌 개설 및 세미나 개최 계획
1) 연계전공(정부 출연연구소 소속 책임 연구자 초청 정규 수업 강연 등) 교과목의 강좌 개설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학문을 접하여 창의적 사고력 향상을 유도할 계획임.
2) 월 2회 이상의 외부 초청 정기 세미나를 개최하고 참여대학원생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연구 역량을 강화하고자 함.
2. 대학원생 학술대회 참가 지원 및 자체 학생 발표 대회 개최
1) 대학원생 1인당 국내외 학술 대회 참가 및 발표를 연 1회 이상 수행하도록 권장하고 발표자에 대한 지원을 강화할 예정임.
2) 매년 정기 참여 대학원생 세미나 발표 대회 (Graduate Student Bio-Conference 2년 진행하였음)를 통해 참여 대학 원생의 구두발표 기회 부여 및 발표력 향상을 도모하고 우수 발표자 시상을 통해 전문 연구자로서의 자긍심을 증진시 키려 함.
3. 첨단 교육 시설 확충 (학술 정보 지원) 및 복리후생 강화 안전관리
1)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갖춘 전용 교실 11개와 실험실습실 5개 및 도서실을 갖추고 있어 이를 활용하여 충분한 교육
효과를 내도록 유도하고자 함.
2) 본 대학 중앙도서관은 생명과학 관련 전문학술지 및 전문서적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으며, 최신 국제 전문학술지에 대한 열람을 지원하여 대학원생 학술활동에 이를 적극 활용/응용하도록 함.
3) 학생들이 경제적 부담 없이 학업과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기숙사 우선 입주가 가능하도록 함.
4. 연구시설 및 연구지원 시스템 구축
1) 실험실, 공동기기실, 배양실, 표본실, 분석실 등 다양한 부대 연구시설의 전반적인 정비를 통해 효율적인 연구시스 템을 구축 및 활용함.
2) 기자재 확충 사업을 통해 매년 최신의 연구기자재를 구입하고 있고, 기기 관리는 책임교수를 임명하여 교수의 철저 한 감독 하에 운영하고자 함.
3) 연구에 필요한 다양한 실험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석사학위 기술요원을 확보하여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기, real live cell imaging system, Functional MRI, micro CT, 단백질 정제, 조직 및 세포배양, 동물 입체 정위 뇌수술, 생리 활성물질 분리 정제기술, 항체 생성, 전자 및 공초점 현미경, 동물 사육, 유기 합성, 구조분석기기 등 필요한 운영 기 법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제공하여 효율적인 연구지원 시스템을 구축함.
4) 한국뇌연구원 및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DGMIF) 등 대구경북 내 정부 출연연구소와의 연구 협력을 통한 최 신 연구시설 지원 시스템 구축함.
5.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통한 창의적인 자유 토론 시스템 구축
1)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전용 회의실을 구축하여 본 사업단의 세부 팀별 정기 자유 토론 및 국제 교류 회의에 적극 활 용함.
2) 멀티미디어 시스템이 완비된 100석 규모의 중형 세미나실과 30석 규모의 소형 세미나실을 갖추어 사업단 회의 및 세미나에 상시 운용함.
나. 국내·외학술지 논문 게재 지원 계획
<요약>
○ 학위논문의 국제학술지 투고 의무화 및 인센티브제 도입
○ 영어논문작성법 전공필수강좌 개설
<세부사항>
1. 학위논문의 국제학술지투고 의무화 및 인센티브제 도입 1) 대학원생 졸업 조건
○ 석사졸업자: 석사학위 논문은 졸업 시까지 국제학술지에 주저자로 투고하는 것을 최소요건으로 함. 단, 타 연구자(
박사졸업자 또는 타 석사졸업자)의 국제학술지에 공동저자로 논문이 게재확정된 것은 인정함. 단, 학문분야의 특성을 고려하여 예외를 둘 수 있음.
○ 박사졸업자: 박사학위 논문은 졸업 시까지 SCI(E) 저널에 주저자로 게재 확정되는 것에 한하여 2편 이상 시 졸업자 격을 인정. 단, 공동주저자도 주저자로 인정하며, SCI impact factor가 5 이상인 경우 1편으로도 졸업요건 충족하는 것으로 인정. 단, 학문분야의 특성을 고려하여 예외를 둘 수 있음.
2) 인센티브
○ 최근 석·박사 졸업자들의 취업에 필수적으로 연구업적이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므로, 석·박사 졸업 논문의 국제학술지 투고 및 승인을 의무화함으로써 취업에 유리한 조건을 확보하고, 이를 고무시키기 위해 주저자로 학술지에 출판 시 인센티브 지급할 것임.
<세부 지원 내용 (인센티브 외 추가지원 사항 포함)>
○ 대학원생의 학술 활동 사기 진작을 위한 다음과 같은 인센티브 제도를 운영하고자 함.
- 국제전문학술지에 주저자로 게재한 대학원생에 대하여 각 카테고리별 IF 상위 10%미만, 상위 10%이상-30%미만, 상위 30%이상에 대해 차등하여 지급하되, 공동 주저자일 경우 1/N으로 포상. 다수의 논문에 경우 편수에 상관없이 각 해당 논문의 주저자 모두에게 지원함. (실적 여부에 따라 최우수 논문상 및 우수 논문상으로 구분)
- 영어 실력 향상 및 사기 진작을 위해 공인인증영어 성적 제출자에 대해 점수별로 차등하여 인센티브를 지원함.
2. 영어논문작성법 지도강좌 개설
1) 국외논문, 국외학술발표에 필수적인 영어논문 작성법에 대한 강좌를 사업단 대학원생들에게 실시함.
2) 학위논문연구 강좌에 영어 논문 작성법 강의를 포함하고 이를 통해 학위 논문의 영어 비율 및 학술논문 작성 역량 을 향상시킬 예정임.
3) 영어논문작성법 강연 외국 전문자 초청 세미나를 연 2회 실시할 예정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