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터 항만하역 청부 사업을 받았다. 相生은 당시 부두에 있는 중국인 曲永坤의 ' 坤記公司', 李宗之의 '公記公司' 그리고 王培珍의 '義和興公司'에 노동자 모집과 선적을 맡게 하였다. 후에 부두확장공사가 진행되면서 노동자들이 더 많이 요 구되자 相生은 만철본부에 보고하고 상기 3개 회사를 인수 합병하여 ‘福昌公 司人夫配給所'(福昌公司)를 설립하고 외지로 부터 대량의 노동자를 모집하여 노동력 부족문제를 해결하였다. 당시 부두 작업에 종사한 苦力은 약 8천명에 달했지만 相生은 “苦力에게 개나 말처럼 일을 시키는 것을 금지하고, 協和를 주로 해서 그들을 취급”하였다고 한다.

112)

이러한 표현은 사후 그의 행적을 기 리기 위한 미사여구라고는 하지만 노동효율의 증진에 기여한 점은 간과할 수 없다.

초기 福昌公司의 주요한 업무는 부두 인부에 대한 청부였지만 항만하역의 파 동성 때문에 회사는 충분히 노동력을 이용하기 위해 기타 업무를 개척하였다.

福昌公司의 관리조직은 바로 위의 업무를 중심으로 설치되었고, 구체적인 조직 구성은 다음 <그림6>과 같다.

<그림6> 福昌公司의 조직 구성

출처: 周永剛, 앞의 책, p.212.

이런 조직은 바로 福昌公司의 주요 업무를 중심으로 설치되었기 때문이었다.

福昌公司가 경영하는 업무는 아래의 자료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다.

①土木建築청부: 土木建築청부는 1910년에 寺兒溝의 10만평 海面 매립 및 제1 부두 앞 海面 매립공사가 낙찰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그렇지만 건축청부는 1916년 2월에 이르러서 정식으로 시작되었는데 청부금액이 매년 토목 50만 엔, 건축 30만 엔에 달하였다. 이외에 1928년에 奉天출장소를 설립하고 봉천과 撫順 에서도 토목청부업을 진행하였는데 같은 해에 12만 엔에 달하는 공사를 청부하 였다.

② 기와 제조 및 판매: 1909년 大連 시내 東山町에 연간 생산능력 400만장에 달하는 廠內輸環式 기와공장을 설립하였다. 1927년 3월에는 東西煉瓦株式會社를 인수하여 시외의 周水子驛 남쪽에 동등한 생산능력을 갖춘 벽돌공장을 경영하여

좋은 경제효과를 얻었다.

③ 석재 채취 및 판매: a. 石灰石은 매년 생산량이 31-40만 톤에 달하였는데, 大連 항만건설에 사용된 석회석은 모두 이 회사에서 생산한 것이다. 1919년에는 天津에서 販路를 개척하고 당산의 石灰石과 경쟁하여 매면 수출하였다. b. 苦灰 石의 礦區 면적은 20만평에 달하였고 생산량은 매년 30-38만 톤에 달하였다.

1918년에 滿洲產 苦灰石이 일본제철소에까지 소개되어 수출량이 매년 증가하였 다. 그리고 또 일본 八幡制鐵所의 광산 광석채취 및 선적도 청부받았는데, 연간 25,000여 톤을 생산하였다. c. 花崗石은 關東州내 각지에 採掘場이 있었는데 關 東廳, 滿鐵 및 기타 시내 土木建築에서 이 회사의 花崗石이 대량으로 사용되었 다. e. 矽石은 매월 28,000톤을 생산하였는데 고회석과 더불어 일본 제철회사에 서 대량 사용하였다.

f

. 耐火粘土 復州耐火粘土는 일본제철공업의 필수품으로 되 었다. 1928년부터 판매되었는데 1929년에는 판매량이 7,000톤에 달하였다.

④ 貸家: 大連 시내에서 山通縣의 4층 건물을 사물실로 임대하고 柳町의 3층 건물을 독일영사관으로 임대하면서 시작되었다. 시내 각처에 임대 건물이 150채 를 넘었다. 이외에 營口, 鞍山, 奉天, 開原 등지에도 임대건물이 있는데 1년 임 대금액이 7만 엔을 넘었다. 이 업무는 사회봉사의 차원에서 경영되었는데 일반 적 通貸家처럼 이윤을 추구하지 않았기 때문에 임대하려는 사람이 많았고 모든 건물을 임대할 수 있었다.

⑤ 창고: 1918년 12월부터 시내에 건평 1675평, 부지 3340에 달하는 창고를 지 어 일반 화물보관 외에도 화물통관 등 업무도 대리하였기 때문에 동업종 가운데 신임을 얻었다. 正金銀行, 正隆銀行 및 三菱商事 등과 업무협력을 진행하였다.

⑥ 보험대리: 1913년 12월부터 국내외의 화재, 해상운수, 상해생명 등 보험대 리를 취급하기 시작하였다. 1927년의 계약액수를 보면 화재 25000엔, 해상운수 1000만 엔, 생명 12000엔에 달하여 당지의 동업종에서 三井保險과 더불어 2위를 점하였다.

⑦ 무역: 각종 電機, 自動車, 蓄音器, 礦油類, 麥粉, 砂糖, 酒精, 鹽, 魚類, 木材, 雜貨 등을 취급하였는데 주로 八幡制鐵所, 動靜制鐵會社, 安川電氣制作所, 日本 皮革會社, 亞細亞石油會社와 미국, 영국의 회사로부터 수입하였다.

116)

이외에 복창회사는 1910년부터 농업도 경영하였는데 초기에는 금주 남산기슭 에 4,240평의 농지를 구입하여 사과와 앵두 등 과실나무를 재배하였고, 大豆와 파 등 각종 채소도 재배하였다. 1918년부터는 大連시 서산에서 57424평의 농지 를 구입하여 과수와 채소를 재배하였다.

117)

116) 國澤新兵衛, 앞의 책, pp.963-964.

복창공사는 부두의 하역작업을 전문 청부하는 회사였다. 相生 시기에 부두에 는 8천여 명의 쿠리가 복창공사에 소속되어 있었는데 이들은 만철을 위해 항만 하역작업에 노동력을 제공하였다. 복창공사는 직접 이들 쿠리를 관리하지 않고 중국인 파두를 통하여 쿠리를 관리하였다.

제3절 항만 하역시스템의 형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