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8년 3월 29일 러시아는 내압과 외압의 영향을 받아서 『政府公報』를 통 하여 大連이 자유항임을 선언하였다
62)
. 이것은 시장경제가 발달하지 못한 러시 아가 자유항의 정책우세를 이용하여 항구의 신속한 발전을 도모하여 大連 항만 을 세계적인 무역중심으로 만들기 위한 목적이었다.63)
이 제도의 실행으로 大 連 항만의 자유무역구역에는 모든 외국 상선들이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었고, 화물에 대한 세금면제를 받을 수 있었다. 따라서 1902년부터 大連을 출입하는 선박수와 화물량이 대폭 증가하였다. 1901년에는 379척에 불과했지만 1902년에 는 717척(4,322,115푸드64)
), 1903년에는 792척(17,983,300푸드)으로 늘어났다.1904년 5월 일본은 大連을 조차한 이후 일반 상인과 상선의 출입을 금지하였 는데, 다음 해 일본의 상선과 상인의 출입을 허가했지만 엄격한 허가주의를 채 택하였다. 1905년 5월 遼東守備軍司令官은 제22호 令達로 貨物輸出入稅則을 頒 布하였다. 그 규칙은 지정된 항만에서 화물의 수출입만 허가하며 중국 상선의 수출입화물에 대해 당시 營口와 같은 세금을 부과하고, 일본산 화물에 대해 세 금을 면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하지만 이런 독점적인 관세제도는 영국과 미 국 등 구미 열강의 반대 때문에 결국 1906년 6월 30일 廢止되었고 자유무역제 도를 실행하게 되었다.
65)
일본은 “大連을 무역의 중심으로 경영하여 조차지에서는 군사의 필요적 제
62) 내압과 외압에 관련된 내용은 麻田雅文,「中東鉄道とダーリニー(大連)港の勃興:
1898–1904 年」,『スラヴ研究』No.55(2008), pp.193-195.
63) 蔣耀輝, 『大連港史』, 大連出版社, 2013, pp.53-54.
64) 1푸드=16.38kg.
65) 滿鐵庶務部調查課 編, 『滿洲に於ける支那の特殊關稅制度』, 1928.7, 滿鐵, p.6.
한이외 純然한 자유항으로 자유무역주의를 최대화 실행”하였다. 자유항은 상 품이 출입할 때에 특정한 세금혜택을 받을 수 있었다. 이에 관련된 구체적인 내 용 은 ‘大 連 海 関 暫 定 協 約’ 의 조 문 을 통 해 서 확 인 할 수 있 다 .
(전략) 제5조: 해로로 大連에 수입되는 제품에는 수입 세금을 부과하고 일본 조차지 경계를 넘어 중국 내륙에 이르는 각종 상품 및 산물은 항구에서 현행 조 약에 따라 수입 세금을 부과한다. 일본 관헌은 세관의 허가 또는 통관증이 없는 상품의 일본 조차지 경계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각종 가능한 도움을 줄 수 있는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데 동의한다.
제6조: 중국 내지보다 일본 조차지에 들어오는 중국 상품 및 물품들이 大連에 서 다른 지역으로 가는 선박에 선적될 때에는 현행 조약에 의하여 수출 세금을 납부 하여야하고 일본 조차지의 물품 및 이 물품에 의하여 제조된 상품이 만약 해로를 통하여 다시 조차지에 수입될 경우, 수출 세금을 납부할 필요가 없다. 일 본 조차지에서 중국내지로부터 오는 원료를 이용하여 제조한 물품에 대하여 납 부하는 세금에 대하여서는 膠州灣에서 독일 조차에서 동일한 물품에 대하여 지 금 납부하는 세금과 동일하게 처리한다.
제7조: 중국의 조약항로부터 大連에 오는 중국 상품이 만약 일본 조차지에만 한한다면 납세할 필요가 없고, 만약 이 상품이 일본 조차지 경계를 넘어서 중국 내지로 들어갈 경우에는 현행조약에 의하여 납세하여야 한다.
제8조: 大連에서 선적되어 수출 세금을 납부한 중국 상품에 대하여서는 영수 증을 발급하여 중국조약 항구에 荷積할 경우에는 이 영수증을 제시하고 현행 조 약에 따라 연안무역세금을 납부하지 않는다.
제9조: 일본 및 중국 이외의 상품에 대하여서는 중국조약항로부터 大連에 적 재될 경우에는 해당 조약항에 납부하는 수입세금은 조약의 규정에 따라 환불 처 리하고 해당 상품은 大連에 수입된 다음에 일본 조차지 경계를 넘어 중국 내지 에 들어가지 않은 경우에 한하여서는 아무런 세금도 납부할 필요가 없다. 이 상 품이 大連으로부터 중국 이외의 지역에 다시 수출될 경우에는 수출세금을 납부 할 필요가 없다.
제10조: 중국 상품 또는 제품이 중국 조약항로부터 大連항에 들어올 때, 이곳 으로부터 특히 중국 이외의 항구로부터 선적되어 들어올 때에는 수출 세금납부 증명서를 제출하고 수출세금을 납부할 필요가 없다.
제11조: 大連海関은 噸稅, 燈塔세금 및 항구세 등 약간의 관리비용 징수는 간 여하지 않는다.
제12조: 중국조약항구에서 현행관세율은 大連해관에 대하여서도 동일하게 적
용한다.
66)
위의 내용에 의하면 자유항은 조약항보다 세금의 특혜를 받을 수 있어서 항 만무역에 유리한 경쟁력을 갖췄다. 이런 우세는 21세기 초 滿洲 지역의 무역에 서 大連 항만의 급속한 발전과 營口 항만의 衰弱을 통해서 볼 수 있다(<그림 3>).
<그림3> 1907-1931년 大連과 營口의 무역 통계
출전: <부표1>과 1907-1931년 營口해관의 무역자료(茅家琦 編,『中國舊海關史料』, 京華出版社, 2001)에 기초하여 작성하였다.
항만무역 뿐만 아니라 일본 상인들도 大連 항만 자유항제도의 실행을 통해서 경제적 이익으로 인해 많은 혜택을 받았는데 이것이 바로 후에 大連 자유항제 도의 撤廢에 반대한 주요 이유였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해석은 다음 신문자료 의 내용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一) 1912년도 세관 통계에 따르면 같은 해 大連 항만 수입품의 關東州 잔류 액은 재수출한 것을 제외한 1,5723,000엔으로 추산되는데, 만약 大連 항만이 과 세 항구였을 때에 한하여 과세율을 5%라고 한다면 786,000엔 이상에 이른다. 만 66) 『満州日日新聞』, 1914.3.29.
약 이 가운데 약간의 면세품을 포괄시키는 등 공제를 한다고 하여도 현제 관동 주민은 여전히 60만엔의 과세면제를 享하게 된다.
(二) 현재 關東都督府와 滿鐵은 大連 항만에서 中繼貿易 保護獎勵를 실시한 결 과 이곳은 재수출액수도 같은 해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다. 대정2년에는 3,847,000엔에 달하였다. 이들 상품이 陸揚이후 市內倉庫에 반입된 것이 대부분 을 점하고 있기 때문에 현행제도는 이에 반해 더 복잡한 통관절차를 요구하지 않을 경우, 中繼貿易의 발전을 조장하는데 막대한 이익이 있다.
(三) 일본상인은 각종 수입 상품에 중국 海關稅를 부과시키지 않고 화물을 關 東州 내 어떤 장소에도 저장 할 수 있는 편리가 있기 때문에 우연히 상품 보관 장소에서 세금을 납부해야하는 停滯적 부담을 면제받을 수 있고 또 재수출 및 通過貿易品에 대하여서도 해관세 關稅猶予 기간이 있어 경제적 損失을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四) 關東州 내의 기업가는 다른 항구로부터 수입하는 각종 원료에 대해 과세 를 지불하지 않고 있다. 또 그 製造品도 해로를 통하여 외국에 수출하는 경우도 중국 海關稅를 면제받을 수 있는 특혜가 있다.
(五) 일본 및 외국에서 수입하는 각종 建築材料는 關東租借地 내에 고정되어있 는 것은 대다수가 현제의 자유항제도에 따라 州內은 전부 면제 처리되기 때문에 건설비용도 저렴한 편이다.
(六) 關東租借地 내의 거주민 인수는 法人 이외 합치면 503,000여명에 달한다.
이런 주민은 大連 자유항 제도 때문에 日常 衣食住에서 관세가 면제된 것을 받 기 때문에 생활비 부담을 줄일 수 있는데 이는 租借地의 번영을 유지하는데 유 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