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가구자료

Dalam dokumen PDF KLIPS - Seoul National University (Halaman 77-91)

가구원이

3

명이라면 가구원의 성별변수는

h**0241-h**0255

중 해당되는 세 개의 변수에 유효한 값이 들어있다

.

그러나 가구원 정보가 아닌 가구단위의 변수

(

예를 들어 가구소득

,

생활비 등

)

는 한 가구당 하나의 변수로 구성된다

.

◉User notes : KLIPS가구용 자료는 조사된 개인을 모두 자료에 포함하는 개인자료와는 달리 해당 연도에 조 사되지 않은 가구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도 포함한다.따라서 각 연도의 가구정보를 분석할 때 에는 hwave**변수를 이용하여 해당 연도에 응답하지 않은 가구는 분석에서 제외시켜야 한다.

1.2 가구자료의 내용 1.2.1 가구원 기본정보

가구자료는 가구원들의 개인고유번호

(pid),

성별

,

가구주와의 관계

,

연령

,

학력

,

분가 시기 등의 기본적인 인적정보들을 담고 있으며

,

각 연도별 한 가구당 최대 가구원 수는

15

명이 할당되어 있다

.

□ <

Ⅴ-1>

은 각 조사연도별 가구원 기본 정보 변수이다

.

변수명 1차 2차 3차 4차 5-24차

성별 h**0241-h**0255

가구주와의 관계 h**0261-h**0275

양/음력 h**0281-h**0295

생년 h**0301-h**0315

생월 h**0321-h**0335

생일 h**0341-h**0355

만나이 h**0361-h**0375

동거여부 h**0381-h**0395

비동거이유 h**0401-h**0415

학력(학교) h**0661-h**0675

학력(이수여부) h**0681-h**0695

학력(학년) h**0701-h**0715

학력(전공계열) h**0721-h**0731 - - -

졸업/수료/중퇴시기(년) h**0741-h**0755 - - - -

졸업/수료/중퇴시기(월) h**0761-h**0775 - - - -

혼인상태 h**0781-h**0795 - - - -

건강상태 h**0801-h**0815 - - -

<표 Ⅴ-1> 1-24차년도 가구원 정보 변수

1.2.2 가구소득

□ KLIPS

에서 가구소득은 다음의

6

가지 항목으로 구성되며 기본적으로

작년 한해

소득을 기준으로 한다

.

또한

, 4

차년도 조사부터는

지난 한 달간 가구소득

이 추가 되었다

.

각각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

-

근로소득

:

근로

(

)

의 대가로 벌어들인 수입을 말하며

,

직장 또는 일자리에서 받 은 임금이나 봉급

,

자영업 소득 등을 포함한다

.

-

금융소득

:

금융자산을 통하여 벌어들인 수입으로 예금의 이자소득

,

주식의 배당 금

,

사채 또는 채권이자

,

주식의 매매차익 등을 포함한다

.

그러나 자 산의 가치가 변화하였더라도 실제로 매매를 하지 않은 경우

(

주식의 시세는 높아졌지만 실제로 주식을 사고 팔지는 않은 경우

)

는 금융소 득에 포함되지 않는다

.

-

부동산소득

:

부동산에서 발생하는 수입으로 집세

,

토지임대료

,

부동산 매매차익 등을 포함한다

.

그러나 부동산을 임대해주고 받는 전세금은 다시 갚아야 하는 돈이므로 부동산 소득에 포함되지 않는다

.

-

사회보험

:

국민연금

,

특수직역연금

,

산재보험

,

보훈연금

,

실업급여

,

육아휴직급여

,

출산전후휴가급여와 같은 사회보험 수급액을 포함한다

.

-

이전소득

:

국민기초생활보호대상자에 대한 지원금

,

생활비나 교육비 명목으로 친 척

/

친지로부터 받는 지원금과 정부 및 사회단체로부터 대가없이 받는 보조금

(

기초연금

,

아동수당

,

장애수당

,

농어업 정부보조금

,

양육수당

,

출산장려금

,

유가보조금

,

체육연금 등

)

을 포함한다

.

재해나 재난 등으 로 인해

1

회적으로 정부기관에서 받은 소득은 기타소득에 포함된다

.

또한 소득이 적어 생활이 어려운 근로자 또는 사업자가구에 대하여 실질소득을 지원하는 근로장려금

(2009

년 제도 시행

)

에 대해

13

차부터

,

임신과 출산을 장려하고 저소득 가구의 자녀양육 부담을 경감하기 위 해 일정 소득 미만이면서 부양자녀

(18

세 미만

)

가 있는 가구에 대한 자녀장려금

(2015

년 제도 시행

)

에 대해서는

19

차 조사부터 조사되고 있다15)

.

한편

24

차 조사부터는 코로나

19

로 인한 정부지원금이 조사되 고 있다

.

-

기타소득

:

보험금 지급

(

사고나 질병 등으로 인한 보험금 지급이나 보험을 들었다 가 중도해약하고 받은 돈

)

이나 퇴직금

(

위의 사회보험에서 받은 연금 제외

),

복권 탄 돈

,

증여 또는 상속16)

,

축의금

,

부의금

,

분실물 찾아주 고 받은 보상금

,

이주민 주거대책비

,

폐품매각대금 등과 같이 다른 소 득에 포함되지 않은 소득이다

.

□ 1-24

차년도 가구소득 항목 변경사항은 다음과 같다

.

-

지난 한해 동안의 총 근로소득은

1

차년도에는

지난

1

년간 연간총소득

으로

, 2

차 년도 이후부터는

작년 한해의 연간총소득

으로 단위가 변경되었다

.

-

사회보험은

1

차년도에는 가구원수의 제한을 두지 않고 가구원 각각의

1

회 수급액 을 조사했으나

, 2, 3

차년도에는 가구원 최대

3

명까지 조사되었으며

, 4

차와

5

차년 도에는

4

명까지

, 6

차년도부터 자료상에는 최대

5

명의 가구원까지 기록할 수 있도 록 하였다

.

-

이전소득은

1

차년도에는 지난

1

년간의 월평균으로 조사되었으며

, 2

차년도 이후 조 사부터는 작년 한해동안의 연평균으로 조사되었다

. 9

차년도 이후 친척

/

친지보조금 항목을

따로 사는 부모님 도움

,

따로 사는 자녀의 도움

,

그 외 친척

/

친지 보조금

으로 세분화시켰으며

,

각 항목에 대해 유무 여부로 설문 구조를 변경하였다

. 24

차년도 부터는 코로나

19

로 인한 정부지원금 항목이 추가되었다

.

-

기타소득 역시

1

차년도에는 지난

1

년간의 월평균으로 조사되었으며

, 2

차년도 이후 조사부터는 연평균으로 조사되었다

. 9

차년도에는 보험금 항목을

손해보험

,

저축성 보험

,

종신보험

으로 세분화하였으며

, ‘

축의금

,

조의금

,

복권

/

경마 등

,

교통사고 보 상금 등

의 기타 수입을 기타소득으로 조사하도록 항목을 추가하였으며

,

각 항목 에 대해 유무 여부를 묻는 것으로 설문구조를 변경하였다

.

15) 기존에는 이전소득 유무 변수(h**2151)에 근로장려금(h**4001)과 자녀장려금(h**4003) 유무 변 수는 고려하지 않았으나 1~24차년도 학술대회용 자료부터는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 유무를 포함하여 이전소득 유무 변수를 가공하였다.

16) 기타소득의 세부항목 증여/상속은 4차년도부터 조사가 이루어졌다. 매 차수마다 10여개 관측치 가 존재하는데 한 가구가 23차, 24차 연속해서 70억, 80억을 응답하는 사례가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23차, 24차 기타소득의 평균이 크게 증가하여 평균 명목가구소득 또한 상승하였다. 해당 가구의 증여/상속 액수는 특이치로 판단되므로 22차 대비 23차, 24차 가구 명목소득 증가를 살 펴볼 때 해당 가구는 제외하고 분석하는 것을 권고한다.

□ <

Ⅴ-2>

1-24

차년도 가구소득 관련변수이다

.

<표 Ⅴ-2> 1-24차년도 가구소득 관련 변수

변수명 1차-24차

총근로소득 h**2101-h**2102

금융소득 h**2111-h**2117

부동산소득 h**2121-h**2127

사회보험 h**2131-h**2142

이전소득 h**2151-h**2162,

h**4001-h**4002

기타 h**2181-h**2192

근로소득 h**2201-h**2202

4차-24차

금융소득 h**2203-h**2204

부동산소득 h**2205-h**2206

사회보험 h**2207-h**2208

이전소득 h**2209-h**2210

기타 h**2211-h**2212

가구소득 관련 변수 사용 시에는 다음의 사항들에 유의해야 한다

.

◉ KLIPS

의 모든 소득항목은

세후소득

을 기준으로 한다

.

-

가구소득을 추정하는 대표적인 국내의 통계조사로는 통계청의 가구소비실태조사 와 도시가계조사가 있다

.

이 조사의 경우 소득을

세전소득

으로 조사하고 있는 데 반해

KLIPS

조세

를 제외한

세후소득

을 측정한다

.

◉ KLIPS

가구소득의 추정기간은 이전 연도의 소득을 기준으로 한다

.

- KLIPS

의 가구소득은 조사 연도의 이전 한해를 기준으로 조사되었다

.

1

차년도

조사의 경우 응답일로부터 지난

1

년간의 소득을 응답하도록 하였다

.

각 연도별 측정의 기간이 동일하지 않다

.

-

이전소득과 기타소득 또한

1

차년도에는 월평균으로 조사하였으나

2

차년도 이후부 터는

작년 한해

의 소득으로 조사되었다

.

각 연도별 가구소득의 세부 항목은 차이가 있다

.

- 1

차년도 가구소득은 세부 항목이 없이 한달 평균 액수만을 측정하였다

.

그러나

2

차년도 조사부터 가구소득은 다음과 같은 세부항목으로 조사되었다

.

각각의 세부 항목 중 부동산 소득의

토지를 도지 준 것

3

차년도에 추가되었고

,

이전 소득 의

친척

/

친지 보조금

9

차년도에

따로사는 부모님

(

배우자 부모님 포함

)

도움

,

따로 사는 자녀의 도움

,

그 외 친척

/

친지 보조금

으로 항목을 세분화하였다

.

기타 소득의

증여 및 상속

4

차년도에 추가되었으며

,

부동산 소득의

권리금

5

차 년도 추가되었으며

, ‘

보험금

손해보험

,

저축성보험

,

종신보험

으로

9

차년도에 세분화시켰으며

, ‘

축의금

/

조의금

,

당첨상금

/

상으로 받은 상금

,

재해보상금

9

차년 도에 추가되었다

.

가구소득의 세부 항목은 통계청

“1

차 가계수지항목분류17)

와 차이가 있다

.

-

통계청

“1

차 가계수지항목분류

에 따르면 가계수지는 경상소득

,

비경상소득

,

기타 수입

,

소비지출

,

비소비지출

,

기타 지출

,

자산

,

부채 등

8

개 대분류 체계로 구성되 어있다

.

반면 노동패널조사에서는 해당 분류체계로 조사되지 않기 때문에 통계청 가계소득 관련 조사와 비교

·

연구를 위해서는 몇몇 항목에 주의해야하는데 가장 차이나는 것은 다음 두 가지이다

.

-

노동패널조사의 금융소득 항목 중

이자소득

배당금

등은 통계청 기준에서 경상소득의 재산소득에 포함되지만

주식 및 매매차익

은 기타소득에 포함된다

. -

또한

부동산 매매차익

은 노동패널조사에서 부동산소득 항목에 포함되지만 통계

청 분류기준에 따르면 기타 수입으로 자산변동으로 인한 수입에 해당된다

.

17) 가계수지항목분류 제1차 개정결과 보고, 통계청(2020. 12)

<표 Ⅴ-3> 1-24차년도 가구소득 세부항목

세부항목

금융소득 은행 및 금융기관 이자소득, 사채이자수입, 주식 및 채권의 매매차익, 배당금, 기타

부동산소득 월세 등 임대료, 부동산 매매차익, 토지를 도지 준 것(3차 추가), 권리금, 기타

사회보험 1회 수급액

이전소득

국민기초생활보호대상, 기타정부보조금(기초연금 포함), 사회단체 보조금, 친척/친지 보조금(9 차 항목세분 : 따로 사는 부모님(배우자 부모님 포함) 도움, 따로 사는 자녀의 도움, 그 외 천 척/친지 보조금), 기타 보조금, 근로장려금(13차 추가), 자녀장려금(19차 추가). 코로나19로 인 한 정부지원금(24차 추가)

기타소득 보험금(9차 항목세분 : 손해보험, 저축성보험, 종신보험), 퇴직금, 증여 및 상속(4차 추가), 축

의금/조의금, 당첨상금/상으로 받은 상금, 재해보상금(9차 추가), 기타

◉User notes : KLIPS자료를 이용하여 가구총소득을 산출할 때는 가구소득의 각각의 항목을 합하면 된다. 단 가구소득 각각의 항목을 합할 때는 우선 해당 항목의 소득 유무를 파악하고 소득이 있는 가구만 선택하여 소득액을 합한다.또한 가구총소득 산출 시 유의해야 할 점은 각각의 변수 마다 ‘missing’값이 포함(-1로 표기)되어 있으므로 missing값을 통제해주어야 한다. FAQ Q14 참조

1.2.3 가구소비

□ KLIPS

의 가구소비는 생활비 항목과 저축으로 구성된다

. <

Ⅴ-4>

1-24

차년도 가 구소비 관련 변수이다

.

연도별 가구소비 관련 변수를 살펴보면

,

- 1, 3

차년도에는 생활비를 세부항목으로 조사하지 않고 월평균 총액만 조사하였고

2, 4, 5

차년도 이후부터는 총액과 함께 세부항목별 생활비를 조사하였다

.

-

또한 세부항목 중

통신비

항목은

4

차년도에

, ‘

용돈

항목은

5

차년도에

, ‘

피복비

항목은

6

차년도에 각각 추가되었다

.

그리고

7

차년도에는

헌금 및 각종기부금

’,‘

국 민연금 및 의료보험료

’, ‘

대중교통비

등이 추가되었다

. 9

차년도에는

문화비

교양오락비

로 항목 변경되었고

, ‘

용돈

같이 사는 부모님 용돈

,

자녀 용돈

,

그 외 가구원의 용돈

으로 항목을 세분화시켰고

, ‘

생필품 구입비

는 추가되었다

.

-

저축은

1, 2, 3

차년도에는 월평균 총액만 조사하였고

4-8

차년도에는 월평균 총액

과 함께 세부항목별로 조사하였다

. 9

차년도에는 보장성 보험을

보장성 보험과 종 신보험

으로 세분하였다

. 10

차년도에는

적립식펀드

가 추가되었다

.

-

지역 의료보험 가입자의 정보 수집을 위하여

11

차년도에는

국민연금 및 의료보 험료

항목을 세분화하여

건강보험료

(

의료보험료

)’

항목이 추가되었다

.

Dalam dokumen PDF KLIPS - Seoul National University (Halaman 77-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