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LIPS
의 설문지는 크게 가구용과 개인용으로 나눠진다.
개인용 설문은 취업자와미취업자용 설문지로 나눠지며
,
취업자용 설문은 다시 임금근로자와 비임금근로자용 설문으로 나눠진다.
□ 10
차년도 공개용 자료부터는 이전차수 변수명을 일치시킨 자료가 제공됨에 따라,
설문지 또한 통합설문지 형태로 제공된다.
통합설문지는1
차년도부터24
차년도까지 설문내용을 총망라하고 있는 하나의 설문지로,
각 설문 문항별로 해당 변수명과 응 답차수가 표시되어 있다.
통합설문은 크게 가구용 설문과 개인용 설문,
부가조사 설 문으로 구분되며,
개인용 설문은 유형1-
유형8,
취업자용 설문과 미취업자용 설문으 로 구성된다.
통합설문지는 데이터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설문으로 재구 성한 것으로,
실사에서 사용하는 설문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
실제 조사에서 사용된 설문은1998
년1
차년도에는 가구용,
임금근로자,
비임금근로 자,
미취업자 설문이었다. 1999
년2
차년도 조사는 가구용 설문과 개인용 설문,
신규 용 설문으로 구성되었으며,
개인용 설문은 유형설문과 개인공통 설문으로 구성됐다.
2000
년3
차년도에는 가구용,
개인용,
신규용,
부가조사(
청년층)
가 실시되었으며,
개 인용 설문은 유형설문과 임금근로자,
비임금근로자,
미취업자 설문으로 구성됐다.
2001
년4
차년도 이후로는 가구용,
개인용(
유형설문,
취업자,
미취업자용),
신규용,
부가조사 설문으로 진행되고 있다.
각 차수별 부가조사는4
차년도에는 건강과 은퇴,
6
차년도 중고령자, 7
차년도 근로시간과 여가, 8
차년도 노동조합과 노사관계, 9
차년 도 청년층, 10
차년도 고용형태, 11
차년도 교육, 17
차년도 시간사용과 삶의 질, 18
차 년도 장년층 및 삶의 인식, 19
차년도 청년층, 20
차년도 의사결정, 21
차년도 고용형 태, 22
차년도 비임금근로자 및 무급가족종사자, 23
차년도, 24
차년도 코로나19(
생활 및 인식변화)
에 관한 내용이었다.
□ 1999
년2
차년도 조사부터 개인의 노동시장의 진입과 탈퇴 및 이동을 면밀하게 관찰 할 수 있는 일자리별 유형 설문을 개발하였다.
유형설문은 지난 조사시의 일자리와 현재 일자리 지속여부를 토대로 여덟 가지 유형으로 구성된다.
가구설문이 가구에 관한 정보를 담고 개인설문이 개인 정보를 담고 있다면 유형설문은 개인이 가졌거 나 가지고 있는 일자리를 응답 대상으로 하며,
개인의 일자리에 관한 정보만을 담 고 있다.
<표 Ⅲ-1> 24차년도 KLIPS 설문지의 구성
가구용 설문 개인용 설문
(기존응답자 및 신규조사자)
유형 ①~⑧ 취업자 개인 미취업자 개인
부가조사 설문
3차년도 청년층
4차년도 건강과 은퇴
6차년도 중고령자
7차년도 근로시간과 여가
8차년도 노동조합과 노사관계
9차년도 청년층
10차년도 고용형태
11차년도 교육
17차년도 시간사용과 삶의 질
18차년도 삶의 인식
장년층
19차년도 청년층
20차년도 의사결정
21차년도 고용형태
22차년도 비임금근로자
23차년도 코로나19(I)
24차년도 코로나19(II)
<표 Ⅲ-2> 1-24차년도 KLIPS 응답자용 설문지의 구성
구 성
1차년도(1998)
가구용 설문 개인용 설문
임금근로자 개인 비임금근로자 개인
미취업자 개인
2차년도(1999)
가구용 설문
개인용 설문 유형 ①~⑧
개인공통 신규용 설문
3차년도(2000)
가구용 설문
개인용 설문
유형 ①~⑧ 임금근로자 개인 비임금근로자 개인
미취업자 개인 신규용 설문
부가조사 설문(청년층)
4차년도(2001)
~ 24차년도(2021)
가구용 설문
개인용 설문 유형 ①~⑧
취업자 개인 미취업자 개인 신규용 설문
부가조사 설문
4차년도 건강과 은퇴
6차년도 중고령자
7차년도 근로시간과 여가
8차년도 노동조합과 노사관계
9차년도 청년층
10차년도 고용형태
11차년도 교육
17차년도 시간사용과 삶의 질
18차년도 장년층 및 삶의 인식
19차년도 청년층
20차년도 의사결정
21차년도 고용형태
22차년도 비임금근로자
23차년도 코로나19(I)
24차년도 코로나19(II)
□ <
표Ⅲ-3>
은 일자리 지속을 통한 유형설문의 판별 방법이다.
-
지난 조사시 보유했고 현재에도 지속되는 일자리에 대해서는 임금근로자는 유형①,
비임금근로자는 유형③
의 설문을 받는다.
-
지난 조사시 보유했고 현재는 지속되지 않는 일자리에 대해서는 임금근로자는 유 형②,
비임금근로자는 유형④
의 설문을 받는다.
-
지난 조사 이후 시작되었고 현재도 지속되는 일자리에 대해서는 임금근로자는 유 형⑤,
비임금근로자는 유형⑦
의 설문을 받으며,
-
지난 조사 이후 시작되었고 현재 조사 이전에 끝난 일자리에 대해서는 임금근로 자는 유형⑥,
비임금근로자는 유형⑧
의 설문을 받는다.
<표 Ⅲ-3> 일자리 지속을 통한 유형설문의 판별 지난 조사 당시
일자리 여부 종사상 지위 현재 계속 여부 유형
있었다
임금 현재도 하고 있다. 유형 ①
지금은 그만두었다. 유형 ②
비임금 현재도 하고 있다. 유형 ③
지금은 그만두었다. 유형 ④
없었다
임금 현재도 하고 있다. 유형 ⑤
지금은 그만두었다. 유형 ⑥
비임금 현재도 하고 있다. 유형 ⑦
지금은 그만두었다. 유형 ⑧
◉User notes :유형 설문지는 개인단위가 아닌 일자리 단위로 성립되는 설문이다. 따라서 개인의 일자 리 경력에 따라 복수의 유형 설문이 가능하다. 유형설문의 내용 중 현재 지속되는 주된 일자리의 정보는 개인 데이터의 “주된 일자리”에 수록되며, 유형설문의 모든 내용은 직 업력 자료에 수록된다.이때 “주된 일자리”는 가장 많은 시간을 일한 일자리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