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강제실종 개념 비교

강제실종의 개념 정의는 이론적 차원에 있어서나 정책적 차원에 있 어서 매우 중요하다. 강제실종 개념 정의의 외연과 내포를 어떻게 구 획짓느냐에 따라 우리가 대응 혹은 예방할 수 있는 전략형성과정이 달 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

그러나 신체 완전성에 관한 권리 중 하나의 유

36) Philip Linghammar, “Time for Enforced Disappearance to Disappear: A Study of the International Legal Instruments Addressing Enforced Disappearance,” Lund University, 2008, unpublished paper.

20 북한인권정책연구 2015 북한에 의한 납치 및 강제실종

형으로서 강제실종은 그 외의 유사인권과의 분명한 차이점을 가려내 기 어려워 그 개념정의를 내리기 어렵다. 예컨대 단지 사라졌다는 ‘현

’이 강제실종 개념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라고 생각한다면 ,

이것이 독

방 구금(incommunicado detention), 유괴(kidnap), 납치(abduction) 와 어떠한 점에서 차별성을 보이는지 분석해야할 것이다

.

혹은 납치의 개념적 구성요소가 정부의 대 국민 통치기제라는 점에서 그 ‘목적

’이

중요한 개념 구성요소로 생각한다면, 실제 강제실종 과정에서 나타나 는 정부의 의도를 파악해야하는데, 이는 사후적으로만 가능하기 때문 에 실질적으로 강제실종에 대응하기 위한 선제적 접근은 어려워지게 된다. 또한 강제실종을 저지르는 행위자는 단순히 특정 정부로만 제한 되어 그 외 행위자가 자행할 수 있는 강제실종은 논의에서 제외될 수 도 있다. 예컨대 앰네스티는 위와 같은 딜레마를 극복하기위해 강제실 종이 ‘증거를 남기지 않고

,

실종자들에 대해 책임지지 않도록 바람직하 지 못한 존재를 제거하는(to get rid of undesirables without leaving

traces and without having to account for them)’

목적을 가지고 있 다는 점을 강조하며 이에 따라 그 개념을 파악하고 있다

.

37) 이러한 개 념에 따르면 정부 이외의 행위자도 강제실종의 혐의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절에서는 이러한 개념정의의 난점들을 고려하며 강제실종의 개 념적 외연과 내포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하며, 이를 위해 유엔강제실종 협약과 미주기구의

「미주강제실종협약」,

그리고

「로마규정 (Rome Statute of International Criminal Court)」의 강제실종에 대한 논의

37) Carrie Booth Walling and Susan Waltz, “Human Rights: From Practice to Policy,” Proceedings of a Research Workshop, Gerald R. Ford School of Public Policy, University of Michigan, October 2010.

1

강제실종 개념의 등장과 확산> > > 정구연 21

를 비교해본다.

먼저

,

강제실종에 관한 최초의 법적 구속력 있는 조약으로서의 「미 주강제실종협약」은 강제실종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내린다:

“정부의 대리인(agent)이나 정부의 묵인, 지지, 혹은 허가를 통

해 활동하는 개인 혹은 단체가 한 개인 혹은 사람들의 자유를 빼앗는 행위로서, 실종자의 정보가 부재하거나 혹은 실종자의 위치를 알려주기를 거부하거나, 자유를 박탈했다는 사실을 인정 하기를 거부하고, 결과적으로 이들이 해당 법적 구제(legal remedies)나 절차적 보장(procedural guarantee)에 의지하는 것을 방해하는 행위”38)

한편 「유엔강제실종협약」은 강제실종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 내 린다:

“당사국의 요원 또는 당국의 허가, 지원 혹은 묵인하에 일하는

개인이나 단체에 의한 체포, 구금, 납치, 혹은 모든 형태의 자유 박탈과 뒤이어 그러한 자유 박탈을 인정하기를 거부하거나 실종 된 사람의 운명(생사) 또는 행방을 은폐하여 이러한 사람을 법 의 보호밖에 두는 것”39)

요컨대 두 협약의 강제실종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은 공통점을 갖 는다고 보여진다. 첫째, 강제실종이란 특정인을 스스로의 의사에 반하 여 이들의 자유를 박탈하는 행위라는 점이다. 둘째, 이러한 행위에 가 담하는 행위자는 정부의 다양한 부서 혹은 정부 요인

,

또는 정부를 대

38) Organization of American States, “Inter-American Convention on Forced Disappearance of Persons,” June 9, 1994, Article II.

39) United Nations,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All Persons from Enforced Disappearance,” Article II. (A/61/488).

22 북한인권정책연구 2015 북한에 의한 납치 및 강제실종

신하거나 정부의 직간접적 지원, 동의

,

묵인 하에 행동하는 조직된 집 단이나 사적 개인이다

.

셋째, 강제실종을 자행하는 행위자는 실종자의 운명이나 행방을 밝히기를 거절하거나, 이들의 자유를 박탈했다는 사 실을 부인하거나 혹은 인정하기를 거부한다는 점이다.40)

그러나 법적 구제수단에 대한 접근성과 관련해서는 미묘한 차이를 보인다.

미주강제실종협약」의 경우 강제실종의 결과로 법적 구제로의 접근이 어려운 상태여야만이 강제실종이라고 정의내릴 수 있다고 언 급하고 있다

.

한편 「유엔강제실종협약

」의 경우 실종의 결과 ‘

법적 보호 의 테두리 밖에 놓여져 있다’고 느슨하게 정의내림으로써 보다 많은 사 례들이 강제실종의 사례로 정의될 수 있는 여지를 남겨두었다.41) 이 두 협약 외에 강제실종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있는 국제형사재판 소에 관한 「로마규정」의 강제실종에 대한 개념정의는 다음과 같다:

“국가 또는 정치조직에 의하여 또는 이들의 허가·지원, 또는 묵

인을 받아 사람들을 체포·구금 또는 유괴한 후, 그들을 법의 보 호로부터 장기간(a prolonged period of time) 배제시키려는 의 도하에 그러한 자유의 박탈을 인정하기를 거절하거나 또는 그들 의 운명이나 행방에 대한 정보의 제공을 거절하는 것”42)

가장 최근에 제시된 「로마규정

」의 강제실종에 관한 정의 역시 앞서

두 협약의 정의와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는 않다

.

다만 “장기간

”이라는

단서를 붙임으로써 국제사법재판소가 다룰 수 있는 강제실종 사례의

40) United Nations, Declaration on the Protection of All Persons from Enforced Disappearance (A/RES/47/133), December 18, 1992.

41) Perez Solla, Maria Fernanda, Enforced Disappearance in International Human Rights (McFarland & Company, 2006). p. 14.

42) Rome Statute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Rome, July 17, 1998. 2187 U.N.T.S. 3, Article 7(2)(i).

1

강제실종 개념의 등장과 확산> > > 정구연 23

외연이 좁아졌다. 이와 같은 시간적 단서에 대해 협약 작성 당시에는 논란이 있어왔다.43) 즉 이러한 장시간의 강제실종에 대한 의도가 있어 야만 강제실종으로 정의내릴 수 있다면, 그 긴 시간 동안 실종자가 견 뎌야하는 고통에 대해서는 눈을 감는 셈이기 때문이다.44) 또한 가해자 의 의도에 대해 어떻게 객관적으로 증명해낼 수 있느냐의 문제 역시 논란이 되었는데

,

이는 가해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강제실종에 관여 하는 다양한 행위자가 납치, 감금 등의 행위를 나누어 실행함으로써 원 래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장기간의 실종이 될 수도 있다는 사실에 기인 한다.

또한 「로마규정

」은 정부 혹은 정부의 대리인 뿐만이 아니라 ‘정치적

조직(political organization)’ 역시 가해자가 될 수 있다고 정의내림으 로써 또 다른 논란을 일으켰다. 물론 이러한 정의로 인해 기존의 두 협 약이 상정하는 강제실종의 가해자의 범위보다 훨씬 그 외연이 넓어졌 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정치적인 조직을 어떻게 정의내릴 것이냐의 문제는 남아있다

.

강제실종이 빈번하게 발생한 라틴 아메리카 지역의 맥락에서 생각해보면 ‘정치적인 조직’이란 민족해방전선

,

게릴라 집단

43) United Nations Economic and Social Council, “Civil and Political Rights, Including the Question of Enforced or Involuntary Disappearances” Report of the intersecessional open-ended working group to elaborate a draft legally binding normative instrument for the protection of all persons from enforced disappearance, Commission on Human Rights, 6th Session (E/

CN.4/2004/59), (2004), p. 6.

44) Susan McCrory,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all Persons from Enforced Disappearance,” Human Rights Law Review, vol. 7, no. 3 (2007), pp. 545~566; Manfred Nowak, Introduction to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Regime (Leiden: Martinus Nijhoff, 2003); United Nations Commission on Human Rights, Report of the Intersessional Open-Ended Working Group to Elaborate a Draft legally Binding Normative Instrument for the Protection of All Persons from Enforced Disappearance, UN, DOC E/CN.4/2004/59, February 23, 2004.

24 북한인권정책연구 2015 북한에 의한 납치 및 강제실종

혹은 심지어 테러리스트 집단을 포함한다. 그러나 만약 마피아 혹은 마약 카르텔과 같이 경제적 조직이 정치적인 목적으로

,

즉 정부에 영향 력을 미치기 위해 강제실종을 자행한다면 이것은 어떻게 다뤄야할 것 인지의 문제가 제기될 수 있을 것이다.45)

요컨대 강제실종의 개념은 가해자의 정체성과 가해자의 의도, 그리 고 실제 강제실종이 박탈하는 자유의 종류, 그리고 피해자 혹은 피해자 가족의 법적 구제수단 접근성 유무 등에 따라 그 개념적 외연이 변화 할 수 있다고 분석된다

.

즉 어떠한 협약에 근거해 특정 강제실종 사안 을 보느냐에 따라 그것이 강제실종으로 정의될 수도

,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그에 따라 해당 사안에 대한 대응 전략도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강제실종은 그 자체로서도 하나의 인권침해 사안이 될 수 있지 만, 그 내부적으로 여러 종류의 인권이 동시적으로 위반될 수 있는 가 능성이 높다

.

강제실종이 자행되는 과정 자체를 일반화할 수는 없으나

,

이제까지 밝혀진 기존 사례를 귀납적으로 추적해 볼 때 중첩적으로 위 반될 수 있는 인권은 자유권(right to liberty), 고문당하지 않을 권리

(right not to be subjected to torture),

생명권(right to life), 공정하 고 공개적인 재판을 받을 권리(right to fair and public trial), 가족

(특히 여성 )의 경제,

사회, 문화적 권리 등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

46)

열거된 다양한 인권들은 대부분

「시민 및 정치적 권리 규약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및 「경제, 사회 및 문화적 권리 규약(International Covenent on Economic,

45) Perez Solla, Maria Fernanda, Enforced Disappearnce in International Human Rights (McFarland & Company, 2006), p. 18.

46) J. Rehman,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2nd edition (Harlow, England:

Longman, 2010), p. 855.

1

강제실종 개념의 등장과 확산> > > 정구연 25

Social and Cultural Rights)」에 포함되고 있다.

또한 국제협약은 아 니지만 유엔 경제사회이사회가 1957년 승인한 「수감자 대우를 위한 최저기준규칙(Standard Minimum Rules for the Treatment of

Prisoners)」, 1979년과 1988년 각각 유엔 총회에서 채택된 「법집행기

관 공무원들의 행동강령(Code of Conduct for Law Enforcement

Officials)」, 「피구금자 처우에 관한 최저기준규칙 (the UN Standard Minimum Rules for the Treatment of Prisoners)」

등의 국제기준 을 위반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이러한 중첩성을 조금이라도 정리하여 개념의 외연을 좀더 명확히 하기위해 강제실종의 개념을 좀더 정확히 논의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중요한 작업은 강제실종과 여타 인권침해에 있어 행위자의 동기 를 분명히 밝히는 데 있을 것이다

.

국제인권논의에서 일반적으로 받아 들여지고 있는 강제실종에 관한 국가의 동기는, 강제실종을 통해 국정 운영에 방해가 되는 개인을 제거하여 사회적으로 공포분위기를 조성 하는데 있다. 또한 장기적으로 반대세력이 성장하는 것을 막기위해서 어린이들에 대한 강제실종이 자행되기도 한다.47) 더욱이 국가는 이러 한 행위를 저질렀다는 사실을 부인할 수 있고(deniability) 또 강제실 종을 저질렀다는 관련 증거를 인멸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강제실종이 라는 수단을 선호하게 만든다.48) 즉 실종자를 사라지게 함으로써, 해당 정부가 실종자에게 한 행위와 실종자와의 관계 자체를 부인할 수 있을

47) Tullio Scovazzi and Gabriella Citroni. The Struggle against Enforced Disappearance and the 2007 United Nations Convention (Boston: Martinus Nijhoff Publishers, 2007).

48) Reed Brody and Felipe Gonzalez, “Nunca Más: An Analysis of International Instrument on “Disappearance,” Human Rights Quarterly, vol. 19, no. 2 (1997), pp. 365~405.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