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전기 라틴아메리카 내전 국가들 사이에서 체계적으로
,
그리고 지 속적으로 자행되어 국제인권담론에 등장하게 된 강제실종은 신체 완 전성에 관한 권리의 유형 가운데 하나로 인식되어왔으며,
이에 따라 국 제사회는 이의 재발을 방지하기위한 규범을 형성하기위해 노력해왔다.강제실종은 일종의 국가억압기제 가운데 하나로
,
해당 국가 지도자 혹 은 정권에게 위협으로 인식되는 행위자 혹은 집단에 대해 자행함으로 써 정권을 유지하고자 했다.
국제사회는 이에 대해 「유엔강제실종협약」,
「미주강제실종협약」, 「로마규정 」 등을 통해 강제실종이라는 현상을
34 북한인권정책연구 2015 •북한에 의한 납치 및 강제실종
정의내리고 이에 대한 국제사회 혹은 지역차원의 대응방식을 발전시 켜왔다. 이러한 협약들은 강제실종의 개념과 대응책을 규정하는 하나 의 규범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다른 고문, 초법적 살해 등 과 같은 여타 신체 완전성에 관한 권리 관련 국제인권협약과는 달리 최근에서야 규범적 틀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규범적 틀의 존재는 이제까지 자행되어왔고 또 진행되고 있 는 여러 강제실종 사례를 다룰 수 있는 준거틀로 기능할 수 있다. 라틴 아메리카 지역뿐만이 아니라 아시아, 중동 등 다양한 지역에서 발생하 는 강제실종 사례에 대해 논의하고 이에 대응 및 예방할 수 있는 방향 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한반도의 상황은 어떠한가? 한국전쟁 당시뿐만이 아니라 냉전과 탈냉전을 지난 지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의 납치와 실종사건이 존재해왔다. 한국의 경우 과거 권위주의체 제하에서 발생한 많은 의문사사건들을 해결하는 과정 속에서 강제실 종이라는 개념이 처음으로 논의되기 시작했다
.
59) 최근에는 적지 않은 강제실종 사례가 북한에 의해 자행되어왔다고 기록되고 있다. 예컨대 지난 2014년 발표된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 은 1950년대 이후로 조직적인 납치를 자행하며 이들에 대한 확인 혹은 송환(repatriation)을 거부해온 바 있다. 어린이를 포함한 약 200,000 명에 이르는 사람들이 북한에 의해 강제실종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 며, 대부분 한국,
중국, 일본,
유럽 등지에서 북한 최고지도자(supreme leader)의 명령에 의해 육·해군 및 정보국이 직접 납치에 관여한 것으
로 드러났다.60)물론 납북자 문제와 같이 북한에 의해 자행되는 초국59)조시현, “유엔 강제실종협약의 채택과 한국사회의 과제,” 민주법학, 통권 34호 (2007).
60) United Nations, 2014. Report of the Commission of Inquiry on Human Rights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February 7, 2014), pp. 11~12.
1
강제실종 개념의 등장과 확산> > > 정구연 35
경 강제실종의 경우는 이제까지 논의되었던 강제실종 자행의 동기와 는 거리가 존재하는 듯 보인다
.
하지만 기본적으로 「미주강제실종협약」
이나 「유엔강제실종협약」에서 강제실종의 동기에 대해 명기하지 않았 으며,
귀납적으로 역사적인 사례를 종합해본 결과 국가주도억압의 기 제로써 강제실종이 빈번하게 자행되어왔다고 분석되었던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대부분의 협약은 피해자의 자유를 빼앗아 체포 혹은 구금하는 행위 그 자체를 언급할 뿐, 왜 자유를 빼앗는지에 대해서는 그 어떤 협약에도 구체적으로 명기하고 있지 않다. 만약 이러한 특정 동기를 명기한다면 오히려 그 협약이 적용될 수 있는 사례의 외연이 축소될 것이므로, 앞으로도 이러한 동기가 명문화될 가능성은 낮을 것 이다.
그러므로 북한에 의해 자행된 이러한 강제실종 사례는 한국 역 시 이러한 강제실종의 피해국임을 알려주며, 이를 국제규범의 틀 속에 서 분석해볼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또한 다른 국가 사례들 이 어떻게 다뤄지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그 함의가 한반도의 사례에 어 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고려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36 북한인권정책연구 2015 •북한에 의한 납치 및 강제실종
참고문헌
1. 단행본
Adams, Richard Newbold. Crucifixion by Power. Austin: University of Texas Press, 1970.
Boot, M. and Hall. C.K. Crimes against Humanity. In Commentary on the Rome Statute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Observer’s Note. Article by Article. Second Edition.
Triffterer. O. ed., C.H. Beck-Hart-Nomos, 2008.
Clark, Ann Marie. Diplomacy of Conscience. New Jerse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1.
Liang-Fenton, Debra. ed. Implementing US Human Rights Policy.
Washington D.C. United States Institute of Peace, 2004.
Most, B. and H. Starr. Inquiry, Logic, and International Politics.
Columbia: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1989.
Nowak, Manfred. “Torture and Enforced Disappearance.” in Cataria Krause and Hanin Scheinin(eds.), International Protection of Human Rights: A Textbook. Turdu, Abo, 2009.
Nowak, Manfred. Introduction to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Regime. Leiden: Martinus Nijhoff, 2003.
Perez Solla, Maria Fernanda. Enforced Disappearnce in International Human Rights. Jefferson, North Carolina:
McFarland & Company, 2006.
Rehman, J.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2
ndedition. Harlow,
England: Longman, 2010.
1
강제실종 개념의 등장과 확산> > > 정구연 37
Risse, Thomas, Stephen C. Ropp and Kathryn Sikkink eds. The Power of Human Rights: International Norm and Domestic Chang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Scovazzi, Tullio and Gabriella Citroni. The Struggle against Enforced Disappearance and the 2007 United Nations Convention. Boston: Martinus Nijhoff Publishers, 2007.
Sieghart, Paul. The International Law of Human Rights. Oxford University Press, 1983.
Sikkink, Kathryn. Mixed Signal: US Human RIghts Policy and Latin America.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2004.
Spencer, Herbert. The Principles of Ethics. vol. 2. New York: D.
Appleton & Company, 1893.
2. 논문
조시현. “유엔 강제실종협약의 채택과 한국사회의 과제
.” 민주법학
통권 34호, 2007.
Andrew M.D. “Capital Mobility and State Autonomy: Toward a Structural Theory of International Monetary Relations.”
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 vol. 38. 1994.
Apodaca, Clair. “Global Economic Patterns and Personal Integrity Rights after the Cold War.” 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
vol. 45. 2001.
Boswell, Terry. and W. Dixon. “Dependency and Rebellion: A Cross-National Analysi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 55. 1990.
38 북한인권정책연구 2015 •북한에 의한 납치 및 강제실종
Brody, Reed. “Commentary on the Draft UN ‘Decralation on the Protection of All Persons from Enforced or Involuntary Disappearance.” Quarterly of Human Rights. vol. 8, no. 34.
1990.
Brody, Reed and Felipe Gonzalez. “Nunca Más: An Analysis of International Instrument on “Disappearance.” Human Rights Quarterly. vol. 19, no. 2. 1997.
Cingranelli, David L. and David L. Richards. “Measuring the Level, Pattern, and Sequence of Government Respect for Physical Integrity Rights.” 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 vol. 43.
1999.
Crotty, J., G. Epstein and P. Kelly. “Multinational Corporations in the Neo-liberal Regime.” D. Baker, G. Epstein, and R.
Pollin eds. Globalization and Progressive Economic Polic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Davis, David R., Michael D. Ward. “They Dance Alone: Deaths and the Disappeared in Contemporary Chile.” Journal of Conflict Resolution. vol. 34, no. 3. 1990.
Eichengreen, B. “Tyranny of the Financial Markets.” Current History. vol. 96. 1997.
Finnemore, Martha and Sikkink, Katherine. “International Norm Dynamics and Political Change.” International Organization.
52(4). 1998.
Garret, Geoffrey. “Capital Mobility, Trade, and the Domestic Politics of Economic Policy.” International Organization.
vol. 49. 1995.
Green, Leon. “The Right of Privavy.” Illinois Law Review. vol. 27.
1
강제실종 개념의 등장과 확산> > > 정구연 39
1943.
Gurr, Ted Robert. “The Political Origins of State Violence and Terror: A Theoretical Analysis.” Michael Stohl and Goerge Lopez eds. Government Violence and Repression: An Agenda for Research. New York: Greenwood Press, 1986.
Hawkins, D. “Explaining Costly International Institutions:
Persuasion and Enforceable Human Rights Norms.”
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 48(4). 2004.
Helleiner, E. “The World of Money: The Political Economy of International Capital Mobility.” Policy Sciences. vol. 27.
1994.
Hill, Jr., Daniel W. “The Concept of Personal Integrity Rights in Empirical Research.” Department of International Affairs.
University of Georgia. unpublished paper, August 13, 2013.
Linghammar, Philip. “Time for Enforced Disappearance to Disappear: A Study of the International Legal Instruments Addressing Enforced Disappearance.” Lund University, unpublished paper. 2008.
McCrory, Susan.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all Persons from Enforced Disappearance.” Human Rights Law Review. vol. 7, no. 3. 2007.
Mitchell, Neil J. and James M. McCormick. “Economic and Political Explanations of Human Rights Violations.” World Politics.
vol. 40, no. 4. 1988.
Moravcsik, Andrew. “The Origins of Human Rights Regimes:
Democratic Delegation in Postwar Europe.” International
Organizaion. vol. 54, no. 2. 2000.
40 북한인권정책연구 2015 •북한에 의한 납치 및 강제실종
Poe, Steven C., Neal Tate, and Linda Camp Keith. “Repression of the Human Rights to Personal Integrity Revisited: A Global Cross-National Study Covering the years 1976-1993.” 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 vol. 43. 1999.
Poe, Steven and C. Neal Tate. “Repression of Personal Integrity Rights in the 1980: A Global Analysis.”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vol. 88. 1994.
Pound, Roscoe. “Interests of Personality.” Harvard Law Review.
vol. 28, no. 4. 1915.
Richard, David L., Ronald D. Gelleny and David H. Sacko. “Money with a Mean Steak? Foreign Economic Penetration and Government Respect for Human Rights in Developing Countries.” 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 vol. 45, no. 2.
2001.
Risse, T. “Let’s Argue!: Communicative Action in World Politics.”
International Organization. 54(1). 2000.
Simmons, Beth A.“Compliance with International Agreement.”
Annual Review of Political Science. 1998.
Simmons, Beth A. “International Law and State Behavior:
Commitment and Compliance in International Monetary Affairs.”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vol. 94, no. 4.
2000.
Simmons, Beth A. “Why Commit? Explaining State Acceptance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Oblig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School of Law International Legal studies Working paper series 02-05. 2002.
Vranckx, An. “A Long Road towards Universal Protection Against
1
강제실종 개념의 등장과 확산> > > 정구연 41
Enforced Disappearance.” IPIS Unpublished paper.
Vreeland, James R. “Political Institutions and Human Rights: Why Dictatorships Enter into the UN Convention against Torture.” International Organization. 62. 2008.
Wotipka, Christine Min and Kiyoteru Tsutsui. “Global Human Rights and State Sovereignty: Nation–States’ Ratifications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1965–2001.”
Sociological Forum. vol. 23, no. 4. 2008.
3. 기타자료
북한인권시민연합
. 강제실종에 관한 국제회의 :
북한/한국을 위한 교훈
자료집. 2015년7월 29일.
주한영국대사관.Amnesty International. “‘War on Terror’ spawns new patterns of enforced disappearance.” Press release. August 30, 2006 (AI Index: ASA 04/001/2006).
David L. Cingranelli, David Richard, and K. Chad Clay, CIRI Human Rights Data Project. 2013. <www.humanrightsdata.com>.
Office of the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Enforced or Involuntary Disappearance. Fact Sheet No.
6/Rev. 3. 2009.
Organization of American States. “Inter-American Convention on Forced Disappearance of Persons.” June 9, 1994.
Rome Statute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Rome. July 17, 1998. 2187 U.N.T.S. 3.
United Nation Commission on Human Rights. Report of the
Intersessional Open-Ended Working Group to Elaborate
42 북한인권정책연구 2015 •북한에 의한 납치 및 강제실종
a Draft legally Binding Normative Instrument for the Protection of All Persons from Enforced Disappearance.
UN. DOC E/CN.4/2004/59. February 23, 2004.
United Nations. Declaration on the Protection of All Persons from Enforced Disappearance. (A/RES/47/133). December 18, 1992.
United Nations.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All Persons from Enforced Disappearance. (A/61/188). 2006.
United Nations Economic and Social Council. “Civil and Political Rights, Including the Question of Enforced or Involuntary Disappearances.” Report of the intersecessional open- ended working group to elaborate a draft legally binding normative instrument for the protection of all persons from enforced disappearance. Commission on Human Rights.
6
thSession (E/CN.4/2004/59). 2004.
United Nations. Report of the Commission of Inquiry on Human Rights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February 7, 2014.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Resolution. “Disappeared Persons.” (A/RES/33/173). December 20, 1978.
Walling, Carrie Booth and Susan Waltz. “Human Rights: From Practice to Policy.” Proceedings of a Research Workshop.
Gerald R. Ford School of Public Policy. University of
Michigan. October 2010.
Ⅰ. 서론 ··· 45
Ⅱ. 인도에 반한 죄 ··· 47
Ⅲ. 인도에 반한 죄로서의 강제실종 ··· 49 1. 강제실종 개념의 발전 및 특징 ··· 49 2. 강제실종 범죄의 범죄구성 요건 ··· 54
Ⅳ. 북한에 의해 자행된 강제실종 ··· 57 1. 사안의 적용: 객관적 요건 ··· 65 2. 사안의 적용: 주관적 요건 ··· 69 3. 사안의 적용: 형벌불소급원칙과 시간적 관할권 그리고
계속성 ··· 70
Ⅴ. 결론 ··· 74
북한에 의한 강제실종과 인도에 반한 죄
백범석 (경희대학교 국제대학 조교수)
2
2
북한에 의한 강제실종과 인도에 반한 죄> > > 백범석 45
Ⅰ. 서론
유엔 차원의 특별재판소 설립의 확산과 국제형사재판소 설립 그리고 국제형사법의 확립은 주권 개념의 변화와 국내문제의 축소로 대표되 는 국제인권시스템의 발전 과정 상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사실 유엔 헌장은 인권을 언급함에 있어 모호한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
예를 들어,
인권의 “실현을 지원(assisting in the realization of 제13조)” 하고,
인권의 존중과 준수를 “촉진(promote)”(제55조)
및 “장려(encourage)”
(제 76조 )할 뿐이지,
인권을 보장해야 할 구체적인 의무에 대해서 언급하지는 않고 있다. 따라서 일부 국가들이 국내적 차원에서 특정한 인 권의무를 준수하지 않거나 또는 인권을 침해하더라도 유엔이 헌장에 근거하여 이에 대해 적극적으로 개입할 수는 없었다. 더욱이 인권에 대한 문제는 국가들의 배타적인 관할권에 속하며
,
다른 국가 및 국제사 회가 개입할 수 없다는 전통 국제법적인 시각과 함께,
국내문제불간섭 원칙을 규정한 유엔헌장 제2조 7항1)은 오랜 시간 동안 효과적인 국제 인권 보호에 있어 장애요인으로 작용해 왔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결국 국제형사재판소 설립과 국제형사법의 발달은 주권의 제한으로 수렴되 는 국제인권 메커니즘의 발달과 밀접하게 연결된다.같은 맥락에서 북한 인권문제에 대한 지난 2년여 간의 국제사회의 대응은 국제인권법 발전 과정상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특히 2013년 유엔은 최초로 비무력분쟁상황의 국가를 상대로 하여 인도에 반한 죄 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조사하는 인권조사위원회를 설립하였다. 해당
1) “이 헌장의 어떠한 규정도 본질상 어떤 국가의 국내 관할권 안에 있는 사항에 간섭할
권한을 국제연합에 부여하지 아니하며, 또는 그러한 사항을 이 헌장에 의한 해결에 맡 기도록 회원국에 요구하지 아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