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 (이중근,
의제 3 강제협약에 대한 개정안의 검토 및 채택
검토의견 및 대응방안(훈령안)
○ 여러 차례 협약이 개정되면서 규정의 적용범위가 모호해진 요건에 대하여, 그 적용범 위를 명확하게 하고자 하는 개정으로서, MSC 93차 회의 결과에 따라 사무국에 의해 개정안이 준비되고 MSC 93차 회의 시에 승인(approved)된 사항이므로 적절한 개정으 로 생각되며, 아국이 특별히 코멘트 할 사항은 아님
가. 의제 개요
○ MSC 93차에서 승인(approved)된 바 있는 SOLAS 협약개정사항 및 ESP Code 개정사항의 검토 및 채택을 요청함
나. 논의 경과
○ 2014년 5월에 개최된 MSC 93에서는 SOLAS 협약의 II-2장, VI장, XI-1 장, SOLAS 부속서에 대한 부록(Cargo Ship Safety Equipment 증서 및 Cargo Ship Safety Certificate 증서 서식)개정, Polar Code의 강제화를 위한 SOLAS의 새로운 XIV장 개정안 및 산적화물선 및 유탱커에 대한 강화된 검사(Enhanced Survey Programme)를 위한 2011 ESP Code의 개정안 등을 승인하고, Circular Letter No.3451로 회람하고, MSC 94차 에서 채택하기로 하였음
다. 의제 내용 / 검토의견 및 대응방안(훈령안)
○ SOLAS II-2/10 규칙 - “소화(Fire fighting)"
동 개정사항은 MSC 93차 회의시에 IACS가 MSC 93/17/1 문서를 통해 서 해당 규정 적용 범위의 명확화(clarification)를 요청한 바 있음. 이와 관련하여 MSC 93에서는 IACS의 의견에 동의하며, 규정적용의 명확화를 위하여 5.2항의 제목을 다음과 같이 변경하는 개정안을 승인하였음
개정 전 개정 후
II-2/10.5.2 규칙
내연기관이 있는 기관구역
II-2/10.5.2 규칙
내연기관이 있는 A류 기관구역
○ SOLAS VI/2 규칙 - “화물정보(Cargo information)"
1) 화물이 컨테이너에 실려 운송되는 경우, 선박에 싣기 전에 컨테이너
검토의견 및 대응방안(훈령안)
○ 총질량이 검증되지 않은 컨테이너의 적재로 인하여 컨테이너 선박에 국부적인 하 중이 가해지거나, 컨테이너의 붕괴, 찌그러짐, 바다로 빠짐, 선체 복원성 문제의 발 생 등의 사고 등이 발생하였음. 일례로 2013년 6월 MOL COMFORT 호가 인도양 에서 선체 중앙부가 부러져 두 동강난 사고도 있었음. 동 사고의 원인 중 하나로
의 총질량(gross mass)을 화주(shipper)가 검증하도록 하는 규정이 추 가됨. 검증하는 방법은 화물을 실은 컨테이너 전체의 무게를 계량하 거나 파레트(pallets)42), 던니지(dunnage)43) 및 기타 고박을 위한 재료 등을 포함한 화물의 무게와 컨테이너 자체 무게를 합산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음. 화주는 검증된 총질량이 명기된 선적서류를 제공하 여야 하며, 만약 선장에게 이러한 검증된 총질량이 명기된 선적서류 를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에 화물이 선박에 선적되어서는 안 됨
pallet dunnage
2) “화물을 운송하는 컨테이너의 총질량 검증에 관한 지침”이 이미 MSC 93차 회의에서 MSC.1/Circ.1475로 승인되었음
3) 총질량이 명기된 선적서류는 EDP(Electronic Data Processing) 또는 EDI (Electronic Data Interface) 송신 기술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음.
해당 서류의 서명은 전자서명 또는 서명권자의 이름을 대문자로 표 현한 것일 수 있음
42) 창고·공장 등의 화물 운반·저장하기 위한 받침대. 지게차의 포크로 끼워 운반함
43) 짐 깔개 (적하물 밑에 깔거나 사이에 끼우는 것). 화물의 이동 및 이동으로 인한 충격 방지
부정확한 컨테이너 화물 무게에 따라 화물창 중앙부에 국부적으로 과도한 응력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면서 피로하중이 발생한 것으로 예상 됨. 동 규정의 실시로 인 해 정확한 화물질량(중량)의 예측으로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그러나 화물 총질량 계측의 주체인 화주(shipper)들은 이러한 질량계측을 직접 실 시하거나 제3자로부터 실시 후 증서를 발급받기 위한 시간 및 비용이 발생할 것임 또한, 선사의 경우 화주들로부터 받은 컨테이너 총질량 자료들을 출항 전에 본선 의 적하지침 컴퓨터에 신속히 입력하거나, 이러한 자료를 컨테이너 터미널의 컨테 이너 적재 계획 작성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조치 수단을 강구해야 하며, 총질량이 검증되지 않은 컨테이너에 대한 선박적재 금지 및 그러한 컨테이너를 선박에 적재 하도록 하기 위하여 부두에서 신속히 총질량을 검증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강 구 해야 함
컨테이너 부두/항만 운영자는 선주사로부터 넘겨받거나 화주들로부터 직접 받은 총질량 자료를 컨테이너 적재 계획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반영하는 수단을 강구해 야 하며, 그 일환으로 EDP 또는 EDI 시스템의 도입 등을 고려하여야 함. 또한 총 질량이 검증되지 않은 컨테이너에 대한 선박적재 금지 및 그러한 컨테이너를 선박 에 적재하도록 하기 위하여 부두에서 신속히 총질량을 검증할 수 있도록 하는 수 단을 선주사와 함께 강구 해야 함
○ 협약 개정 채택 후, 국내 선사, 국내 컨테이너 부두 운영자 및 화주들에게 이러한 협약 개정사항의 홍보 및 개정사항 발효에 대한 준비 등을 하도록 하여야 하며, 국내법 반영 및 이에 대한 이행 방안에 대한 검토도 필요함
검토의견 및 대응방안(훈령안)
○ 2015년 1월 1일부터 Res.MSC.350(92)로 채택된 SOLAS III/19.3.3규칙 및 19.3.6 규 칙 개정사항이 발효되어, 선원들은 최소한 두 달에 한 번씩 밀폐구역 진입 및 구 조 훈련에 참가하여야 함. 그러나 밀폐구역 진입 및 구조 훈련에 필수적인 밀폐
○ SOLAS XI-1/7 규칙 - “밀폐된 구역에 대한 분위기(atmosphere) 시험 장치”
SOLAS I장이 적용되는 모든 선박들은 적절한 휴대식 분위기 시험장치를 비치하여야 함. 이러한 시험장치는 최소한 밀폐된 장소 내의 산소, 인화 성 가스 또는 증기, 황화수소44) 및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계측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함
44) 황과 수소로 이루어진 화합물로서 상온에서는 무색 기체로 존재 함. 특유의 달걀 썩는 냄새가 나며 유독성이다. 농도가 700ppm을 초과하게 되면 신경독성작용이 일어나는 유 해화학물질. 고농도의 황화수소에 노출될 경우 눈이나 호흡기의 자극증상이 나타나기 전 에 순간적으로 1~2회의 호흡만으로도 의식을 잃고 사망할 정도로 치명적 임
구역 분위기 시험 장치의 비치 요건은 금번에 채택되게 되면 2016년 7월 1일 발 효하게 됨. 결과적으로 2015.1.1일부터 2016.6.30일 까지는 밀폐 구역 진입 및 구 조 훈련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밀폐 구역 분위기 시험 장치의 본선 비치 강제화 규정이 없는 상태에서 밀폐구역 진입 및 구조 훈련이 강제화 되는 것임. 이와 관 련하여 금번에 채택될 밀폐 구역 분위기 시험 장치의 비치를 가능한 한 조기에 이행(early implementation)할 것을 권고하는 MSC Circular가 동시에 승인될 예 정임(MSC 94/3/3 문서 참조)
○ 또한 지난 MSC 93차 회의 시에 “SOLAS XI-1/7규칙에서 요구되는 밀폐구역에 대한 휴대식 분위기 시험장치의 선정을 돕기위한 지침”이 MSC.1/Circ.1477로 승 인된 바 있음
○ 동 개정안에 따르면, 동 요건은 “SOLAS I장이 적용되는 모든 선박”에 적용되므 로 신조선박 및 현존선박 모두에 적용되는 것으로 해석됨. 물론 동 요건은 해당 기기를 구매하여 비치하기만하면 되는 비교적 간단한 요건이며, 이러한 요건의 발효일전 조기이행을 권고하는 MSC Circular가 동시에 승인될 예정임에도 불구 하고, 전 세계 많은 수의 SOLAS 적용 선박이 동 개정안의 채택일로부터 2016.7.1.사이의 짧은 기간(약 1년 반)동안에 밀폐 구역 분위기 시험 장치를 구매 하여 비치하기 위한 혼란이 발생할 수 도 있을 것임.(공급을 상회하는 과잉 수요 에 따른 독과점 현상 발생) 그러나 지금까지 이러한 기기들이 협약에서는 강제화 되지 않았지만, 본선 ISM 절차에 따라 본선에 보급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수 도 있음. 선주들의 보급현황에 대한 확인이 필요함
개정 전 개정 후
2. Total number of lifeboats 2. Total number of davit launched lifeboats 2.7 Number of free-fall lifeboats 3. Total number of free-fall lifeboats
3.1 Total numberof persons
○ SOLAS 부록 - 화물선 안전설비 증서 서식(Form of Safety Equipment Certificate for Cargo Ships) 및 화물선 안전증서 서식 (Form of Safety Certificate for Cargo Ships)의 개정
MSC 93차 회의 시에 화물선 안전설비 증서 서식(Form of Safety Equipment Certificate for Cargo Ships) 및 화물선 안전증서 서식(Form of Safety Certificate for Cargo Ships)의 의 기록부(record of equipment, Form E 및 Form C)서식에 자유낙하식 구명정에 수용되는 총원의 수를 기입할 수 있는 칸이 없어, 작성에 혼란이 생기고 있음을 설명한 IACS 제출문서 MSC 93/21/2 문서를 검토하고, Form E 및 Form C 증서 서식 개정안을 다음과 같이 승인하였음
2.7.1 Totally enclosed
(regulation III/31 and LSA Code, section 4.7)
2.7.2 Self-contained
(regulation III/31 and LSA Code, section 4.8)
2.7.3 Fire-protected
(regulation III/31 and LSA Code, section 4.9)
accommodated by them 3.2 Number of totally enclosed
lifeboats (regulation III/31 and LSA Code, section 4.7)
3.3 Number of lifeboats with a self-contained air support
system (regulation III/31 and LSA Code, section 4.8)
3.4 Number of fire-protected lifeboats (regulation III/31 and LSA Code, section 4.9)
이후 항목 번호 변경
검토의견
○ 기존 서식에서 증서 작성 시, 2항 “Total number of lifeboats"에 2.7항의 ”Number of free-fall lifeboats"를 포함하여야 하는지, 아니면 free-fall lifeboat가 아닌 davit 진수식 lifeboat만 기재하여야 하는지 불명확하였음. 또한 2.7항 free-fall lifeboats 항목에는 해 당 free-fall lifeboat에 수용되는 총 인원수에 대한 정보가 누락되어 있어, 증서발급 기 관별로 증서발급의 일관성이 없었음.
증서발급 방식의 명확화 및 통일을 위해 동 서식개정이 효과적일 것임. 특별히 아국이 코멘트 할 사항은 없음
○ 추후 개정 발효 전에 서식변경 국내법령에 반영 필요
○ SOLAS 제XIV장 “극지해를 운항하는 선박에 대한 안전조치”
1) 금번 회기에 채택예정인 Polar Code의 I-A 파트(강제규정)를 SOLAS 내에서 강제화하기 위하여 새로운 SOLAS XIV장을 채택함
2) Polar Code와 관련된 1규칙 “정의”, 2규칙 “적용”, 3규칙 “이 장의 적 용을 받는 선박에 대한 요건들”, 4규칙 “대체설계 및 배치” 등의 구조 로 되어 있음
(1) 이 장은 SOLAS I장에 따라 증서가 발급된 선박으로서 극지해를 운 항하는 선박들에 적용됨
(2) 동 개정안의 발효일 전에 건조된 현존선들은 Polar Code의 관련 요 건들을 동 개정의 발효일로부터 1년 후의 날짜 후에 처음으로 도래 하는 중간검사 또는 정기검사 중 빨리 도래하는 검사 시 까지 만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