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I. 서론

Ⅳ. 결론

中華民族과 滿洲族 사이 -琿春 滿洲族의 二重的 民族正體性, 1911~1931- (윤 욱)

49

서두 부분에서 “근 백여년 이래 만주족의 인재가 대대로 흥기했는데, 만일 완전하게 채록하지 못한다면 앞서 譜牒을 편찬하지 않았으므로 시간이 멀어지면 고증할 수 없 게 되기 때문이다.”112)라고 언급하고 이 권의 절대 부분을 琿春 만주족 각 씨족의 역 대 인물에 관해 기록하고 있다. 卷十六 「인물」은 忠義, 孝行, 世族, 世職, 名宦, 武 功, 壽民 등 6개의 小節로 구성되어 있다.113) 이 가운데 世族은 琿春 지방의 21개 주 요한 만주족 성씨를 수록했다. 각 성씨 마다 淵源과 始祖, 중요 인물의 짤막한 전기를 기록했는데, 현재 활동하고 있는 인물들도 포함하고 있다. 현존 인물은 소학교 교원, 현정부 직원이나 군대의 하급 장교까지도 망라했다. 이 밖에 청조로부터 騎都尉, 輕車 都尉, 雲騎尉, 恩騎尉 등 작위를 받은 사람들을 나열한 世職 뿐만 아니라 1927년경 縣志가 편찬된 시점에 이르기까지 전쟁에서 사망한 사람들을 기록한 忠義, 節婦들을 열거한 孝行, 역대 문무관원의 행적을 적은 名宦과 武功에 수록된 인물들이 모두 만주 족이다. 인물 부분에서 유일하게 다른 민족이 언급된 곳은 壽民 부분에서 1925년 현 재 80세 이상 장수한 사람들을 조사한 琿春縣男女壽民調査表뿐이다.114)

琿春 만주족들 가운데 자신들의 독특한 제사의식을 계승, 발전시키려는 노력도 등 장했다. 1920년대 조씨의 마지막 만주어를 할 줄 아는 家薩滿이 사망하면서 조씨의 祭家堂의 儀禮에 위기가 발생했다. 이에 조씨는 文廟, 武廟에 대한 제사를 참고로 祭 家堂 儀式을 재정비했다. 과거 아침, 저녁으로 제사를 지내고 돼지를 희생으로 올리던 의식을 간소화시켜 술, 떡, 과일, 새 고기 한 접시 등 제물을 준비하여 세 차례 (初獻, 亞獻, 終獻) 제물을 바치고 고두하는 방식으로 바꿨다. 그리고 이전에 없던 제문을 읽는 의식을 첨가했는데, 제문은 조씨가 백산에서 봉천을 거쳐 1713년 琿春에 들어온 과정과 琿春에 이주한 이래 대대로 충, 효, 우애를 다했다는 내용을 담았다. 이리하여 제사에 참가한 족인들에게 자신들의 연원을 기억하고 조상에 대한 자긍심을 느낄 수 있도록 했다.115)

다. 공적인 문서에서 琿春의 만주족 향신들이 자신을 내지의 중국인과 동일한 문화적 공동체의 성원으로 간주하고 만주족과 한족을 같은 화인의 범주로 인식하고, 만주족 학생들이 삼민주의에 관해 정부의 모범답안이 무엇인가 숙지하고 있었던 데에는 이러 한 당국의 노력이 영향을 끼쳤을 것이다. 하지만 한편으로 이들의 독특한 언어, 의식 주 문화, 풍속, 관습은 일상적인 생활 속에서 자신들이 한족과 다른 존재임을 반복적 으로 각인시키고 있었다. 이들은 더 나아가 족보, 지방지 편찬사업, 제가당 의식의 계 량을 통하여 조상의 업적을 기리고, 前淸의 후예임을 표방하고, 종족의 유대를 강화하 며, 만주족의 독특한 전통도 보존, 유지하려고 노력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중국 본부에서 만주족은 신해혁명 이후 경제적인 곤궁과 한족의 박해 속에서 만주족의 정체성을 자각하고 강화시켜나갔었다. 하지만 훈춘의 만주족은 자발적으로 중화민국 국민 내지 중화민족의 일원으로써의 정체성을 받아들이면서 한 편으로는 자신들의 만주족으로서의 정체성을 보전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琿春 만주족의 이와 같은 이중적인 태도는 무엇으로부터 연원할까?

이것은 제국의 동쪽 끝에 위치하여 내지의 정치적 격변으로부터 고립된 琿春의 독 특한 환경과 관련이 있다. 신해혁명 후 내지에서는 만주족이 몰락하고 한족의 멸시와 차별의 대상으로 전락한 반면, 琿春의 만주족은 향촌 엘리트로써의 지위를 유지하는데 성공했다. 이것은 이들이 선주민으로써 토지 등 오랫동안 일구어온 자산이 존재하여 빈손으로 이곳에 들어온 외지인보다 부유했기 때문이기도 했지만 한편으로 이들이 민 국의 향촌 통치기구를 장악하는데 성공했기 때문이었다. 琿春에서 만주족은 만주사변 이 발생하기 전까지 이 고장의 향촌 행정을 맡은 鄕長, 副鄕長 및 교육행정을 좌우하 는 勸學所와 敎育局을 장악하고 商會, 農會, 敎育會 등 자치단체와 지방의 무력인 保 衛團까지 손에 넣을 수 있었다.116) 따라서 이들이 자신들의 지속적인 성공을 보장해 준 중화민국의 통치이데올로기와 중화민국의 국민으로서의 정체성을 받아들이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하지만, 이들은 왜 한편으로 족보, 지방지의 편찬과 제사의 개혁을 통해 자신들의 역사를 과시하고 선대의 업적을 양양하고 종족의 단결을 강조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만 주족으로서의 정체성을 강조했던 것일까? 만주족은 琿春 지역의 엘리트층을 독점하긴 했지만 마음 한 구석에 자신들을 후원하던 청조의 멸망과 외지에서 들어온 인구의 확 대와 성장에 불안감을 갖고 있었다. 1920년대 말의 한 관찰자에 따르면 옛날에는 官 이 존귀하고 民이 천했지만 지금은 지위가 낮은 官員은 재산이 있는 民人만도 못했으 며 旗戶와 官戶의 자제들이 놀이를 일삼다가 집안을 망하게 하는 일이 생겨났다.117) 민호 두 가구에게 집의 절반을 세를 내주고 사는 韓家大院의 주인인 韓四爺가 길에서 만난 친척을 빈손으로 보내지 않고 음식점에 대려가 오리구이 반 근을 손에 쥐어 보

116) 윤욱, 「滿洲族의 孤城 琿春, 1911~1931 - 琿春 滿洲族 엘리트의 鄕村支配의 持續과 變化 -」, 『東洋史學硏究』 132집 (2015.9)는 만주족이 만주사변 이전까지 민국시기에 琿春 지역의 엘리트층을 장악하고 있음을 상세히 서술하고 있다.

117) 吳景科, 『琿春縣鄕土調査』, 166쪽.

中華民族과 滿洲族 사이 -琿春 滿洲族의 二重的 民族正體性, 1911~1931- (윤 욱)

51

내고 외상을 달고 오자 부인인 韓四嫂가 쏘아붙이는 잔소리에는 겉으로는 화려해 보 이는 琿春 滿洲族의 불안감이 잘 나타나 있다.

“일 년 내내 집에 빚을 떠넘기는구나. 金山, 銀山을 모두 네가 먹고 마시느라 날려버렸 다. 지금은 前淸의 우리 皇家가 매년 288냥씩 지급해주던 때가 아니란 말이야! 아직도 먹 고 놀게 남아 있느냐! ... 집조차 이미 네가 절반이나 말아먹었잖아!”118)

외지인의 성장과 그에 따른 양자 간의 갈등은 어린이들의 세계에서 가식 없이 드러 났다. 1920년대 琿春에서 소학교를 다녔던 祖籍이 山東인 駱賓基는 당시 외지인과 旗 人 자제들 간의 냉전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학교 안에서 이민자제와 당지 학생들은 양파로 나누어졌지만, 각기 서로 범하지 않았다.

학교 밖에서 이러한 전선은 더욱 명확했다. 그들은 우리를 “山東棒子”, “暴發戶”라고 불렀 다. 우리는 그들을 大麻哈, 破落戶라고 불렀다. 그들 대부분이 八旗 황족출신인데 그들의 고귀한 가정은 청말 宣統帝가 양위한 이후 쇠락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大淸一統의 시대 에는 八旗에 속한 황족 자제들은 모두 제멋대로 민인 학생들에게 모욕을 줄 수 있었다.

1911년 신해혁명으로 민인 자제들이 비로소 복수의 기회를 얻었다. 그 후 현재까지 서로 간에 업신여김이 계속되었다.119)

경제적, 사회적 위기감은 만주족으로 하여금 본래 생계를 해결하기 위해 무일푼으 로 이곳에 흘러들어온 외지인들에게 자신들은 그들과 달리 이곳의 선주민으로서 유구 하고 빛나는 역사와 오랜 전통을 보유하고 있었음을 과시하게 만들었다. 이것은 자신 들이 아직도 琿春의 향촌질서를 장악하고 있는 현 상황을 그들에게 정당화시키는 길 이기도 했다. 또한 만주족 내부적으로는 외지인의 도전에 직면하여 자신의 종족을 결 속시킬 필요가 있었다. 이것이 1920년대 琿春의 만주족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강조하 는 地方志와 族譜의 편찬, 家禮의 개혁 등 일련의 행동으로 나타났던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琿春 滿洲族의 二重的 民族正體性은 1931년 만주사변 이후 약화되 어 갔다. 무엇보다도 청조가 멸망한 후에도 이곳에서 지속되었던 이주민에 비해 높은 만주족의 사회적 지위가 만주족이 자신들의 정체성을 강화시키는 동기를 부여했는데, 바로 이 높은 사회적 지위가 일제의 진출로 붕괴했기 때문이었다. 滿洲國 치하 琿春에 서는 일본인과 일제가 중국인을 견제하기 위해 지지했던 조선인들이 종래 만주족들이 장악하고 있었던 향촌 통치기구에서 영향력을 확대해갔다. 과거 젊은 만주족 엘리트를 양성하는 대표적인 기관이었던 吉林省立第四師範學校는 조선인 교사 양성기관으로 변 모했으며, 1931년 만주족 관신들의 힘으로 설립된 琿春 유일의 중학교인 琿春中學은 1937년에 이르면 학생의 2/3 이상이 조선인이었다. 뿐만 아니라 琿春縣政府, 警察, 憲兵, 協和會 및 農會, 商工會 등 자치단체를 일본인과 조선인이 장악하게 되었다.120)

118) 駱賓基, 『混沌初開』, 13쪽.

119) 駱賓基, 『混沌初開』, 192쪽.

120) 滿洲國時期 琿春에서 일본인의 진출, 조선인의 활발한 사회적 상승이동과 중국인의 위축된 처지에 관해서는 윤욱, 「“二等公民” 擡頭 下의 琿春 – 滿洲國 時期 朝鮮人의 社會的 地位의 提

Dalam dokumen 동아시아 지역교류와 민족정책 (Halaman 53-60)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