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만주족 정체성의 주장

Dalam dokumen 동아시아 지역교류와 민족정책 (Halaman 50-53)

I. 서론

2) 만주족 정체성의 주장

1920년대 琿春의 만주족은 독특한 언어, 문화, 풍속을 통해 자신이 만주족임을 자 각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조상에 대한 자긍심을 표출하고 만주족의 전 통을 보전하려고 노력했다. 이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가 1920년대에 琿春의 만주 족 사이에서 등장했던 족보 찬수의 열기이다. 1987년 琿春縣에서는 지방지를 편찬하 기 위한 준비작업으로 琿春과 전국 각지의 도서관에서 자료를 수집해 『琿春地方文獻 導引』(鄭萬鎬 編)이란 문헌목록을 편찬한 바 있었다. 여기에 당시 琿春에서 수집한 5 부의 만주족 족보를 올리고 있는데 이 가운데 편찬 시기를 알 수 있는 4부가 1920년 대 간행된 것이다.95) 이러한 현상은 지난 일백여년 이상 琿春에서는 족보의 편찬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더욱 획기적이었다.96) 당시 편찬된 족보의 구체적인 편찬 동기, 구성은 당시 편찬된 족보 중 하나인 『長白何氏家譜』를 통해 짐작할 수 있다.97)

92) 郞立天에 따르면 일이 있으면 당연히 제사를 지냈고, 특별한 일이 없어도 제사를 지낼 수 있 었다. 郞立天, 『滿族史資料考』, 285쪽.

93) 『琿春縣志』, 627쪽.

94) 郞白賢 (1940년생, 三家子村)의 증언(2017.2.12. 琿春市醫院 부근에서).

95) 이 5부의 족보는 다음과 같다. 『西威子郞氏家譜(鑲白旗)』, 『楊泡趙氏家譜』(1925.5), 『古 城何氏家譜』(1925.2), 『自興孟氏家譜』(1927.2), 『鈕胡魯氏(郞)家譜』(1923.2).) 『琿春地方文 獻導引』에 따르면 1987년 현재 이 책들은 琿春縣志辦公室에 비치되어 있었다. 필자가 2014년 여름 琿春市檔案館 내부에 있는 市史編纂室을 방문했지만 어떠한 자료도 얻을 수 없었다. 檔案 館의 소장목록에는 琿春 만주족의 족보가 없다.

96) 『琿春縣志』, 523쪽.

97) 『長白何氏家譜』는 『琿春地方文獻導引』에 수록된 『古城何氏家譜』와 같은 족보이다. 이 족보를 수집하는데 도움을 준 郞白賢, 金焱星 여사와 연구를 위해 기꺼이 족보를 제공한 소장자

中華民族과 滿洲族 사이 -琿春 滿洲族의 二重的 民族正體性, 1911~1931- (윤 욱)

47

『長白何氏家譜』를 편찬한 사람들은 家譜가 편찬될 당시(1925년) 琿春의 長白何氏 를 대표하는 鄕紳이었던 何慶德, 何祥成, 何廉惠 등이다.98) 何慶德은 청말 自治硏究所 를 졸업하고 自治硏究所 敎員을 역임했다. 신해혁명 이후에는 1912년 省議會議員에 당선된 바 있었다. 다음해 吉林省에서 일본에 파견하여 日本文部省 敎育講習科에서 3 개월 수학하고 귀국한 후 琿春縣 勸學所長, 縣視學을 역임하고 1920~23년에는 민병 대인 保衛團의 총대장으로 활동했다.99) 何祥成은 청말에 捐納으로 監生 학위를 얻어 서 琿春副都統衙門에서 八品筆帖式, 統計主任 등으로 일했다. 신해혁명 후에는 琿春縣 地方財務處主任으로 현의 재정을 담당하고 1915년에는 縣農會 會長을 지냈다.100) 한 편, 하렴혜는 청말 琿春副都統衙門에서 筆帖式, 章京을 지내고 預備立憲 시기에 自治 硏究會에서 수학했다. 신해혁명 후 琿春廳議會 議長, 勸學所長, 縣視學, 敎育局長, 琿 春縣志編査所長을 거쳤다.101) 이들은 청말과 민국기에 琿春에서 만주족이 변함없이 향촌을 장악해왔음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산증인들이었다. 이 가보는 족보를 편찬하는 동기를 다음과 같이 서술하고 있다.102)

家譜가 있으면 계통의 유래를 고찰할 수 있고 가문의 번성을 알 수 있다. 비록 멀리 이 사를 가서 하늘 끝, 바다 한 귀퉁이에 있을 지라도 일단 서로 상봉하면 그 조상을 잊어버 림에 이르지 않는다. 이것이 譜가 있어서 다행스러운 점이다. 오호라. 譜는 비록 한 시점에 편찬하나 후일에 보존되어 후인이 이 譜를 보고 조상을 공경하는 마음이 저절로 생겨나고 종족을 돈독하게 하는 의를 영원히 잃지 않게 되길 희망한다. 이것을 마음 깊이 바라는 바 이다.

즉, 이 家譜를 만든 사람들에게 있어서 家譜는 후손들이 자신의 유래를 알고 조상 을 기억하고 존경하게 하며 가문의 번성을 알리고 종족을 단결하게하기 위한 장치였 다. 家寶의 편찬자들은 이 家譜의 모본이 되었던 조상의 이름과 배차만을 나열해 놓은 世系表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족하다고 여기고 혁신적인 요소들을 도입했 다. 가장 중요한 개혁은 世系表 이외에 「何氏世系의 由來」와 「家傳」을 설치한 것 이다. 「由來」는 장백하씨가 금나라 舍音水 赫舍哩部에서 나온 이후 여러 대를 지나 1746년 寧古塔에서 琿春으로 들어오기까지의 과정을 서술하여 후손들이 조상의 연원 과 발상지를 알 수 있도록 했다.103) 「家傳」은 현저한 업적과 모범적인 품행을 보여 준 조상들의 전기이다.104) 이 「家傳」에 수록된 인물들은 한 사람의 예외도 없이 琿 春에 정착한 이후의 인물들이자 琿春에서 벼슬을 했던 사람들이다. 이것은 家譜의 편

인 何景良 선생 부부에게 감사드린다.

98) 何慶德은 編纂者, 何祥成은 敎正者, 何廉惠는 校訂 및 承印者로 등재되어 있다. 『長白何氏家 譜』, 16쪽 앞면.

99) 『長白何氏家譜』, 14쪽 앞, 뒷면.

100) 『長白何氏家譜』, 12쪽 앞면.

101) 『長白何氏家譜』, 12쪽 앞, 뒷면.

102) 『長白何氏家譜』, 5쪽 앞, 뒷면.

103) 『長白何氏家譜』, 7쪽 앞, 뒷면.

104) 「家傳」은 『長白何氏家譜』, 8쪽 앞면~15쪽 뒷면으로 이 책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한 다.

찬 목적이 琿春에서 長白何氏 가문의 출세와 번영을 보여주는데 있었음을 보여준다.

또 하나의 개혁은 과거의 世系表는 만주어로 쓰여있던 반면 새로 편찬한 家譜는 한문 으로 작성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과거의 세계표 상에 만주어로 쓰여 있던 이름들을 모두 한문으로 고쳐 적었다.105) 이는 만주어를 읽을 수 있는 세대가 사라져가고 있었 기 때문에 家譜의 내용을 보다 널리 알리고 젊은 세대가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다.

1920년대 琿春 만주족 향신들이 족보 이외에 편찬에 몰두했던 것은 地方志였다.

1926년 완성된 『琿春縣志』는 縣志編査所長이자 總纂106) 하렴혜의 주도 하에 何廉 惠와 徐宗偉가 편집을 맡았고 調査, 採訪, 翻譯, 測繪 과정도 주로 만주족 鄕紳과 지 식인들의 참여로 이루어졌다.107) 調査를 맡았던 6명 가운데 4명, 採訪을 맡은 4명 중 1명, 飜譯 2인 중 2명, 測繪 3인 중 2~3명이 만주족이었다.108)

만주족 인사들이 중심이 된 縣志編纂所는 현지의 편찬을 琿春 지방의 만주족의 활 동과 업적을 기록하여 보전하기 위한 기회로써 이용했다. 이것은 民族과 人物을 다룬 권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109) 卷三 「民族」 부분에서 滿族을 다룬 부분은 4페이 지로써 기타 다른 민족들, 즉 漢族, 回族, 墾民(朝鮮人), 僑民(러시아인, 일본인 등 외 국인)을 다룬 분량의 총합(3페이지)보다도 많다. 비교적 내용이 풍부한 漢族과 墾民도 연원을 적고 성씨만 나열하고 있음에 지나지 않지만 만주족의 경우 각각의 성씨의 소 속 旗, 淵源, 琿春에 이주해온 시기를 낱낱이 기록하고 있다.110) 卷五 「職官」은 金 代 이래 琿春의 관원의 명단과 전기를 수록하고 있다. 그런데, 청이 멸망한 후 이미 旗官이 지방의 사법, 행정 담당관으로써의 역할을 상실하고 허명만 남았음에도 불구하 고 琿春의 八旗 協領과 佐領의 교체를 현지 편찬 시까지 기재하고 있다.111)

특히, 卷十六 「人物」은 琿春 만주족의 각 씨족의 通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05) 과거의 世系表가 만주어로 쓰여져 있었음은 『長白何氏家譜』의 「世系表」와 「家傳」의 이 름을 비교하면 알 수 있다. 「世系表」와 「家傳」은 동일 인물을 서로 다른 한자로 기록하고 있다. 가령 賁德(世系表)과 本德(家傳), 和成(世系表)과 何成(家傳), 阿勒根保(世系表)와 阿勒根寶 (家傳) 등. 이는 만주어를 한자로 음사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현상이다.

106) 『琿春縣志』의 總纂에는 何廉惠 외에 외지인이자 한족인 梅文昭, 魏聲和가 이름을 올리고 있지만 이들의 역할은 이미 작성된 원고에서 빠진 부분을 보충하고 문장을 윤색하는데 국한되었 다. 『琿春縣志』, 6쪽.

107) 徐宗偉는 1916년 吉林省立甲種農業學校를 졸업했는데, 만주족 가운데 정규적인 근대교육을 받은 첫 세대에 속한다. 이후 縣敎育會 評議員, 勸學所員을 거쳐 현지 편찬 무렵에는 縣視學과 敎育局董事로 활동하고 있었다. 46號 全宗, 第779號 案卷, 「敎育職敎員履歷」, 延邊州檔案館 소장.

108) 각 작업에 참여한 만주족 인사는 다음과 같다. 調査- 祖敷熙(縣敎育委員), 孟廣泰(縣敎育委 員), 魁廉(縣財務處主任), 郞文珍(縣警察所職員). 採訪-孟廣仁(縣敎育委員). 翻譯- 滿文翻譯 何廉 惠, 韓文翻譯 郞明亮(韓語譯才所 卒). 測繪- 郞肇英, 趙鴻猷(모두 吉林陸軍小學校 卒), 郞文翰(吉 林陸軍隨營學校 卒).

109) 『琿春縣志』는 卷首와 跋을 제외하고 모두 23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권의 제목과 순서는 다음과 같다. 輿地, 建置, 民族, 田制, 職官, 武備, 警察, 財賦, 敎育, 實業, 交涉, 考選, 自治, 法 團, 交通, 人物, 禮俗, 賑恤, 宗敎, 物産, 古迹, 藝文, 志餘.

110) 『琿春縣志』, 99~105쪽.

111) 『琿春縣志』, 130~135쪽.

中華民族과 滿洲族 사이 -琿春 滿洲族의 二重的 民族正體性, 1911~1931- (윤 욱)

49

서두 부분에서 “근 백여년 이래 만주족의 인재가 대대로 흥기했는데, 만일 완전하게 채록하지 못한다면 앞서 譜牒을 편찬하지 않았으므로 시간이 멀어지면 고증할 수 없 게 되기 때문이다.”112)라고 언급하고 이 권의 절대 부분을 琿春 만주족 각 씨족의 역 대 인물에 관해 기록하고 있다. 卷十六 「인물」은 忠義, 孝行, 世族, 世職, 名宦, 武 功, 壽民 등 6개의 小節로 구성되어 있다.113) 이 가운데 世族은 琿春 지방의 21개 주 요한 만주족 성씨를 수록했다. 각 성씨 마다 淵源과 始祖, 중요 인물의 짤막한 전기를 기록했는데, 현재 활동하고 있는 인물들도 포함하고 있다. 현존 인물은 소학교 교원, 현정부 직원이나 군대의 하급 장교까지도 망라했다. 이 밖에 청조로부터 騎都尉, 輕車 都尉, 雲騎尉, 恩騎尉 등 작위를 받은 사람들을 나열한 世職 뿐만 아니라 1927년경 縣志가 편찬된 시점에 이르기까지 전쟁에서 사망한 사람들을 기록한 忠義, 節婦들을 열거한 孝行, 역대 문무관원의 행적을 적은 名宦과 武功에 수록된 인물들이 모두 만주 족이다. 인물 부분에서 유일하게 다른 민족이 언급된 곳은 壽民 부분에서 1925년 현 재 80세 이상 장수한 사람들을 조사한 琿春縣男女壽民調査表뿐이다.114)

琿春 만주족들 가운데 자신들의 독특한 제사의식을 계승, 발전시키려는 노력도 등 장했다. 1920년대 조씨의 마지막 만주어를 할 줄 아는 家薩滿이 사망하면서 조씨의 祭家堂의 儀禮에 위기가 발생했다. 이에 조씨는 文廟, 武廟에 대한 제사를 참고로 祭 家堂 儀式을 재정비했다. 과거 아침, 저녁으로 제사를 지내고 돼지를 희생으로 올리던 의식을 간소화시켜 술, 떡, 과일, 새 고기 한 접시 등 제물을 준비하여 세 차례 (初獻, 亞獻, 終獻) 제물을 바치고 고두하는 방식으로 바꿨다. 그리고 이전에 없던 제문을 읽는 의식을 첨가했는데, 제문은 조씨가 백산에서 봉천을 거쳐 1713년 琿春에 들어온 과정과 琿春에 이주한 이래 대대로 충, 효, 우애를 다했다는 내용을 담았다. 이리하여 제사에 참가한 족인들에게 자신들의 연원을 기억하고 조상에 대한 자긍심을 느낄 수 있도록 했다.115)

Dalam dokumen 동아시아 지역교류와 민족정책 (Halaman 50-53)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