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동화교육

Dalam dokumen 동아시아 지역교류와 민족정책 (Halaman 35-39)

I. 서론

1) 동화교육

신해혁명 후 수립된 민국정부는 중국의 다양한 민족들을 하나로 통합해 중화민족을 형성하려는 노력을 시작했다. 손문은 1912년 임시대총통에 취임하면서 한, 만, 몽, 회, 장족 각각의 거주지를 一國으로 삼고 한, 만, 몽, 회, 장족을 一人으로 삼아 민족 의 통일을 이룰 것을 천명했다. 실질적으로는 기타 민족을 한족에 동화시킨 형태의 민 족국가를 수립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장개석의 국민정부는 손문의 민족관을 계승하여 한, 만, 몽, 회, 장 등 각 민족을 하위 범주로 망라한 중화민족의 구상을 발전시켜갔 다. 북양군벌정부도 소수민족의 풍속, 예의, 언어를 동화시키는 전담기구를 두고 각족 의 혼인을 권장하는 등 동화정책을 추진해갔다.7) 그 여파는 중화민국의 가장 동쪽에 위치하였으며 청제국 하에서 만주족 주방이 존재하고 있었던 琿春에도 미치게 된다.

만주족과 외지에서 들어온 한족, 조선인이 공존하고 있던 琿春에서도 중앙정부의 중화 민족을 건설하려는 정책이 서서히 스며들게 된다. 琿春에서 당국의 만주족을 대상으로 한 이러한 노력은 주로 동화교육과 다음 절에서 다룰 풍속개량 활동을 통해 나타났다.

琿春에서는 1931년 초급중학이 등장하기 전까지 소학교만 존재했다. 琿春第一小學 이 한동안 최고의 학부였다. 琿春에서 구할 수 있는 반듯한 직장인 헌병, 경찰, 우체 국 집배원 시험의 자격도 소학교 졸업장만 있으면 해결되었다.8) 琿春에서 소학교와 취학 학생의 숫자는 1931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되었는데, 특히 전통적으로 滿洲族이 집중되었던 附城五鄕의 취학률이 높았다.9) 중화민국 정부는 1912년 普通敎育暫行辦

7) 嚴昌洪 등, 「論民國時期的民族政策」, 『蘭州大學學報 (社會科學版)』, 제40권 제1기 (2012.1).

8) 駱賓基, 「我的故鄕 – 琿春小志」, 『書簡・序跋・雜記』, 西寧: 靑海人民出版社, 1986, 160쪽.

駱賓基는 항일전쟁시기와 중공치하에서 문혁 전까지 소설가로써 활동한 인물인데, 1917년 琿春 에서 태어나 17세 되던 해인 1933년까지 琿春에서 성장했다. 그는 琿春에서의 유년, 동년시절 을 소재로 한 『混沌初開』 등의 소설을 썼다.

法을 발표하여 소학교를 4년과정의 初等과 3년 과정의 高等의 두 단계로 나누고 1914년에는 초등소학을 의무교육단계로 정했다.10) 초등소학의 궁극적인 목표는 사회 와 국가에 대한 책임의식을 양성하고 진취적인 뜻과 기상을 일으키고 대중과 국가를 사랑하는 정신을 양성하는 것이었다.11) 琿春의 교육계에서 작성한 소학교의 訓育標準 은 건전한 신체와 심성을 배양하고 공동생활에 적응하고 과학적으로 사고하고 행동하 는 능력을 키우는 것 이외에 혁명적 인생관을 확립하고 삼민주의 중심사상을 훈련하 고 봉건적 사상을 제거하는 등의 청조의 구체제를 극복하려는 강령도 포함하고 있었 다.12)

초등소학에서 교수되는 과목 중 가장 많은 시간이 할애되었던 과목은 「國文」이었 다. 1914년 현재 매주 수업시간의 35%~45%를 차지했다.13) 교과과목의 서열상 가 장 중시된 과목은 「修身」이었는데, 수신과목의 중요한 목표는 민국법제의 대의를 전 달하고 학생들이 국가 관념을 갖도록 하는 것이었다.14) 고등소학에는 「本國歷史」와

「地理」가 필수과목에 포함되었는데, 본국역사 과목의 요지는 아동이 국체의 대요를 깨닫고 국민의 지조를 양성하는 것이었으며 지리 과목의 요지는 본국 국세의 대요를 파악하고 애국정신을 양성하는 것을 포함했다.15) 이러한 교과목의 배치와 교육의 요 지는 소학교육의 중요한 목표가 학생들을 하나의 민족으로 동화시키려는데 있음을 짐 작케 한다. 琿春이 속한 延邊의 소학교에서는 1931년 滿洲事變이 일어나기 전까지 소 학교 학생들은 기념일이나 행사가 있을 때마다 靑天白日旗 아래에서 黨歌를 제창하고 3분간 “내가 혁명에 종사한지 어언 40년. 그 목적은 중국의 자유와 평등을 구하는데 있었다.”로 시작되는 總理遺囑을 낭독했다.16) 이러한 소학교의 의식도 학생들에게 단 일민족 공동체 의식을 심어주는데 기여했음은 짐작할 수 있다.

소학 이상의 중고등교육과정에서도 동화교육은 계속되었는데 그 수혜자는 거의 예 외 없이 만주족이었다. 琿春에는 중학과정이 없었으므로 소학을 졸업한 후 진학할 여 유가 있는 학생들은 琿春에서 가장 가까운 도회지인 延吉로 나가 中學校나 師範學校 를 다녔다.17) 대표적인 학교는 吉林省立第四師範學校였는데 1931년 이전 이곳에 진 학한 琿春 학생들은 절대 다수가 만주족이었고 한족이나 조선인은 거의 찾아볼 수 없 었다.18) 琿春의 만주족 학생들은 이곳에서 延吉, 和龍, 王淸, 敦化縣에서 온 다른 민

9) 윤욱, 「滿洲族의 孤城 琿春, 1911~1931」, 315쪽, 322쪽. 附城五鄕은 琿春縣城을 둘러싼 5개 鄕으로 首善鄕, 興仁鄕, 純義鄕, 崇禮鄕, 勇智鄕 등으로 琿春平野에 위치한다.

10) 『延邊朝鮮族自治州敎育志』, 27쪽, 45쪽.

11) 『中華民國史檔案史料彙編』 第3輯, 권3, 447쪽.

12) J110-04-0629, 「琿春小學訓育標準之意見」 (1930.1.29.), 吉林省檔案館 소장.

13) 『延邊朝鮮族自治州敎育志』, 45쪽.

14) 『中華民國史檔案史料彙編』, 第3輯, 권3, 448쪽.

15) 『中華民國史檔案史料彙編』, 第3輯, 권3, 449쪽.

16) 姜莫痴, 「我所知道的延吉師道學校」, 『延邊文史資料』 第6輯, 1988. 94쪽.

17) 가장 가깝다고 해도 1910~20년대에는 교통사정이 열악해서 마차로 보통 8~9일 걸리는 거리 였다. 2015년 고속철이 완공되면서 延吉西站에서 琿春站 사이를 30여분 만에 주파할 수 있게 되었다!

18) 駱賓基는 吉林省立第四師範學校의 琿春 출신 학생들이 거의 모두 郞姓, 關姓 등 만주족이어서

中華民族과 滿洲族 사이 -琿春 滿洲族의 二重的 民族正體性, 1911~1931- (윤 욱)

33

족 학생들과 공부하며 교류했다. 3년 과정 중에 학생들은 공통적으로 「人生哲學」,

「社會敎育」 등 정신교육과 관련된 과목을 수강했다. 第四師範學校에는 속성반인 講 習科가 부설되어 있었는데, 琿春의 학생들 대부분은 이 講習科로 진학했다. 이 講習科 의 필수과목에도 「公民」 과목이 포함되어 있었다.19) 이 학교에는 周回制度가 있어 서 월요일 첫 수업시간에는 總理遺囑을 낭독한 후 학생들에게 올바른 마음가짐에 관 한 강연을 하고 지난주의 기율 준수나 위생상황 등에 대해 고지했다. 그리고 國慶日이 나 孔子誕辰日, 國恥紀念日에는 관련된 교육을 진행했다.20) 第四師範學校에서 교육받 은 학생들은 졸업 후에 대개 琿春으로 귀향해 직장을 다녔다. 이 가운데는 세관, 경찰 서 등에 취직한 사람들도 있었지만 절대 다수가 소학교의 교원, 교장으로 종사하면서 자신들이 받았던 민국정부의 동화교육을 학생들에게 전수했다.21)

琿春에서 교육경비와 학교시설을 관리하고 사회교육, 의무교육을 실시하는 주무기 관은 勸學所와 그 후신인 敎育局이었고 縣視學이 監査의 역할을 맡았는데 이들 기관 의 위원과 장은 절대 다수가 만주족이었다.22) 중화민국 정부는 이들 만주족 인사들을 남만주와 조선 및 산동, 절강, 강소, 산서, 북경, 천진 등 내지의 교육을 시찰하도록 파견했다.23) 이러한 파견활동은 琿春의 만주족 지도층이 내지의 견문을 넓힐 뿐만 아 니라 내지의 교육과 琿春의 교육을 동질화시키는데 기여했을 것이다.

만주족을 중화민국의 국민이자 중화민족의 일원으로 동화시키는데 정규교육 못지 않게 기여했던 것은 社會敎育이었다. 琿春에서는 민국초에는 청말에 설치된 大淸勸學 所章程에 따른 선강활동이 한 동안 지속되었다. 忠君, 尊孔, 尙公, 尙武, 尙實 등 5條 의 諭旨를 교육의 종지로 했는데, 聖諭廣訓이 宣講될 때는 모두 기립했다. 1916년 勸 學所 내에 通俗敎育講演所, 公立通俗圖書館, 그리고 신문열람실인 閱報所가 설치되었 다.24) 2년 후에는 縣城 中街로 이사했다. 通俗敎育講演所에서는 매일 오전 10시에서 12시까지 강연이 있었다. 1922년에는 琿春縣 서북쪽 변두리인 密江에 第二講演所가 설치되었다. 강연은 국민을 계도하고 사회를 계량하는 것을 종지로 삼았다. 강연은 보

‘民戶’ 출신은 고립되었다고 회상했다 (駱賓基, 「我的啓蒙老師和他的私塾 - 琿春縣人物小志」, 136쪽). 이는 28號 全宗, 第1號 案卷, 『吉林省立第四師範學校同學錄』(1934年 6月)으로도 증명 된다. 延邊州檔案館 소장.

19) 第四師範學校의 교학과정에 관해서는 『延邊朝鮮族自治州敎育志』, 190쪽. 第四師範學校를 졸 업한 琿春 학생들의 숫자는 상기의 同學錄으로 파악할 때 총 70명인데, 이 가운데 講習科 출신 이 53명이다.

20) 『延邊朝鮮族自治州敎育志』, 209쪽.

21) 第四師範學校의 琿春 출신 졸업생 70명 가운데 1935년 현재 직업을 알 수 있는 사람이 32명 이다. 이 가운데 27명이 琿春에서 교직에 종사했다. 28號 全宗, 第1號 案卷, 『吉林省立第四師 範學校同學錄』(1934年 6月), 延邊州檔案館 소장.

22) 윤욱, 「滿洲族의 孤城 琿春, 1911~1931」의 부록1) 1911~1924년 琿春의 勸學所長, 勸學員, 視學, 334~335쪽과 부록8) 역대 敎育局 董事, 敎育局長, 敎育委員, 縣視學 一覽, 1924~1931, 349~351쪽 참조. 勸學所, 視學, 敎育局의 역할에 관해서는 같은 논문의 314쪽, 317쪽 참조.

23) J110—1-1028, 「琿春縣委何廉惠爲敎育局長幷送履歷及添設敎育委員等事」 (1926.8.5.) 吉林 省檔案館 소장.

24) 동지편찬위원회, 『琿春文化藝術志』, 1990.2, 341쪽.

Dalam dokumen 동아시아 지역교류와 민족정책 (Halaman 35-39)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