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5.1 분석결과 요약 및 시사점

기업의 안전보건활동 강화를 위해서는 정부, 기업, 근로자의 상황별 행동전략 및 결과를 분석하여 그에 맞는 유인책을 제공함으로써 안전보건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다. 게임이론을 통해 살펴본 안전보건 활성화를 위한 다음과 같은 점들이 필 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정부는 재해예방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보여야 한다. 미국, 일본 등에서 안전에 대한 규제는 행정규제가 아니라 사회적 규제로 분류해 규제완화 대상이 되지 않는 다. 경기침체로 기업경영이 어려울 때는 오히려 사고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 에 안전 관련 지도감동을 강화하는 것이 선진국 정부들의 일반적 관행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기업 등 민간부문의 규제완화 요구로 안전보건분야에 대해서도 규제 완 화를 여러 번 실시했다. 사고 근절에 대한 의지를 정책에 반영하여 민간에 안전에 대한 관심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산업안전보건법의 과태료 수준은 상향되어야 한다. 산업안전보건법 위반시 부과 되는 과태료의 수준은 산업재해의 규모 및 심각성 등을 반영하여 상향 조정되어야 한다. 앞서 분석했듯이 과태료의 수준이 낮기 때문에 이윤을 중시하는 기업의 입장 에서는 산업재해예방을 위한 안전설비, 장비 등을 갖추는 비용보다 적발시 과태료 를 납부하는 것이 이익이 되기 때문에 산업안전에 투자할 유인이 줄어든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적정 수준의 과태료를 부과해야 한다.

하지만 일방적인 벌칙조항의 강화는 오히려 기업의 부담 증가에 따른 여러 부작 용이 발생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시행되고 있는 산재예방요율제 사업주 교육, 위험성평가제도를 통한 산재보험료 감면제도의 확대와 더불어 안전보건에 대 한 기업의 투자를 늘리기 위해서는 재무적인 혜택을 확대해야 한다. 그 방안으로 조세특례제한법, 고용장려금 제도 등에 포함된 안전보건 관련 수혜조건을 상향하는 것이다. 현재의 수혜수준에서 기업이 안전보건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기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세액공제의 일몰기간 및 공제율, 지원금액 상향 등을 통해 재정적인 이유로 안전보건설비 등에 투자를 못 하는 기업들도 안전보건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안전보건 전문인력의 양성을 통해 주인-대리인 문제 및 청년 고용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산업안전보건법 상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 등은 비교적 그 자격 요건이 전문성이 있지만, 안전보건총괄책임자 등 실제 사업장의 안 전보건경영에 대한 결정권을 가진 직위에 대한 자격요건은 전문성이 결여되어 있 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안전보건 전문인력에 대한 기준을 더욱 명확히 하고 이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기관 등을 증설 및 인력을 양성·투입 등을 통해 산업현장의 안 전성 확보 및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기업은 안전보건관리를 통한 재해예방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완수하는 것이라 는 것을 인지하고 사용자는 안전한 일터를 만드는 것을 경영 핵심목표에 포함시켜 야 한다. 또한 안전관리는 노사가 함께해야 성공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와 작업 자는 현장 중심으로 안전보건활동이 적극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상생의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 소통과 배려, 협력업체 안전관리 지원, 안전관리 위원회 등 각종 제 도 활성화, 인센티브제 운영 등 좋은 안전관리 시스템을 공동으로 구축 및 운영해 야 한다. 작업자 개인은 안전수칙준수, 안전점검, 보호구착용, 정리정돈, 안전보건교 육 적극 참여 등 기본에 충실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안전보건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이 바꾸기 위해 다양한 안전보건문화 확산 활동을 전개해야 할 것이다. 안전보건은 단순한 투자-비용 개념과 별개의 것임을 인식시켜 야 한다. 우리나라는 산업안전보건에 관한 법령, 제도, 설비, 기술 등은 선진국 수준 에 올라있다. 그렇기 때문에 안전보건에 대한 관심이 추가될 경우 우리나라의 산업 재해는 현저히 줄어들 것으로 판단된다.

5.2 연구의 한계

본 연구의 진행과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한계점이 파악되었다. 첫째 게임이론 모 형을 통한 분석 과정에서 경제주체들이 항상 합리적인 선택과 행동을 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지만, 현실에서는 다양한 주위 환경의 영향으로 반드시 합리적으로 행동하 지 않을 수 있다. 둘째 복잡·다양한 산업현장을 단순화하여 분석함으로써 선택할 수 있는 전략 또한 단순화되었다. 셋째 보수행렬 등에 대한 수리적 모형을 구축하지 않아 정교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향후 연구에 이러한 한계점 보완되면 더욱 체계적이고 정교한 분석이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1. 박두용(2014), 산업재해 예방-보상제도간 합리적인 연계방안,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2.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2017), 안전을 넘어 행복을 향해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30년사 3. 국무총리실 등 관계부처 합동(2018), 산업재해 사망사고 감소대책

4. 고용노동부(2017), 2016년 산업재해현황분석 5. 이준구·이창용(2015), 경제학원론, 문우사 6. 이준구, 미시경제학, 문우사, 2013

7. 네이버캐스트, 공유지의 비극과 게임이론, https://terms.naver.com/entry.nhn?

docId=3574389&cid=58944&categoryId=58970

8. 국회의원 심상정·은수미·장하나·한정애(2013), 산재사망 처벌 및 원청 책임강화 법 개정 및 토론회 9. 이백현(2008), 산업안전보건경영 활동이 기업경영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10. 김영세(2018), 게임이론-전략과 정보의 경제학-, ㈜박영사

11. 하임 샤피라(2006), n분의1의 함정, 반니

12.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2017), 원·하청 산업재해 통합통계 산출 실태조사

13. Wang, J. , Li, Z. , Wang, D.(2006), Analysis Based on Game Theory for Construction Safety Supervision, PROGRESS IN SAFETY SCIENCE AND TECHNOLOGY

14. Maschler, M.(1998), Some Tips Concerning Application of Game Theory to Real Problems, THEORY AND DECISION LIBRARY SERIES C

15. Owen, G.(2013), APPLICATIONS OF GAME THEORY TO ECONOMICS, INTERNATIONAL GAME THEORY REVIEW

Abstract

A Study on the Invigoration of Safety and Health Using Game Theory

Yeonho Lee

Department of Safety and Health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Ulsan

Korea has become a world-class exporting power through rapid economic development, and it continues to be ranked among the top countries in terms of national competitiveness. In addition, the country's status as a member of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hosting the Olympic Games in the East and the Summer Games, and holding the World Cup is on the rise in developed countries.

However, as a result of emphasizing economic growth and industrialization, Korea has shown insufficient safety and health level, which is below the economic level, such as the highest accident death rate due to industrial accidents and the estimated economic loss of about 22 trillion won per year among OECD member countries .

The biggest problem of industrial accidents in Korea is that industrial accidents such as industrial accidents and accidental deaths are decreasing or stagnating, while industrial accidents compensation and the number of recipient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The wasted resources that have to be used positively due to industrial disasters will be a socially sustainable burden.

In order to reduce personal and economic losses caused by industrial accidents, we analyze the behavior of economic agents related to industrial accidents such as government, workplace, and workers by applying the framework of game theory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industrial accidents and to improve And suggest ways to reduce industrial acciden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rough game theory, it can be deduced that the penalty level should be raised in order to increase investment in safety and health of enterprises. If the government is willing to raise the penalties to reduce industrial accidents and show a strong will, the enterprise will be the most superior strategy to invest in safety and health and will lead to the safety and health of the workplace.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