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소형문과 억양의 의미 기능을 고찰하여 보았다. 소형문(minor sentence)은 문장의 구성 성분이 불완전한 문장이지만 그 자체로 쓰여 다양 한 의미 전달을 할 수 있다. 소형문의 의미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소형문에 함께 실현되는 억양이다. 억양은 음절의 상대적인 음높이를 기술하 는 것인데, 이것이 문장에 얹혀 발화되면 문장 자체로는 전달할 수 없는 의미 를 더해줄 수 있다.
본고는 기존 선행 연구에서 많이 다루지 않았던 소형문의 억양 양상을 살펴 봄으로써 소형문과 억양의 의미 기능이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를 파악해 보고 자 하였다.
제2장에서 제시했듯이 본고는 소형문이 생략문 또는 조각문과는 다른 문장 유형으로 보고 소형문은 그 자체로의 쓰임이 굳어져 복구가 불가능하게 된 관 용화된 언어 구조라고 보았다.
제3장에서는 본고에서 수집한 연구 자료를 소개하고 기술하였다. 그리 고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본고에서 진행한 연구 절차 자료 기술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고의 자료를 바탕으로 기술된 억양 유형은 H%, L%, HL%, LH%, HLH%, LHL%, HLHL%, LHLH%로 총 8가지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들의 실현 양상을 그래프로 제시하여 본고의 억양 체계를 기술 하였다.
제4장에서는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인 소형문과 억양 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Searle(1969)이 제시한 의미 분류 기준을 바탕으 로 소형문을 진술, 지시, 표현으로 나누고 지시는 다시 명령, 질문, 부름 으로 더 세분화하여 분류하였다. 또 8가지로 나타나는 억양 유형과 각각 의 의미 기능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같은 같은 억양 유형에서도 의미 기능에 어떤 차이점을 보이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각 의미 기능에서 다양한 억양으로 실현되는 소형문들을 구체적인 예와
그래프를 통해 제시하였다.
본고에서 소형문의 의미 기능과 그에 따라 실현되는 억양 양상을 살펴 보며 소형문은 어떤 억양이 얹히는지에 따라 동일한 문장도 다른 의미를 전달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완전한 문장에 얹히는 억양으로도 동 일한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것은 소형문이 완전한 문장과 동일한 기능 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소형문과 억양 실현 양상을 완벽히 이해하기에는 본고에서 미 처 다루지 못한 문제가 많다. 본고의 자료 수집 과정에서 보다 다양한 발화 상황과 소형문을 수집하지 못해 논의를 좀 더 풍부히 연구하지 못 한 점을 보완해야 할 부분일 것이다.
참고 문헌
고영근·구본관(2008),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고영근·남기심(1991), 《국어의 통사·의미론》, 탑출판사.
김명호(2003), 영어 억양의 발화수반 행위, 《현대영미어문학》21-2, 현대 영미어문학회.
김선철(1996), 국어 의문문 억양의 음성학, 음운론적 연구, 《언어연구》 13, 서울대 언어연구회.
김선철(1998), 서울말 억양의 음운론적 기술을 위한 시고, 《한글》 239, 한 글학회.
김선철(2005), 《국어 억양의 음운론》, 경진문화사.
김선희 외(2007), Momel을 이용한 한국어의 억양 연구, 《말소리》 63, 대 한음성학회.
김선희(2009), 한국어 자유 발화 음성의 억양 패턴, 《말소리와 음성과학》
1-4, 한국음성학회.
김일웅(1993), 우리말의 엮음과 이음, 《문창어문논집》30, 문창어문학회.
김민수(1978), 《國語文法論》, 一潮閣.
김지은(2020), 국어 발화양식의 음성학·음운론적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 문.
남기심·고영근(1993),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박재연(2004),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 논문.
서상규·김형정(2005), 구어 말뭉치 설계의 몇 가지 조건, 《언어사실과 관점》
16,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서은아·남길임·서상규(2004),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조각문 유형 연구, 《한 글》 264, 한글학회.
성광수(1972), 국어 소형문에 대한 검토, 《한글》150, 한글학회.
송인성(2015), 국어 담화표지의 기능과 운율,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신우봉(2019), 한국어 대화체 자료의 운율 연구 현황, 《한국어 의미학》66, 한 국어의미학회.
신지영(2014), 구어 연구와 운율 - 소리를 담은 의미통사론, 의미를 담은 음 성학음운론 연구를 위한 제언, 《한국어의미학》44, 한국어의미 학회.
안희돈(2012), 조각문연구-영어와 한국어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사.
오승신(2006), 대화형 음성인터페이스 시스템을 위한 국어 문말 경계억양의 분류, 《人文論叢》56,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오재혁(2014a), 자유 발화 자료에서 나타나는 한국어 억양 곡선의 기울기 특 성에 대한 연구, 《말소리와 음성과학》6-1, 한국음성학회.
오재혁(2014b), 한국어 억양 곡선의 정규화 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어학》
62, 한국어학회.
윤평현(2003), 국어 소형문의 발화 행위에 대한 고찰, 《한글》 259, 한글학 회.
이숙향·김종진(2005), 대용량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한국어 운율 특성에 관 한 연구, 《韓國音響學會誌》 24, 한국음향학회.
이익섭(1986), 《국어학개설》, 학연사.
이정택(2001), 문장의 성립과 문법, 《국어 문법의 탐구》Ⅴ, 태학사.
이정훈(2017), 한국어 조각문의 형성 과정: (이동과) 생략, 《언어와 정보사 회》31,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이진호(2014), 《국어 음운론 강의》, 삼경문화사.
이진호(2017), 《국어 음운론 용어 사전》, 역락.
이현복(1974), 서울말의 리듬과 억양, 《語學硏究》 10, 서울대학교 어학연 구소.
이현복(1976), 한국어 단음절어의 억양연구, 《언어학》1, 한국언어학회.
이현복(1987), 억양과 국어 생활, 《국어생활》 10, 국어연구소.
이호영(1991), 한국어의 억양체계, 《언어학》 13, 한국언어학회.
이호영(1994), 한국어 문장 억양의 선택 과정, 《한글》 225, 한글학회.
이호영(1996), 《국어음성학》, 태학사.
이호영(1999), 국어 핵억양의 음향음성학적 연구, 《말소리》 38, 대한음성 학회.
이호영(2004), H and L are not Enough in Intonational Phonology,
《언어학》 39, 한국언어학회.
임홍빈(1984), 문 종결의 논리와 수행-억양,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9,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임홍빈(1993), 國語 抑揚의 基本 性格과 特徵, 《새국어생활》 3, 국립국 어연구원.
장경희·김태경(2005), 발화의 음 산출에 관여하는 화용론적 요인, 《한국어 의미학》18, 한국어의미학회.
장소원(1986), 문법기술에 있어서의 문어체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장소원(1994), 현대 국어의 소형발화 연구, 《텍스트언어학》 2, 한국텍스트 언어학회.
전영옥(2003), 한국어 억양단위 연구, 《담화와인지》 10-1, 담화인지언어 학회.
전영옥(2006), 구어의 단위 연구, 《한말연구》 19, 한말연구학회.
정승철(1999), 제주방언의 音調와 音調群, 《진단학보》 88, 진단학회.
조민하(2011), 연결어미의 종결기능과 억양의 역할,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 문.
Beckman, Mary & Pierrehumbert, Janet(1986), Intonational Structure in Japanese and English, Phonology Yearbook 3, Cambridge University Press.
Boersma, Paul & Weenink, David(2015), Praat: Doing phonetics by computer (version 5.3.51)
Bowman, Elizabeth.(1966), The minor and fragmentary sentences of a corpus of spoken English, International Journal of American Linguitics PartⅡ.
Bolinger, Dwight(1986), Intonation and its parts: melody in spoken English, Stanford University Press.
Bolinger, Dwight(1989), Intonation and its uses : melody in grammar and discourse, Stanford University Press.
Botinis, Antonis ed.(2000), Intonation-Analysis, Modelling and Technology, Kluwer Academic Publishers.
Büring, Daniel(2016), Intonation and Meaning, Oxford University Press.
Cho, Sunghye(2017), Development of Pitch Contrast and Seoul Korean Intonation,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Couper-Kuhlen, Elizabeth & Selting, Margret eds.(1996), Prosody in Conversation: Interactional Stud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ruttenden, Alan(1986), Inton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De Jong, Ken(1994), Initial tones and prominence in Seoul Korean, Working Papers in Linguistics 43,
Féry, Caroline(2016), Intonation and Prosodic Structure - Key Topics in Phon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Fox, Anthony(2000), Prosodic Features and Prosodic Structure-The Phonology of Suprasegmentals, Oxford University Press.
Frota, Sonia & Elordieta, Gorka & Prieto, Pilar eds.(2011), Prosodic Categoreis: Production, Percetion and Comprehension, Springer.
Gibbon, Dafydd & Richter, Helmut eds.(2011), Intonation, Accent and
Rhythm: Studies in Discourse Phonology, Walter de Gruyter.
Gussenhoven, Carlos(2004), The phonology of tone and inton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Harnish, Robert(2009), The problem of fragments: Two interpretative strategies, Pragmatics & Cognition Volume 17, Issue 2,
Hirst, Daniel & Cristo, Albert Di eds.(1996), Intonation Systems-A Survey of Twenty Langu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Hirst, D., Espesser, R.(1993), Automatic Modelling of Fundamental Frequency Using a Quadratic Spline Function.
Halliday, M.A.K. & Greaves, William S.(2008), Intonation in the Grammar of English, Equinox.
Jeong, Sunwoo(2018), Intonation and Sentence Type Conventions:
Two Types of Rising Declaratives, Journal of semantics Vol.35 (2)
Jun, Sun-Ah(1993), The Phonetics and Phonology of Korean Prosody, Ph.D. dissert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Jun, Sun-Ah(2000), K-ToBI(Korean ToBI) Labelling Convention;
version 3.1., UCLA Working Paper in Phonetics 99.
Jun, Sun-Ah(2014), Prosodic typology II : the phonology of intonation and phrasing, Oxford , Oxford University Press.
Kim, Kyunghee(2013), Tone, pitch accent and intonation of Korean - A synchronic and diachronic view-,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ologne.
Ladd, D. R.(1980), The Structure of Intonational Meaning, Bloominton. Indiana University Press.
Ladd, D. R.(2008), Intonational Phonolog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Lee, Chungmin & Gordon, Matthew & Buring, Daniel eds.(2008), Topic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