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소형문의 의미 기능별 억양

4. 소형문의 억양과 의미 기능

4.3. 소형문의 의미 기능별 억양

4.3.1. 진술

윤평현(2003)에서는 진술이 화자가 어떤 것을 사실로 믿는지 그렇지 않은 지에 대하여 말하는 행위라고 제시하고, 진술 행위는 이와 같은 단언이나 결 론 또는 어떤 사건에 대한 기술이나 보고 등 화자가 믿고 있는 세계를 묘사하 는 것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이와 같은 진술 기능을 가지고 있는 소형문들을 다시 세부적인 기준으로 분류해 보면 다음과 같다.

(10) ㄱ. ○○○씨입니다, 말(馬)이다, 해다, 여기요.

ㄴ. 완성, 정답, 찬성.

ㄷ. 네, 아니오, 응, 그래, 알겠습니다.

진술 기능의 소형문에는 (10ㄱ)과 지정사로 이루어진 ‘X+이다’ 구조의 소형 문이나 (10ㄴ)과 같이 명사로 구성된 소형문이 있다. 또한 (10ㄷ)과 같이 상 대방의 말에 긍정하거나 부정하는 등의 대답 기능의 소형문이 포함된다.

본고의 자료에 나타나는 진술 기능의 소형문의 억양 유형과 그 분포는 다 음과 같다.

억양 유형 표본수 비율(%)

H 17 5.21

자료에서 총 326개의 진술 기능의 소형문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억 양 유형과 각각에 해당하는 소형문의 모든 예를 기술하고자 한다. 동일한 문 장이 중복되어 여러 억양 유형으로 실현되었을 때도 각 억양 유형에 해당 문 장을 모두 기술하여 전체적으로 어떤 억양 실현 경향을 보이는지를 살펴보고 자 한다.

진술 기능의 소형문과 그 억양 유형은 다음과 같다.

억양 유형 자료

H 네, 맞아, 알겠습니다, 아니요, 어

L 공룡이다, 말이다, 여기요, 카레다, 해다, ○○○씨입니다

L 199 61.04

HL 53 16.25

LH 29 8.90

HLH 2 0.61

LHL 19 5.83

HLHL 6 1.84

LHLH 1 0.31

합 326 99.99

[표 14] 진술 기능의 억양 유형과 표본수 및 비율

괜찮아요, 그러니까(요), 그래(요), 그랬구나, 그러게요, 그렇 네, 그러니까(요), 그럼(요), 그렇습니다, 그렇지(요), 네, 맞 습니다, 맞아(요), 맞죠, 몰라, 아니야, 아니에요, 아니죠, 알 겠습니다, 알겠어요, 알았어, 어, 응, 좋습니다, 진짜

HL

완성

그러자, 그럼, 그렇구나, 그렇네, 그렇지(요), 네, 맞아, 아니 야, 진짜, 어, 예, 완전, 응

LH

만점이요, 여기요 정답

괜찮습니다, 그러게(요), 그러니까, 그럼요, 그렇네(요), 그렇 죠, 네, 맞습니다, 맞아요, 아니야, 아니에요, 알겠습니다, 알 았어, 응, 정말로

HLH

정답 그래

LHL 그래(요), 그러게, 그러니까요, 그럼요, 그렇군요, 그렇네, 그 렇지(요), 맞아요(요)

HLHL 그럼(요)16), 그래, 예

LHLH 그러니까요, 그렇지

[표 15] 진술 기능에서의 억양 유형과 자료

이들은 실제 연구 자료에 나타난 진술 기능에 해당하는 소형문이다. 각 억 양 유형에 나타나는 소형문들을 모두 제시하였고, 같은 진술 기능의 소형문이 라도 그 패턴이 두 개 이상 나타나는 소형문도 확인할 수 있다. ‘그러게, 그렇 네, 맞아’ 등 특정 소형문은 청자 존대의 의미로 어미 ‘요’가 붙어 사용되기도 하였는데, 이들은 그것이 존대의 의미를 덧붙여 주는 것이지, 다른 의미의 차 이로 인한 억양 패턴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생각되어 같은 문장에 괄호로 넣 어 제시하였다.

다음은 진술 기능으로 실현된 소형문이 어떤 억양 유형에 분포하는 지를 보 이는 표다.

H L HL LH HLH LHL HLHL LHLH

공룡이다 1

괜찮아요 1 1

그니까 6

그래(요) 3 1 2 3

그랬구나 1

그러게(요) 3 3 2

그러네(요) 6 1 2

그러니까(요) 6 2 1

그러자 1

그럼(요) 4 1 2 2 2

그렇구나 1

그렇군요 1

그렇네(요) 1 1 1 1

그렇습니다 11

그렇죠 13 1 1 1

그렇지 3 1

그죠(쵸) 9 4 1 2

그치 6 1 4

네 9 56 19 2

만점이요 1

말이다 1

맞습니다 3 2

맞아(요) 1 22 5 1 3

위 표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동일한 소형문에서도 그 패턴이 여러 개 나타나 는 소형문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같은 진술 기능이지만 대화 상황에 따라 화자 가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 및 태도 기능이 다르기 때문이다.

H%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사용된 소형문은 ‘네’이다. 진술에서의 ‘네’는 크 게는 대답의 기능을 하는 소형문이지만 H%로 실현될 때는 상대의 물음에 긍 정 또는 부정의 대답을 하는 기능으로 쓰이는 것이 아니라 상대의 부름에 대

맞았어 1

맞죠 1

몰라 1

아니야 3 1 1

아니에요 3 1

아니요 1 1 1

아니죠 1

알겠습니다 4 4

알겠어요 2

알았어 2 1

어 1 4 5

여기요 2 1

예 2 1

완성 1

완전 1

응 10 5 1

이겁니다 1

○○○씨입니다 2

정답 1 1

정말로 1

좋습니다 1

진짜 1

진짜로 1

진짜야 1

찬성 1 1 1

카레다 1

해다 1

[표 16] 진술 기능의 소형문과 억양 분포

한 답을 하는 기능으로 쓰인다.

(11) A: (초인종 소리) 네.

10 12 14 16 18 20

st

14.37

18.23

[그림 20] (11) “네”의 억양

(11)은 문 밖에서 상대방이 초인종으로 화자를 부르는 상황에서 화자가 그것 에 대해 대답할 때 쓰인 것으로 억양은 H%로 실현되었다.

다음은 진술에서 H%로 실현되는 또 다른 소형문의 예다.

(12) A: 커피 한 잔이랑, 에이드 한 잔 주세요.

B: 알겠습니다.

0 2 4 6 8 10 12 14 16 18 20 22

st

8.64

13.54

1.09 0.88

16.8

20.04

[그림 21] (12) “알겠습니다”의 억양

(12)에서 소형문 ‘알겠습니다’는 손님의 주문에 직원이 대답할 때 쓰인 것인 데, 여기서 H%가 쓰인 것은 손님에게 좀 더 친절히 대답하고자 하는 태도를 담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같은 상황에서 동일한 소형문이 L%로 실현된다 고 하면 보다 무뚝뚝한 느낌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특정 상황에서 의 대답은 전달하고자 하는 태도에 따라 다르게 실현될 수 있다.

대답 기능에서 H%로 실현되는 소형문의 예로는 ‘아니요’를 들 수 있다.

(13) A: 제가 간지러웠던 얘기 했나요?

B: 아니요.

10 12 14 16 18 20

st

11.05

12.13

14.35

18.9

[그림 22] (13) “아니요”의 억양

이는 화자 B가 상대 A의 질문에 부정하는 대답으로 쓰인 것으로 H%로 실현 된 것을 볼 수 있다.17) 그러나 ‘아니요’가 항상 H%로만 실현되는 것은 아니 다.

(14) A: 브리핑?

17) 이한규(2012)는 담화표지 ‘아니’에 대해서 그 기능과 의미에 대해 “담화표지 ‘아 니’의 반박 기능은, 화자가 선행 화자의 의견을 부정하여 이를 반박하거나 이와 다른 의견을 제시할 때 나타난다. ‘아니’의 반박 기능은 어떤 동일한 사건이나 상 황을 보는 견해가 화자와 청자가 다르다는 것을 전제하면서, 화자가 자신의 견해 를 뒷받침하기 위한 근거를 제시하여 자신의 견해가 더 타당함을 드러내고, 상대 적으로 선행 화자의 견해를 약화하려는 의도를 나타낸다.”라고 제시하고 있다.

송인성(2015)에서도 담화표지 ‘아니’의 의미 기능과 운율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데 특히 반박 기능을 하는 ‘아니’의 음높이는 동일 기능의 전체 ‘아니’의 음높이 중 H가 56.7%, H’이 37.3, 그리고 L이 1.7%로 나타난다고 제시했다.

대답 기능에서 ‘아니(요)’는 반박 기능은 아니지만 이와 같이 상대의 말에 부정의 대답을 하는 것으로 담화표지에서의 음높이처럼 H%로 실현되는 것을 볼 수 있 다.

B: 아니요.

(14)는 “아니요.” L%로 실현된 것을 보이는 소형문이다. 즉 부정의 대답을 하 는 ‘아니요’ 등의 문장은 H% 또는 L% 모두 억양으로 실현될 수 있다.

다음은 L%로 실현되는 진술 기능 소형문의 예다. L% 억양을 갖는 진술 기 능 소형문에는 지정사 구조인 ‘X+이다’ 형식의 소형문이 포함되어 있다.

(15) A: (부엌으로 들어서며) 카레다.

0 2 4 6 8 10 12

st

8.91

10.09 10.01

6.29

[그림 23] (14) “아니요”의 억양

-2 0 2 4 6 8 10

st

8.43

5.9

4.35

0.03

[그림 24] (15) “카레다”의 억양

이는 ‘이것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이 아니라 화자의 앞에 높여져 있는 사물을 발견하고 그에 대해 진술하는 상황의 소형문이다. 이것은 주어의 복원이 불가능한 문장이며 이와 같은 구조의 문장으로 자주 언급되는 것이 무 주어문으로 불리는 ‘불이야’ 등의 문장이다.

진술 기능에서 L%로 가장 많이 실현된 것은 상대방의 발화에 대한 대답으 로 쓰인 소형문이다.

(16) ㄱ. A: 그래서 제일 어려워요.

B: 그러니?

A: 네.

ㄴ. A: 말씀하신 거 들으니까 생각이 깊으신 것 같아서….

B: 그러니까.

8 10 12 14 16 18 20

st

14.48

9.93

[그림 25] (16ㄱ) “네”의 억양

-4 -2 0 2 4 6 8 10 12 14

st

12.96 13.03

4.8 4.08

-2.16

[그림 26] (16ㄴ) “그러니까”의 억양

(11)에서 살펴본 H%의 ‘네’가 주로 상대의 부름에 대한 대답을 할 때 쓰였다 면 (16ㄱ)과 같이 L%로 실현되는 ‘네’는 주로 상대방의 질문에 대해 긍정 혹 은 부정의 답을 할 때 쓰인다. (16ㄴ)의 ‘그러니까’도 상대방의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쓰인다.

한편 HL%는 주로 상대의 물음에 대해 확신의 태도를 보여줄 때 쓰인다.

(17) A: 본인이 직접?

B: 응. 그렇다니까.

(17)의 상황에서 ‘응’은 A의 질문에 대해 B가 강한 확시을 가지고 대답하면서 실현된 HL% 억양을 보여준다.

LH%는 주로 다음 대화를 이어 가거나 대답 및 반응을 이끌 때 쓰이는 억 양이다.

(18) A: 물을 가열하면 증발을 하죠?

B. 그죠.

A: 그러면 그것이 공중에서 다시 날아가서….

10 12 14 16 18 20

st

12.56

18.39

11.11

[그림 27] (17) “응”의 억양

0 2 4 6 8 10 12

st

6.69

4.78

3.23

6.7

[그림 28] (18) “그죠”의 억양

화자 B는 A의 질문에 대해 대답을 하고 다음 A와의 대화를 이어 가기 위해 LH%의 억양을 사용하였다. 단순 L%보다 LH%로 발화되었을 때는 대화를 계속하거나 상대의 반응을 유도할 때 쓰이는 억양 패턴이다.

진술에서의 LHL%은 확신을 나타낼 때 쓰이는 억양이다.

(19) A: 그런 거 아니에요?

B: 그럼요.

A의 질문에 대해 B가 확신을 가지고 대답할 때 쓰인 것으로 LHL%로 실현되었다. 다음 진술에서의 HLHL%로 LHL과 마찬가지로 화자의 확신 을 표현한 억양이다.

(20) A: 그렇지 않을까요?

B: 그럼요.

20 22 24 26 28 30

st

20.13

29.65

26.72

24.11

25.79

22.84

[그림 29] (19) “그럼요”의 억양

8 10 12 14 16 18 20 22 24

st

10.52 11.51

17.03

23.66

11.41

14.66

8.21

[그림 30] (20) “그럼요”의 억양

다음은 LHLH로 실현된 문장의 예이다.

(21) A: 그렇게 되더라구요 B: 그러니까요

그러니까요의 경우에는 HLHL, LHLH는 HL과 LH의 반복이면서, 의미는 강조를 나타낸다.

-4 -2 0 2 4 6 8 10 12 14

st

9.65 8.88

8.15 7.77

4.51 1.74

7.3

-1.34 0.97

[그림 31] (21) “그러니까요”의 억양

4.3.2. 지시

지시는 화자가 상대에게 어떤 행동이나 반응을 요구하는 행위이다. 윤 평현(2003)에서는 지시 행위가 화자가 청자로 하여금 어떤 특정한 행위 를 실행하도록 움직이는 데에 언표 내적 행위의 목적이 있다고 제시하 고, 지시 행위에는 질문, 명령이나 요청, 제안, 충고 등이 포함된다고 언 급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자료를 바탕으로 지시 행위에 포함되는 소형문 을 명령, 질문, 부름 기능으로 나누고 그것들이 각각 어떤 특징을 보이는 지를 살펴보려 한다.

4.3.2.1 명령

명령은 화자가 상대에게 특정 행위를 실행하도록 요구하는 대표적인 지시 행위이다. 자료에 나타난 명령 기능의 억양 유형과 그 분포를 살피 면 다음과 같다.

억양 유형 표본수 비율(%)

H 10 20.41

L 17 34.69

HL 12 24.49

LH 5 10.20

HLH 0 0.0

LHL 5 10.20

HLHL 0 0.0

LHLH 0 0.0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