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경제적 타당성 분석

Dalam dokumen 한국해양과학기술원 (Halaman 70-81)

2.1. 편익 추정 결과

□ 연구 기대 효과를 통한 편익 항목 도출

o

편익항목은 연구사업의 개요 중 연구개발결과의 활용방안을 바탕으로 식별 가능한 편익항목을 도출

o

동해가스전 활용사업 연구는 해양관측 효율 증대

,

해양관측 기동성 증 대

,

전 세계 해양관측 기술선도

,

해양

4

차 산업육성 및 고용창출을 기대

o

따라서 본 연구의 편익으로 해양관측 효율 증대로 인한 부가가치 증대

편익과 기동성 증대로 인한 운영 비용절감 편익 그리고 해양관측 기술 선도로 인한 수출증대 편익을 검토할 수 있음

□ 주요 편익 항목의 개요

o

부가가치 증대 편익

-

본 연구개발사업으로 인해 발생될 해양종합과학조사의 핵심역량 확보 기술 관련 시장의 부가가치 창출 효과를 경제적 가치로 반영

제19조의2(원상회복) ① 해저조광권자는 해저조광권의 효력이 소멸되었을 때에는 해저조광구에 설치한 인공구조물, 시설물, 그 밖의 장비(이하 "인공구조물등"이라 한다)를 수거하여 해저조광구를 원상으로 회복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여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의 승인 을 받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1. 해당 해저조광구에 대한 새로운 해저조광권자에게 해당 인공구조물등을 이전하는 경우

2. 설치한 인공구조물등을 계속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해당 인공구조물등을 국가에 귀속시키기로 하는 경우

②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해저조광권자가 제1항에 따른 원상회복을 하지 아니할 때에는 1년 이 내의 기간을 정하여 원상회복을 명할 수 있다.

③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제2항에 따른 원상회복 명령을 받은 자가 그 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할 때에는 「행정대집행법」에 따라 원상회복에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다.

-

해당 시장은 통계자료 구득가능성을 고려하여 해양관측장비 시장으로 한정

o

운영비용 절감 편익

-

연안 및 대양 해역의 다양한 관측요소를 동시 관측과 악천후

·

돌발상 황

·

극한해역 관측이 가능해짐에 따라 해양관측 운용 비용이 절감됨 으로써 발생되는 효과를 경제적 가치로 반영

o

해양레저관광 편익

-

하이드로폴리스 해저리조트

,

미국의 아쿠아리우스 등 해양구조물 활 용

,

새로운 공간 창출 등을 통한 해양레저관광에 따른 후생증대 효과

-

해양레저관광 기반 및 여건 조성으로 인한 해양레저관광산업 발전

및 국민경제적 효과 발생

편익 항목 내용 반영

부가가치 증대 편익

해양종합과학조사의 핵심역량 확보기술 관련

시장의 부가가치 창출 효과

반영

운용 비용절감 편익

넓은 해역뿐만 아니라 극한 상황에서도 관측이 가능해짐에 따른

해양관측 운용비용 절감 효과

미반영

해양레저관광 편익 해양레저관광 여건 및 기반 조성에

따른 후생 증대 효과 미반영 표

6.1

편익 항목 개요

o

편익 항목 중 운용 비용절감 편익과 수출증대 편익은 현재 타당성 분석 단계에서는 반영하지 않음

-

운용 비용절감 편익은 부가가치 증대 편익과 중복될 소지가 클 뿐만 아니라 현시점에서 비용절감 관련 정량적 데이터가 부족함

-

해양레저관광 편익은 현시점에서 해양레저 공간의 구체성과 연계 활용

시설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평가할 정량적인 데이터 부족

□ 부가가치 창출 편익 개요

o

부가가치 창출 편익은 다음과 같이 추정됨

-

해양관측장비의 시장규모

× R&D

기여율

×

사업기여율

× R&D

사업화 성공률

×

부가가치율

o

부가가치 창출 편익을 산정하기 위한 해양관측장비 기술의 시장규모 변화는 보수적인 산정을 위하여 세계시장

1~2%

의 점유율 변화를 가져 올 것으로 가정

□ 해양관측장비 기술의 시장규모

o

해양관측장비 기술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

R&D

사업은 동해 해양종합과학기지 조성 및 운영을 통한 해양관

측 기술 집약

,

각종 데이터 축적을 통한 기초연구개발 확대 등을 포 괄하고 있는데

,

이는 해양관측 기반 해양안전

,

해양통신

,

해양

IT

산업 등과 연계되어 있음

-

해양관측장비 기술 관련 산업의 세계시장 전망은 다음과 같음

-

해양수산부

(2014)

연구에 따르면

,

해양안전 및 통신기기 산업의 미래 전망을 추정한바 있으며 본 분석은 이 연구의

Low Case(

연평균 성

장률

1.5%)

를 활용하여 재추정

o

해양관측장비 기술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 예측

(2028

~2034

)

-

한편

,

본 연구개발의 종료시점인

2025

년 이후 편익기간이

11

년임을 감 안할 경우

,

해양관측장비 기술 관련 산업의 시장규모를

2034

년까지 전 망할 필요가 있음

-

이를 위해

2018

년부터

2027

년의 성장률을 평균하여

2034

년까지 해양

관측장비 기술 관련 산업의 세계시장을 전망하면 다음과 같음

연도 세계시장

(

억달러

)

2018 258.3

2019 262.1

2020 266.1

2021 270.1

2022 274.1

2023 278.2

2024 282.4

2025 286.6

2026 290.9

2027 295.3

2028 299.7

2029 304.2

2030 308.8

2031 313.4

2032 318.1

2033 322.9

2034 327.7

6.2

해양관측장비 기술 관련 산업의 세계시장 규모

자료 : “IMO 차세대 해양안전종합관리체계 기술개발” (해양수산부, 2014)의 연구 결과 활용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해양관측장비 기술 관련 산업 중 최첨단 해양관 측산업과 일부 연관 있는 소형드론

,

수중 무인체 등 무인이동체의

2030

년 세계시장 점유율을

10%

로 발표한 바 있음

(

관계부처 합동

, 2015) -

본 사업으로 인해 해양관측장비 시장 점유 변화 목표율을 전문가 의

견을 토대로

1~2%

로 가정

-

이는 최첨단 기술 경쟁 집합 시장인 무인이동체 점유율 목표

10%

비해 보수적인 가정으로

,

본 분석에서는 해양관측장비 세계시장 변

화 목표점유율을

1.5%

로 가정

연도 세계시장

(

억달러

)

세계시장 변화 목표 점유율

(%)

해양관측 기술의 시장 규모

(

억달러

)

2024 282.4

1.5%

87.1

2025 286.6 88.4

2026 290.9 89.7

2027 295.3 91.1

2028 299.7 92.5

2029 304.2 93.9

2030 308.8 95.3

2031 313.4 96.7

2032 318.1 98.1

2033 322.9 99.6

2034 327.7 101.1

6.3

해양관측장비 기술의 목표 시장규모

□ 기술수명주기

o

국제특허분류

(IPC)

별 분류체계를 활용하여 각 기술별 기술수명주기를 분석한 이승규

(2011)3)

의 연구에 따르면

,

기계공학분야의 기술수명주기는 중위수값이 약

11

,

평균값이

14.1

년으로 나타남

o

기술수명주기는 편익발생기간과 연동되는 사항으로 해당기술의 특허 분석 또는 유사 연구사례 준용

o KISTEP(2012)4)

예비타당성조사의 경우 편익발생기간을

13

년으로

,

KISTEP(2013)5)

의 예비타당성조사의 경우 편익발생기간을

11

년으로

, KISTEP(2015)6)

의 예비타당성조사의 경우 편익발생기간

8

,

회임기간

3

년 총

11

년으로 적용

o

본 분석은 특허 기술별 연구의 중위수값과 유사 예비타당성조사의 연구 사례 를 고려하여 기술수명주기는 편익회임기간

3

,

편익발생기간

8

년으로 적용

3) 이승규(2011), 『예비타당성조사를 위한 지식기반 및 분석시스템 구축』, KISTEP 4) KISTEP(2012), 『미래해양개발을 위한 수중건설로봇 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5) KISTEP(2013), 『해양 융복합소재 산업화사업 예비타당성조사』

6) KISTEP(2014), 『ICT융합 Industry4.0(조선해양)사업 예비타당성조사』

섹션 의미 특허건수

TCT(

중위수

) TCT(

평균값

) A

생활필수품

196,330 10.0 12.5

B

분리

;

혼합

243,098 11.0 13.6

C

화학

;

야금

127,590 9.0 11.1

D

섬유

;

지류

11,314 12.0 15.4

E

고정구조물

35,843 14.0 16.6

F

기계공학

;

조명

;

가열

;

무기

;

폭파

111,308 11.0 14.1

G

물리학

453,085 6.0 7.5

H

섹션 전기

370,268 6.0 7.5

6.4

국제특허분류의 섹션별 기술수명주기

□ R&D 기여율

o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직접적 경제적 편익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해당 시장에 서 창출된 부가가치 중에서 연구개발이 기여한 정도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

o R&D

기여율은 연구개발성과의 상업화를 통해 부가가치가 창출되었을

,

전체 부가가치 가운데 연구개발에 의한 기여분이 어느 정도인지를 나 타내는 지표이며

,

해당 사업의 경제적 가치를 정확히 추정하기 위해 활용

o

본 분석에서는 최근

2013

년에 확정된

「3

차 과학기술기본계획

에 근거

하여

35.4%

를 적용

o

참고적으로

,

R&D

기여율은

KISTEP

이 주관하는 최근 예비타당성조 사에서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 수치

□ R&D 사업화 성공률

o

연구개발사업을 통한 기술개발 성과가 시장에서의 편익창출로 이어지 기 위해서는 실증 및 상용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

이러한 과정에서 존재하는 불확실성을 반영하기 위해

R&D

사업화 성공률을 반영함

o R&D

사업화 성공률은 통상적으로 연구관리 전문기관들에서 발간하는

최신 성과보고서 또는 연구보고서의 수치를 활용하여 적용

o

임현

(2016)

의 연구는 기술분야별 사업화 성공률을 제시하고 있는데

,

본 보고서에서의 기술분야별 사업화 성공률은 다음과 같음

o

본 연구개발사업은 임현

(2016)

의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술분야별 사업화 성공률에서 기계소재와 정보통신과 밀접한 연관이 있어

,

이들 분야의 사업화 성공률을 평균한

47.9%

를 적용함

기술분야

9

단계 이상 사업화 성공률

(%)

전체

46.4

기계소재

47.7

바이오의료

42.3

전기전자

44.4

정보통신

48.0

지식서비스

57.6

화학

49.2

에너지

·

자원

24.3

6.5

기술분야별 사업화 성공률

자료 : 임현(2016), 2015R&D사업 예비타당성조사 일관성 제고를 위한 조사 체계 개선 방향 연구, 미래창조과학부

□ 부가가치율

o

본 연구개발사업은 정보통신산업과 선박

,

항공기 산업 등의 산업범위를 갖고 있어 명확한 구분과 분류를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나

,

산업연관 표 상의 기본부문에서 해양관측장비 기술과 연관 있는 산업을 분류함

o 2016

년에 한국은행에서 발표된

384

부문

「2014

년 기준 산업연관표

기준으로 해양관측장비 기술 산업의 부가가치율을 추정하면 다음과 같음

구분 총투입 부가가치 부가가치율 유무선통신서비스

36,609,867 13,288,634 36.3%

기타 전기통신서비스

4,630,522 1,645,832 35.5%

정보서비스

9,382,355 3,884,831 41.4%

소프트웨어개발공급

29,852,323 17,985,627 60.2%

컴퓨터관리서비스

11,374,230 4,253,594 37.4%

선박

55,532,914 9,522,467 17.1%

항공기

5,668,735 1,221,464 21.5%

수상운송서비스

27,083,813 2,779,048 10.3%

항공운송서비스

17,427,541 4,251,792 24.4%

합계

197,562,300 58,833,289 29.8%

6.6

해양관측장비 산업의 부가가치율

□ 사업기여율

o

사업기여율은

,

연구개발사업의 성과가 시장을 통해 발생하는 가치창출 편익의 추정 시 적용하는 주요 인자

o

사업기여율 추정시 활용되는 기존 정부재원 연구개발비는 기존의 유사

·

중복사업 및 과제의 연구개발비이므로

,

편익 대상의 범위

(

과제

/

기술

/

제 품 등

)

와 대응하는 범위 로 유사

·

중복성의 분석이 이루어지는 것이 적절

o

통상적으로 사업기여율 산식은

, (

본사업 투자규모

/(

본 사업관련 분야

국가전체투자규모

+

본 사업 투자규모

)

에 대입하여 추정

o NTIS(http://rndgate.ntis.go.kr)

상에서

동해 해양종합과학기지 기반 해양관측 장비

연구과제와 중복되는 과제 및 사업은 없는 것으로 분석

o

그러나 사업기여율을 추정할 때에는 본 사업관련 분야에서의 비중을

확인해야 하며 앞서 본 사업의 전체 관련 산업을

해양관측

’,‘

해양과학 기지

산업으로 가정하였으므로

, NTIS

상에서

2016

년 기준 연구과제 중

해양관측

또는

해양과학기지

를 검색하여 정부 및 민간의 투자규모를

확인하고 본 사업의 연평균 투자액을 산입하여 사업기여율을 산정함

Dalam dokumen 한국해양과학기술원 (Halaman 70-81)

Dokumen terkait